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887B1 -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887B1
KR102057887B1 KR1020190042673A KR20190042673A KR102057887B1 KR 102057887 B1 KR102057887 B1 KR 102057887B1 KR 1020190042673 A KR1020190042673 A KR 1020190042673A KR 20190042673 A KR20190042673 A KR 20190042673A KR 102057887 B1 KR102057887 B1 KR 10205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ocking device
steam generator
temporary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흥
윤준석
강왕명
정석규
손병일
이장영
황주순
Original Assignee
삼진공작 주식회사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공작 주식회사,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진공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66F3/2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0Constructional features with positive brakes or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7Installation or removal of nuclear steam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 B66F2700/057Pistons, e.g. telescopic; Cylinders or sealing joints; Hydraulic travel-limiting devices or shock da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리프터 유닛을 통해 임시 인양설비를 원자로격납건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가 구비된 잠금장치로 리프터 유닛을 가압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을 통해 일 지점에 고정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구비된 베이스 붐; 상기 내부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 붐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붐; 상기 베이스 붐 상단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Lifter unit for steam generator temporary lifting device installation}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리프터 유닛을 통해 임시 인양설비를 원자로격납건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가 구비된 잠금장치로 리프터 유닛을 가압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는 발전에 필요한 증기발생기가 설치된다. 원자력 발전소 건설 시 증기발생기 설치는 폴라 크레인(Polar crane)의 트롤리(Trolly) 2대를 이용하여, 인양, 상하좌우 이동, 눕힘, 세움, 안착 등의 적절한 작업을 수행하여 설치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소 건설 시 폴라크레인 트롤리는 2대가 필요하지만 건설 완료 후 1대의 트롤리는 원자로격납건물 내부의 기기(원자로, 원자로냉각재펌프 등) 정비를 위해 철거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며, 다른 1대의 트롤리는 발전소 운전 중에 필요하지 않아 공간의 제약상 철거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소 내 원자로격납건물 내부에 설치된 증기발생기는 발전소 운전 기간 중 세관의 침식, 마모, 누설 및 변형 등으로 설계수명이 다하거나 초과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증기발생기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운영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 수명이 종료되어 폐로하는 경우에도 증기발생기를 안전하게 해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소 내 원자로격납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증기발생기를 교체 및 해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원자력 발전소 내부에서 증기발생기를 교체 및 해체하는 과정은 증기발생기는 설치하는 방법과 같이 증기발생기의 인양, 상하좌우 이동, 눕힘 등의 적절한 작업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증기발생기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설비가 요구된다.
원자로격납건물 내부 폴라크레인에는 철거되지 않은 1대의 트롤리가 설치되어 있지만, 1대의 트롤리를 통해서는 인양높이 제한과 인양용량 부족으로 증기발생기를 인양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인양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소 건설 시에는 원자로격납건물의 상부가 열려 있기 때문에 폴라 크레인의 트롤리 설치가 쉬웠으나, 원자력 발전소가 건설이 완료된 이후에는 원자로격납건물 외벽에 의해 원자로격납건물 상부가 닫히게 되어 원자로격납건물 상부를 통해서는 별도의 인양설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증기발생기를 교체 및 해체할 때는 원자로격납건물 내부를 통해 별도의 인양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이와 같은 인양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장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리프터 유닛을 통해 임시 인양설비를 원자로격납건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가 구비된 잠금장치로 리프터 유닛을 가압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프레임을 통해 일 지점에 고정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구비된 베이스 붐; 상기 내부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 붐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붐; 상기 베이스 붐 상단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제1붐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내부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붐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붐과, 상기 제1붐 상단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1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제1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잠금장치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며,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부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유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붐 상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설치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부는 상기 설치부재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는 상기 베이스 붐의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상기 제1붐과 상기 베이스 붐 내측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가이드 채널과 상기 베이스 붐 내측 사이에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패드가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베이스 붐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형상의 네 귀퉁이는 모따기 되어 모따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장치는 4개의 상기 모따기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4개의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는 공통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제1붐 상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붐 상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붐 하단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2붐 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붐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블록과 상기 스토퍼 돌기는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리프터 유닛을 통해 증기발생기를 인양하기 위한 임시 인양설비를 원자로격납건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가 구비된 잠금장치로 베이스 붐의 상단부에서 제1붐의 하단부를 가압하고, 제1붐 상단부에서 제2붐의 하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좌굴을 방지하면서 임시 인양설비를 거더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원자로격납건물 내부에서 증기발생기를 인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이스 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붐에 대하여 제1붐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과, 제1붐에 대하여 제2붐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유압 실린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블록과 스토퍼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을 통해 임시 인양설비를 한 쌍의 거더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리프터 유닛을 통해 임시 인양설비를 원자로격납건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가 구비된 잠금장치로 리프터 유닛을 가압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증기발생기(20) 인양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원자로격납건물(10) 내부 크레인에 설치되는 한 쌍의 거더(40) 상부에 임시 인양설비(50)를 설치한다. 이후, 임시 인양설비(50)에 증기발생기(20)를 연결하고, 임시 인양설비(50)를 통해 증기발생기(20)를 이송부(30)로 인양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소 건설 시에는 원자로격납건물의 상부가 열려 있기 때문에 증기발생기(20)를 인양하기 위한 폴라 크레인의 트롤리 설치가 쉬웠으나, 원자력 발전소가 건설이 완료된 이후에는 원자로격납건물(10) 외벽에 의해 원자로격납건물(10) 상부가 닫히게 되어 원자로격납건물(10) 상부를 통해서는 별도의 인양설비를 설치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원자로격납건물(10) 내부 크레인에 설치되는 거더(40)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임시 인양설비(50)를 설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100)은 복수 개의 붐을 통해 임시 인양설비(50)를 거더(4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거더(40)의 상부에 임시 인양설비(5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베이스 붐(120), 제1붐(130), 잠금장치(15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붐(120)은 프레임(110)을 통해 일 지점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21)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110)은 타워 프레임일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은 원자로격납건물(10)의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플랫폼(111)이나 사다리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는 사다리를 통해 플랫폼(111)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110)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붐(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붐(120)은 상기 프레임(110)을 통해 원자로격납건물(10)의 바닥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원자로격납건물(10)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며, 상기 프레임(11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붐(120)을 고정 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지점에 상기 프레임(11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붐(120)은 내부에 내부공간(121)이 구비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붐으로, 상기 내부공간(121)에는 후술할 상기 제1붐(130)이 끼워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붐(130)은 상기 내부공간(121)에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상기 제1붐(130) 이외에도 복수 개의 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붐(130)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1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부공간(131)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붐(130)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2붐(140)이 구비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2붐(140)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3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4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서 붐이 구비되는 개수는, 원자로격납건물(10) 내부에서 임시 인양설비(50)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붐(130)과 상기 제2붐(140)이 구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붐(12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형상의 네 귀퉁이는 모따기 되어 모따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붐(12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에 상기 모따기부(122)가 형성됨에 따라 팔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붐(130) 및 상기 제2붐(140)도 상기 베이스 붐(120)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붐(130) 및 상기 제2붐(14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형상의 네 귀퉁이가 모따기 되어 제1모따기부(133) 및 제2모따기부(142)가 형성되면서 팔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붐(130) 및 상기 제2붐(140) 이외에 복수 개의 다른 붐이 더 구비될 때도, 복수 개의 다른 붐도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붐의 모따기부는 후술할 상기 잠금장치(150)가 장착되면서 붐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지점이 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의 네 귀퉁이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면서 모따기부를 통해 힘을 가함에 따라 네 귀퉁이서 균등하게 힘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붐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상기 제1붐(13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 채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170)은 상기 베이스 붐(120)의 내부공간(121)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붐(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1붐(13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붐(130)과 상기 베이스 붐(120) 사이에 일부 이격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격공간에 의해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할 때 흔들리게 될 위험이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170)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붐(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1붐(13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채널(170)은 상기 제1붐(130)의 상기 제1모따기부(133)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붐(130)이 상기 가이드 채널(170)을 통해 지지됨에 따라 흔들림 없이 상기 제1붐(130)이 상승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채널(17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패드(17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170)이 상기 제1붐(13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 채널(170)을 통해 상기 제1붐(130)을 지지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 채널(17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상기 슬라이드 패드(171)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이드 채널(170)과 상기 베이스 붐(120) 내측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패드(171)는 상기 베이스 붐(12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장력 황동 주물 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붐(130)의 내측과 상기 제2붐(140) 사이에는 상기 제1붐(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 채널(2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 채널(270)과 상기 제1붐(130) 내측 사이에는 판 형상의 제1슬라이드 패드(27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 채널(270)과 상기 제1슬라이드 패드(271)는 상술한 상기 가이드 채널(170)과 상기 슬라이드 패드(171)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붐(130)과 상기 제2붐(140) 이외에도 다른 붐이 구비된다면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가이드 채널과 슬라이드 패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베이스 붐(120) 상단부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베이스 붐(1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붐(130)은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되면 늘어난 붐의 길이에 의해 좌굴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붐(130)이 상기 베이스 붐(12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늘어날 때, 상기 베이스 붐(12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붐(130)의 하부를 가압하여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에서 모따기된 4개의 상기 모따기부(122)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모따기부(122)에 4개의 상기 잠금장치(150)를 장착함에 따라 균등하게 상기 제1붐(130) 하단부에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잠금장치(150)의 장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장치(150)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며,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부(151)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유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로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로드부(152)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의 유압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로드부(152)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는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유로(151a,151b)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유로(151a)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b)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유로(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51a)에서 유체가 공급되고 상기 제2유로(151b)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로드부(152)는 전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유로(151a)에서 유체가 배출되고 상기 제2유로(151b)에서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로드부(152)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장치(150)는 설치부재(16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붐(120)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부재(160)는 내부에 관통공(161)이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 붐(120)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설치부재(160)는 용접을 통해 상기 베이스 붐(120)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 붐(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설치부재(16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상기 설치부재(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50)가 상기 설치부재(160)에 결합될 때,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로드부(152)는 상기 설치부재(160)의 상기 관통공(161)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152)는 상기 설치부재(160)의 상기 관통공(161)을 통과하면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부재(160)는 상기 베이스 붐(120)을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161)은 상기 베이스 붐(120)의 외측과 내측을 연통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로 상기 로드부(152)를 전진시키면, 상기 로드부(152)는 상기 관통공(161)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붐(120) 내부까지 이동된다.
상기 베이스 붐(120)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채널(1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부(152)는 상기 가이드 채널(170)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다만, 상기 로드부(152)가 상기 가이드 채널(170)을 통해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로드부(152)가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베이스 붐(120) 상단부 이외에도, 상기 제1붐(130)의 상단부에도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붐(130) 상단부의 외측에는 제1잠금장치(2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제2붐(140)이 상기 제1붐(13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했을 때, 붐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제1붐(1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잠금장치(25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2붐(14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좌굴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제1붐(130)의 상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1설치부재(260)를 통해 상기 제1붐(130)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잠금장치(15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잠금장치(250)의 장착 및 작동 방법은, 상기 잠금장치(150)에 대한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베이스 붐(120)이 상기 제1붐(130)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제1붐(130)이 상기 제2붐(14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복수 개의 붐이 더 구비된다면, 상기 잠금장치(150), 상기 제1잠금장치(250)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잠금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상술한 상기 잠금장치(15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스토퍼 블록(132)과 스토퍼 돌기(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132)은 상기 제1붐(130) 상단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붐(130) 상단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붐(140)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돌기(141)는 상기 제2붐(140) 하단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붐(140) 하단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붐(13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 블록(132)과 상기 스토퍼 돌기(141)는 상기 제2붐(140)이 상기 제1붐(130)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2붐(140)이 상기 제1붐(130)에 대하여 상부로 계속해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제2붐(140)이 상기 제1붐(130)을 통해 지지되지 못하거나 빠지게 될 위험이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132)과 상기 스토퍼 돌기(141)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붐(140)이 상기 제1붐(130)에 대하여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붐(140) 외측에 구비된 상기 스토퍼 돌기(141)가 상기 제1붐(13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스토퍼 블록(132)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2붐(140)의 상부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스토퍼 블록(132)과 상기 스토퍼 돌기(141)는 상기 제1붐(130) 상단부의 내측과 상기 제2붐(140) 하단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베이스 붐(120)의 상단부 내측과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작동방법에서는 상기 베이스 붐(120)-상기 제1붐(130)-상기 제2붐(140)으로 구성된 리프터 유닛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상기 베이스 붐(120)의 상단부 및 상기 제1붐(130)의 상단부에 상기 잠금장치(150) 및 상기 제1잠금장치(250)가 2단 장착된 리프터 유닛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에 임시 인양설비(50)를 결합하고, 상기 제2붐(140)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임시 인양설비(50)는 상기 제2붐(14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임시 인양설비(50)는 리프터 유닛(100)을 통해 한 쌍의 거더(40) 사이를 통과하여 거더(40) 상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임시 인양설비(50)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이 상기 제2붐(1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은 마름모꼴 형상으로 접히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펴질 수 있는 것으로, 한 쌍의 거더(40) 사이를 통과하기 위해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접히게 된다. 이후,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이 한 쌍의 거더(40) 사이를 통과하면, 다시 직사각형 형상으로 펴지면서 한 쌍의 거더(4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은 상기 제2붐(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이 접힌 상태라도 상기 하부 구조물과 한 쌍의 거더(40) 사이의 공간이 좁기 때문에, 상기 하부 구조물과 한 쌍의 거더(40) 사이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은 상기 제2붐(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을 접은 이후에는 상기 제2붐(140)을 상승시킨다. 상기 제2붐(140)을 상승시킨 이후에는, 상기 제1잠금장치(250)를 통해 상기 제2붐(13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붐의 좌굴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잠금장치(250)가 없다면, 상기 제2붐(140)을 상승시켰을 때, 좌굴에 의해 상기 제2붐(140)의 상부가 직립하지 못하고 이격이 발생하거나 정확한 위치에 고정 및 구속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제1잠금장치(250)가 장착되면, 상기 제1잠금장치(250)를 통해 상기 제2붐(14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좌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제1붐(13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붐(130)의 4개의 상기 제1모따기부(133)에 4개의 상기 제1잠금장치(250)가 장착된다. 4개의 상기 제1잠금장치(250)의 유압 실린더부를 통해 로드부를 전진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제2붐(140)의 하부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붐(140)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1잠금장치(250)를 통해 상기 제2붐(140) 하단부를 가압한 이후에는 상기 제1붐(130)을 상승시키면서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을 한 쌍의 거더(40) 사이로 통과시킨다.
상기 제1붐(130)을 상승시킨 이후에는, 상기 잠금장치(150)를 통해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붐(130)의 좌굴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150)는 상기 베이스 붐(120) 상단부의 모따기부(122)에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는 공통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상호 동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개의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가 공통배관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라 4개의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에는 유압이 동시에 들어가고 빠지게 되는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181)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81)를 통해서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유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2)를 통해서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81)와 상기 제어부(182)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유압을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2)는 솔레노이드 벨브, 파일럿 체크 벨브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정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2)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정압으로 형성하고, 4개의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를 공통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서로 동조시키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붐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붐(130)의 상승에 의해 횡방향으로 일정한 정압 이상의 힘이 발생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의 상호 동조에 의해 힘을 받는 측의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로드부(152)가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 실린더부(151) 내부에 형성된 정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후진한 상기 잠금장치(150) 맞은편의 상기 잠금장치(150)의 상기 로드부(152)가 자동적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방법을 통해 붐에는 동일한 압력만 작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잠금장치(15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기능을 하며, 상기 제1잠금장치(250)는 상기 잠금장치(150)와 동일하게 작동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잠금장치(150)와 같이 4개의 상기 제1잠금장치(250)의 유압 실린더부도 공통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상호 동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잠금장치(250)의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제어하는 센서부와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작동방법을 설명하였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베이스 붐(120)-상기 제1붐(130)-상기 제2붐(140)으로 구성된 리프터 유닛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붐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붐의 개수가 변경될 경우에 상기 임시 인양설비(50)의 하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지점은 마지막으로 연장되면서 최상단에 있는 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의 작동방법에서는 상기 제2붐(140)이 먼저 상승하고, 상기 제1붐(130)이 상승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령, 상기 제1붐(130)이 먼저 상승한 이후 상기 잠금장치(150)로 상기 제1붐(130)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이후 상기 제2붐(140)을 상승시켜 상기 제1잠금장치(250)로 상기 제2부(140)의 하단부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유압 실린더가 구비된 잠금장치로 베이스 붐의 상단부에서 제1붐의 하단부를 가압하고, 제1붐의 상단부에서 제2붐의 하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좌굴을 방지하면서 임시 인양설비를 거더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서로 공조되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와 제어부를 사용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붐을 고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은 제2붐을 상승시키고 제1잠금장치로 고정 시킨 이후, 제1붐을 상승시켜 잠금장치로 고정 시킴에 따라 리프터 유닛의 운전 중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110...프레임 111...플랫폼
120...베이스 붐 121...내부공간
122...모따기부 130...제1붐
131...제1내부공간 132...스토퍼 블록
133...제1모따기부 140...제2붐
141...스토퍼 돌기 142...제2모따기부
150...잠금장치 151...유압 실린더부
151a...제1유로 151b...제2유로
152...로드부 160...설치부재
161...관통공 170...가이드 채널
171...슬라이드 패드 181...센서부
182...제어부 250...제1잠금장치
260...제1설치부재 270...제1가이드 채널
271...제1슬라이드 패드

Claims (10)

  1. 증기발생기를 인양하기 위한 임시 인양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리프터 유닛에 있어서,
    프레임을 통해 일 지점에 고정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구비된 베이스 붐;
    상기 내부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 붐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붐;
    상기 베이스 붐 상단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베이스 붐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 형상의 네 귀퉁이는 모따기 되어 모따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장치는 4개의 상기 모따기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2. 제1항에 있이서,
    상기 제1붐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내부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붐에 대하여 상,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붐과,
    상기 제1붐 상단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1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제1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며,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부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유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붐 상단부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설치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로드부는 상기 설치부재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붐의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상기 제1붐과 상기 베이스 붐 내측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채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과 상기 베이스 붐 내측 사이에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패드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4개의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는 공통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와, 상기 유압 실린더부 내부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붐 상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붐 상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붐 하단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2붐 하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붐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블록과 상기 스토퍼 돌기는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KR1020190042673A 2019-04-11 2019-04-11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KR10205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73A KR102057887B1 (ko) 2019-04-11 2019-04-11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73A KR102057887B1 (ko) 2019-04-11 2019-04-11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887B1 true KR102057887B1 (ko) 2019-12-20

Family

ID=6906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73A KR102057887B1 (ko) 2019-04-11 2019-04-11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0U (ko) * 2019-12-24 2021-07-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의 쉘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079A (ja) * 2000-05-09 2001-11-13 Takenaka Komuten Co Ltd タワークレーン
KR101168079B1 (ko) * 2010-11-03 2012-07-24 주식회사 에버다임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079A (ja) * 2000-05-09 2001-11-13 Takenaka Komuten Co Ltd タワークレーン
KR101168079B1 (ko) * 2010-11-03 2012-07-24 주식회사 에버다임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0U (ko) * 2019-12-24 2021-07-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의 쉘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KR200494188Y1 (ko) * 2019-12-24 2021-08-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의 쉘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901B2 (en) Jacking system
EP2520380B1 (en) Forming apparatus
JP2007320690A (ja) 重量物昇降装置及び重量物昇降システム
CN103205940A (zh) 连续梁桥变坡比例交替顶升施工方法
KR102057887B1 (ko)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 설치를 위한 리프터 유닛
CN107059829B (zh) 一种连续升降的液压插销升降装置和自升式海洋平台
KR101050579B1 (ko) 형강 파일 인발기
US20070175850A1 (en) Telescopable sliding beam
CN103967284B (zh) 预留柱头对接的钢柱安装方法
ITPD980029A1 (it) Sollevatore da officina per veicoli
CN210710625U (zh) 一种带有安全保护装置的施工升降机
CN210288350U (zh) 一种用于smw工法桩的型钢定位装置
KR102010480B1 (ko) 증기발생기 임시 인양설비를 위한 폴딩 시스템
KR102045022B1 (ko)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AU753116B2 (en) Automatic leveling and synchronization system for counterweight removal and installation
CN109487789A (zh) 海洋打桩船桩架多缸自平衡升降系统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CN212582445U (zh) 一种新型三维步履式顶推设备
CN104973533B (zh) 一种三维千斤顶
CN205475169U (zh) 海洋平台桁架式重载快速升降系统
ITMI982217A1 (it) Sistema volumetrico di azionamento per ponti sollevatori di veicoli.
CN209368696U (zh) 一种桥梁预应力管束定位网焊接工作台
CN106592557A (zh) 连续型液压插销升降装置
CN102588364A (zh) 一种液压同步独立控制装置、同步液压系统及起重机
CN207210966U (zh) 一种桥梁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