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738B1 -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738B1
KR101796738B1 KR1020170018575A KR20170018575A KR101796738B1 KR 101796738 B1 KR101796738 B1 KR 101796738B1 KR 1020170018575 A KR1020170018575 A KR 1020170018575A KR 20170018575 A KR20170018575 A KR 20170018575A KR 101796738 B1 KR101796738 B1 KR 10179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maintenance
sensor
infra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문
남순성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제이텍
Priority to KR102017001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738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93 priority patent/WO20181475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교량, 터널, 지하 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인프라 구조물에 설치된 계측기 점검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현장에서 육안 검사를 통한 구조물의 손상이나 조치 사항 등을 관제 센터의 서버로 업로드함으로써 구조물의 유지 및 안전 관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리 대상 구조물의 특정 부재에 설치되며 부재의 거동에 따른 센싱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의 요청신호에 의해 식별정보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태그;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식별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해당 센서와 부재의 육안 검사에 대한 점검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송신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에 대하여 부재별 관리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며, 선택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송신하는 점검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Maintenanc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nfrastructure of measuring instrument using mobile app}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교량, 터널, 지하 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인프라 구조물에 설치된 계측기 점검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현장에서 육안 검사를 통한 구조물의 손상이나 조치 사항 등을 관제 센터의 서버로 업로드함으로써 구조물의 유지 및 안전 관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급격한 기상이변은 현 지구의 환경을 바꾸고 있으며, 기상이변의 요인으로 대홍수, 쓰나미, 지진, 태풍 등의 발생이 과거 대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최근 건설되는 교량, 터널, 지하 구조물 등은 보다 안전한 설계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경우 대규모 건설사고를 계기로 정부에서는 1995년에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시설안전관리공단을 설치하여 각종 사회기반 인프라 시설물과 민간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안전관리를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신규 건축 구조물은 물론 기존 건축구조물 역시 재앙 등의 사전 징후와 붕괴 가능성, 그 외 기타 안전 진단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 모니터링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유지 관리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종래에는 건축 구조물의 주요 부위에 대한 거동을 계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류를 장착하고, 원격지의 관제 센터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계측되는 센싱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축 구조물에 대한 변위 등을 확인하는 유지 및 안전 관리 솔루션들이 개발되었으나, 구조물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센서류는 점검 시 많은 장비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구조물의 특성상 매우 협소하며 접근하기 어렵고 위험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 관리자가 현장 점검이나 유지 보수 시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792호(2010.12.23.)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교량, 터널, 지하 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인프라 구조물에 대한 현장 점검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현장에서 육안 검사를 통한 구조물의 손상이나 조치 사항 등을 관제 센터의 서버로 업로드함으로써 구조물의 유지 및 안전 관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구조물의 특정 부재에 설치되며 부재의 거동에 따른 센싱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의 요청신호에 의해 식별정보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태그;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식별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해당 센서와 부재의 육안 검사에 대한 점검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송신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에 대하여 부재별 관리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며, 선택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송신하는 점검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 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이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통신 가능 범위에 인접한 무선 태그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요청신호를 해당 무선 태그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점검정보는, 표시되는 센싱정보의 이상 정보와 육안 검사에 따른 부재의 손상 정보와 현장 조치 내용 정보 및 향후 점검 계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의 각 부재별 정상 범위를 나타내는 기준 센싱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와 저장된 기준 센싱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센싱정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무선 태그는, 기설정된 시간별로 연결된 센서의 센싱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해당 부재의 장기 거동에 따른 센싱정보 이력을 리스트화 또는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은, 현장 관리자의 모바일 앱을 통하여 현장에서 육안 검사에 따른 점검 사항이나 조치 사항들을 입력하여 관제 센터에 업로드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 센터는 육안 검사를 위한 현장 방문을 하지 않고서도 현장의 이상 유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현장 관리자 역시 센서 등의 점검을 위하여 별도의 점검 장비를 소지하지 않고서도 점검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관리자의 편의성 향상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은 인프라 구조물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과거와는 달리 현장의 육안 검사에 따른 점검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App)의 표시 화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App)의 표시 화면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이하 '관리 시스템'이라 칭함)은, 모바일 앱을 통하여 교량, 터널, 지하 구조물과 같은 인프라 구조물에 대한 현장에서의 점검 사항이나, 보존 상태에 대한 사진 등을 수집하게 함으로써 인프라 구조물의 유지 관리나 안전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에 연결되어 센서(10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태그(200)와, 상기 무선 태그(200)를 인식하여 상기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300) 및 상기 관리자 단말(300)에서 입력되는 현장 점검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운영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100)는 관리 대상 구조물에 있어 거동을 계측할 수 있는 특정 부재에 설치되며 부재의 거동에 따른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00)는 관리 대상 구조물의 규모를 고려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계측 유형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100)는 변위계, 변형률계, 가속도계, 온도계, 풍향/풍속계, 경사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태그(200)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센서(100)에 연결되어 센서(10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의 요청 신호에 의해 상기 식별정보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선 태그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NFC(근거리 무선통신 ;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태그(200)의 식별정보는 해당 센서(100)가 설치된 위치정보, 센서의 일련번호, 센서의 재원정보, 센서의 명칭과 이미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입력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무선 태그(200)로부터 송신되는 식별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해당 센서(100)와 센서(100)가 설치된 부재의 육안 검사에 대한 현장 점검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운영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휴대 가능한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운영 서버(400)로부터 배포되는 특정 모바일 앱(App)을 사전에 다운로드하여 설치된 것일 수 있으며, 모바일 앱(App)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센싱정보의 표시하거나 현장 점검정보를 입력하는 등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App)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운영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입력된 현장 점검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무선 태그(200)가 NFC 태그로 구성될 경우 통신 가능 범위 즉 NFC 태그의 통신 범위인 약 10cm 이내로 인접하게 되면, NFC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NFC 태그를 인식하는 경우 설치된 모바일 앱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모바일 앱이 실행되는 경우 인식한 무선 태그(200)로 해당 센서의 센싱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자 단말(300)의 모바일 앱은 태그 인식부(310)와 정보 요청부(320), 입력부(330) 및 표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태그 인식부(310)는 통신 가능 범위에 인접한 무선 태그(200)를 인식하고, 인식한 무선 태그(200)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태그 인식부(310)는 인식된 무선 태그(200)에서 송신하는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태그 인식부(310)는 무선 태그의 종류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반의 통신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인식부(31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센서(100)가 둘 이상 인접할 경우 수신한 복수 센서의 식별정보를 모두 표시하도록 명령하되 하나의 센서(100)를 선택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요청부(320)는 상기 태그 인식부(310)에서 선택된 무선 태그(200)에 수집한 센싱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태그 인식부(310)를 통해 무선 태그(200)로부터 송신하는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30)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를 제공하여 표시되는 센싱정보의 이상 유무에 대한 내용은 물론 해당 부재에 대하여 크랙 등 육안 검사에 따른 부재의 손상 내용, 현장 조치 내용 정보 및 향후 점검 계획 내용 등 관리자의 현장 점검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앱의 입력부(30)를 통하여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제 센터에서 해당 부재의 실제 손상 정도와 조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340)는 모바일 앱(App)에서 처리되는 모든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현장 점검 시 모바일 앱(App) 을 실행한 경우 사용자의 인증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의 인식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그 인식부(310)에서 인식된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요청부(320)의 요청에 따라 무선 태그(200)로부터 수신한 센서의 센싱정보를 그래픽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재의 손상이나 조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 내역과 사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태그(200)는 기설정된 시간별로 연결된 센서(100)의 센싱정보를 수집 및 누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월단위 또는 주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간별 센싱정보는 해당 부재의 장기 거동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해당 부재의 장기 거동 확인을 위하여 상기 무선 태그(200)로부터 수신한 누적 센싱정보 이력을 가공하여 리스트화하여 표시하거나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모바일 앱(App) 화면을 통해 그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300)은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의 각 부재별 정상 범위를 나타내는 기준 센싱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선택된 센서(100)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와 저장된 기준 센싱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센싱정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부재의 이상 유무를 현장에서 즉시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400)는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에 대하여 부재별 관리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관리자 단말(300)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며, 선택된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송신하는 점검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복수로 분할된 저장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관리 대상 구조물별 또는 부재별 또는 위치별 등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각 저장공간에 관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400)는 현장에서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점검 정보를 통계화할 수 있으며 관제 센터 관리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적합한 통계화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 서버(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은 현장 관리자의 모바일 앱을 통하여 현장의 점검 사항 내지 조치 사항들을 입력하여 관제 센터에 업로드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제 센터에서 육안 검사를 위한 현장 방문이 불필요하며, 인프라 구조물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과거와는 달리 현장의 육안 검사에 따른 점검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센서 200 : 무선 태그
300 : 관리자 단말 310 : 태그 인식부
320 : 정보 요청부 330 : 입력부
340 : 표시부 350 : 카메라
400 : 운영 서버

Claims (6)

  1. 관리 대상 구조물의 특정 부재에 설치되며 부재의 거동에 따른 센싱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외부의 요청신호에 의해 식별정보와 수집된 센싱정보를 송신하는 무선 태그;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식별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표시되는 센싱정보의 이상 유무와 관리자의 육안을 통한 해당 센서의 외관상 이상 유무 및 부재의 손상 정보와 현장 조치 내용 정보 및 향후 점검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송신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에 대하여 부재별 관리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며, 선택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송신하는 점검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태그는,
    기설정된 시간별로 연결된 센서의 센싱정보를 수집 및 누적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해당 부재의 장기 거동에 따른 상태 확인 요청 시,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누적된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정보를 가공하여 해당 부재의 장기 거동에 따른 센싱정보 이력을 리스트화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이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통신 가능 범위에 인접한 무선 태그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요청신호를 해당 무선 태그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 대상 구조물의 각 부재별 정상 범위를 나타내는 기준 센싱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와 저장된 기준 센싱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센싱정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6. 삭제
KR1020170018575A 2017-02-10 2017-02-10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79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75A KR101796738B1 (ko) 2017-02-10 2017-02-10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PCT/KR2017/014993 WO2018147546A1 (ko) 2017-02-10 2017-12-19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75A KR101796738B1 (ko) 2017-02-10 2017-02-10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738B1 true KR101796738B1 (ko) 2017-11-10

Family

ID=6038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575A KR101796738B1 (ko) 2017-02-10 2017-02-10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738B1 (ko)
WO (1) WO20181475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16B1 (ko) * 2019-06-14 2019-12-2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45B1 (ko) * 2004-12-17 2007-07-13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산업기간 시설물의 정보관리시스템
KR101172260B1 (ko) * 2005-10-21 2012-08-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량/터널 안전상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480784B1 (ko) * 2013-03-27 2015-01-13 (주)웹솔루스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1629886B1 (ko) * 2014-08-29 2016-06-13 (주)한국플랜트관리 Nfc 기반의 산업시설물 측정 장치 운용 및 관리 시스템
KR20160043728A (ko) * 2014-10-14 2016-04-22 (주)호승이앤씨 모바일 앱을 이용한 휴대용 계측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계측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16B1 (ko) * 2019-06-14 2019-12-2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스마트 틸트 플레이트 시스템, 그리고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546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9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US202201557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machine learning
KR10200420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CN106249707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方法
KR101635904B1 (ko) 개선된 변위 계측 시스템이 구비된 면진 장치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면진 장치의 스마트 유지 관리 시스템
KR101985712B1 (ko) 머신 비전 기반의 비접촉방식의 계측기 정보 수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31605A (ko) 통합형 구조물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09849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055984B1 (ko) 도시가스 기반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스템 제어방법
CN110780347B (zh) 基于循环神经网络的地震破坏力预测装置及方法
KR101480784B1 (ko) 근거리무선통신〔nfc〕을 이용한 하천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CN116744357A (zh) 基站故障预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1095849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농촌 수리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45859B1 (ko)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KR101796738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계측기 유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US11119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non-intrusive monitoring of assets and entities
KR102150173B1 (ko)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276135B1 (ko) 재난 대응 관제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16162334A (ja) 設備点検システム
KR101635806B1 (ko) 대화 기능, 지능 기능 및 임무 기능의 다기능 계측모듈을 구비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491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5903B1 (ko)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소 격납고 실시간 원격 동작 관리
KR102036792B1 (ko) 업무안내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