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16B1 -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16B1
KR102057916B1 KR1020190070653A KR20190070653A KR102057916B1 KR 102057916 B1 KR102057916 B1 KR 102057916B1 KR 1020190070653 A KR1020190070653 A KR 1020190070653A KR 20190070653 A KR20190070653 A KR 20190070653A KR 102057916 B1 KR102057916 B1 KR 10205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tag
nfc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7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NFC 리더기(210)의 NFC 커버리지에 의해 각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NFC 태그(124)가 들어오는지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NFC 태그(124) 인식에 따라 NFC 리더기(21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 중 인식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에 포함된 NFC 태그(120)로부터 태그 식별번호, 기울기 정보,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저장부(230)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제 1 메타데이터, 그리고 각 NFC 태그(120)의 태그 식별번호를 제 2 메타데이터로 하여 기울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별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신축시 주변 건물이나 옹벽, 지반 등에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안전을 진단할 수 있고, 플레이트 내에 NFC 태그를 삽입하여 플레이트의 변위, 변형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NFC 태그를 이용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모아빌 앱을 통해 변위, 변형 등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야장(field note)을 들고 다니면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과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기존의 야장 기입 방식을 전자 야장 기입으로 전환하여 현장계측 데이터 및 사진 위치 등을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변 구조물과 지반의 안정성 판단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SMART TILE PLAT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신축시 주변 건물이나 옹벽, 지반 등에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안전을 진단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신축시 또는 건물 철거시에는 주변 건물이나 옹벽, 지반 등에 틸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주변 구조물의 안전을 진단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을 몇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53169호는 수직 구조물의 기울기 감지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수직 구조물의 기울기 감지 장치로 지면에 위치된 기초(Foundation)의 절대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상기 기초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를 향해 연장된 수직 구조물의 내측 원주 방향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기초에서 바라보는 수직 구조물의 상대 기울기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상기 제 1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기초의 기울기 상태에 따른 지반의 이상 여부와, 상기 제 2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수직 구조물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반의 이상 유무 또는 상기 수직 구조물의 기울기가 설정 범위 이상으로 변동될 경우 이에 대한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 구조물의 기초에 대한 절대 기울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각자의 센서에 대한 별도로 변동사항을 확인할 뿐 각 센서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므로, 기울어짐 판단시에 센서의 성능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센서의 동작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시 정보를 예측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23943호는 진동/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안전성을 측정하고 판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존 시설물에 본 발명의 장치를 신규로 부착하거나, 본 발명의 장치를 미리 부착한 시설물을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고, 진동/기울기/지진 측정에 관한 초기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측정이 시작되어 실시간으로 진동/기울기/지진의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치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울리거나 스마트폰 등의 수신기기로 위험 신호를 전송하며,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시설물재난관리시스템 등으로 전송하여 시설물의 복구를 요청할 수 있고, 기존 배전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서 트립 출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가로등이나 신호제어 시설물, 모터제어 시설물, 태양광 발전 전원제어 시설물 등 전기적인 시설물에 대한 전원 공급 스위치를 차단하여, 시설물의 낙하 등 사고 발생 시 전기로 인한 2차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경고 알람의 클리어(Clear) 해제 버튼을 누르면 경고 알람이 해제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복합센서에 의한 시설물의 안정성을 분석하나, 각 센서에 의한 고유의 정보 값 간에 연동이 어려워 개별적인 분석에 따라 분석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준되는 정보 값에 대해서 정밀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점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36467호는 특정 공간(건물 내 독립된 사무실, 거주실, 지하실 등)에서 화재를 비롯한 재난발생을 신호 발생기가 감지함에 따라, 재난발생을 알리기 위한 재난상태 패킷을 생성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의 신호 범위에 있는 인접 사용자(구조자) 단말 및 관제 서버로 재난 신호를 전송하는 재난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09446호는 지진 발생시 감지된 지진감지 원천신호 내 포함된 잡음 신호를 효과적으로 필터 처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기울기 변동시 기울기 변경에 따른 보정을 자동 실시함으로써 신호감지 오류를 대폭 감소시키고 매우 안정적인 순수 지진감지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부정확한 지진감지 신호의 검출로 인한 지진경보 발령이 무분명하게 일어남을 최소화시키고,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인력 낭비 현상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 소개된 기술들은 기울기 측정 정보를 통해 재난 및 지진 등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에 해당하나 건축물을 생성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활용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53169호 "수직 구조물의 기울기 감지 장치 및 제어 방법(Method of vertical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detection and vertical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detection apparatu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23943호 "시설물 안전용 진동/기울기/지진 감지 장치(Device sensing vibration/angle/earthquake for safety of installation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36467호 "재난 감지 시스템(DISASTER DETECTION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09446호 "지진신호 감지 및 보정장치 및 그 구동 방법(Device for Sensing-correcting a Earthquake Signal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신축시 주변 건물이나 옹벽, 지반 등에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안전을 진단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 내에 NFC 태그를 삽입하여 플레이트의 변위, 변형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NFC 태그를 이용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모아빌 앱을 통해 변위, 변형 등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야장(field note)을 들고 다니면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과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야장 기입 방식을 전자 야장 기입으로 전환하여 현장계측 데이터 및 사진 위치 등을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변 구조물과 지반의 안정성 판단자료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NFC 리더기(210)의 NFC 커버리지에 의해 각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NFC 태그(124)가 들어오는지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NFC 태그(124) 인식에 따라 NFC 리더기(21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 중 인식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에 포함된 NFC 태그(120)로부터 태그 식별번호, 기울기 정보,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저장부(230)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제 1 메타데이터, 그리고 각 NFC 태그(120)의 태그 식별번호를 제 2 메타데이터로 하여 기울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별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인식된 NFC 태그(124)의 각 주기별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울기 정보가 이전 기울기 정보에 비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이상징후로 분석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NFC 태그(124)와 이웃하는 다른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2 기울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추출된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제 2 기울기 정보를,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1 태그 식별번호, 그리고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2 태그 식별번호를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5 단계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지정정보를 저장부(230)에서 추출한 뒤, 각 지정정보에 따른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제 1 및 제 2 기울기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위험 소구역과 안정 소구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은, 건물 신축시 주변 건물이나 옹벽, 지반 등에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안전을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은, 플레이트 내에 NFC 태그를 삽입하여 플레이트의 변위, 변형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NFC 태그를 이용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모아빌 앱을 통해 변위, 변형 등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야장(field note)을 들고 다니면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과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은, 기존의 야장 기입 방식을 전자 야장 기입으로 전환하여 현장계측 데이터 및 사진 위치 등을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변 구조물과 지반의 안정성 판단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에서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1)은 복수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본체(110), NFC 태그 모듈(120), MCU(130), 기울기 센서(140), 위치 센서(150),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NFC 태그 모듈(120)에 구비된 NFC 태그(124)의 동력 방식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기울기 센서(140) 및 위치 센서(150)는 플레이트 본체부(110)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110)는 원판형으로 돌출된 2개의 손잡이 내지 플레이트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부면으로 NFC 태그 모듈(120)이 탈착형으로 부착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의해 NFC 태깅을 통해 NFC 태그 모듈(120)에 구비된 NFC 태그(222)로부터 태그 식별번호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NFC 태그 모듈(120)은 도 6과 같이 에폭시 코팅층(121), 자성시트(122), 웨이브 실드층(123), NFC 태그(124)를 포함함으로써, 수동형, 반능동형 및 능동형 동력 기반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브 실드층(123)은 상부에 자성시트(122)가 놓여지며 전자파를 흡수하며, 자성시트(122) 및 웨이브 실드층(123)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에폭시 코팅층(121)을 포함하며, 그 하부에 NFC 태그(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코팅층(121)의 상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미리 정한 패턴을 따라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프린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화된 안테나 배선층, 패턴화된 배선층상에 형성된 무전해 금속 도금층, 그리고 배선층 및 무전해 금속 도금층으로 이루어진 배선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무전해 금속 도금층상에 추가로 형성된 금속 도금층이 도시되진 않았지만 추가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도 6과 같이 원판형의 플레이트 본체(110)에서 돌출된 2개의 손잡이 형태로 안테나 배선층, 무전해 금속 도금층, 금속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코팅층(121)은 외부에서 에폭시 코팅층(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NFC 태그(124)로 이물질 및 습기가 유입하지 않도록 에폭시 수지로 코팅된 층에 해당한다.
NFC 태그(124)는 저장된 태그 식별번호를 NFC 방식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NFC 통신 방식으로 예를 드나, 무선통신 방식을 위해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 비콘(beacon) 방식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은 RFID의 일종으로 10cm 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NFC 단말기 간 또는 NFC Tag와 NFC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결제, 잠금장치해제, 교통, 신분확인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등으로 형성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NFC 태그(124)를 인식할 수 있다.
MCU(130)는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 기울기 센서(140)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정보, 그리고 추가적으로 위치 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NFC 태그(124)에 구비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NFC 통신 커버리지에 속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울기 센서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울기 정보를 MCU(130)로 제공함으로써, MCU(130)에 의해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기울기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의해 NFC 리더기(210)에 의해 태그 식별번호 및 기울기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치 센서(150)는 GPS 수신장치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MCU(130)로 제공함으로써, MCU(130)에 의해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GPS 위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의해 NFC 리더기(210)에 의해 태그 식별번호 및 GPS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NFC 리더기(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송수신부(240) 및 입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플레이트 인식 모듈(221), 정보 수집 모듈(222), 정보 분석 모듈(223),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 및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인식 모듈(221)은 NFC 리더기(210)의 NFC 커버리지에 의해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NFC 태그(124)가 들어오는 경우, 정보 수집 모듈(222)로 통지를 수행한다.
정보 수집 모듈(222)은 NFC 리더기(21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틸트 플에이트(100) 각각의 NFC 태그(120)로부터 태그 식별번호, 기울기 정보,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저장부(230)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제 1 메타데이터, 그리고 각 NFC 태그(120)의 태그 식별번호를 제 2 메타데이터로 하여 기울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별로 저장할 수 있다.
정보 분석 모듈(223)은 각 NFC 태그(124)의 각 주기별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징후를 분석하여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NFC 태그(124)와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2 기울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제 2 기울기 정보를,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1 태그 식별번호, 그리고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2 태그 식별번호를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로 전달할 수 있다.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은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지정정보를 저장부(230)에서 추출한 뒤, 각 지정정보에 따른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제 1 및 제 2 기울기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은 제 1 태그 식별번호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가 동일한 지정정보로, 예컨대, 동일한 건물에서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지반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거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옹벽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 등인 경우, 제 1 기울기 정보 및 제 2 기울지 정보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뒤, 연산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거리 이상인 경우,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각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을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인 경우 안정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은 제 1 태그 식별번호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가 유사 지정정보로, 예컨대, 다른 건물에서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지반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거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옹벽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 등인 경우, 제 1 기울기 정보 및 제 2 기울지 정보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뒤, 연산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거리 이상인 경우(제 2 거리는 제 1 거리 보다 크게 설정),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각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을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인 경우 안정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에 의한 안정 소구역 및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된 경우, 입출력부(250)로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인 건물, 지역 등의 구역 정보를 2D 또는 3D 전자 맵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NFC 태그(120)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기울기 정보를 각 구역 정보에 오버랩핑하여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쉽게 구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수신된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제 1 내지 제 n 방위(n은 2 이상의 자연수)별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뒤 촬영되어 저장부(230)에 저장된 구역 촬영 정보 중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구역 촬영 정보를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제 1 내지 제 n 방위(n은 2 이상의 자연수)별 구역 촬영 정보를 활용하여 3D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3D 영상 정보에서 현재의 위험 소구역에 해당하는 구역의 기울기 정보를 활용하여 기울어짐을 표현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한 뒤, 입출력부(250)로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에 대한 3D 영상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NFC 태그(120)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기울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각 구역 정보에 오버랩핑하여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쉽게 구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3D 영상 정보를 생성시, 2D 영상 정보인 제 1 내지 제 n 방위(n은 2 이상의 자연수)별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뒤 촬영되어 저장부(230)에 저장된 구역 촬영 정보에 대한 m(m>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m(m>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에 대응하는 m(m>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m(m>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한 m(m>2)개의 초점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연산된 m(m>2)개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는 m(m>2)개의 깊이값을 연산하고, m(m>2)개의 깊이값에 따라 m(m>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m(m>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 중, 영시차(Zero Parallax) 영상 데이터와 양시차(Positive Parallax) 영상 데이터와 음시차(Negative Parallax)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양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확인된 양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시차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고, 확인된 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시차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 간에 픽셀이 겹쳐지는 수직방향의 중심 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설정된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 간에 높이와 넓이 외에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깊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각각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디코딩된 이미지에 대해서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깊이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인 3차원 형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생성된 폴리곤의 집합에 대한 텍스쳐맵핑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3D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은 제 1 태그 식별번호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가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된 경우,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NFC(122)의 기울기 정보로 제 1 기울기 정보와 수직 방향으로 이웃하는 NFC 태그(124)의 제 3 기울기 정보, 그리고 제 2 기울기 정보와 수직 방향으로 이웅하는 제 4 기울기 정보를 모두 저장부(230)로부터 추출 요청을 정보 분석 모듈(223)에 대해 수행하여 제 3 기울기 정보를 반환받은 뒤, 제 1 기울기 정보와 제 3 기울기 정보, 그리고 제 2 기울기 정보와 제 4 기울기 정보 간의 연속성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은 하나의 제 1 기울기 정보를 중심으로 상 및/또는 하에 위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기울기 정보 간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결과값을 도출하고, 제 2 기울기 정보를 중심으로 상 및/또는 하에 위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기울기 정보 간의 차이값을 연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후,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제 1 결과값 및 제 2 결과값 중 수평으로 병렬된 값 간에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차이가 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임계치 이상이 차이가 나는 경고 상술한 제 1 기울기 정보와 제 2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경과가 위험 소구역인 경우, 위험 대구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225)은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224)에 의한 안정 대구역으로 분석된 경우, 입출력부(250)로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 모두와, 제 3 및 제 4 태그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인 건물, 지역 등의 구역 정보를 2D 또는 3D 전자 맵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NFC 태그(120)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기울기 정보를 각 구역 정보에 오버랩핑하여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쉽게 구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3D 영상 정보로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NFC 리더기(210)의 NFC 커버리지에 의해 각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NFC 태그(124)가 들어오는지를 인식한다(S110).
단계(S110)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NFC 태그(124) 인식에 따라 NFC 리더기(21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 각각에 포함된 NFC 태그(120)로부터 태그 식별번호, 기울기 정보,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저장부(230)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제 1 메타데이터, 그리고 각 NFC 태그(120)의 태그 식별번호를 제 2 메타데이터로 하여 기울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별로 저장한다(S120).
단계(S120)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각 NFC 태그(124)의 각 주기별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징후를 분석하여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NFC 태그(124)와 이웃하는 다른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2 기울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제 2 기울기 정보를,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1 태그 식별번호, 그리고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2 태그 식별번호를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한다(S130).
단계(S130)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지정정보를 저장부(230)에서 추출한 뒤, 각 지정정보에 따른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제 1 및 제 2 기울기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위험 소구역과 안정 소구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 1 태그 식별번호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가 동일한 지정정보로, 예컨대, 동일한 건물에서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지반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거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옹벽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 등과 같이 동일한 구역에서 인접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경우, 제 1 기울기 정보 및 제 2 기울지 정보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뒤, 연산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거리 이상인 경우,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각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을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인 경우 안정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 1 태그 식별번호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가 유사 지정정보로, 예컨대, 다른 건물에서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지반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거나 동일 높이 중 이격된 옹벽에 NFC 태그(124)가 각각 설치되는 경우 등과 같이 다른 구역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2개 이상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경우, 제 1 기울기 정보 및 제 2 기울지 정보 간의 차이값을 연산한 뒤, 연산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 2 거리 이상인 경우(제 2 거리는 제 1 거리 보다 크게 설정),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각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을 위험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인 경우 안정 소구역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단계(S130)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입출력부(250)로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NFC 태그(124)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영역인 건물, 지역을 포함하는 구역 정보를 2D 또는 3D 전자 맵으로 출력한 상태에서 NFC 태그(120)를 구비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태그 식별번호와 함께 기울기 정보를 각 구역 정보에 오버랩핑하여 출력한다(S15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100 :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110 : 플레이트 본체 120 : NFC 태그 모듈
130 : MCU 140 : 기울기 센서
150 : 위치 센서 200 : 모바일 디바이스
210 : NFC 리더기 220 : 제어부
221 : 플레이트 인식 모듈 222 : 정보 수집 모듈
223 : 정보 분석 모듈 224 : 위험 소구역 예측 모듈
225 : 정보 전송 및 보고 모듈 230 : 저장부
240 : 송수신부 250 : 입출력부

Claims (5)

  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NFC 리더기(210)의 NFC 커버리지에 의해 각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의 NFC 태그(124)가 들어오는지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NFC 태그(124) 인식에 따라 NFC 리더기(21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 중 인식된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100)에 포함된 NFC 태그(120)로부터 태그 식별번호, 기울기 정보,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저장부(230)에 미리 설정된 주기를 제 1 메타데이터, 그리고 각 NFC 태그(120)의 태그 식별번호를 제 2 메타데이터로 하여 기울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별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인식된 NFC 태그(124)의 각 주기별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울기 정보가 이전 기울기 정보에 비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이상징후로 분석하는 제 3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NFC 태그(124)와 이웃하는 다른 NFC 태그(124)의 기울기 정보인 제 2 기울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추출된 제 1 기울기 정보, 그리고 제 2 기울기 정보를, 이상징후로 분석된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1 태그 식별번호, 그리고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태그(124)의 태그 식별번호인 제 2 태그 식별번호를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지정정보를 저장부(230)에서 추출한 뒤, 각 지정정보에 따른 제 1 및 제 2 태그 식별번호의 제 1 및 제 2 기울기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위험 소구역과 안정 소구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90070653A 2019-06-14 2019-06-14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KR10205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53A KR102057916B1 (ko) 2019-06-14 2019-06-14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53A KR102057916B1 (ko) 2019-06-14 2019-06-14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16B1 true KR102057916B1 (ko) 2019-12-20

Family

ID=6906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53A KR102057916B1 (ko) 2019-06-14 2019-06-14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251B1 (ko) * 2020-11-11 2021-06-30 탄탄안전 주식회사 영상처리기반 비접촉식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1963A (ko) 2021-02-25 2022-09-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표출기능을 갖는 초저전력 변형률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738B1 (ko) * 2017-02-10 2017-11-10 주식회사 이제이텍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738B1 (ko) * 2017-02-10 2017-11-10 주식회사 이제이텍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251B1 (ko) * 2020-11-11 2021-06-30 탄탄안전 주식회사 영상처리기반 비접촉식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1963A (ko) 2021-02-25 2022-09-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표출기능을 갖는 초저전력 변형률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7044B (zh) 一种矿井移动目标跟踪与定位方法
KR101689040B1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서버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57916B1 (ko)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US1134665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ositions on an object
CN102037501B (zh) 海啸警报系统和用于提供海啸警报的方法
KR102060045B1 (ko) 열분포 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장비 및 그 시스템
CN102401648A (zh) 一种关于高压输电线路杆塔倾斜的视频监测系统
KR101679597B1 (ko)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86243A (zh) 基于可见光成像技术的桥梁挠度监测系统
KR20170116610A (ko) 레이더와 반사체를 이용한 구조물 변형 감지 시스템
KR20180113399A (ko) 계측기 통합트리거링을 이용한 수리구조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02529A (ja) ハザード監視システム、およびハザード警報端末
CN102165331A (zh) 入射波种类判别装置、入射波种类判别方法、发送位置估计装置以及发送位置估计方法
CN108955775B (zh) 一种具有rdss功能的定位监测装置及方法
CN105933416A (zh) 一种基于地面埋入式无线传感器网络系统及监控方法
KR102407159B1 (ko) 건물 위험도 지도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진재난 건물위험도 지도제공 시스템
EP33292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round position changes
KR102276135B1 (ko) 재난 대응 관제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017925B1 (ko) Cctv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5428443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CN115755069A (zh) 一种轨道异物检测装置、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8613701A (zh) 一种大坝的远程监测系统及方法
KR20120139507A (ko) 실내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다중설치된 억세스 포인트를 통한 물체의 정확한 위치 인식 기능
JP2014170284A (ja) 移動物体監視システム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