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59B1 -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 - Google Patents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59B1
KR102056059B1 KR1020180121013A KR20180121013A KR102056059B1 KR 102056059 B1 KR102056059 B1 KR 102056059B1 KR 1020180121013 A KR1020180121013 A KR 1020180121013A KR 20180121013 A KR20180121013 A KR 20180121013A KR 102056059 B1 KR102056059 B1 KR 10205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electrode
bullet
gu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918A (ko
Inventor
이승범
이재신
Original Assignee
이승범
이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범, 이재신 filed Critical 이승범
Publication of KR2019004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7/00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 F41J7/04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disappearing or moving when h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탄환, 탄피방출 제한기구 및 레이저인식표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은, 탄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총기 총열을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 상기 레이저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총기의 공이 동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동작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동작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LASER BULLET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THE EMISSION OF CARTRIDGE}
본 발명은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실제 총기의 개조없이 실제 총기와 동일한 상황에서 사격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찰이나 군인 등 일부 허가된 사람들에 한해서만 인명 살상용 총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총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허가된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사격 훈련은 일 년에 몇 번 정도 고정된 목표물에 총기를 사용하는 정도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사격 훈련은 총에 실탄을 장전함과 동시에, 정지 표적 또는 비상 표적 등의 표적으로 조준을 맞추어 실탄을 발사한다고 하는, 소위, 실사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총기소지자의 영점 조절을 하여야 하는 상황에서도 실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실제 사격 훈련을 수행할 경우, 훈련 장소의 인근 주민에 의한 각종 민원 발생 및 시간적, 공간적, 물질적 제약으로 인해 효율적인 훈련체계 구축에 큰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실제 총기와 동일한 상황에서 사격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45805호
본 발명은 실탄을 사용하지 않고, 총기의 개조없이 실제 총기와 동일한 상황에서 사격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은, 탄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총기 총열을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 상기 레이저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총기의 공이 동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동작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동작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버튼부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 또는 단락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전극을 갖는 제2전극; 상기 제2전극과 상시 접속하며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과 접속 또는 단락하는 돔 스위치; 및 공이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가 상기 제1전극과 접속 또는 단락됨과 동시에, 상기 단자부가 상기 배터리와 접속 또는 단락되어, 상기 제어부와 폐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회로를 개방하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제1전극과 접속한 후 총기의 공이가 가압해제할 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전극과 이격하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온 동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일정 시간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방출 제한기구는, 레이저 탄환이 총기의 약실에 장전된 총기의 노리쇠 손잡이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끼움부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U'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노리쇠가 총기의 약실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노리쇠의 왕복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인식 표적장치는, 레이저 탄환이 장전된 총기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부가 배치된 타겟; 및 레이저광을 수광한 수광부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가 레이저광을 수광함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는 빛 감지모듈 또는 전자기파 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수광부는 상기 타겟에 행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총기의 개조없이 실제 총기와 동일한 상황에서 실제 탄환을 사용하지 않고 영점사격 또는 사격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탄 사격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과학화전투훈련 시에 총기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할 필요없이 실제 상황과 동일한 상태의 총기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탄피 방출 제한기구에 의해 레이저 탄환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레이저 탄환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사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부분 절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인식 표적장치의 예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피방출 제한기구의 예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피방출 제한기구가 총기에 부착한 예시로서 노리쇠가 후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1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10)은, 하우징(100), 배터리(200), 레이저출력부(300), 버튼부(400) 및 제어부(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탄환 형상을 가지고 다른 구성을 내부에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탄이 사용되는 총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해당 총에 사용되는 탄의 형태 및 크기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저 탄환(10)을 총기에 사용 시 총기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재질을 동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은 전극의 전선역할 병행하여 전기 전도율이 효과적이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200)는 제어부(500)에 의해 레이저출력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200)는 일반적인 탄 크기 내부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배터리(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00)는 수은배터리가 해당될 수 있다.
레이저출력부(300)는 하우징(100)에 마련되어, 총기 총열을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레이저출력부(300)가 탄환 내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출력하면, 레이저광이 총열을 통과하여 외부로 발사된다. 레이저출력부(300)는 레이저 탄환(10)의 중심에서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400)는 사용자의 총기 조작에 따라 예컨대, 총기의 공이 동작에 따라 레이저 발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공이가 전진하여 레이저 탄환(10)을 격침하는 경우, 레이저 탄환(10)의 후면에 배치된 버튼부(400)가 공이에 의해 눌려져서 폐회로가 형성되게 되어 레이저광을 출력한다. 즉, 버튼부(400)는 총기의 공이 동작에 따라 레이저출력부(300)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동작한다.
버튼부(40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공이가 전진하는 경우에 돔 스위치가 눌려짐에 따라 레이저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버튼부(400)는 단자부(410)와, 제1전극(415)과, 제2전극(420)과, 돔 스위치(425)와, 푸셔(430)를 포함한다.
단자부(410)는 배터리(2000에 접속 또는 단락된다.
제1전극(415)은 단자부(410)와 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전극(420)은 제1전극(415)과 극성이 다른 전극을 가진다.
돔 스위치(425)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돌출 형성된 돔 형상을 가진다. 돔 스위치(425)는 제2전극(420)과 접속하며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전극(415)과 접속 또는 단락한다.
돔 스위치(425)는 공이에 눌려졌다가 공이가 후퇴되는 경우, 돔 스위치(425)의 탄성변형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특정 극성으로부터 이격되어 회로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돔 스위치(425)는 레이저광이 특정시간 동안만 출력될 수 있도록 특정시간(예를 들어, 1초 또는 0.5초)이 경과되면 회로를 개방하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돔 스위치(425)는 제2전극(420)인 (+)극에 연결되어 있고, 돔 스위치(425)가 눌려짐에 따라 제1전극(415)인 (-)극 단자와 접촉되어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푸셔(430)는 총기의 공이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의해 돔 스위치(425)가 제1전극(415)과 접속 또는 단락됨과 동시에, 단자부(410)가 배터리(200)와 접속 또는 단락되어, 제어부(500)와 폐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회로를 개방한다.
한편, 버튼부(400)는 레이저광이 특정시간 동안만 출력될 수 있도록 특정시간이 경과되면 회로를 개방시키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400)는 공이가 전진함에 따라 눌려진 돔 스위치(425)를 특정시간동안 고정하였다가 특정시간이 경과된 후 고정을 해제하여 전극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다만, 특정시간동안만 폐회로를 형성하는 버튼부(4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버튼부(400)는 배터리(200)를 삽입한 후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커버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우징(100)에서 버튼부(400)를 분리하여 배터리(200)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버튼부(400)의 동작에 의거하여 예컨대, 버튼부(400)가 눌려짐에 따라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버튼부(400)가 조작되어 돔 스위치(425)가 닫힌 후에 레이저가 출력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방아쇠를 당겨 격발하는 경우에 계속 레이저가 출력되지 않고 특정시간 동안만 레이저 탄이 발사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격발에 의해 레이저 탄의 발사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0)가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버튼부(400) 조작으로 돔 스위치(425)가 닫힌 후에 특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500)가 레이저 출력을 중지하고, 공이가 후퇴함에 따라 돔 스위치(425)가 열리면 제어부(500)가 레이저 출력 제어를 초기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기를 단발모드로 설정하고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격발하여 공이가 레이저 탄환(10)을 치면 특정시간동안 레이저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다시 노리쇠를 후퇴하기 전까지 레이저 출력은 중지된다. 사용자가 노리쇠를 후퇴 고정하면, 제어부(500)는 레이저 출력제어를 초기 설정하여 공이가 레이저 탄환(10)을 치면 다시 레이저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사(즉, 연속사격)모드로 사격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공이가 전진하여 돔 스위치(425)가 닫히면 제어부(500)에서 특정시간동안 레이저를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즉, 돔 스위치(425)가 닫힌 후 특정시간이 경과되면 레이저 출력이 중지되고, 사용자의 조작 또는 총기 설정(자동 또는 반자동)에 따라 공이가 후퇴하여 돔 스위치(425)가 다시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초기화되며, 공이가 다시 전진하여 레이저 탄환(10)의 돔 스위치(425)가 닫히면 레이저가 재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저 탄환(10)은 사격 훈련(예를 들어, 영점사격 또는 표적사격)이나 마일즈 장비를 이용한 과학화 훈련 시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총기에 일반 탄환 대신 레이저 탄환(10)을 삽입하여 일반 총기를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10)은 총기의 개조없이 실제 총기와 동일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탄환(10)을 이용하여 표적사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인식 표적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인식 표적장치(600)는 타겟(610)과 카운팅부(650)를 포함한다.
타겟(610)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레이저 탄환(10)이 장전된 총기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부(62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타겟(610)은 장방형의 단면형상 이외에,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수광부(620)는 타겟(6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행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광부(620)는 CDS 센서 등과 같은 빛 감지모듈 또는 전자기파 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팅부(650)는 레이저광을 수광한 수광부(620)의 수를 카운팅하여, 외부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팅부(650)가 타겟(610)의 상측 일 영역에 도시되어 있지만, 카운팅부는 타겟 이외에 별도의 단말기에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 레이저광이 타겟(610)의 수광부(620)에 조사되면, 조사된 수광부(620)의 수량에 따라 일정 점수를 더하여, 카운팅부(650)를 통해 조사된 수광부(620)의 합계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인식 표적장치(600)는 각 수광부(620)와 연동하여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수광부(620)가 레이저광을 수광함에 따라,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여, 표적을 맞추었음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인식 표적장치(600)는 표적사격을 수행하는 경우, 레이저광이 레이저인식 표적장치(600)에서 인식되면 작동하는(예를 들어, 탄환을 맞은 것과 같이 넘어가는) 자동화표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화 사격장에 배치되는 자동화 표적은 레이저 감지센서 및 솔레노이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이저 감지센서가 레이저 탄환으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저광을 감지하고 솔레노이드 모터를 구동하여 표적을 넘어지도록 한다.
또한, 영점사격을 수행하는 경우, 영점표적장치는 레이저광이 수신된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점표적은 레이저광이 수신되면 변성되는 물질이 표면에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표적지 자체가 센싱장치로 제작되어 레이저가 도달한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점표적은 총기에서 발사된 레이저광이 수신되는 지점에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는 사격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마일즈장비는 레이저 출력을 위해 총기 외부에 레이저 발사를 위한 장비를 결합하여야 하였으며, 실제 사격방향과 레이저출력 방향을 맞추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저 탄환(10)은 총열 내부에 배치된 레이저 탄환(10)이 레이저를 출력하므로, 사격방향과 레이저출력방향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탄피방출 제한기구(700)는, 사격 시에 총기(1000, 도 6 참조)에서 레이저 탄환(10)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리쇠(1100, 도 6 참조)의 후퇴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피방출 제한기구(700)는 하나의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어, 소총에 결합되는 클립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탄피방출 제한기구(700)는 끼움부(710)와 스토퍼(750)를 포함한다.
끼움부(7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레이저 탄환(10)이 총기(1000)의 약실(1300)에 장전된 총기(1000)의 노리쇠 손잡이(1200)에 끼움 결합된다.
스토퍼(750)는 끼움부(710)의 일단부로부터 끼움부(710)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U'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토퍼(710)는 노리쇠(1100)가 총기(1000)의 약실(1300)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노리쇠(1100)의 왕복 운동을 제한한다.
탄피방출 제한기구(700)는, 끼움부(710)를 노리쇠 손잡이(1200)에 뒤쪽에서 앞으로 밀어 넣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리쇠 손잡이(1200)에 고정하고, 노리쇠(1100) 후퇴시 스토퍼(750)가 총기(1000)의 약실(1300)에 걸려, 예컨대, 노리쇠(1100)가 총기(1000)의 약실(1300)의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어, 약실(1300)에 장전된 레이저 탄환(10)은 약실(1300)로부터 배출되지 않게 된다. 탄피방출 제한기구(700)는 노리쇠(1100) 후퇴 시에 손상되지 않도록 탄성이 좋은 강철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탄피방출 제한기구(7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총기(1000)에 결합되어 노리쇠(1100) 후퇴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탄환(10)을 총기에 삽입하고 사용 시에 노리쇠(1100)를 일반적인 탄환 사용시와 같이 노리쇠(1100)를 총기(1000)의 약실(1300)로부터 벗어나도록 통상적으로 후퇴시키면, 레이저 탄환(10)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레이저 탄환(10)이 방출되면 레이저광의 연속 사격이 불가능하므로, 레이저 탄환(10)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노리쇠(1100) 후퇴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노리쇠(1100) 후퇴범위를 제한하는 기구가 없으면, 사용자는 레이저 탄환(10)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후퇴범위까지만 당겨 공이치기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K2 소총의 경우, 노리쇠가 9.65cm 후퇴되면 후퇴고정되고, 5.5cm이상 후퇴되면 총기 내부의 탄피가 외부로 방출되며, 4.15cm 후퇴되면 공이치기로 격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탄피방출제한기구(700)는 4.15cm이상 5.5cm미만의 범위까지만 노리쇠가 후퇴가 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레이저 탄환의 방출없이 레이저광의 발사를 반복 수행할 수 있으며, 공이가 레이저 탄환(10)을 강하게 치지 않으므로 레이저 탄환(1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피방출 제한기구(700)에 의해, 노리쇠(1100)를 약실(1300)에서 전진 및 후퇴하면서 레이저 탄환(10)이 약실(1300)로부터 배출되지 않으며, 연속적인 사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과학화전투훈련 시에 총기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할 필요없이, 예컨대 종래의 총기를 개조하지 않고, 실제 상황과 동일한 상태의 총기로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레이저 탄환
100: 하우징
200: 배터리
300: 레이저출력부
400: 버튼부
500: 제어부
600: 레이저인식 표적장치
700: 탄피방출 제한기구

Claims (9)

  1. 탄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총기 총열을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부;
    상기 레이저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총기의 공이 동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동작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동작에 의거하여,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 또는 단락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이한 전극을 갖는 제2전극;
    상기 제2전극과 상시 접속하며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과 접속 또는 단락하는 돔 스위치; 및
    공이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의해 상기 돔 스위치가 상기 제1전극과 접속 또는 단락됨과 동시에, 상기 단자부가 상기 배터리와 접속 또는 단락되어, 상기 제어부와 폐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회로를 개방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레이저 탄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제1전극과 접속한 후 총기의 공이가 가압해제할 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전극과 이격하도록 탄성 변형하는, 레이저 탄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온 동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일정 시간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레이저 탄환.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이저 탄환이 총기의 약실에 장전된 총기의 노리쇠 손잡이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끼움부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U'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노리쇠가 총기의 약실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노리쇠의 왕복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탄피방출 제한기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21013A 2017-10-11 2018-10-11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 KR102056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9894 2017-10-11
KR1020170129894 2017-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18A KR20190040918A (ko) 2019-04-19
KR102056059B1 true KR102056059B1 (ko) 2019-12-16

Family

ID=6628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013A KR102056059B1 (ko) 2017-10-11 2018-10-11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08B1 (ko) * 2000-04-21 2003-03-26 한성아이엘에스(주) 사격훈련시스템
KR100914270B1 (ko) * 2007-10-31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805B1 (ko) 2014-09-17 2016-08-04 차춘옥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08B1 (ko) * 2000-04-21 2003-03-26 한성아이엘에스(주) 사격훈련시스템
KR100914270B1 (ko) * 2007-10-31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18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4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de drag compensation
US76003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scribing a deployment unit for an electronic weapon
US10598467B1 (en) Multiple shot projectile stun gun with automatic and semi-automatic firing capability
US20070019358A1 (en) Immobilization weapon
RU99865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руч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KR101890759B1 (ko) 복합기능을 가지는 연발식 호신장비
RU2748738C1 (ru) Электрошоковое оружие для иммобилизации нескольких целей
CN203298663U (zh) 一种液体聚能爆炸物失能装置
CN101216274B (zh) 一种电击弹
KR102056059B1 (ko) 레이저 탄환 및 탄피방출 제한기구
CN101231150B (zh) 一种电击防暴弹
US9404702B2 (en) Electromechanical firing mechanism
RU2637836C2 (ru) Пистолетный комплекс нелет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навесные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комплекса
RU2711542C1 (ru) Руч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RU2816375C1 (ru) Многозарядное дистанционное электрошоковое оружие и унитарные патроны к нему
RU2782622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электрошокового оружия
CN216348065U (zh) 多联装套索枪
RU2711541C1 (ru) Руч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CN101216275B (zh) 一种子弹发射的电击弹
CN2711685Y (zh) 远程缉捕电麻弹
RU44808U1 (ru) Оружие самообороны и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пули
FR3105393A1 (fr) Projectile de neutralisation d’une cible par impulsion électrique, comprenant un corps avec deux dards en saillie et logeant au moins un moyen de génération de haute tension, destiné à appliquer une impulsion électrique HT à la cible à neutraliser.
CN103925833A (zh) 带电击功能的无抖动触发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