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49B1 -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49B1
KR102056049B1 KR1020130109075A KR20130109075A KR102056049B1 KR 102056049 B1 KR102056049 B1 KR 102056049B1 KR 1020130109075 A KR1020130109075 A KR 1020130109075A KR 20130109075 A KR20130109075 A KR 20130109075A KR 102056049 B1 KR102056049 B1 KR 102056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upled
leg
pneumatic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310A (ko
Inventor
김진웅
임창호
강성원
이동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는, 선박의 러더 트렁크와 같은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에 접촉되되, 통로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 및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통로부를 청소하도록 공압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LARGE CALIBER VERTICAL PIPE CLEANER}
본 발명은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러더가 탑재되는 트렁크와 같은 통로부를 청소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러더가 탑재된다. 이러한 러더는 선박의 상부갑판으로부터 바닥부까지 통로를 마련하는 러더 트렁크(rudder trunk)에 탑재된다.
이러한 러더 트렁크는, 해수로부터 부착되는 여러 가지 생물들과 부산물 및 자체 부식 등으로 불필요한 슬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러지는 러더의 작동축과 러더 트렁크 사이에서 작동축의 회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러더의 작동에 에너지 소모가 증가될 수 있으며, 러더의 작동축에 대한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러더 트렁크로부터 러더를 분리하고 수작업으로 러더 트렁크의 통로부를 청소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또한 러더 크렁크는, 선체의 제작 후, 러더의 탑재 전에 청소되어야 하므로, 러더의 탑재 직전 청소가 이루어진다.
이때 러더 트렁크에 대한 청소작업으로는, 작업자가 걸레를 이용하여 상부 1m 이내에서 수행하는 상부청소작업과 그 하부로 물을 분사한 다음 막대기에 걸레를 부착하여 청소하는 하부청소작업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러더 트렁크에 대한 청소작업은, 작업자가 약 20m 이상의 선박의 러더 트렁크 위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추락사고 위험이 크다. 또한 위험요인으로 인해 러더 트렁크 내부의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125563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러더 트렁크와 같은 대구경 수직관의 청소 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방지 및 작업 시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화 작업에 의해 트렁크 내부를 제대로 청소할 수 있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러더 트렁크와 같은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에 접촉되되, 상기 통로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를 청소하도록 공압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클리닝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통로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다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모듈은,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본체; 상기 통로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다리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지지다리; 및 상기 이동지지다리를 상기 통로부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다리본체에 내장되는 다리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모듈은, 상기 이동지지다리의 단부에서 상기 통로부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이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다리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토록 상기 다리본체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다리 이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다리본체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이동지지다리에 지지되도록 상기 다리본체에 내장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본체와 상기 이동지지다리는, 삽입 결합된 후 상호 회전이 차단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모듈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가이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통로가 마련되는 회전 바; 상기 회전 바에 대해 교차하도록 상기 회전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양쪽에 각각 상기 브러쉬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교차 바; 및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바와 상기 교차 바에 마련되는 작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외부의 공압라인이 결합되되, 상기 내부통로로 상기 공압이 제공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압니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공압니플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되,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바와 상기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는 공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회전 바의 내부통로와 상기 공압모터를 연결시키는 공압배관; 및 상기 공압모터와 상기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공압모터의 회전을 상기 브러쉬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공압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박스; 상기 공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기어박스에 배치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에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기어박스에 배치되되,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브러쉬에 연결되는 웜휠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 바의 양쪽에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교차 바를 회전시키도록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러더 트렁크와 같은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에 접촉되되, 상기 통로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를 청소하도록 회전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전기모터를 구비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 상기 회전 바에 대해 교차하도록 상기 회전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양쪽에 각각 상기 브러쉬가 상기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교차 바; 및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전기모터와 상기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브러쉬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러더 트렁크와 같은 대구경 수직관의 청소 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방지 및 작업 시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화 작업에 의해 트렁크 내부를 제대로 청소할 수 있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러더 트렁크에 대한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러더 트렁크에 대한 개략적인 배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작동모듈의 웜기어와 웜휠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입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러더 트렁크에 대한 개략적인 배치도이며, 도 2는 도 1의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러더 트렁크에 대한 개략적인 배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작동모듈의 웜기어와 웜휠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는, 선박의 러더 트렁크와 같이 대구경을 갖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대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100)에 접촉되되 통로부(100)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110)과, 가이드유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통로부(100)를 청소하도록 공압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129)를 구비하는 클리닝유닛(125)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 장치는, 러더 트렁크와 같은 대구경 수직관에 대한 청소작업을 통로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110)과, 가이드유닛(110)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통로부(100)의 벽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클리닝유닛(125)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수직형 통로부(100)에 대한 청소가 기계적인 자동화 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청소 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방지 및 작업 시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동력에 의해 통로부(100) 전체가 제대로 수월하게 청소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유닛(110)은, 클리닝유닛(125)이 통로부(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클리닝유닛(12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리닝유닛(125)의 작동에 의해 통로부(1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브러쉬(129)의 회전에 의해 클리닝유닛(125)이 전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리닝유닛(125)의 영향으로 가이드유닛(110)이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클리닝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유닛(110)은, 클리닝유닛(12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본체(111)와, 가이드본체(11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통로부(100)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다리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본체(111)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외부의 공압라인과 작업자가 잡고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다리모듈(115)은 가이드본체(111)를 통로부(100)를 따라 안내할 수 있도록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련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다리모듈(115)은, 가이드본체(111)에 결합되는 다리본체(116)와, 통로부(100)에 접촉되도록 다리본체(116)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지지다리(118)와, 이동지지다리(118)를 통로부(100)에 접촉시키도록 다리본체(116)에 내장되는 다리 이동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본체(116)는 가이드본체(11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삽입 결합되며, 이동지지다리(118)는 다리본체(116)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동지지다리(118)는 다리 이동부(119)에 의해 통로부(10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은 이동롤러(12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즉, 지지다리모듈(115)은, 이동지지다리(118)의 단부에서 통로부(100)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이동롤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롤러(120)는, 이동지지다리(118)의 단부에 스핀 결합되어 있어, 통로부(100)의 벽면에 접촉되어 임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지지다리(118)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토록 다리본체(116)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다리 이동부(119)는, 자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으나 일단부가 다리본체(116)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이동지지다리(118)에 지지되도록 다리본체(116)에 내장되는 지지 스프링(1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지지다리(118)는 지지 스프링(121)에 의해 다리본체(116)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통로부(100)에 진입될 때, 지지 스프링(121)을 가압하면서 다리본체(116)로 내입될 수 있으며, 이동롤러(120)는 지지 스프링(121)에 의해 이동지지다리(118)가 지지됨으로써 통로부(100)의 벽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리 이동부(119)로서는 공압을 사용하는 실린더와 실런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리 이동부(119)로서 사용되는 지지 스프링(121)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진 않는다. 이러한 실린더와 로드는 다리본체(116) 내장되는데, 로드는 이동지지다리(118)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지지다리(118)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본체(116)와 이동지지다리(118)는, 삽입 결합된 후 상호 회전이 차단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리본체(116)의 이동지지다리(118)의 사각단면은, 다리본체(116)에 대한 이동지지다리(118)의 출몰 또는 다리본체(116)와 함께 회전 시에 다리본체(116)에 대한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다리모듈(115)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리본체(116)와 이동지지다리(118)는,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가이드본체(111)가 통로부(100)의 중심라인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되는 가이드유닛(110)의 하부에는 클리닝유닛(125)이 탑재되며, 클리닝유닛(125)은 통로부(100)를 따른 이동이 안내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리닝유닛(125)은, 가이드본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통로가 마련되는 회전 바(126)와, 회전 바(126)에 대해 교차하도록 회전 바(126)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양쪽에 각각 브러쉬(129)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교차 바(128)와, 브러쉬(129)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바(126)와 교차 바(128)에 마련되는 작동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유닛(125)은, 가이드본체(111) 회전 바(126)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는데, 회전 바(126)는 교차 바(128)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교차 바(128)는 브러쉬(129)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브러쉬(129)는 외부의 공압라인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후술되는 바와 같은 작동모듈(130)의 구성요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유닛(110)은, 외부의 공압라인이 결합되되 내부통로로 공압이 제공되도록 가이드본체(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압니플(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압니플(137)은 가이드본체(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본체(111)의 회전 시에 공압라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동모듈(130)은 공압니플(137)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되 브러쉬(129)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바(126)와 브러쉬(129) 사이에 배치되는 공압모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공압모터(135)는, 공압계통에 사용되는 작동요소로서, 브러쉬(129)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후술되는 기어박스(141)에 결합된다.
이러한 작동모듈(130)은, 회전 바(126)의 내부통로와 공압모터(135)를 연결시키는 공압배관(137)과, 공압모터(135)와 브러쉬(129) 사이에 배치되되 공압모터(135)의 회전을 브러쉬(129)로 전달하는 기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어부(140)는, 공압모터(135)에 결합되며 브러쉬(129)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박스(141)와, 공압모터(135)에 의해 회전되도록 기어박스(141)에 배치되는 웜기어(143)와, 웜기어(143)에 기어 결합되도록 기어박스(141)에 배치되되 브러쉬(129)를 회전시키도록 브러쉬(129)에 연결되는 웜휠(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교차 바(128)의 양쪽에 배치된 브러쉬(129)는, 교차 바(128)를 회전시키도록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웜기어(143)는 공압모터(135)의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과 동축 선상 또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웜기어(143)에 기어 결합되는 웜휠(145)은 웜기어(143)의 회전중심라인에 교차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공압라인의 공압은 전술한 공압니플(137)을 통해 제공되어, 회전 바(126)의 내부통로를 따라 공압배관(137)으로 이동되며, 공압배관(137)의 의해 공압모터(135)로 공급되어 공압모터(1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공압모터(135)는, 웜기어(143)를 회전시키며, 웜기어(143)는 웜휠(145)을 회전시키며, 웜휠(145)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브러쉬들(129)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교차 바(128)의 양쪽에 배치되는 브러쉬들(129)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교차 바(128)가 회전될 수 있는데, 교차 바(128)가 회전됨과 동시에 브러쉬들(129)이 통로부(100)의 벽면을 360도 회전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가이드유닛(110)에 의해 브러쉬들(129)이 통로부(100)의 상하로 이동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통로부(100)는 전체적으로 청소가 완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리닝유닛(125)의 작동요소로서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배치구조와 이동방식을 갖는 가이드유닛(110)과, 클리닝유닛(125)의 통로부(100)에서 브러쉬들(129)에 의한 교차 바(128)의 회전운동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 장치는, 선박의 러더 트렁크와 같은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200)에 접촉되되 통로부(200)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210)과, 가이드유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통로부(200)를 청소하도록 회전되는 브러쉬(229)와 브러쉬(229)를 회전시키는 전기모터(230)를 구비하는 클리닝유닛(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리닝유닛(225)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가이드유닛(210)에 장착될 수 있는 외부 전원라인 또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기모터(230)에 의해 브러쉬(229)가 구동된다.
이를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클리닝유닛(225)은, 가이드유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226)와, 회전 바(226)에 대해 교차하도록 회전 바(226)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양쪽에 각각 브러쉬(229)가 전기모터(230)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교차 바(228)와, 브러쉬(229)를 회전시키도록 전기모터(230)와 브러쉬(229) 사이에 배치되되 전기모터(230)의 회전력을 브러쉬(229)로 전달하는 기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바(226)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공압이 이동되는 내부통로가 반드시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전기모터(230)에 대한 배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통로가 마련될 수 있을 뿐이다. 즉 전기모터(230)에 대한 와이어는 회전 바(226)를 따른 배선처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유닛(210)의 상단부로 외부 전원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는 전술한 공압니플(131)과 같이 가이드유닛(2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커넥터에는, 전기모터(230)로 전기를 공급하는 와이어가 회전 바(226)의 내부를 통해 연결되며, 전술한 공압배관과 같은 배치로 전기모터(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전원에 의해 전기모터(230)가 구동되며, 전기모터(230)의 동력이 기어부(240)를 통해 브러쉬(229)들로 전달되어 브러쉬(229)들이 회전될 수 있으며, 브러쉬(229)들은 전술한 실시 예처럼 통로부(200)의 벽면을 전반적으로 이동하여 청소를 완료할 수 있다. 기어부(240)는 전술한 웜기어(143)과 웜휠(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200: 통로부 110, 210: 가이드유닛
111: 가이드본체 115: 지지다리모듈
116: 다리본체 118: 이동지지다리
119: 다리 이동부 120: 이동롤러
121: 지지 스프링 125, 225: 클리닝유닛
126, 226: 회전 바 128, 228: 교차 바
129, 229: 브러쉬
130: 작동모듈 131: 공압니플
135: 공압모터 137: 공압배관
140, 240: 기어부 141: 기어박스
143: 웜기어 145: 웜휠
230: 전기모터

Claims (13)

  1. 파이프 형상의 통로부에 접촉되되, 상기 통로부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를 청소하도록 공압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클리닝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통로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다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가이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통로가 마련되는 회전 바;
    상기 회전 바에 대해 교차하도록 상기 회전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양쪽에 각각 상기 브러쉬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교차 바; 및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바와 상기 교차 바에 마련되는 작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외부의 공압라인이 결합되되, 상기 내부통로로 상기 공압이 제공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압니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공압니플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되,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바와 상기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는 공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회전 바의 내부통로와 상기 공압모터를 연결시키는 공압배관; 및
    상기 공압모터와 상기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공압모터의 회전을 상기 브러쉬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공압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공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기어박스에 배치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에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기어박스에 배치되되,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브러쉬에 연결되는 웜휠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 바의 양쪽에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교차 바를 회전시키도록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모듈은,
    상기 가이드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본체;
    상기 통로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다리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지지다리; 및
    상기 이동지지다리를 상기 통로부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다리본체에 내장되는 다리 이동부를 포함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모듈은, 상기 이동지지다리의 단부에서 상기 통로부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이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다리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토록 상기 다리본체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다리 이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다리본체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이동지지다리에 지지되도록 상기 다리본체에 내장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본체와 상기 이동지지다리는, 삽입 결합된 후 상호 회전이 차단되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모듈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세 방향으로 배치되는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09075A 2013-09-11 2013-09-11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KR102056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75A KR102056049B1 (ko) 2013-09-11 2013-09-11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75A KR102056049B1 (ko) 2013-09-11 2013-09-11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310A KR20150030310A (ko) 2015-03-20
KR102056049B1 true KR102056049B1 (ko) 2019-12-17

Family

ID=5302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075A KR102056049B1 (ko) 2013-09-11 2013-09-11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5407A (zh) * 2020-03-06 2020-06-02 王心悦 一种带有旋转清扫臂的新风系统管道清理机器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8742A (zh) * 2020-11-27 2021-04-02 王烨峰 一种修建地基用混凝土浇灌管道清理设备
CN114653693A (zh) * 2022-04-18 2022-06-24 常熟星科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粒子烘干筒及送料管的清洁结构及其清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53B1 (ko) * 2007-05-09 2007-11-07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노후된 관로 세관용 자주차
JP2008259975A (ja) * 2007-04-13 2008-10-30 Kubota Corp 管内面の清掃装置
KR101272137B1 (ko) 2012-10-23 2013-06-07 (주)아록이엔지 하수관내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9975A (ja) * 2007-04-13 2008-10-30 Kubota Corp 管内面の清掃装置
KR100774153B1 (ko) * 2007-05-09 2007-11-07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노후된 관로 세관용 자주차
KR101272137B1 (ko) 2012-10-23 2013-06-07 (주)아록이엔지 하수관내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5407A (zh) * 2020-03-06 2020-06-02 王心悦 一种带有旋转清扫臂的新风系统管道清理机器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310A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8521B1 (de) Reinigungsanlage
CN101130376B (zh) 步伐行走式管道清洗机器人
KR102056049B1 (ko) 대구경 수직관 클리닝장치
US20200139555A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dustrial Plants
EP3867451B1 (en) Apparatus for servicing a structure
CN104259158A (zh) 一种多功能管道机器人
JP2016145018A (ja) 船底掃除機
CN103878767B (zh) 一种水下蛇形机器人
CN201720225U (zh) 中央空调风管清扫机器人多自由度立体毛刷清扫装置
CN107413783B (zh) 一种换热管管内清洗设备
CN202682631U (zh) 一种消防水带清洗机
CN107472479B (zh) 水下钢结构表面海生物清理机器人
CN103789923B (zh) 可正反向旋转的针织机喷气除尘装置
CN203779496U (zh) 一种水下蛇形机器人
CN106000945A (zh) 除尘清洗装置
CN103878784B (zh) 一种水下蛇形机器人关节模块
CN106423654A (zh) 多自由度智能防腐涂装机器人
CN105836425A (zh) 一种生产线自动清洗设备
CN109985865A (zh) 一种管道清洗机器人的清洗作业装置
CN105057245A (zh) 瓷瓶清扫机
CN102429620A (zh) 全方位自动化洗鞋机
CN212960430U (zh) 一种用于细小管道检修的串联式爬行机器人
CN103878768B (zh) 一种蛇形搜救机器人
CN111929007B (zh) 一种活塞杆充气漏气检测系统
CN109085445B (zh) 避雷器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