KR102057936B1 -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36B1
KR102057936B1 KR1020130111635A KR20130111635A KR102057936B1 KR 102057936 B1 KR102057936 B1 KR 102057936B1 KR 1020130111635 A KR1020130111635 A KR 1020130111635A KR 20130111635 A KR20130111635 A KR 20130111635A KR 102057936 B1 KR102057936 B1 KR 10205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creen
user
mobile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248A (ko
Inventor
이영호
장일구
김재환
송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13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57839A1/en
Priority to EP14155874.2A priority patent/EP2793116B1/en
Priority to CN201410113520.3A priority patent/CN104077073B/zh
Priority to US14/226,230 priority patent/US9942302B2/en
Publication of KR20140117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의 그룹을 호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 TERMINCAL DEVICE MAUNTABLE IN A CAR, MOBILE DEVICE,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시스템 및 이와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간의 통신 연결을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탑재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각종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 메일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가 휴대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그 장치 내에 탑재될 수 있는 하드웨어의 크기나 개수, 종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네비게이션 기능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이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차량 탑재 시스템은 차량의 사용자에게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탑재 시스템 역시 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한계로 인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탑재 시스템과 이에 연결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들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의 그룹을 호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의 그룹을 이전 그룹 또는 다음 그룹으로 호핑하여,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제2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필기 인식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텍스트가 드로잉되면,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그룹으로 호핑하여,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드로잉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드로잉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터치 제어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화면이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검색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검색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태이면, 상기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스케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후속 스케쥴을 확인하고, 상기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면 후속 스케쥴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소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장치로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의 그룹을 호핑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의 그룹을 이전 그룹 또는 다음 그룹으로 호핑하여,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단계는, 기 설정된 제2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필기 인식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텍스트가 드로잉되면,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그룹으로 호핑하여,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드로잉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드로잉이 입력되지 않으면, 터치 제어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화면이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검색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하는 단계, 그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태이면, 상기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면 후속 스케쥴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소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장치로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차량 탑재 시스템과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단말 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또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모드 전환 과정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움직임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3의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제어 장치의 외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제어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제어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차량 핸들에 부착 가능한 제어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3 내지 도 26은 제어 장치의 버튼 컬러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버튼 인디케이터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버튼 및 메뉴를 매칭시키기 위한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31은 도 30의 차량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2는 도 31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은 도 31의 단말 장치에서의 화면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35는 도 34의 차량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7은 도 36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 및 도 40은 사용자 음성에 따라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2는 도 41의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3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미러링된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도 42의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도 41의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6은 도 45의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4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합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00), 단말 장치(200), 서버 장치(30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수첩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나 서버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만을 도시하였으나, 시스템 내에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는 차량(10)과 같은 이동 수단에 탑재되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단말 장치(100)는 차량 헤드 유닛, 센터페시아,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 장치(100)라는 용어로 통일시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단말 장치(100)가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차량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클, 모터 사이클, 배, 비행기 등과 같이 이동 가능한 다양한 이동 수단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서버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서버 장치(300)는 웹 서버, 통신사 서버, 클라우드 서버 등과 같이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결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20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단말 장치(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구체적인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핸즈프리키트(Hands Free Kits : HFK), 네비게이션 장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장치들은 이동 수단의 실내에 적절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 와이파이, USB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각종 신호나 데이터, 컨텐츠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화(call)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경우에, 단말 장치(200)의 핸즈프리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로 연결된다. 핸즈프리키트는, 전화 상대방이 발화한 음성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신하여 핸즈프리키트로 출력하면, 그 신호를 증폭하여 차량 내에 탑재된 각종 스피커(미도시)를 통해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핸즈프리키트는 차량 내에 탑재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하여 변환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하여, 전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전 중에도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잡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 단말 장치(2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능을 실행하여,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는 내장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및 기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USB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기타 데이터, 신호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 및 서버 장치(300)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 각 실시 예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모바일 디바이스를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실시 예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 및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200)를 비롯한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NFC(Near Field Commun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나 USB,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제어부(120)는 터치 제어 모드로 동작한다. 터치 제어 모드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터치 조작에는 단순 터치, 더블 터치, 멀티 터치, 터치 앤 드래그, 터치 앤 플릭(touch and flick), 드로잉(drawing) 조작 등과 같이 다양한 조작이 포함될 수 있다. 단순 터치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을 터치하는 조작을 의미하고, 더블 터치란 연속적으로 두 번 터치하는 조작을 의미하며, 멀티 터치란 복수 개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터치 앤 드래그란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여 터치 지점을 이동시키는 조작이고, 터치 앤 플릭이란 화면을 터치한 후 일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이다가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또한, 드로잉 조작이란 화면을 터치하여 심볼이나 문자, 기호, 숫자 등을 그리는 조작을 의미한다.
터치 제어 모드 하에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부에 내장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서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면, 제어부(120)는 터치 지점의 x, y 좌표 값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화면상의 어떤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x, y 좌표 값이 변경되면, 제어부(120)는 그 변경된 좌표 값을 연속적으로 검출하여 터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터치 앤 드래그, 터치 앤 플릭, 드로잉 조작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그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장치(200)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리스트 형태로 정렬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상에서 그룹 호핑을 위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이란 단말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연락처 정보, 사용자 정보, 주소 정보, 사진, 위치 정보, 광고 정보, 제품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템들은 그 아이템의 성격 상 다양한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텍스트로 기재되는 연락처 정보나 주소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등은 각 알파벳 별로 그룹핑될 수 있다. 또는 전화 번호 정보인 경우에는 각 지역 번호 또는 국가 번호 별로 그룹핑될 수도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그 어플리케이션 장르 별로 그룹핑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단말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현재 표시되는 그룹을 이전 그룹 또는 다음 그룹으로 호핑(hopping)하여,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가 알파벳 순으로 그룹핑된 연락처 정보 중에서 C 그룹에 해당하는 연락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순한 터치 앤 드래그 조작이 이루어지거나, 방향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120)는 그 드래그 방향 또는 방향 버튼에 따라 C 그룹 내의 다른 연락처 정보를 순차적으로 스크롤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20)는 제1 터치 조작의 방향이나 형태에 따라 이전 그룹인 B 그룹이나, 다음 그룹인 D 그룹에 해당하는 연락처 정보로 바로 넘어가서, 해당 그룹의 연락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연락처 정보를 손쉽게 빨리 찾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상에서 필기 인식을 위한 제2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필기 인식 모드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서 드로잉한 필기 내용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서 드로잉을 수행하면, 제어부(120)는 그 드로잉된 내용을 인식한다. 가령, 사용자가 C라는 텍스트를 드로잉한 경우라면, 제어부(120)는 단말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가 드로잉한 C에 해당하는 그룹으로 호핑하여, 그 호핑된 그룹에 속하는 아이템을 바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단말 장치(200)를 제어한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제1 터치 조작 또는 제2 터치 조작의 형태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터치 조작의 예 및 이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터치 제어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하는 동작이 제1 터치 조작으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에서는 단말 장치(200)에서 A 그룹과 B 그룹의 일부가 하나의 화면(410)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 예로, A 그룹 및 B 그룹은 기 등록된 사람 이름의 첫 글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서 두 개의 손가락(50)으로 복수의 지점(T1, T2)을 터치하면, 제어부(120)는 호핑 명령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는 그룹 호핑을 수행하여, 현재 최상위로 표시된 A 그룹의 다음 그룹인 B 그룹을 최상위에 배치하는 화면(420)을 표시한다.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그룹 내에 포함된 아이템의 개수가 작을 경우에는 복수의 그룹이 한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핑된 그룹이 최상위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그룹 단위로 호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서 A 그룹 및 B 그룹이 한 화면(410)에 모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표시되어 있지 않던 다음 그룹인 C 그룹으로 바로 호핑을 하여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호핑은 반드시 그룹 단위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화면에 보여지는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필기 인식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가 B 그룹 일부 및 A 그룹을 포함하는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서 C라는 텍스트(511)가 드로잉되면, 제어부(120)는 드로잉된 텍스트를 인식하여 그 인식 결과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의 화면(510)에는 사용자가 드로잉한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 C(512)가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 장치(200)는 C라는 텍스트(512)에 대응되는 그룹으로 호핑하여,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52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에서는 C 그룹 및 D 그룹이 하나의 화면(520)으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는 사용자가 드로잉한 지점을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터치 제어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6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600)내에는 터치 패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및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600) 내에서 터치 조작을 수행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에 터치 면적만큼의 그래픽 오브젝트(610)를 표시한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필기 인식 모드로 동작할 때의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터치 인식 모드에서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필기 인식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700)을 디스플레이한다. 해당 화면(700)에는 사용자 드로잉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 GUI(710, 72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가 마치 노트나 메모지인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라인 형태의 어포던스 GUI(710) 및 필기구 형태의 어포던스 GUI(720)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7의 화면(700) 상에는 필기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팝업 창 또는 워터마크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30)는 터치 제어 모드 및 필기 인식 모드와 같은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도 8은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터치 제어 모드 화면(6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 정의된 제2 터치 조작을 수행하면(S810), 제어부(120)는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하고, 필기 인식 모드 화면(70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에서는 제2 터치 조작이 화면상의 두 개의 지점을 터치한 후 아래 측으로 내리는 조작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드로잉이 입력되지 않으면(S820), 제어부(120)는 터치 제어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 터치 제어 모드 화면(60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 복귀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 밖에 필기 인식 모드 화면(700) 상에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제어부(120)는 터치 제어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가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있고, 사용자가 해당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200)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하게 되면 사고 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네비게이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목적지를 검색하는 경우, 리스트 형태의 다양한 주소 정보가 보여지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면을 일일이 스크롤하여 원하는 목적지를 검색하게 되면, 그 검색에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이 커지며, 이에 따라 사고 위험도 커지게 된다. 반면,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의 화면을 보지 않고도, 손에 익숙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 또는 필기를 입력하여, 원하는 그룹으로 쉽게 호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목적지를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정해진 터치 조작이나 필기에 의해 그룹 자체가 호핑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30)를 마치 터치 패드처럼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호핑이 완료되어 특정 그룹이 표시된 경우, 해당 그룹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하여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
도 9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130) 상의 일 지점을 손가락 하나로 터치한 후 드래그 또는 플릭을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드래그 또는 플릭 방향 및 그 이동 거리에 따라 단말 장치(200)의 화면(910)을 스크롤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d1 방향으로 드래그한 경우, 단말 장치(200)의 화면(910)도 d1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룹 호핑을 하여 원하는 그룹이 발견되면, 해당 그룹 내에서는 원하는 아이템을 찾기 위해 스크롤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원하는 아이템이 발견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을 더블 터치하여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서 해당 아이템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같이, 각 아이템이 목적지 정보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세로 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는 화면(1010)의 상단부에 터치 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011)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 터치 영역(1012)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된 상태에서 화면(1020) 상단부에 다시 인디케이터(1021)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 터치 영역(1022)이 표시된다. 즉, 회전에 따라 터치 영역의 형상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지자기 센서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변경된 화면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변경된 화면을 기준으로 그 터치 조작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이 연결되면(S1110), 터치 제어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한다(S112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해진 터치 조작을 입력하면(S113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로 그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140). 제어 신호에는 단말 장치(200)에 표시되는 그룹을 이전 또는 다음 그룹으로 호핑시키는 호핑 신호 뿐만 아니라, 메뉴 선택 신호, 화면 전환 신호, 스크롤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마치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수단처럼 이용하여, 편리하게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하여야 하는 조건이 충족되면(S1150),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드로잉을 입력받는다(S116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드로잉이 입력되면, 그 드로잉된 텍스트를 인식하여(S1170), 인식된 텍스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S1180).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서 해당 텍스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에서 복수의 아이템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S1200),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단말 장치(200)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S1210). 도 12에서는 통신 연결 이전에 리스트가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통신이 먼저 연결된 이후에 리스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1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S122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호핑 명령을 전송한다(S1230).
단말 장치(200)는 호핑 명령에 따라 이전 그룹 또는 다음 그룹으로 호핑하여, 그 호핑된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한다(S1240).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제2 터치 조작을 입력하면(S1250),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한다(S1260). 필기 인식 모드 하에서 사용자가 드로잉을 수행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드로잉된 필기 내용을 인식하여(S1270), 인식된 텍스트를 전송한다(S1280). 단말 장치(200)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그룹으로 바로 호핑하여 그 그룹에 속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90).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 조작을 인식하여 그 조작에 대응되는 적절한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에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의 단순한 입력 수단으로만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단말 장치(200)와 통신 연결되고,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을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값을 그대로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전송된 좌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 내용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자체적으로 그룹 호핑이나 스크롤, 아이템 선택, 기능 실행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30)를 터치 패드처럼 사용하여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 이외에 별도의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버튼(410-1 ~ 410-n), 제어부(420), 통신부(430)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튼(410-1 ~ 410-n)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 버튼(410-1 ~ 410-n)은 푸쉬 버튼, 터치 버튼, 휠 버튼, 조그셔틀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43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3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NFC(Near Field Commun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나 USB,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탑재된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어, 각종 화면(2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10) 내의 일 측에는 제어 장치(400)에 배치된 버튼(410-1 ~ 410-n)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복수의 메뉴(211-1 ~ 211-n)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복수의 버튼(410-1 ~ 410-n)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3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20)는 하나의 버튼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200)의 화면(210)내에 표시된 메뉴(211-1 ~ 211-n)들 중에서 선택된 버튼과 동일한 위치 또는 형태의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하나의 화면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페이지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메인 페이지에서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네비게이션 화면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가 선택되면,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은 복수의 서로 다른 페이지로 구분되고, 각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메뉴가 표시된다. 가령, 메인 페이지에는 네비게이션 메뉴,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설정 메뉴 등이 표시되고, 네비게이션 화면 페이지에는 목적지 설정 메뉴, 현재 위치 표시 메뉴, 옵션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페이지에는 컨텐츠 리스트 메뉴, 컨텐츠 검색 메뉴, 재생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하나의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변경되면, 변경된 화면에서 사용할 메뉴 역시 버튼(410-1 ~ 410-n)과 같은 형태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개수의 버튼(410-1 ~ 410-n)을 이용하여 각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각 메뉴들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제어 장치(400)의 외관 구성 및 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따르면, 제어 장치(400)는 3개의 버튼(410-1, 410-2, 410-3)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0)는 각 버튼(410-1, 410-2, 410-3)과 동일한 패턴으로 정렬된 복수의 메뉴(211-1, 211-2, 211-3)을 포함하는 화면(2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컨텐츠 재생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 버튼(410-1)을 선택하면, 제어부(420)는 좌측 메뉴(211-1)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14에서는 되감기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반면, 사용자가 중간 버튼(410-2)을 선택하면, 제어부(420)는 중간 메뉴(211-2)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중간 메뉴(211-2)에 해당하는 재생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400)와 단말 장치(200)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5는 제어 장치(400)의 외관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에 따르면, 버튼(410-1 ~ 410-6)은 총 6개로 2열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버튼 중에서 하측 3개의 버튼(410-1, 410-2, 410-3)은 단말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와 연동하여 동적으로 기능이 변하는 버튼이고, 상측 3개의 버튼(410-4, 410-5, 410-6)은 고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하측 3개의 버튼(410-1, 410-2, 410-3)은 기본적으로는 컨텐츠 재생 기능과 매핑될 수 있다. 가령, 제1 버튼(410-1)은 이전 음악 재생 기능, 제2 버튼(410-2)은 음악 재생/일시 정지 기능, 제3 버튼(410-3)은 다음 음악 재생 기능이 각각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버튼에 대응되는 메뉴가 표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버튼이 각각 선택되면, 제어부(420)는 그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200)에서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제어부(420)는 하측 3개의 버튼(410-1, 410-2, 410-3)에 매핑된 기능을 화면 내에 표시된 각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변경한다. 가령, 네비게이션 화면 페이지가 표시되고, 그 페이지 내에서 네비게이션 메뉴,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설정 메뉴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었다면, 제어부(420)는 제1 내지 제3 버튼(410-1, 410-2, 410-3)에 대해서 각각 네비게이션 메뉴,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설정 메뉴를 매핑시킨다.
한편,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과 별도로 제4 내지 제6 버튼(410-4 ~ 410-6)에는 고정된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가령, 제4 버튼(410-4)은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기능, 제5 버튼(410-5)은 스크롤 또는 선택 기능, 제6 버튼(410-6)은 메뉴 표시/클로즈 기능이 각각 매핑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버튼(410-5)이 휠 버튼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420)는 휠 버튼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 휠 움직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는, 제어부(420)는 휠 버튼이 클릭되면 단말 장치(200)의 화면상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에 매핑된 기능은 단말 장치(200)이 화면이 변경되면, 변경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변경된 메뉴의 예들에 대해 나타낸다.
도 16은 단말 장치(200)의 메인 화면(16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화면(1600) 내에는 날짜 정보(1610), 날씨 정보(1620), 일정 정보(1630)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과,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1640)가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표시 영역(1640)에는 컨텐츠 재생을 조정하기 위한 메뉴(1641, 1642, 1643)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기본적으로 제1 내지 제3 버튼(410-1, 410-2, 410-3)과 각 메뉴(1641, 1642, 1643)를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단말 장치(200)는 컨텐츠 표시 영역(1640)을 삭제하고, 그 위치에 전화 수신 정보(16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전화가 수신된 상태에서의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7에 따르면, 전화 수신 정보(1650)에는 발신자 이름과 시간 등이 표시되고, 전화 수신과 관련된 각종 메뉴(1651, 1652, 1653)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셋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1651), 음소거 메뉴(1652), 통화 거부 메뉴(1653)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제1 내지 제3 버튼(410-1, 410-2, 410-3)과 각 메뉴(1651, 1652, 1653)를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8은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에서의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8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메인 화면(1600)의 하측에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해당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메뉴(1660)와 그 메시지 확인을 거부하는 거부 메뉴(1661)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제1 버튼(410-1) 및 제2 버튼(410-2)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확인 메뉴(1660)를 매칭시키고, 제3 버튼(410-3)에 대해서는 거부 메뉴(1661)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개수는 반드시 버튼의 개수와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더 적을 수도 있다. 메뉴가 더 적은 경우에는 하나의 메뉴에 복수의 버튼이 매칭되어, 그 중 어느 버튼이 선택되더라도 해당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반면, 메뉴의 개수가 버튼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하나의 버튼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메뉴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 상에서 각 버튼을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스와이프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9는 스와이프 조작 및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420)는 스와이프 조작이 감지되면, 그 스와이프 조작의 방향에 따라 화면을 타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스와이프 조작이란 사용자가 제1 버튼부터 제3 버튼 방향(d2)으로 또는 제3 버튼부터 제1 버튼 방향(d1)으로 손가락으로 쓸듯이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도 19에서 d1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420)는 현재 화면(1910-B)의 다음 화면(1910-C)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반대로 d2 방향으로 스와이프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420)는 현재 화면(1910-B)의 이전 화면(1910-A)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화면 전환 동작은 화면 하단에 아무런 알림 메시지가 없는 상태에서는 언제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400)에 다양한 버튼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로 직접 손을 가져다 대지 않더라도 앱(application)간 이동, 화면 전환, 리스트 선택 및 이동, 음악 제어, 알림 제어, 기능 제어, 메뉴 선택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와 버튼이 일관성있게 대응되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의 화면을 직접적으로 보지 않더라도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400)는 차량 내에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가령, 핸들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차량의 핸들에 고정된 제어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0에 따르면, 제어 장치(400)는 고정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40)는 차량의 핸들(15)에 제어 장치(4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440)는 차량 핸들(15)에 끼울 수 있는 C 자 형태의 홈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개구부(open part)를 통해 차량 핸들(15)에 끼운 후에 개구부를 조일 수 있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어 장치(400)에 마련된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면(S2110), 제어 장치(400)는 그 버튼에 매칭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S2110). 제어 장치(400)는 단말 장치(200)에 표시된 화면이 변경되고, 변경된 화면에 새로운 메뉴가 표시되면, 새로운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각 버튼에 다시 매칭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이 다시 선택되면, 새로이 매칭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에 대해 스와이프 조작을 수행하면(S2130), 스와이프 방향에 따라 이전 화면 또는 다음 화면으로 변경하기 위한 화면 변경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S214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의 화면이나 단말 장치(200)의 본체 버튼까지 손을 뻗지 않고도, 단말 장치(200)의 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버튼과 기능사이의 매칭 관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버튼에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에 따르면, 제어 장치(400)가 파워 온 되면(S2210), 기본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2220). 기본 버튼이란 고정적인 기능이 매칭된 버튼을 의미한다. 가령, 도 15와 같은 형태의 제어 장치(400)라면, 제4 내지 제6 버튼(410-4 ~ 410-6)이 기본 버튼에 해당한다.
제어부(420)는 활성화된 기본 버튼의 하측에 마련된 백라이트부를 턴 온시켜, 각 기본 버튼에 대해 컬러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버튼(410-1 ~ 410-n)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어, 각 버튼에 대해 컬러 광을 제공하는 복수의 백라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는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 장치(200) 및 통신부(430)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되면(S2230), 제어부(420)는 제어 버튼을 활성화한다(S2240). 제어 버튼이란 복수의 버튼 중에서 동적으로 기능이 변경되는 버튼을 의미한다. 가령, 도 15와 같은 형태의 제어 장치(400)라면,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이 제어 버튼에 해당한다. 제어부(420)는 활성화된 제어 버튼의 하측에 마련된 백라이트부도 턴온시켜, 각 제어 버튼에 대해 컬러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버튼에 빛이 들어오면, 해당 버튼이 활성화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20)는 제어 장치(400)의 상태, 단말 장치(200)의 상태, 단말 장치(200)에 표시되는 메뉴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각 버튼에 제공되는 컬러 광의 컬러를 버튼 별로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20)는 주기적으로 상태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2250). 확인 결과,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변경된 상태에 대응되도록 버튼의 컬러를 변경한다(S2260).
도 23 내지 도 25는 각 버튼의 조명 상태(lighting stat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파워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각 버튼은 비활성화되므로, 아무런 광도 제공되지 않게 된다.
도 24는 파워 온 상태에서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버튼들 중에서 기본 버튼(410-4 ~ 410-6)들에 대해서만 광이 제공되어 밝게 표시된다.
도 25는 파워 온 상태에서 통신까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기본 버튼(410-4 ~ 410-6) 뿐만 아니라 제어 버튼(410-1 ~ 410-3)까지 전부 활성화되어 밝게 표시된다.
기본 버튼(410-4 ~ 410-6)에 제공되는 광은 동일한 컬러 및 밝기로 제공될 수 있지만, 제어 버튼(410-1 ~ 410-3)에 제공되는 광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컬러 및 밝기로 제공될 수 있다. 가령, (R : 186, G : 69, B : 4)인 오렌지 컬러, (R : 0, G : 118, B : 91)인 그린 컬러, (R : 14, G : 66, B : 145)인 블루 컬러, (R : 160, G : 160, B : 160)인 그레이 컬러 등과 같이 다양한 컬러의 광이 각 버튼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는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중요도나, 알림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령, 기본적으로 컨텐츠 재생 기능이 매칭된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은 공통적으로 블루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그린 컬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오렌지 컬러 등과 같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각 버튼에 매칭되는 메뉴의 특성에 따라 각 버튼의 컬러가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이 각각 서로 다른 메뉴(1651, 1652, 1653)에 매칭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의 컬러는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버튼 (410-1, 410-2)에 대해서는 동일한 메뉴가 매칭되고, 제3 버튼(410-3)에 대해서는 다른 메뉴가 매칭된 경우에는 제1 및 제2 버튼(410-1, 410-2)에는 동일한 컬러가 표시되고, 제3 버튼(410-3)만 상이한 컬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거부 표시가 매칭된 제3 버튼(410-3)에 대해서는 그레이 컬러가 표시되며, 점등될 수 있다.
도 26은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이 각각 상이한 컬러로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부(420)는 제1 내지 제3 버튼(410-1 ~ 410-3) 하측에 각각 마련된 R, G, B LED에 대해 적절한 구동 펄스를 입력하여 컬러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화이트 LED 및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컬러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제어 장치(200)에 마련된 버튼이 고정된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각 버튼은 변형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20)는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각 메뉴에 대응되도록 각 버튼의 인디케이터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터치 버튼을 이용하는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7은 3개의 버튼(410-1 ~ 410-3)이, 컨텐츠 재생 화면에 표시된 되감기 기능, 재생/일시 정지 기능, 빨리 감기 기능과 각각 매칭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420)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710, 2720, 2730)를 터치 버튼(410-1 ~ 410-3)상에 표시할 수 있다. 터치 버튼(410-1 ~ 410-3)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8은 전화 수신 화면에 표시된 헤드셋 사용 기능, 음소거 기능, 수신 거부 기능이 각 버튼(410-1 ~ 410-3)에 매칭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이전 인디케이터(2710, 2720, 2730)를 삭제하고, 헤드셋 사용 기능, 음소거 기능, 수신 거부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인디케이터(2810, 2820, 2830)를 표시한다. 각 인디케이터들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7 및 도 28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의 화면을 보지 않고도 제어 장치(400) 만으로도 단말 장치(200)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00)의 버튼 대신에 단말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에 식별자를 추가하여 어느 버튼에 매칭되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9는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400) 및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 따르면, 제어 장치(400)의 버튼(410-1 ~ 410-3)에는 각 버튼을 특정할 수 있는 숫자나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 장치(200)는 복수의 메뉴(1660, 1661)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면, 각 메뉴(1660, 1661)에 대해 매칭되는 버튼을 지칭하기 위한 식별자를 표시한다. 도 29에 따르면,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메뉴(1660)와 그 메시지 확인을 거부하는 거부 메뉴(1661)가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확인 메뉴(1660)에는 제1 및 제2 버튼(410-1, 410-2)이 매칭되고, 거부 메뉴(1661)에는 제3 버튼(410-3)이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인 메뉴(1660)에는 제1 및 제2 버튼(410-1, 410-2)이 매칭되었음을 알리는 제1 및 제2 식별자(2910, 2920)가 표시되고, 거부 메뉴(1661)에는 제3 버튼(410-3)이 매칭되었음을 알리는 제3 식별자(2930)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식별자를 보고 버튼 및 메뉴 사이의 매칭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200)의 기능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연동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30)의 사이즈 및 형태와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형태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이 그대로 단말 장치(200)에서 표시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단말 장치의 화면 최적화를 위한 실시 예 >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화면 최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30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단말 장치(200)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되면(S301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웹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단말 장치(200)로 제공한다(S3020). 일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에 따른 API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제공된 목록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S3030). 단말 장치(200)는 그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요청한다(S304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웹 페이지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서버 장치(300)로 다시 웹 페이지를 요청하여(S3050), 그 웹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S3060), 단말 장치(200)로 전달한다(S3070).
단말 장치(200)는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자신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맞게 화면을 생성하여(S3080),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90).
도 31은 도 30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1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3110), 제어부(3120), 통신부(3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10)는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3110)는 단말 장치의 가격, 종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313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웹 API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 서버에서 전송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20)는 그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연결되면, 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받아, 그 목록을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목록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312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요청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그 요청에 따라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중계하여 준다. 제어부(3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웹 페이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웹 페이지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10)에 적합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와 같은 웹 기반기술을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형태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상이하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단말 장치(200)에 최적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이름 및 도면 부호를 기재한다.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200)의 통신부(3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이 연결되면, 저장부(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전달한다. 이 밖에도,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컨텐츠, 주소록, 일정 정보, SNS(Social Network Service)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 후에, 단말 장치(200)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단말 장치(2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자신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적응적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2는 단말 장치(200)가 웹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USB,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연결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넷(3200)을 통해서 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자 서버(3210)나 웹 어플리케이션 스토어(322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자 서버(3210)나 웹 어플리케이션 스토어(3220)로부터 제공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서 제공받는다.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3120)는 제공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33은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33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웹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함께 각종 부가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부가 정보에는 사진이나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갤러리 정보, 주소록 정보, 일정 정보, SNS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웹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3310-1 ~ 3310-5)를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아이콘(3310-5)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200)는 그 아이콘(3310-5)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3320)을 구성한다. 화면(332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부가 정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3에서 선택된 아이콘(3310-5)이 연락처 아이콘이라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정보 중 주소록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332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를 이용하면서 단말 장치(200)에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단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 예 >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URL을 제공받는다(S3410).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단말 장치(200)에 대응되는 서버 장치에 대한 주소를 의미한다.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200)를 제조한 제조사 또는 단말 장치(200)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나 기타 컨텐츠의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 장치에 대한 URL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의 통신이 수행되면 그 URL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200)는 NFC 통신 방식으로 URL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URL이 제공되면,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해당 URL로 액세스한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UI를 수신하여(S3430), 수신된 UI를 웹 브라우저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344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UI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UI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S3450), 그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3460).
단말 장치(200)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3470). 가령, 턴 온, 볼륨 업, 볼륨 다운, 채널 변경, 컨텐츠 재생,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컨텐츠 변경, 네비게이션 기능 실행, 목적지 설정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4에서는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 정보, 즉, URL을 수신하여 그 URL로부터 UI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그 URL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는 적응적인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에 적응적인 화면을 직접 구성한 후,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주소 정보, 즉, URL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5는 도 34와 같은 실시 예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5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근거리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3110), 제어부(3120), 통신부(3130), 저장부(3140), 근거리 통신부(315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근거리 통신부(150)는 단말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3150)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NFC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200)의 저장부(3140)에 저장된 URL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근거리 통신부(150)가 리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거리 통신부(150)는 리딩된 URL 정보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리딩된 URL로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웹 페이지 데이터는 UI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근거리 통신부(150), 단말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3150)는 각각 NFC 태그 및 NFC 리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에 따른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후에,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 표시된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200)의 통신부(3130)는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120)로 전달한다. 제어부(312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단말 장치(2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이지만, 서로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단말 장치(200)가 반드시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탑재될 필요는 없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이한 기종의 장치라면 상술한 실시 예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의 동작은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실시 예 >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6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40), 음성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에서 상술한 다른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명칭 및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설명하지만, 그 기능은 실시 예 별로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6에서 통신부(110)는 차량에 설치된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음성 입력부(160)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음성 입력부(160)는 마이크(미도시), 앰프(미도시), 노이즈 필터링 회로(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6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저장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검색 기준을 상이하게 설정한다. 제어부(120)는 음성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한다. 사용자 음성 분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의 에너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에너지에 따라 음성 신호의 에너지 레벨을 분류하여, 동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음성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음성 구간 내에서 음향 모델(Acoustic Model)을 기초로 음성의 최소 단위인 음소를 검출하여 음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소 데이터에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을 적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명령어 및 검색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명령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텍스트를 명령어로 검출한다. 또한, 등록되지 않은 텍스트는 검색어로 검출한다. 제어부(120)는 검출된 명령어 및 검색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목적지 검색을 위한 명령어가 검출되면, 검색어에 대응되는 목적지를 검색한다. 이 경우,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설정된 검색 기준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한다. 제어부(120)는 그 검색 결과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음성 및 사용자 상태를 고려하여 선별된 목적지 후보들이 단말 장치(20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목적지 후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목적지 후보가 최종 목적지로 결정되며, 단말 장치(200)는 결정된 최종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상태란 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태인지, 아니면 보행 중이거나 휴식 중인 상태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상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향후 스케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후속 스케쥴이 빠듯한 경우에는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별다른 특수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최단 거리 기준, 최단 시간 기준, 최적 거리 기준 등과 같이 통상적인 네비게이션 목적지 설정 옵션에 따라 목적지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37은 목적지 검색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장치(200)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운전을 하는 가운데, "어디서 밥을 먹지?"라는 말을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음성 입력부(160)는 그 음성을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가 차량에 설치된 단말 장치(2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이면, 사용자가 운전 중이거나 운전 준비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음성 중에서 "어디서"라는 말은 찾기 명령을 의미하는 명령어로 검출하고, "밥"은 검색어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직접적으로 검출된 검색어 이외에 관련 검색어도 함께 검출할 수 있다. 가령, "밥"의 경우, 제어부(120)는 "restaurant", "food store", "food court" 등과 같은 다양한 단어들을 관련 검색어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운전 중이라는 상태를 고려하여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을 검색 기준으로 정하고, 검색어와 관련된 식당을 검색 기준에 따라 검색한다. 가령,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을 구비한 식당이나, 차량을 가지고 통과하면서 음식을 받을 수 있는 드라이브인 식당, 차량 정비소나 세차장 근처의 식당 등을 검색할 수 있다.
도 37에서는 사용자가 "where should I stop for lunch"라는 말을 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발음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3711)와, 검색어 및 명령어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검색어에는 관련 검색어도 포함된다.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텍스트(3711)를 포함하는 화면(3710)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화면(3710)에는 검색 중임을 알리는 문구(3712)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수신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목적지 후보들을 검출한다. 단말 장치(200)는 검출된 목적지 후보들을 포함하는 화면(372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7에서는 차량 운전 중인 상태임을 고려하여 검색된 목적지 후보들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목적지 후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목적지 후보를 목적지로 결정하고, 현재 위치부터 결정된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킨다.
한편, 저장부(140)에는 사용자 스케쥴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후속 스케쥴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면 제어부(120)는 후속 스케쥴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후속 스케쥴 시간이 현 시간으로부터 얼마 남지 않은 상태라면, 제어부(120)는 패스트푸드 식당이나 드라이브인 식당 등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후속 스케쥴 장소가 저장된 상태라면 그 후속 스케쥴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하는 식당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120)는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자체적으로 목적지를 검색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20)는 검색된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20)는 검색된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안내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검색 기준은 최단 거리, 최단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다수의 사용자들이 선택하는 장소나 인기 순위 등에 기초하여 검색하도록 검색 기준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6 및 도 37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결정 기준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음성을 외부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서버 장치에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8은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8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그 음성 및 사용자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인터넷을 통해 서버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장치(300)는 음성 분석 서비스,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 장치(300)는 제공된 사용자 음성, 사용자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목적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공된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단말 장치(200)가 그 화면(37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9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S391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920). 간단하게는,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이 연결된 상태이면 운전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200)가 탑재된 차량의 GPS 칩으로부터 제공되는 좌표가 변화된다면 운전 중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1 검색 기준을 설정한다(S3930). 구체적으로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목적지 후보들 중에서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 후보들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하는 제1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운전 중이지 않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2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S3940). 여기서, 제2 검색 기준은 최단 시간, 최단 거리, 최적 경로 등과 같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검색 옵션이 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검색 기준으로 검색을 수행한다(S3950). 그리고, 그 검색 결과는 단말 장치(200)를 통해 제공한다(S3960).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0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S401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0).
이에 따라, 후속 스케쥴이 존재한다면 제1 검색 기준을 설정하고(S4030),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 검색 기준을 설정한다(S4040). 여기서, 제1 검색 기준은 후속 스케쥴 시간이나 장소를 고려하여 목적지 후보를 검색하는 기준을 의미하고, 제2 검색 기준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검색 옵션을 의미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검색 기준이 결정되면, 결정된 검색 기준으로 검색을 수행하고(S4050), 그에 따른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200)를 통해 제공한다(S4060).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목적지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를 입력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상태에 맞게 검색 기준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음성을 입력받아 검색 기준을 설정하고, 검색어나 명령어 등을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도 3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서버 장치(300)에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개입 없이 단말 장치(200)가 직접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검색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실시 예 >
도 4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1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3110), 제어부(3120), 통신부(3130), 저장부(3140)를 포함한다.
저장부(314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일정 관리 프로그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3140)에는 각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맵 데이터, 주소록 정보, 일정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313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3130)는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제어부(3120)로 제공한다. 메타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사진, 동영상, 주소록, 일정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가령,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경우에는, 그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장소, 촬영 일시 등이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정보의 경우에도 그 일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이 메타 데이터 형태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3120)는 통신부(3130)를 통해 메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120)는 저장부(3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타 데이터를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은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기능을 실행시킨다. 제어부(3120)는 어플리케이션이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행 화면을 구성하면, 그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3120)는 단말 장치(200)가 파워온되면, 저장부(3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110)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312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제어부(3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이 연결되면,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311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312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부(3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41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저장부(14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40)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단말 장치(200)와 통신이 연결되면 메타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제공한다. 이 때, 제어부(120)는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전체 메타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단말 장치(200)의 화면 상에서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메타 데이터들을 전부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단말 장치(200)로 미러링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해당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만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타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면, 단말 장치(200)에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메타 데이터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2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의 통신이 연결되면(S4210),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4220). 이후에, 단말 장치(200)는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S423),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4240). 가령, 갤러리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그 갤러리 프로그램에 포함된 사진이나 동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로부터 그 사진이나 동영상이 촬영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갤러리 프로그램이 관리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의 위치 정보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0)는 위치 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화면을 재구성한다(S4250).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200)는 검출된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자동 설정하고, 그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재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260). 이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3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200)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43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결되면, 단말 장치(200)의 화면(4300)에는 기존 아이콘(4310-1, 4310-2)에 추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4310-3, 4310-4)이 표시된다. 이러한 아이콘(4310-1 ~ 4310-4)들은 알파벳순, 시간순 등으로 리스트 또는 타일 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3에서는 메인 화면(4300) 내에 각 아이콘(4310-1 ~ 4310-4)들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현될 필요는 없다. 가령, 단말 장치(2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거나,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만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아이콘(4310-3, 4310-4)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4는 단말 장치(200)의 메인 화면(4300) 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아이콘 중 하나(4310-4)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 변화를 나타낸다. 도 44에서는 갤러리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4310-4)이 선택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갤러리 프로그램에서 관리하는 각종 컨텐츠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4400)이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갤러리 프로그램에서 관리하는 컨텐츠들의 화면을 구성하여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이미지(4410)를 선택하면,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이미지(4410)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3120)는 검출된 위치 정보를 목적지(4510)로 자동 설정하여, 그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화면(450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5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S451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S4520),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530). 일 예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면, 맵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그 실행 화면 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4540). 상술한 바와 같이 맵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라면, 단말 장치(200)는 맵 화면 상에서 각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자동 설정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6은 도 45에 따른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의 화면(4300) 내에는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310-1, 43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응되는 아이콘(4310-3, 4310-4)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응되는 아이콘(4310-3, 4310-4)이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지칭하는 아이콘도 포함될 수 있다. 가령,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사진이나, 주소록, 일정 정보, 구매 희망 리스트, 방문 지역 등과 같은 다양한 개인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4300)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에서 임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6에서는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4310-2)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선택된 아이콘(4310-2)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200)는 맵 화면(4600)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맵 화면(4600) 상에 선택 가능한 메뉴 리스트(4610)를 표시한다. 그 메뉴 리스트(461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응되는 메뉴(4611)도 포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메뉴(4611)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에 기초한 인디케이터(4620, 4630)들이 표시된다. 도 46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각종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4620) 및 그 위치 정보가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4630)이 맵 화면(4600)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텍스트나 아이콘을 선택하면, 단말 장치(200)는 선택된 텍스트나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목적지로 자동 설정하여,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단말 장치(200)와 연동하여 단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단말 장치(200)도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헤드 유닛이나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 장치(200)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노트북 PC와 같이 휴대 가능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종합적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7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근거리 통신부(150), 음성 입력부(160), GPS 칩(171), 비디오 프로세서(172), 오디오 프로세서(173), 버튼(174), 카메라부(175), 스피커부(176), 감지부(177)를 포함한다.
감지부(177)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감지부(177)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 및 감지부(177)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77)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표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통지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 별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단말 장치(200)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칩(111), 블루투스 칩(112), 무선 통신 칩(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11), 블루투스 칩(11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11)이나 블루투스 칩(11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1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부(150)는 단말 장치(200)를 비롯한 외부 장치들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NFC 방식이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부(150)를 통해 단말 장치(200)의 URL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그 URL로 액세스하여 단말 장치에 대한 제어 UI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GPS 칩(171)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20)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GPS 칩(171)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현 위치를 판단하고, 그 현 위치를 출발지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72)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2)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가 사진이나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비디오 처리부(172)는 그 컨텐츠에 대해 상술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맵 화면에 추가 표시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73)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173)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73)에서는 네비게이션 실행 중에 필요한 각종 음성 안내 메시지나, 알림 음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72) 및 오디오 프로세서(173)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비디오 프로세서(172)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176)는 오디오 프로세서(173)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네비게이션 실행 중에는 각종 음성 안내 메시지나 알림 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버튼(174)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6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에 따라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음성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그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부(17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부(17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부(175) 및 음성입력부(16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20)는 음성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 부(17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 부(17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음성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47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은 실시 예 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가령,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130),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20),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의 그룹을 호핑시키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의 방식 및 그에 따른 호핑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실시 예가 함께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20)는, 메타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여,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화면이 단말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시 예도 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설정된 검색 기준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만약 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태이면,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스케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4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후속 스케쥴을 확인하고,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면 후속 스케쥴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단말 장치의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주소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장치로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화면을 구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흐름도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 가능한 단말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동시켜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이나, 서비스 제공 방법 등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의 그룹을 호핑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모바일 디바이스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200 : 단말 장치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제1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의 이전 그룹 또는 다음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제2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면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필기 인식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텍스트가 드로잉되면,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드로잉을 유도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드로잉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터치 제어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화면이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검색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검색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중인 상태이면, 상기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스케쥴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후속 스케쥴을 확인하고, 상기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면 후속 스케쥴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소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장치로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모바일 디바이스의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대해 이루어지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제1 그룹의 이전 그룹 또는 다음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제2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필기 인식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텍스트가 드로잉되면,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드로잉을 유도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인식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드로잉이 입력되지 않으면, 터치 제어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 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화면이 상기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검색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그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중인 상태이면, 상기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후속 스케쥴이 존재하면 후속 스케쥴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소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장치로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KR1020130111635A 2013-03-26 2013-09-17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5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1350 WO2014157839A1 (en) 2013-03-26 2014-02-19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EP14155874.2A EP2793116B1 (en) 2013-03-26 2014-02-20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CN201410113520.3A CN104077073B (zh) 2013-03-26 2014-03-25 车载系统、移动设备及为其提供服务的方法
US14/226,230 US9942302B2 (en) 2013-03-26 2014-03-26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5305P 2013-03-26 2013-03-26
US61/805,305 2013-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48A KR20140117248A (ko) 2014-10-07
KR102057936B1 true KR102057936B1 (ko) 2019-12-23

Family

ID=5199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635A KR102057936B1 (ko) 2013-03-26 2013-09-17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73534A1 (it) * 2016-07-14 2018-01-14 Salvatore Carbone Dispositivo di generazione di un segnale mobile di pericolo (triangolo virtuale)
KR102441746B1 (ko) * 2017-12-22 2022-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1515A1 (en) 2009-11-27 2011-06-02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isplay system
US20120146918A1 (en) 2010-12-08 2012-06-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Vi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1515A1 (en) 2009-11-27 2011-06-02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isplay system
US20120146918A1 (en) 2010-12-08 2012-06-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Vi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48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3116B1 (en)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CN108139778B (zh) 便携式设备和便携式设备的屏幕显示方法
US102229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US9864504B2 (en) User Interface (UI)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touch-enabled device
CN103677618B (zh) 用于终端的文本识别设备和方法
KR102447438B1 (ko) 알림 장치 및 알림 장치가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
US86355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 device
JP2019220237A (ja) 文字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EP3011415B1 (en) Electronic-scribed input
US20130019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3287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by handwriting image recognition
KR20140112910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075047A (ko)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WO2013097129A1 (zh) 联系人搜索方法、装置及其应用的移动终端
US20140015780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terminal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90129517A1 (en) Remote control by way of sequences of keyboard codes
KR102057936B1 (ko)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602678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EP3002670B1 (en) Content se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
KR10144396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EP2806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data in electronic device
JP6099414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CN109597953A (zh) 页面展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