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456B1 - 자동 디퓨저 - Google Patents

자동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456B1
KR102056456B1 KR1020180004379A KR20180004379A KR102056456B1 KR 102056456 B1 KR102056456 B1 KR 102056456B1 KR 1020180004379 A KR1020180004379 A KR 1020180004379A KR 20180004379 A KR20180004379 A KR 20180004379A KR 102056456 B1 KR102056456 B1 KR 10205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cone
automatic
diffuser con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168A (ko
Inventor
김송이
조동우
채창우
조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벤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벤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벤트
Priority to KR102018000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4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퓨저콘(10)과 상기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체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디퓨저콘(10)이 상기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자동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30); 흡기측에 설치되는 팬(40); 상기 팬(4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상기 팬의 회전운동을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수단(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50); 및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60)를 포함하며, 상기 축전지(60)의 축전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디퓨저콘(10)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자동 디퓨저(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디퓨저{Self-powered diffuser}
본 발명은 냉난방이나 환기를 위해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동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전력 공급을 받지 않고 풍력발전을 이용하여 스스로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되는 자동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모터식 가변 유량(VAV: Variable Air Volume) 디퓨저가 개시되었다. 도 1에 본 발명자가 개발한 전동 디퓨저가 개시되어 있는데,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동통로의 개도율 조절과 함께 개폐가 가능하도록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디퓨저콘(10)이 설치되는 전동 디퓨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동모터식 디퓨저는 전력공급과 통신을 위해 전기배선 및 통신선 공사를 해야 하므로 많은 초기 투자비가 요구되었다.
한편, 급기온도와 실내온도에 따른 열팽창을 이용하여 디퓨저 댐퍼의 개도율을 스스로 조절하는 기계식 가변 유량 디퓨저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식 디퓨저는 전선공사가 필요없으나 디퓨저 댐퍼의 개도율이 실내온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에 부족하고 또한 통신수단이 없어 IoT 기술과의 융합이 불가능하여 외부에서 디퓨저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퓨저가 닫히거나 거의 닫힌 상태에서는 실내 기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없어 디퓨저가 작동할 수 없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닫히거나 거의 닫힌 상태에서 디퓨저가 열린 상태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기히터 설치를 위해 전기공사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한편, 흡기측에 팬, 발전기를 설치하여 풍력발전을 통해 동력을 스스로 생성하는 공기조화기 디퓨저가 다수 개시되었는데, 이러한 풍력발전 디퓨저는 전기배선 공사를 할 필요는 없으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고,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따른 제어가 불가능하며, 풍력발전에 의한 동력이 상실되어 동작이 멈춘 경우 다시 동작을 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40184호 (2010.02.04.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퓨저콘 내에 구동 모터 이외에 무선통신 모듈, 축전지, 축전제어기, 온도센서, 디퓨저 제어기 등을 설치한 풍력 자가발전식 전동 디퓨저, 즉 자동(Self-powered)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퓨저콘과 디퓨저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퓨저콘과 상기 디퓨저케이싱 사이의 유체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디퓨저콘이 상기 디퓨저케이싱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자동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 흡기측에 설치되는 팬; 상기 팬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상기 팬의 회전운동을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디퓨저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축전지의 축전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디퓨저콘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자동 디퓨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퓨저콘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된 이후에는 기류발생에 의해 상기 축전지가 재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콘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어 하강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는 디퓨저콘을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제어기와 무선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콘 내에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콘과 상기 디퓨저케이싱 사이의 유체통로로 상승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흡기측의 급기기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기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온도센서는 상기 디퓨저콘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 온도센서는 상기 디퓨저콘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미세분진을 포함하는 실내공기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저콘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질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저콘의 하부에 설치된 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콘과 상기 디퓨저케이싱 사이의 유체통로의 개도율 및 상기 디퓨저콘의 개폐를 제어하는 디퓨저 제어기가 상기 디퓨저콘 내부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와 상기 축전지 사이에 배치되어 축전 및 동력 공급을 제어하는 축전제어기가 상기 디퓨저콘 내부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지의 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디퓨저는 자가발전 및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므로 전기 및 통신선로 공사가 불필요하여 초기 투자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디퓨저의 제어장치가 모두 디퓨저콘 내에 설치되어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실별 또는 구역별 공조를 원격으로 무선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어 운전이 용이하고, 비정상적인 과부하 또는 저부하시 민원대응 처리속도가 매우 빠르고, 실별 또는 구역별 공조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팬 회전에 의한 나선식 기류분포 효과로 인해, 제한된 천장공간의 덕트 연결조건 때문에 생기는 기류편향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 디퓨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의 운전을 상태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에서 디퓨저의 오작동으로 작동이 정지된 경우 운전가능 상태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의 운전 개념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에서 디퓨저 케이싱으로부터 디퓨저구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가 운전중일 때 실내의 기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의 팬 회전에 의한 나선식 기류분포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1)는 도 1의 종래 전동 디퓨저와 마찬가지로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퓨저콘(10)과 상기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체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디퓨저콘(10)이 상기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상대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퓨저콘(10)의 상하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모터수단(30)이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퓨저콘(10) 위로 연장된 리드 스크류(31)가 상기 모터수단(3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31)는 상기 디퓨저케이싱(20) 내부에 상기 디퓨저콘(10)과 평행하게 설치된 디퓨저 홀더(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예: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디퓨저콘(10)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가이드수단(1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수단(12)은 상기 디퓨저 홀더(11)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1)에는 흡기측에 팬(40)이 설치되어 있고, 유체의 흐름에 의한 상기 팬의 회전운동을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수단(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50)가 상기 팬(4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디퓨저를 통과하는 기류로 팬을 회전시켜 발전하여 생긴 전기 동력으로 디퓨저의 구동모터를 운전하여 디퓨저의 개도율(0~100%)을 조절하고 외부 제어기기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구동모터의 운전에 사용하고 남는 것은 축전지(60)에 저장되며, 이 축전지(60)는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축전지(60)의 축전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디퓨저콘(10)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즉, 디퓨저가 닫힘 상태에서 축전량이 부족하여 디퓨저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디퓨저는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후 기류발생으로 재충전이 되어 디퓨저는 정상 운전이 가능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디퓨저콘(10)이 열린 상태에서 자동 디퓨저가 정상 운전하다가(상태 a), 디퓨저 운전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디퓨저콘(10)이 닫히게 된다(상태 b). 다시 디퓨저 운전이 필요한 상태가 되었는데 충전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디퓨저콘이 열리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전기의 충전량을 감지하여 일정량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자동으로 디퓨저콘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상태 c).
이후 디퓨저의 흡기쪽 상부의 덕트에서 다른 실내로의 기류가 발생한 경우 이 기류의 영향으로 팬(40)이 회전하면서 재충전이 된다(상태 d). 기류가 발생하더라도 만약 디퓨저콘(10)이 닫힌 상태에 있기 되면 디퓨저콘(10)의 내부에서 실내로의 유동이 생기지 않아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없는데, 상태 c와 같이 디퓨저콘(10)이 열림 상태로 유지되면 기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하여 재충전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재충전이 충분히 된 경우 디퓨저는 정상 운전 가능 상태로 복귀되며, 이 상태에서 디퓨저콘(10)이 닫히더라도 필요에 따라 디퓨저 가동을 위해 디퓨저콘(10)이 열릴 수 있다(상태 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디퓨저의 오작동이나 관리 잘못으로 디퓨저콘(10)이 닫힌 상태에서 축전량이 부족하여 디퓨저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덕트에서 기류가 발생하더라도 디퓨저 내부에서 유동이 생기지 않아 충전이 되지 않는다(상태 a). 이러한 경우에는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디퓨저콘을 디퓨저케이싱으로부터 강제로 분리하여 충전을 한다(상태 b). 충전이 충분이 이루어지면 디퓨저콘을 다시 조립하여 재가동할 수 있다(상태 c). 디퓨저콘을 하강하여 분리할 때 디퓨저콘과 결합된 디퓨저 홀더(11)를 지지하는 지지대(130)가 디퓨저케이싱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콘(10)은 지지대(1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해진다. 이 지지대(130)는 도 3과 같이 축전기의 충전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디퓨저콘(10)이 자동 열림 상태로 유지되기 위하여 디퓨저콘(10)이 하강 이동시에도 디퓨저콘(10)을 지지하여 축전기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디퓨저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외부제어기(140)와 무선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콘(10) 내에 무선통신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통해서 외부에서 디퓨저의 운전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콘(10)과 상기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체통로로 상승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81)와, 흡기측의 급기기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기 온도센서(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온도센서(81)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의 온도와 실내 설정(희망)온도 차이로 디퓨저콘의 개도율을 스스로 조정하여 급기풍량이 조절된다(도 7 참조). 실내 설정(희망)온도는 외부제어기(140)에서 무선통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급기기류의 온도가 예를들어 20℃ 이하면 냉방운전으로 인식하고, 25℃ 이상이면 난방모드로 인식하여 각각의 운전모드 특성에 맞추어 디퓨저의 개도율이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실내 온도센서(81)는 상기 디퓨저콘(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 온도센서(82)는 상기 디퓨저콘(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미세분진을 포함하는 실내공기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저콘(10)의 하부에 공기질센서(9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저콘(10)의 하부에 습도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90)는 CO2 및 미세분진(예: 2.5μm 이하의 PM2.5)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질센서(90)는 디퓨저콘(10) 하단면에 설치되어, 실내 하부에서 상승되는 기류로부터 CO2 및 미세분진의 농도를 감지함으로써 실내공기 정화에 필요한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콘(10) 하부에 습도센서(100)가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한 신호를 기초로 디퓨저의 개도율 및 디퓨저콘(1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퓨저 제어기(110)가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축전 및 동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축전제어기(120)가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상기 발전기(50)와 상기 축전지(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실별 또는 구역별로 감지한 시간대별 온도, 습도, 공기질 농도의 전체분포도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공기조화를 구현하여 실내 재실자에게 최상의 쾌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모터수단(30), 무선통신 모듈(70), 축전지(60), 온도센서(81, 82), 공기질센서(90), 디퓨저 제어기(110), 축전제어기(120)가 모두 디퓨저콘(1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퓨저콘(10) 이와 결합된 리드 스크류(31) 등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디퓨저케이싱(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도 6 참조). 만약 모터수단(30), 무선통신 모듈(70), 축전지(60), 온도센서(81, 82), 공기질센서(90), 디퓨저 제어기(110), 축전제어기(120)가 디퓨저콘(10)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면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해체하는 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쉽게 분리할 수 없어 유지관리가 매우 불편할 것이다.
도 8a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의 팬 회전에 의한 나선식 기류분포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기존 디퓨저의 경우 제한된 천장공간속의 덕트 연결조건 때문에 한쪽으로 쏠릴 수 밖에 없는 기류편향 현상을 나타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디퓨저의 팬 회전에 의한 나선식 기류분포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팬 회전에 의한 나선식 기류분포효과로 기존 디퓨저의 경우 제한된 천장공간속의 덕트 연결조건 때문에 한쪽으로 쏠릴 수 밖에 없는 기류편향 현상을 방지하여 실내에 고른 기류분포 구현이 가능하므로 실내 공간의 쾌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전지(60)의 축전상태를 알기 위하여 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축전지 교체가 필요한 시점에서 알람이 울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재실자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재실자의 유무에 따른 실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동 디퓨저 10: 디퓨저콘
11: 디퓨저홀더 12: 가이드
20: 디퓨저케이싱 30: 모터수단
31: 리드 스크류
40: 팬 50: 발전기
60: 축전지 70: 무선통신 모듈
81: 실내 온도센서 82: 급기 온도센서
90: 공기질센서 100: 디퓨저 제어기
120: 축전 제어기 130: 거치대

Claims (11)

  1. 디퓨저콘(10)과 디퓨저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퓨저콘(10)과 상기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체통로가 개도율의 조절과 함께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디퓨저콘(10)이 상기 디퓨저케이싱(20)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자동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모터수단(30);
    흡기측에 설치되는 팬(40);
    상기 팬(4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상기 팬의 회전운동을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수단(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50); 및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60)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콘(10)의 상하운동을 위한 상기 모터수단(30)을 구동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축전지(60)의 축전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디퓨저콘(10)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자동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10)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된 이후에는 기류발생에 의해 상기 축전지(60)가 재충전되는, 자동 디퓨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10)이 자동으로 열림 상태가 되어 하강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는 디퓨저콘(10)을 지지하는 거치대(130)를 더 포함하는, 자동 디퓨저.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제어기(140)와 무선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콘(10) 내에 무선통신모듈(70)을 더 포함하는, 자동 디퓨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10)과 상기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체통로로 상승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81)와, 흡기측의 급기기류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기 온도센서(82)를 더 포함하는, 자동 디퓨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온도센서(81)는 상기 디퓨저콘(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 온도센서(82)는 상기 디퓨저콘(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 디퓨저.
  7. 제1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미세분진을 포함하는 실내공기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저콘(10)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질센서(90)를 더 포함하는, 자동 디퓨저.
  8. 제1항에 있어서,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저콘(10)의 하부에 설치된 습도센서(100)를 더 포함하는, 자동 디퓨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콘(10)과 상기 디퓨저케이싱(20) 사이의 유체통로의 개도율 및 상기 디퓨저콘(10)의 개폐를 제어하는 디퓨저 제어기(110)가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추가로 설치된, 자동 디퓨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50)와 상기 축전지(60) 사이에 배치되어 축전 및 동력 공급을 제어하는 축전제어기(120)가 상기 디퓨저콘(10) 내부에 추가로 설치된, 자동 디퓨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60)의 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자동 디퓨저.
KR1020180004379A 2018-01-12 2018-01-12 자동 디퓨저 KR10205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79A KR102056456B1 (ko) 2018-01-12 2018-01-12 자동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79A KR102056456B1 (ko) 2018-01-12 2018-01-12 자동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68A KR20190086168A (ko) 2019-07-22
KR102056456B1 true KR102056456B1 (ko) 2019-12-16

Family

ID=6746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379A KR102056456B1 (ko) 2018-01-12 2018-01-12 자동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343B1 (ko) * 2019-12-27 2021-09-29 현대건설(주) 전동 디퓨저를 이용한 실별 환기 시스템
KR102630388B1 (ko) * 2023-03-20 2024-01-31 (주)이지이노베이션 자가발전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공조제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76B1 (ko) * 2013-04-19 2013-05-23 서진공조 주식회사 가변 풍량 방식용 디퓨져
KR101520039B1 (ko) * 2014-01-15 2015-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JP5802531B2 (ja) * 2011-12-02 2015-10-28 渡辺 博 筒体内上昇気流発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84B1 (ko) 2009-01-20 2010-02-04 주식회사 옴니벤트 전동 디퓨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2531B2 (ja) * 2011-12-02 2015-10-28 渡辺 博 筒体内上昇気流発電装置
KR101265276B1 (ko) * 2013-04-19 2013-05-23 서진공조 주식회사 가변 풍량 방식용 디퓨져
KR101520039B1 (ko) * 2014-01-15 2015-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68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5296A1 (en) Variable air volume diffuser and method of operation
US10001789B2 (en) Multifuncional environmental control unit
KR102056456B1 (ko) 자동 디퓨저
CN102029203B (zh) 一种实验室变风量通风柜控制系统
CN206370636U (zh) 一种电力工程用减震散热电力柜
ES2768329T3 (es) Regulación térmica de un compartimento de una subestación de alimentación eléctrica portuaria
US20140222216A1 (en) Wireless HVAC Vent
US201502189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generation
JP5032084B2 (ja) 電動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CN101235977A (zh) 空调机
CN103375882A (zh) 用于空调器的控制电路以及包含用于控制空调器的程序指令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0086450A (ja) 冷却システム
CN105571104A (zh) 风道结构及家电设备
KR101357199B1 (ko) 하이브리드 공조를 위한 스마트 공기 조화기
CN103234998B (zh) 高热流密度太阳能全谱辐射加热装置
CN104508479A (zh) 气相色谱仪装置
CN204963026U (zh) 空调室外机
JP4749352B2 (ja) 空気調和機
US9157645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low of a fluid
CN110006149A (zh) 一种自适应恒温空调方法及系统
KR20160118046A (ko) 중앙공조 시스템과 개별공조 시스템을 적응적으로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11415B1 (ko) 차량 주행풍을 이용한 터널용 풍력발생장치
CN210512060U (zh) 一种自平衡变风量新风系统
KR102150618B1 (ko) 에너지 가변 풍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실별 풍량 제어 및 에너지 사용량 측정이 가능한 중앙 공조 시스템
KR1017693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