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004B1 - 진공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004B1
KR102057004B1 KR1020190054872A KR20190054872A KR102057004B1 KR 102057004 B1 KR102057004 B1 KR 102057004B1 KR 1020190054872 A KR1020190054872 A KR 1020190054872A KR 20190054872 A KR20190054872 A KR 20190054872A KR 102057004 B1 KR102057004 B1 KR 10205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s
chamber
cover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래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래에프엔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래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9005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6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ir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대상물을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진공포장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 포장장치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3챔버(11)(12)(13)를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3챔버(11)(12)(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커버(21)(22)(23)와; 제1,2,3챔버(11)(12)(13)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제1,2,3히터단턱(31)(32)(33)과; 제1,2,3커버(21)(22)(2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3커버(21)(22)(23)가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하였을 때 제1,2,3히터단턱(31)(32)(33)을 가압하는 제1,2,3가압단(41)(42)(43)과; 제1,2,3챔버(11)(12)(13)에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형성부(50)와; 제1,2,3챔버(11)(12)(13)의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포장장치{VACUUM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대상물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진공포장할 수 있는 진공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포장장치란 육류 식품나 어류 식품등의 포장대상물을 장기 보관 및 유통시키기 위하여, 비닐팩 내부로 포장대상물을 수용한 후 잔류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가 되게 하고, 비닐팩 입구를 열융착함으로써 진공포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포장장치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이 수용되는 챔버가 설치된 본체와,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비닐팩의 입구가 거치되는 히터단턱과, 본체에 대하여 회동되면서 챔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와, 커버에 설치되어 그 커버가 챔버를 폐쇄할 때 히터단턱에 거치된 비닐팩의 입구를 가압하는 가압단과, 챔버로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진공 포장장치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의 입구를 히터단턱에 거치되게 한 상태에서 챔버에 안착시키고, 커버를 회동시켜 챔버를 폐쇄한 후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챔버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게 하고, 이 과정을 통하여 비닐팩으로부터 잔류공기가 배출되면 히터단턱과 가압단이 비닐팩 입구를 열융착함으로서 진공포장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진공 포장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챔버를 폐쇄한 후 진공펌프가 챔버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최소한 30~40초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또한 포장대상물의 진공포장이 완료된 후 커버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챔버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10초 내외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즉, 포장대상물이 수용된 비닐팩을 챔버에 수용시킨 후 챔버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고 해제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에 따라 진공포장할 수 있는 수량이 많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포장대상물을 신속하게 진공포장함으로써 대량 진공포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진공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포장장치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3챔버(11)(12)(13)를 가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챔버(11)(12)(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커버(21)(22)(23); 상기 제1,2,3챔버(11)(12)(13)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제1,2,3히터단턱(31)(32)(33); 상기 제1,2,3커버(21)(22)(2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커버(21)(22)(23)가 상기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1,2,3히터단턱(31)(32)(33)을 가압하는 제1,2,3가압단(41)(42)(43); 상기 제1,2,3챔버(11)(12)(13)에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형성부(50); 상기 제1,2,3챔버(11)(12)(13)의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부(60); 상기 제1,2,3챔버(11)(12)(13) 사이를 상호 연통하거나 폐쇄하는 챔버연통해제부(70); 및 상기 제1,2,3챔버(11)(12)(13) 내부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살균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형성부(50)는,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51)와, 상기 진공펌프(51)와 제1,2,3챔버(11)(12)(13)를 연결하는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과, 상기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해제부(60)는, 상기 제1,2,3챔버(11)(12)(13) 각각과 연결된 제1,2,3진공해제라인(62)(63)(64)과, 상기 제1,2,3진공해제라인(62)(63)(64)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진공해제밸브(65)(66)(67)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연통해제부(70)는, 상기 제1챔버(11)와 제2챔버(12)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1락밸브(72)와, 상기 제2챔버(12)와 제3챔버(1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2락밸브(73)와, 상기 제3챔버(13)와 제1챔버(11) 사이에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3락밸브(74)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80)는, 상기 제1,2,3커버(21)(22)(23) 각각에 설치되는 제1,2,3압력센서(81)(82)(83)와, 상기 제1,2,3압력센서(81)(82)(83)에 연동되는 특정 챔버의 압력센서가 대기압보다 작은 공기압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특정 챔버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1,2,3자외선램프(84)(85)(86)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커버(21)(22)(23)의 바닥 테두리에는, 상기 제1,2,3챔버(11)(12)(13)의 테두리 상단과 밀착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2,3실링(24)(25)(26)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2,3커버(21)(22)(23)가 상기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할 때, 상기 제1,2,3실링(24)(25)(26)이 상기 제1,2,3챔버(11)(12)(13) 테두리 상단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제1,2,3커버(21)(22)(23) 상단에 걸치어지는 제1,2,3걸침로드(14)(15)(1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제1,2,3챔버 및 제1,2,3커버를 채용하고, 각각의 제1,2,3챔버로 진공을 형성 및 해제하는 진공형성부, 진공해제부 및 챔버연통해제부를 채용함으로써,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을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진공포장할 수 있어 대량의 진공포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3챔버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부를 채용함으로서 포장대상물을 살균하면서 진공포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장대상물을 상온에서 장기간 유통하더라도 부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2,3챔버에서 제1,2,3커버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진공 포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진공 포장장치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12 는 도 3의 진공 포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광 선 찜질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포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2,3챔버에서 제1,2,3커버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진공 포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진공 포장장치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포장장치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3챔버(11)(12)(13)를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3챔버(11)(12)(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커버(21)(22)(23)와; 제1,2,3챔버(11)(12)(13)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제1,2,3히터단턱(31)(32)(33)과; 제1,2,3커버(21)(22)(2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3커버(21)(22)(23)가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하였을 때 제1,2,3히터단턱(31)(32)(33)을 가압하는 제1,2,3가압단(41)(42)(43)과; 제1,2,3챔버(11)(12)(13)에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형성부(50)와; 제1,2,3챔버(11)(12)(13)의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부(60)와; 제1,2,3챔버(11)(12)(13) 사이를 상호 연통하거나 폐쇄하는 챔버연통해제부(70)와; 제1,2,3챔버(11)(12)(13) 내부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살균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의 상부측에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제1,2,3챔버(11)(12)(13)가 상호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2,3커버(21)(22)(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회동되면서 제1,2,3챔버(11)(12)(13)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때 제1,2,3커버(21)(22)(23)는 상부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큰 부피를 가지는 포장대상물을 진공포장할 수 있고, 진공포장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된다.
제1,2,3커버(21)(22)(23)의 바닥 테두리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챔버(11)(12)(13)의 테두리 상단과 밀착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2,3실링(24)(25)(26)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2,3실링(24)(25)(26)은 탄성 재질로 되며, 진공 포장장치 분야에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10)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커버(21)(22)(23)가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할 때, 제1,2,3실링(24)(25)(26)이 제1,2,3챔버(11)(12)(13) 테두리 상단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제1,2,3커버(21)(22)(23) 상단에 걸치어지는 제1,2,3걸침로드(14)(15)(16)가 설치된다. 제1,2,3걸침로드(14)(15)(16)는 본체(10)의 상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 동작에 따라 제1,2,3커버(21)(22)(23) 상단에 걸치어져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걸침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제1,2,3걸침로드(14)(15)(16)에는 탄성재질의 제1,2,3가압튜브(14a)(15a)(16a)가 설치되어 제1,2,3커버(21)(22)(23)를 탄성적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제1,2,3커버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2,3히터단턱(31)(32)(33)은 제1,2,3챔버(11)(12)(13) 바닥에 길게 설치되어 단턱을 이루며,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된다. 이러한 제1,2,3히터단턱(31)(32)(33)에는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의 입구가 거치된다.
상기 제1,2,3히터단턱(31)(32)(33) 및 제1,2,3가압단(41)(42)(43)의 구조에 의하여, 제1,2,3가압단(41)(42)(43)은 제1,2,3커버(21)(22)(23)가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하였을 때 제1,2,3히터단턱(31)(32)(33)에 거치된 비닐팩 입구를 제1,2,3히터단턱(31)(32)(33) 측으로 밀착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후술하는 진공형성부(50)의 동작에 의하여 비닐팩(P)에 잔류된 공기가 제거되고, 이후 제1,2,3히터단턱(31)(32)(33)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2,3가압단(41)(42)(43)에 의하여 제1,2,3히터단턱(31)(32)(33)에 가압되는 비닐팩(P) 입구는 열융착되어 밀봉된다.
진공형성부(50)는 포장대상물이 수용된 비닐팩(P)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형성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챔버(11)(12)(13)에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51)와, 진공펌프(51)와 제1,2,3챔버(11)(12)(13) 각각을 연결하는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과,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를 포함한다. 이때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은 제1,2,3챔버(11)(12)(13)의 내측과 연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챔버(11)(12)(13)의 후방 측벽에 형성된 제1,2,3흡입홀(11a)(12a)(13a)과 연결된 것으로 예시한다.
진공해제부(60)는, 비닐팩(P)에 진공포장된 포장대상물을 꺼내기 위하여 제1,2,3챔버(11)(12)(13)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해제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챔버(11)(12)(13)와 연결된 제1,2,3진공해제라인(62)(63)(64)과, 제1,2,3진공해제라인(62)(63)(64)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진공해제밸브(65)(66)(67)를 포함한다.
챔버연통해제부(70)는, 제1,2,3챔버(11)(12)(13) 내부에 신속하게 진공압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챔버연통해제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챔버(11)와 제2챔버(12)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1락밸브(72)와, 제2챔버(12)와 제3챔버(1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2락밸브(73)와, 제3챔버(13)와 제1챔버(11) 사이에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3락밸브(74)를 포함한다.
제1,2,3락밸브(72)(73)(74)는, 상기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 보다 큰 내경의 유로를 가지며, 이에 따라 특정 락밸브가 개방되면 그 특정 락밸브 양측의 챔버에서 순간적으로 공기 이동이 이루어져 양측 챔버의 내부 공기압이 순간적으로 동일해진다.
자외선살균부(80)는 제1,2,3챔버(11)(12)(13) 내부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외선살균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커버(21)(22)(23) 각각에 설치되는 제1,2,3압력센서(81)(82)(83)와, 제1,2,3압력센서(81)(82)(83)에 연동되는 특정 챔버의 압력센서가 대기압보다 작은 공기압을 감지하였을 때 특정 챔버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1,2,3자외선램프(84)(85)(86)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외선살균부(80)는, 제1,2,3압력센서(81)(82)(83)에 연동되어 작동되는데, 예를 들면 제1커버(21)에 설치된 제1압력센서(81)가 제1챔버(11) 내부에서 감지한 공기압이 대기압보다 작을 때 제1자외선램프(84)를 작동시킨다. 이는, 특정 압력센서가 감지한 해당 챔버에서의 공기압이 대기압보다 작다라는 것은 진공포장을 위한 진공압이 형성되고 있다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상기 특정 챔버의 자외선램프가 작동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12 는 도 3의 진공 포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을 제1,2,3챔버(11)(12)(13) 내부에 수용한 후 제1,2,3커버(21)(22)(23)로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형성부(50)를 통하여 제1,2,3챔버(11)(12)(13)에 진공압을 형성한다. 제1,2,3챔버(11)(12)(13)에서의 진공압은 진공펌프(51)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를 개방하였을 때 제1,2,3챔버(11)(12)(13)와 연결되는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에 진공압이 인가됨으로써 구현되며, 이러한 진공압에 의하여 제1,2,3챔버(11)(12)(13) 각각에 수용된 비닐팩(P)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제거되고, 이후 전술한 제1,2,3히터단턱(31)(32)(33) 및 제1,2,3가압단(41)(42)(43)의 동작에 의하여 비닐팩(P)이 진공포장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진공형성밸브(55)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챔버(11)와 연결된 제1진공해제밸브(65)를 개방하면, 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제1챔버(11) 내부로 유입되어 제1챔버(11)의 진공압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1챔버(11) 내부와 대기압은 동일해지고, 제1커버(21)는 제1챔버(11)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1)를 회동시켜 진공포장된 비닐팩을 제거한 후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새 비닐팩(P)을 제1챔버(11)에 수용시킨다. 이때 비닐팩(P)의 입구는 내부에 잔류된 공기가 제거된 후 열융착되게 하기 위하여 제1히터단턱(31)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후, 제1커버(21)를 반대로 회동시켜 제1챔버(11)를 폐쇄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진공형성밸브(56)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챔버(11)와 제2챔버(12) 사이에 설치된 제1락밸브(72)를 개방하면, 제1챔버(11)의 공기가 제2챔버(12)로 순간 이동하면서 제1챔버(11)와 제2챔버(12)의 공기압이 동일해진다. 즉,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 보다 큰 내경의 유로를 가지는 제1락밸브(72)를 개방함으로써, 제1락밸브(72) 양측의 제1,2챔버(11)(12)에서 순간적으로 공기 이동이 이루어져 제1,2챔버의(11)(12) 내부 공기압이 순간적으로 동일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챔버(11)에서는 잔류하는 공기의 상당량이 순간적으로 제거된 것이고, 제2챔버(12)에서는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가 채워진(진공압이 저하된 것)이다.
이는 기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제1챔버(11)의 경우 진공포장을 위하여 진공압을 형성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인 것이고, 제2챔버(12)의 경우 제2커버(22)를 개방하기 위하여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줄인 것이다.
다음, 제1락밸브(72)를 폐쇄하고, 제2진공해제밸브(66)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가 제2챔버(12)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챔버(12) 내부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이때 제1락밸브(72)의 개방에 의하여, 제2챔버(12)로 순간적으로 공기가 유입된 상태이므로, 제2진공해제밸브(66)를 개방하였을 때 적은 양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제2챔버(12) 내부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해진다.
한편, 제1락백브(7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진공형성밸브(55)를 개방함으로써 제1챔버(11)로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1챔버(11) 내부에서 진공포장이 진행되게 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22)를 회동시켜 진공포장된 비닐팩을 제거한 후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새 비닐팩(P)을 제2챔버(12)에 수용시킨다. 이때 비닐팩(P)의 입구는 내부에 잔류된 공기가 제거된 후 열융착되게 하기 위하여 제2히터단턱(32)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후, 제2커버(22)를 반대로 회동시켜 제2챔버(12)를 폐쇄한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진공형성밸브(57)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챔버(12)와 제3챔버(13) 사이에 설치된 제2락밸브(73)를 개방하면, 제2챔버(12)의 공기가 제3챔버(13)로 순간 이동하면서 제2챔버(12)와 제3챔버(13)의 공기압이 동일해진다. 즉,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에 의하여,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 보다 큰 내경의 유로를 가지는 제2락밸브(73)를 개방함으로써, 제2락밸브(73) 양측의 제2,3챔버(12)(13)에서 순간적으로 공기 이동이 이루어져 제2,3챔버의(12)(13) 내부 공기압이 순간적으로 동일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챔버(12)에서는 잔류하는 공기의 상당량이 순간적으로 제거된 것이고, 제3챔버(13)에서는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가 채워진(진공압이 저하된 것)이다.
이 역시 기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제2챔버(12)의 경우 진공포장을 위하여 진공압을 형성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인 것이고, 제3챔버(13)의 경우 제3커버(23)를 개방하기 위하여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줄인 것이다.
다음, 제2락밸브(72)를 폐쇄하고, 제3진공해제밸브(67)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가 제3챔버(13)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3챔버(13) 내부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이때 제2락밸브(73)의 개방에 의하여, 제3챔버(13)로 순간적으로 공기가 유입된 상태이므로, 제3진공해제밸브(67)를 개방하였을 때 적은 양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제3챔버(13) 내부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해진다.
한편, 제2락백브(73)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진공형성밸브(56)를 개방함으로써 제2챔버(12)로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2챔버(12) 내부에서 진공포장이 진행되게 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커버(23)를 회동시켜 진공포장된 비닐팩을 제거한 후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새 비닐팩(P)을 제3챔버(13)에 수용시킨다. 이때 비닐팩(P)의 입구는 내부에 잔류된 공기가 제거된 후 열융착되게 하기 위하여 제3히터단턱(33)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후, 제3커버(23)를 반대로 회동시켜 제2챔버(12)를 폐쇄한다.
그리고 전술한 방식을 반복함으로써, 진공포장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제1,2,3챔버(11)(12)(13) 및 제1,2,3커버를 채용하고, 각각의 제1,2,3챔버(11)(12)(13)로 진공을 형성 및 해제하는 진공형성부(50), 진공해제부(60) 및 챔버연통해제부(70)를 채용함으로써, 한 챔버에서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을 수용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다른 비닐팩을 진공포장함으로써, 순차적인 진공포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대량의 진공포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2,3챔버(11)(12)(13)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부(80)를 채용함으로서 포장대상물을 살균하면서 진공포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장대상물을 상온에서 장기간 유통하더라도 부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본체 11, 12, 13 ... 제1,2,3챔버
14, 15, 16 ... 제1,2,3걸침로드 14a, 15a, 16a ... 제1,2,3가압튜브
21, 22, 23 ... 제1,2,3커버 24, 25, 26 ... 제1,2,3실링
31, 32, 33 ... 제1,2,3히터단턱 41, 42, 43 ... 제1,2,3가압단
50 ... 진공형성부 51 ... 진공펌프
52, 53, 54 ... 제1,2,2진공형성라인
55, 56, 57 ... 제1,2,3진공형성밸브
60 ... 진공해제부
62, 63, 64 ... 제1,2,3진공해제라인
65, 66, 67 ... 제1,2,3진공해제밸브
70 ... 챔버연통해제부 72, 73, 74 ... 제1,2,3락밸브
80 ... 자외선살균부 81, 82, 83 ... 제1,2,3압력센서
84, 85, 86 ... 제1,2,3자외선램프

Claims (7)

  1. 포장대상물이 내장된 비닐팩(P)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3챔버(11)(12)(13)를 가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챔버(11)(12)(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커버(21)(22)(23);
    상기 제1,2,3챔버(11)(12)(13)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제1,2,3히터단턱(31)(32)(33);
    상기 제1,2,3커버(21)(22)(2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커버(21)(22)(23)가 상기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1,2,3히터단턱(31)(32)(33)을 가압하는 제1,2,3가압단(41)(42)(43);
    상기 제1,2,3챔버(11)(12)(13)에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형성부(50);
    상기 제1,2,3챔버(11)(12)(13)의 진공압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부(60);
    상기 제1,2,3챔버(11)(12)(13) 사이를 상호 연통하거나 폐쇄하는 챔버연통해제부(70); 및
    상기 제1,2,3챔버(11)(12)(13) 내부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살균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형성부(50)는,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51)와, 상기 진공펌프(51)와 제1,2,3챔버(11)(12)(13)를 연결하는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과, 상기 제1,2,3진공형성라인(52)(53)(54)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2,3진공형성밸브(55)(56)(57)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해제부(60)는, 상기 제1,2,3챔버(11)(12)(13) 각각과 연결된 제1,2,3진공해제라인(62)(63)(64)과, 상기 제1,2,3진공해제라인(62)(63)(64)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3진공해제밸브(65)(66)(67)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연통해제부(70)는, 상기 제1챔버(11)와 제2챔버(12)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1락밸브(72)와, 상기 제2챔버(12)와 제3챔버(13)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2락밸브(73)와, 상기 제3챔버(13)와 제1챔버(11) 사이에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는 제3락밸브(74)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80)는, 상기 제1,2,3커버(21)(22)(23) 각각에 설치되는 제1,2,3압력센서(81)(82)(83)와, 상기 제1,2,3압력센서(81)(82)(83)에 연동되는 특정 챔버의 압력센서가 대기압보다 작은 공기압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특정 챔버로 살균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1,2,3자외선램프(84)(85)(86)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커버(21)(22)(23)의 바닥 테두리에는, 상기 제1,2,3챔버(11)(12)(13)의 테두리 상단과 밀착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2,3실링(24)(25)(26)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2,3커버(21)(22)(23)가 상기 제1,2,3챔버(11)(12)(13)를 폐쇄할 때, 상기 제1,2,3실링(24)(25)(26)이 상기 제1,2,3챔버(11)(12)(13) 테두리 상단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제1,2,3커버(21)(22)(23) 상단에 걸치어지는 제1,2,3걸침로드(14)(15)(1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4872A 2019-05-10 2019-05-10 진공 포장장치 KR10205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72A KR102057004B1 (ko) 2019-05-10 2019-05-10 진공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72A KR102057004B1 (ko) 2019-05-10 2019-05-10 진공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004B1 true KR102057004B1 (ko) 2019-12-17

Family

ID=6905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72A KR102057004B1 (ko) 2019-05-10 2019-05-10 진공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0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270Y1 (ko) * 2001-07-31 2001-11-22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더블 챔버 타입의 진공 포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270Y1 (ko) * 2001-07-31 2001-11-22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더블 챔버 타입의 진공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140A (en) Vacuum packaging process
KR101708024B1 (ko) 플라즈마 멸균 장치
KR102333351B1 (ko) 밀봉 파우치와 진공 용기를 이용하는 멸균 장치
KR20130010699A (ko) 고정 부재가 구비된 진공 포장기
US20080152537A1 (en) Sterilization System
KR102057004B1 (ko) 진공 포장장치
JPH0436940B2 (ko)
KR101843766B1 (ko) 밀봉 파우치와 진공 용기를 이용하는 멸균 장치
US9561297B2 (en) Sterilization method
KR102536043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멸균장치
EP1520787A1 (en) Device for generating at least partial vacuum in bags for packaging clothes or the like
KR101961945B1 (ko) 멸균제를 밀봉하여 보관하는 멸균 포장 용기
JP2019520872A (ja) 密封パウチ及び真空コンテナを用いる滅菌装置
KR200319700Y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CN215852241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真空封口机
KR100510984B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0584856B1 (ko) 진공포장지 삽입통로가 구비된 진공챔버장치
JPH05221422A (ja) 袋の開口部の密封装置
KR102580215B1 (ko) 밀봉 파우치와 진공 용기를 이용하는 멸균 장치
KR200251270Y1 (ko) 더블 챔버 타입의 진공 포장기
KR20190037455A (ko) 포장 장치
CN215707594U (zh) 一种带uv杀菌装置的真空封口机
KR101865004B1 (ko) 언클램핑버튼으로 진공압이 해지되도록 한 가정용 진공포장기
CN111772458B (zh) 低温烹饪机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