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282B1 -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 Google Patents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282B1
KR102057282B1 KR1020170172930A KR20170172930A KR102057282B1 KR 102057282 B1 KR102057282 B1 KR 102057282B1 KR 1020170172930 A KR1020170172930 A KR 1020170172930A KR 20170172930 A KR20170172930 A KR 20170172930A KR 102057282 B1 KR102057282 B1 KR 10205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lug
outside
vacuu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966A (ko
Inventor
이선해
박성출
Original Assignee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2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트캡 및 포트를 보호하고, 내관에 발생된 클랙에 의하여 배관 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며, 내관이 파열된 것으로 외부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고자 한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120)에 관통,형성되어, 내,외관(130)(120) 사이에 형성된 진공공간부(140)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포트바디(310), 포트바디(310) 내부의 상부면에 삽입,고정되어, 플러그(350)를 보호하며, 통기공(321)이 형성되어 압력이 형성된 액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트캡(320). 플러그(350)의 상면과 포트캡(3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포트캡(320) 또는 포트바디(3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탄성,복원력으로 완충시키는 안전스프링(340), 포트바디(310)의 내부저면에 삽입,고정되어, 진공공간부(140)를 외부와 밀봉하는 플러그(3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35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포트캡(320)에 상,하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포지션핀(330)이 더 구비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SAFETY PORT FOR VACUUM INSULATE PIPE}
본 발명은 진공단열배관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초저온 저장기기로부터 초저온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진공단열배관에 설치된 포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포트를 보호하고, 배관 내부에서의 클랙 발생 시, 배관 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여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육안으로 배관 내부에 클랙이 발생된 것을 식별할 수 있는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종래 이중관 구조를 갖는 진공단열배관 및 진공포트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종래의 진공단열배관은 초저온 저장용기로부터 초저온 액화가스를 사용하는 장비 또는 저장기기로 초저온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산업현장 또는 연구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주 사용처는 반도체 제족송장, 식품동결장치, 포장용 액화질소 주입장치, 우주항공 산업의 추진용 액체산화제, 의료용 초저온 이송라인 등에 사용되는데, 외부의 열침입으로 인한, 액화가스의 증발로 발생되는 손실을 방지하고 장비 및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단열배관(100)은 내관(130) 및 외관(120)의 이중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외관(130)(120)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공간부(140)가 형성되며, 외관(120)에는 진공포트(110)가 형성되어 있고, 진공포트(110)에 배기밸브를 설치하여 진공공간부(140)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공간부(140)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진공포트에 배기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진공포트에서 배기밸브가 진공포트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 진공포트에서 배기밸브가 진공포트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200)는 진공포트(110)의 내측으로 삽입관(240)을 삽입하여, 진공포트(110)와 배기밸브(200)를 결합한다. 이 때, 플러그(111)는 배기밸브(200)의 스템(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포트(110)와 일정한 사이를 두고 이격되어 있어 진공포트(110)는 외기와 연통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배기밸브(200)의 흡입구(210)에 연결된 진공펌프(도시를 생략함)를 구동하여 진공공간부(140) 내의 기체를 배기함으로써, 진공공간부(140)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며, 진공펌프의 구동으로 진공상태에 도달하면, 배기밸브(200)의 손잡이(220)를 이용하여 스템(230)에 결합되어 있던, 플러그(111)를 진공포트(110)에 끼워 넣어, 진공공간부(140)를 외기와 차단되도록 밀봉한다.
도 5는 종래 진공포트에 포트캡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포트(110)에 플러그(111)를 삽입하여, 진공공간부(140)를 외기와 차단한 후, 진공포트(110)에 포트캡(112)을 설치하여, 진공포트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진공포트는 외부충격에 의하여 포트캡이 분리되거나, 내관에 클랙이 발생되면, 배관 내의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래의 선행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고 등록을 받은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의 점검장치'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6621호(2015.07.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단열배관의 포트에 안전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 포트캡 및 포트를 보호하고,
포트캡에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내관에 발생된 클랙에 의하여 배관 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러그에 포지션핀을 형성하여 내관이 파열된 것으로 외부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는, 외관에 관통,형성되어, 내,외관 사이에 형성된 진공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포트바디, 포트바디 내부의 상부면에 삽입,고정되어, 플러그를 보호하며, 통기공이 형성되어 압력이 형성된 액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트캡. 플러그의 상면과 포트캡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포트캡 또는 포트바디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탄성,복원력으로 완충시키는 안전스프링, 포트바디의 내부저면에 삽입,고정되어, 진공공간부를 외부와 밀봉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에 일측단부가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포트캡에 상,하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포지션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트바디의 내주면에는 배기밸브의 삽입관과 포트바디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2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외관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 포트캡 및 포트를 보호하고, 내관에 발생된 클랙에 의하여 배관 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관이 파열된 것을 외부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 이중관 구조를 갖는 진공단열배관 및 진공포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종래 진공포트에 배기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진공포트에서 배기밸브가 진공포트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진공포트에서 배기밸브가 진공포트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진공포트에 포트캡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안전포트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안전포트의 밀봉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안전포트의 개방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안전포트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안전포트의 밀봉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안전포트의 개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배관용 안전포트(300)는 포트바디(310), 포트캡(320), 포지션핀(330), 안전스프링(340), 플러그(350)로 대별된다.
포트바디(310)는 외관(120. 종래의 도면 참조)에 관통,형성되어 있어, 내,외관(130)(120) 사이에 형성된 진공공간부(140)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배기밸브(200)의 삽입관(240)이 중공형상의 포트바디(310)에 삽입,결합되어, 진공공간부(140) 내부의 기체를 진공펌프(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배기시킴으로써, 진공공간부(140)의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밸브와 진공펌프는 진공밸로즈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포트바디(310)의 내주면에는 제2오링(311)이 구비되어 있어, 배기밸브(200)의 삽입관(240)과 포트바디(310)의 사이를 밀봉시키는 기능을 한다.
포트캡(320)은 배기밸브 및 진공펌프에 의하여 진공배기가 이루어진 다음에 포트바디(310) 내부의 상부면에 삽입,고정되어, 후술하는 플러그(350)를 보호하며, 포트캡(32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기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321)은 후술하는 플러그(350)가 내관(130)의 클랙에 의한 초저온 액화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 포트바디(310)와 외관(120) 사이가 개방될 때, 압력이 형성된 액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관에 발생된 클랙에 의하여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포지션핀(330)은 후술하는 플러그(35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단부는 포트캡(320)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러그(350)가 내관(130)의 클랙에 의한 초저온 액화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밀려 올라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션핀(330)은 포트캡(320)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지션핀(330)이 포트캡(320)의 외부로 돌출되었다는 것은 내관이 파열되었다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배관이 설치된 외부에서 내관이 파열된 것을 육안으로 즉시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전스프링(340)은 후술하는 플러그(350)의 상면과 포트캡(3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포트캡(320) 또는 포트바디(3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안전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으로 완충시켜, 포트캡(320) 또는 포트바디(3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플러그(350)는 포트바디(310)의 내부저면에 삽입,고정되어, 진공공간부(140)를 외부와 밀봉시킨다.
상기 플러그(350)의 외주연에는 제1오링(351)이 형성되어 있어, 포트바디(310)와 플러그(350) 사이를 밀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과 같이 내관이 파열되어 압력이 상승되면, 플러그(350)가 밀려 올라와 진공공간부(140)를 외기와 연통시켜 압력이 형성된 액화가스를 통기공(321)을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평상 시에는 진공공간부(140)를 외기와 밀봉하고 있는 플러그(350)가 충격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내관에 균열이 생겨서, 진공공간부(140)의 압력이 상승하면, 플러그(350)가 포트바디(310)의 내면을 따라 상승하여, 포지션핀(330)을 포트캡(320)의 외부로 돌출시키면서, 압력이 형성된 액화가스를 통기공(321)을 통하여 포트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배관이 설치된 외부에서 내관이 파열된 것을 육안으로 즉시 식별할 수 있게 되면서,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140) 내부의 기체를 진공펌프에 의하여 배기시킬 때, 내,외관(130)(120)을 히터 등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배기가 원활하게 수행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전포트는 충전위치에 따라서 배관이 움직이는 로딩암의 배관에 적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 포트캡 및 포트를 보호하고, 내관에 발생된 클랙에 의하여 배관 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배관이 전체적으로 균열이 일어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관이 파열된 것을 외부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00:인전포트 310:포트바디
311:제2오링 320:포트캡
321:통기공 330:포지션핀
340:안전스프링 350:플러그
351:제1오링

Claims (4)

  1. 외관(120)에 관통,형성되어, 내,외관(130)(120) 사이에 형성된 진공공간부(140)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포트바디(310),
    포트바디(310) 내부의 상부면에 삽입,고정되어, 플러그(350)를 보호하며, 통기공(321)이 형성되어 압력이 형성된 액화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트캡(320).
    플러그(350)의 상면과 포트캡(3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포트캡(320) 또는 포트바디(3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탄성,복원력으로 완충시키는 안전스프링(340),
    포트바디(310)의 내부저면에 삽입,고정되어, 진공공간부(140)를 외부와 밀봉하는 플러그(35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러그(350)에 일측단부가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포트캡(320)에 상,하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포지션핀(3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포트바디(310)의 내주면에는 배기밸브(200)의 삽입관(240)과 포트바디(310)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2오링(311)이 구비되며,
    상기 내,외관(130)(12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더 구비되되;
    플러그(350)의 외주연에는 제1오링(351)이 형성되어, 포트바디(310)와 플러그(350) 사이를 밀봉하고,
    포지션핀(330)은, 플러그(350)가 내관(130)의 클랙에 의한 초저온 액화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밀려 올라오면, 포트캡(32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배관이 설치된 외부에서 내관이 파열된 것을 육안으로 즉시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72930A 2017-12-15 2017-12-15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KR10205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30A KR102057282B1 (ko) 2017-12-15 2017-12-15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30A KR102057282B1 (ko) 2017-12-15 2017-12-15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66A KR20190071966A (ko) 2019-06-25
KR102057282B1 true KR102057282B1 (ko) 2019-12-18

Family

ID=6706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30A KR102057282B1 (ko) 2017-12-15 2017-12-15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17B1 (ko) * 2020-06-01 2021-05-03 (주)다다코리아 진공단열배관의 씰오프밸브 오퍼레이팅장치
KR102356518B1 (ko) * 2020-11-03 2022-02-07 이충열 진공안전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668A (ja) * 1999-01-25 2000-08-02 Benkan Corp 密閉構造体の封止バルブ
JP2010261556A (ja) * 2009-05-11 2010-11-18 Bridgestone Corp 安全弁及びコンプレッ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21B1 (ko) 2014-07-31 2015-07-14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의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668A (ja) * 1999-01-25 2000-08-02 Benkan Corp 密閉構造体の封止バルブ
JP2010261556A (ja) * 2009-05-11 2010-11-18 Bridgestone Corp 安全弁及び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66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282B1 (ko) 진공단열배관용 안전포트
CN107002946B (zh) 用于液化气瓶的接头和填充方法
JP6728466B2 (ja) ガス容器の安全バルブ
CN205979157U (zh) 一种化工用防爆型真空储罐
JP5539232B2 (ja) ガス充填及び分配装置,及び充填方法
CN207454847U (zh) 一种用于高压气瓶的安全泄压装置
MX2019009296A (es) Cierre de barril con sistema de ventilacion integrado.
JP2013249073A (ja) エアゾール容器
JP2024503590A (ja) 緊急解放結合デバイス
US10591083B2 (en) Valve actuating device with opening reduced speed
US9366350B2 (en) Pressure regulator of gas cylinder
CN203604743U (zh) 飞机机舱内部用阀
KR100920666B1 (ko) 파이로 밸브
CN211145382U (zh) 一种低温储罐内置式紧急切断阀
US20110225963A1 (en) Actuator for gas-operated emergency opening of an openable element of an aircraft, having means for venting the gas
KR101756437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가스통
CN207471113U (zh) Lng槽车及其低温储罐
CN101216145B (zh) 耐火气控防爆炸煤气罐
CN104235596B (zh) 高压气体储存装置
TWM537077U (zh) 兼具自動及手動洩壓之閥的密閉容器
CN109780415A (zh) Lng槽车及其低温储罐
CN215522872U (zh) 一种lng工业天然气加气装置
CN204042411U (zh) 高压气体储存装置
CN209102353U (zh) 一种可视低温试验装置
CN203671237U (zh) 低温液化气运输车及放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