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584B1 -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584B1
KR102055584B1 KR1020190047071A KR20190047071A KR102055584B1 KR 102055584 B1 KR102055584 B1 KR 102055584B1 KR 1020190047071 A KR1020190047071 A KR 1020190047071A KR 20190047071 A KR20190047071 A KR 20190047071A KR 102055584 B1 KR102055584 B1 KR 10205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mart factory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정열
Original Assignee
아이원소프트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원소프트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원소프트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 따른 제품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생산 분배를 위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대한 부품 작업 분배를 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 배송을 확인하는 제 3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하는 제 4 단계; 및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배송을 위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주소지 정보로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을 확인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5 단계의 배송 요청 전 전체 제품 일련번호 및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할 뿐만 아니라, 전체 제품 일련번호를 제품 주문 이미지 및 제품 사이즈 정보와 매칭하고, 그리고 전체 제품 일련번호의 하위 카테고리 영역에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각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조 기업이 운영하는 3D 프린팅 기반 설비뿐만 아니라, 개인도 운영 가능한 개인용 3D 프린터기 등을 활용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서 가장 최적화된 기업 설비 또는 개인 설비로 제품의 부품을 생산하여 취합하여 주문자에게는 최적의 제품의 부품을 공급하고, 설비 제공자에게는 제조 도급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DIY 기반으로 주문자가 제품의 부품을 직접 제공받아 완제품을 만들 수 있어서 각자의 취미 활동을 유익하게 하고, 설비 제공자는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없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완성된 제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경우 DB화를 통해 신속하고 정밀하게 부품 전체 또는 부품에 대한 보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mart facto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factory}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 기업이 운영하는 3D 프린팅 기반 설비뿐만 아니라, 개인도 운영 가능한 개인용 3D 프린터기 등을 활용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서 가장 최적화된 기업 설비 또는 개인 설비로 제품의 부품을 생산, 취합하여 주문자에게는 최적의 제품 또는 부품을 공급하고, 설비 제공자에게는 제조 도급 과정을 중개하도록 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업화에 따라 대량생산 방식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 것은 생산의 표준화와 컨베이어 시스템 등을 이용한 이동식 조립방법이 고안되었기 때문이다. 생산이 표준화됨으로써 작업과정이 세분화될 수 있었고, 노동이 단순한 작업동작의 반복으로 바뀌었으며 최종적으로 자동화되었다. 즉, 단순한 작업과정은 기계로 대체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대량생산 체제는 가속화되었다. 대량생산 체제로 인하여 제품단위당 제조원가를 엄청나게 싸게 할 수 있게 되었고, 제품의 표준화와 품질보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량생산 방식의 제품 공급 방식은 개인의 취향이나 특성에 맞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제조원가를 낮추고, 제품 생산의 신속성 등과 같은 기존의 대량생산 방식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주문자의 니즈(needs)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제품 생산방식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50888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Custom shoes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3D printer and 3D scann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 기업이 운영하는 3D 프린팅 기반 설비뿐만 아니라, 개인도 운영 가능한 개인용 3D 프린터기 등을 활용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 의해 판단하였을 때, 가장 최적화된 기업 설비 또는 개인 설비에 의하여, 제품의 부품을 생산 취합하여, 주문자에게는 최적의 제품의 부품을 공급하고, 설비 제공자에게는 제조 도급 과정을 중개하도록 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IY 기반으로 주문자가 제품의 부품을 직접 제공받아 완제품을 만들 수 있어서 각자의 취미 활동을 유익하게 하고, 설비 제공자는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없어 생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제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경우 DB화를 통해 신속하고 정밀하게 부품 전체 또는 일부 부품에 대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 따른 제품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생산 분배를 위해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대한 부품 작업 분배를 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하여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의 배송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주문자 단말(400)로 전송함을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배송을 위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주문자 단말(400)로 전송함을 통해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주소지 정보로의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 완료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5 단계의 배송 요청 전 전체 제품 일련번호 및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며, 전체 제품 일련번호를 제품 주문 이미지 및 제품 사이즈 정보와 매칭하고, 그리고 전체 제품 일련번호의 하위 카테고리 영역에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각 부품 주문 이미지, 부품 사이즈 정보, 및,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을 수신한 뒤,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 제품 주문 이미지, 부품 주문 이미지, 그리고, 제품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제조 기업이 운영하는 3D 프린팅 기반 설비뿐만 아니라, 개인도 운영 가능한 개인용 3D 프린터기 등을 활용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으로부터 판단하였을 때 가장 최적화된 기업 설비 또는 개인 설비에 의하여 제품의 부품을 생산 취합하여, 주문자에게는 최적의 제품의 부품을 공급하고, 설비 제공자에게는 제조 도급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DIY 기반으로 주문자가 제품의 부품을 직접 제공받아 완제품을 만들 수 있어서 각자의 취미 활동을 유익하게 하고, 설비 제공자는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없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완성된 제품에 대한 AS가 필요한 경우 DB화를 통해 신속하고 정밀하게 부품 전체 또는 일부 부품에 대한 보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1) 중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제공방법 중 주문자 생산 방식에 따른 제품 주문 및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제공방법 중 주문자 AS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이루어진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 네트워크(200),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 주문자 단말(400), 복수의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로 이루어진 제조 로봇 관리 단말 그룹(500g), 그리고 배송사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을 이루는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은 로봇 일련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사이즈의 부품을 제조한다. 이러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을 이루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은 해당 사이즈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에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을 이루는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생산 제품 규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제품 사이즈에 맞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을 이루는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과 제조 로봇 관리 단말 그룹(500g)을 이루는 각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은 한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쌍이 제조 로봇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에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와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IMEI)가 매칭되어 저장되며 관리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이루어진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 주문자 단말(400), 복수의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로 이루어진 제조 로봇 관리 단말 그룹(500g), 배송사 서버(6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400)의 제품 제조 요청에 따라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그룹(100g) 중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선택한 후 해당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생산 요청을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400)의 제품 제조 요청에 따라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생산 제품 규격 정보를 확인하여 제품 사이즈에 맞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1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1차로 추출된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생산되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생산 이미지와 부품 주문 이미지 간의 형상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의 비교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에 있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갖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에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부품이 제조시 촬영된 다양한 제품 패턴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제품 패턴 및 제품 제조 요청에서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를 비교하여 부품 생산 이미지를 갖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부품이 제조시 촬영된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성(예를 들어,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를 기초로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 후 기준 화소로 결정한다.
주문자 단말(400)은 단말식별번호(IMEI), 제품 주문 이미지, 부품 주문 이미지, 그리고 제품 사이즈 정보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제조 요청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에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1) 중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20)는 제품 주문 수집 모듈(321),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 및 제품 AS 관리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주문 수집 모듈(321)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을 수신한 뒤,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 제품 주문 이미지, 부품 주문 이미지, 그리고 제품 및 부품 사이즈 정보에 해당하는 제품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의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 및 주문자 단말(400) 사이에 질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제품 사이즈 정보는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중 해당 사이즈를 제작하는 특정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보이다. 부품 주문 이미지는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각각의 부품 생산 이미지와 비교하여 특정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생산 제품 규격 정보를 확인하여 제품 사이즈에 맞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1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1차로 추출된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생산되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생산 이미지와 부품 주문 이미지 간의 형상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의 비교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에 있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갖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할 수 있다.
부품 생산 이미지와 부품 주문 이미지 간의 형상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 범위에 대한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의 비교 수행시, 제조된 부품에 대한 촬영된 다양한 제품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이러한 다양한 부품 패턴 자체 정보 또는 해당 다양한 부품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부품의 패턴을 부품 주문 이미지와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부품의 동일 또는 유사 여부를 판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성,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고,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과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 부품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사판정에 의해 부품의 패턴이 최종적으로 확정되고, 확정된 부품의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정보 속에서 부품이 판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각각 분석한 후 화소 각각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개수가 가장 많은 화소를 기준 화소로 결정함으로써 해당 화소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기준 화소 및 다른 화소을 비교하여 화소 값이 특정 값 이내에 해당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기준 화소 및 유사범위에 해당하는 화소만을 추출한 후 기준 화소 및 유사범위 해당하는 화소의 위치를 기초로 화소가 형성하는 선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화소가 형성하는 선을 기초로 부품의 모양을 결정한 후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정보 속에서 부품이 판별된다.
만일,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중 부품의 모양에 해당하는 제품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부품의 모양의 외곽선을 이루는 화소의 값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각각의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화소간의 거리 차이가 특정 거리 이내이면 유사한 제품이라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시간단위로 분석하여 시간 별 화소 값의 변화 정보를 결정한 후, 시간 별 화소 값의 변화 정보를 기초로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를 결정하여 화소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정보 속에서 부품이 판별된다.
만일,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중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제품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시간 별 화소 값의 변화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각각의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화소의 값의 차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화소의 값의 차이가 특정 값 이하이면 유사한 제품이라고 판단한다.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은 2차로 추출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대해서 매칭되는 부품에 대한 생산 요청을 위해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은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각 부품에 대한 제조가 완료되면,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운영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에 대해서 배송사 서버(600)를 통한 배송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 배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은 제조가 완료된 부품 각각에 대한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에 대한 영상 인식 기반의 확인을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단말(400)로 각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영상 인식시 사용된 촬영 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해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반환받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만일 하나의 제조된 부품에 대해서라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부품에 대하여, 2차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추출하며, 다른 2차로 추출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배송 및 영상 확인 과정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집합(100g)에 포함된 어떠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조된 부품에 대해서도 주문자 단말(400)에 의해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문자 단말(400)로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한다.
즉,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집합(100g)을 구성하는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3D 프린팅 방식이 절삭형 또는 가공형, 그리고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주문자가 원하는 부품과의 동일 또는 유사 범위가 달라지므로, 공정 방식 및/또는 재료 타입 등에 따른 주문자의 확인을 최종적으로 받는 과정을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이 수행하는 것이다.
제품 생산 관리 모듈(323)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배송을 위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주소지 정보로 배송해 줄 것을 배송사 서버(600)로 요청하며, 배송 요청 전 전체 제품 일련번호 및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전체 제품 일련번호를 제품 주문 이미지 및 제품 사이즈 정보와 매칭하고, 그리고 전체 제품 일련번호의 하위 카테고리 영역에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각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품 AS 관리 모듈(324)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AS 요청에 따라 전체 부품 중 파손된 부품 이미지와 함께 부품 일련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파손된 부품 이미지 중 파손된 영역에 대한 영상 인식에 따라 전체 수리 또는 부분 수리 여부를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3D 프린팅 방식(적층형/절삭형, 재료 특성)에 따라 자체적으로 결정한 뒤, 전체 수리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며,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추출된 로봇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전송함으로써,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조가 완료되도록 하며,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있는 곳으로의 배송 및 영상 확인, 주문자 단말(400)이 있는 곳으로의 배송 과정을 상술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품 AS 관리 모듈(324)은 부분 수리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며,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로봇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이 있는 주소지로 파손된 부품에 대한 주문을 위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주소지 정보 및 주문자 단말(400)을 운영하는 주문자의 주소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배송사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파손된 부품이 주문자로부터 제조 로봇 관리자로 배송되도록 한다.
이후, 제품 AS 관리 모듈(324)은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관리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로부터 송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및 이를 관리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300) 각각으로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 그리고 파손된 부품 이미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제조 로봇 관리 단말(300)을 운영하는 제조 로봇 관리자의 파손된 부품 영역으로의 3D 프린팅이 덧대거나 추가로 절삭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파손된 부품에 대한 3D 프린터 작업대로의 위치 선정 및 모니터링 하에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상에서 부품 AS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 AS 관리 모듈(324)은 AS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있는 곳으로의 배송 및 영상 확인, 주문자 단말(400)이 있는 곳으로의 배송 과정을 상술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제공방법 중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주문 및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 따른 제품 주문 정보를 수집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을 수신한 뒤,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 제품 주문 이미지, 부품 주문 이미지, 그리고 제품 및 부품 사이즈 정보에 해당하는 제품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S11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생산 분배를 위해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대한 부품 작업 분배를 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단계(S110)에서의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생산 제품 규격 정보를 확인하여 제품 사이즈에 맞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1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1차로 추출된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생산되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생산 이미지와 부품 주문 이미지 간의 형상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의 비교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에 있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갖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각각 분석한 후 화소 각각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개수가 가장 많은 화소를 기준 화소로 결정함으로써 해당 화소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제품 생산 분배 모듈(322)은 기준 화소 및 다른 화소을 비교하여 화소 값이 특정 값 이내에 해당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기준 화소 및 유사범위에 해당하는 화소만을 추출한 후 기준 화소 및 유사범위 해당하는 화소의 위치를 기초로 화소가 형성하는 선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화소가 형성하는 선을 기초로 부품의 모양을 결정한 후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정보 속에서 부품이 판별된다.
만일,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중 부품의 모양에 해당하는 제품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부품의 모양의 외곽선을 이루는 화소의 값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각각의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가 특정 거리 이내이면 유사한 제품이라고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를 시간단위로 분석하여 시간 별 화소 값의 변화 정보를 결정한 후, 시간 별 화소 값의 변화 정보를 기초로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를 결정하여 화소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정보 속에서 부품이 판별된다.
만일,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중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제품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시간 별 화소 값의 변화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 패턴 각각의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화소의 값의 차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화소의 값의 차이가 특정 값 이하이면 유사한 제품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2차로 추출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대해서 매칭되는 부품에 대한 생산 요청을 위해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2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의 배송 여부를 확인한다(S130).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각 부품에 대한 제조가 완료되면,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운영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에 대해서 배송사 서버(600)를 통한 배송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의 배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S13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400)로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3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제조가 완료된 부품 각각에 대한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에 대한 영상 인식 기반의 확인을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단말(400)로 각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영상 인식시 사용된 촬영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각 제조된 부품에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해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반환받도록 하며, 만일 하나의 제조된 부품에 대해서라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부품에 대하여,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하며, 다른 2차로 추출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배송 및 영상 확인 과정을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집합(100g)에 포함된 어떠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조된 부품에 대해서도 주문자 단말(400)에 의해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문자 단말(400)로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할 수 있다.
즉,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집합(100g)을 구성하는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3D 프린팅 방식이 절삭형 또는 가공형, 그리고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주문자가 원하는 부품과의 동일 또는 유사 범위가 달라지므로, 공정 방식 및/또는 재료 타입 등에 따른 주문자의 확인을 최종적으로 받는 과정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S14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배송을 위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주소지 정보로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을 확인한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배송을 위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주소지 정보로 배송을 네트워크(200)를 통한 배송사 서버(600)로 요청하며, 배송 요청 전 전체 제품 일련번호 및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할 뿐만 아니라, 전체 제품 일련번호를 제품 주문 이미지 및 제품 사이즈 정보와 매칭하고, 그리고 전체 제품 일련번호의 하위 카테고리 영역에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각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제공방법 중 주문자 AS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AS 요청을 수신한다(S160).
단계(S16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단계(S160)에서의 AS 요청에 대해서 부품 부분 수리 여부를 판단한다(S170).
단계(S170)의 판단 결과, 부품 부분 수리가 아닌 전체 부품 수리인 경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며,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다(S180).
단계(S18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추출된 로봇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전송함으로써,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조가 완료되도록 하며,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있는 곳으로의 배송 및 영상 확인, 주문자 단말(400)이 있는 곳으로의 배송 과정에 해당하는 도 3의 단계(S130) 내지 단계(S150)를 수행한다(S190).
한편, 단계(S170)의 판단 결과 전체 부품 수리가 아닌 부품 부분 수리인 경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며,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다(S200).
단계(S20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추출된 로봇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이 있는 주소지로 파손된 부품에 대한 주문을 위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주소지 정보 및 주문자 단말(400)을 운영하는 주문자의 주소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배송사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파손된 부품이 주문자로부터 제조 로봇 관리자로 배송되도록 한다(S210).
단계(S21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관리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로부터 송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및 이를 관리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300) 각각으로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 그리고 파손된 부품 이미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S220), 제조 로봇 관리 단말(300)을 운영하는 제조 로봇 관리자의 파손된 부품 영역으로의 3D 프린팅이 덧대거나 추가로 절삭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파손된 부품에 대한 3D 프린터 작업대로의 위치 선정 및 모니터링 하에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상에서 부품 AS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S220)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는 단계(S210)에서 AS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있는 곳으로의 배송 및 영상 확인, 주문자 단말(400)이 있는 곳으로의 배송 과정에 해당하는 도 3의 단계(S130) 내지 단계(S150)를 수행한다(S2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100 :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100g :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200 : 네트워크
300 :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제품 주문 수집 모듈
322 : 제품 생산 분배 모듈
323 : 제품 생산 관리 모듈
324 : 제품 AS 관리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주문자 단말
500 : 제조 로봇 관리 단말
600 : 배송사 서버

Claims (2)

  1.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에 따른 제품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생산 분배를 위해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대한 부품 작업 분배를 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하여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의 배송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주문자 단말(400)로 전송함을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대한 배송을 위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주문자 단말(400)로 전송함을 통해 주소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주소지 정보로의 배송 요청에 따른 배송 완료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AS 요청을 수신하는 제 6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AS 요청에 대해서 부품 부분 수리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판단 결과, 부품 부분 수리가 아닌 전체 부품 수리인 경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며,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는 제 8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추출된 로봇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전송함으로써,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조가 완료되도록 하며,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있는 곳으로의 배송 및 영상 확인, 주문자 단말(400)이 있는 곳으로의 배송 과정에 해당하는 상기 제 3 단계 내지 상기 제 5 단계를 수행하는 제 9 단계;
    판단 결과, 전체 부품 수리가 아닌 부품 부분 수리인 경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로봇 일련번호 정보를 추출하며,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는 제 10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추출된 로봇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이 있는 주소지로 파손된 부품에 대한 주문을 위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주소지 정보 및 주문자 단말(400)을 운영하는 주문자의 주소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배송사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파손된 부품이 주문자로부터 제조 로봇 관리자로 배송되도록 하는 제 11 단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관리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로부터 송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된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 및 이를 관리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300) 각각으로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 그리고 파손된 부품 이미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는 제 12 단계; 및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11 단계에서 AS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있는 곳으로의 배송 및 영상 확인, 주문자 단말(400)이 있는 곳으로의 배송 과정에 해당하는 상기 제 3 단계 내지 상기 제 5 단계를 수행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며,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 5 단계의 배송 요청 전 전체 제품 일련번호 및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며, 전체 제품 일련번호를 제품 주문 이미지 및 제품 사이즈 정보와 매칭하고, 그리고 전체 제품 일련번호의 하위 카테고리 영역에 각 부품의 일련번호 정보를, 각 부품 주문 이미지, 부품 사이즈 정보, 및, 부품을 제조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일련번호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단계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생산 방식의 제품 제조 요청을 수신한 뒤,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주문자 단말(400)의 단말식별번호(IMEI), 제품 주문 이미지, 부품 주문 이미지, 그리고, 제품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제품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복수의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의 생산 제품 규격 정보를 확인하여 제품 사이즈에 맞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1차적으로 추출하고,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1차로 추출된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생산되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부품 생산 이미지와 부품 주문 이미지 간의 형상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의 비교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에 있는 부품 생산 이미지를 갖는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품 제조 요청에 포함된 각 부품에 대한 제조가 완료되면, 각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운영하는 제조 로봇 관리 단말(500)에 대해서 배송사 서버(600)를 통한 배송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소지로의 배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제조가 완료된 부품 각각에 대한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에 대한 영상 인식 기반의 확인을 통해 동일 또는 유사 범위인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자 단말(400)로 각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영상 인식시 사용된 촬영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스마트 팩토리 제공 서버(300)가 각 제조된 부품에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해 주문자 단말(400)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반환받도록 하며, 만일 하나의 제조된 부품에 대해서라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부품에 대하여,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을 2차로 추출하며, 다른 2차로 추출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으로, 제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부품 주문 이미지 및 부품 사이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 부품에 대한 배송 및 영상 확인 과정을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 집합(100g)에 포함된 어떠한 3D 프린팅 타입 제조 로봇(100)에 의해 제조된 부품에 대해서도 주문자 단말(400)에 의해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문자 단말(400)로 전체 제품 주문 반려 또는 제조되지 못한 부품 주문 반려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통해서 주문자 단말(400)의 응답에 따라 전체 제품 주문 반려 처리 또는 일부 부품 주문 반려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제공방법.
  2. 삭제
KR1020190047071A 2019-04-23 2019-04-23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5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71A KR102055584B1 (ko) 2019-04-23 2019-04-23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71A KR102055584B1 (ko) 2019-04-23 2019-04-23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84B1 true KR102055584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71A KR102055584B1 (ko) 2019-04-23 2019-04-23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213A (ko) 2019-12-23 2021-07-01 이현규 제조업체 풀 기반 공유 생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0635A (ja) * 2013-11-08 2017-01-05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ンデマンドでの3d製造を介するアイテム配送のためのベンダ・インタフェース
KR20170087584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 제품 생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813983B1 (ko) * 2017-02-13 2018-01-30 황명숙 제품 조립 참관 및 주문자 피드백 요청 기반의 산업 로봇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0635A (ja) * 2013-11-08 2017-01-05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ンデマンドでの3d製造を介するアイテム配送のためのベンダ・インタフェース
KR20170087584A (ko) * 2016-01-20 2017-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객 맞춤 제품 생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813983B1 (ko) * 2017-02-13 2018-01-30 황명숙 제품 조립 참관 및 주문자 피드백 요청 기반의 산업 로봇 자동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50888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Custom shoes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3D printer and 3D scan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213A (ko) 2019-12-23 2021-07-01 이현규 제조업체 풀 기반 공유 생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39608B (zh) 用于产生在不同域间使用的唯一用户身份的装置和方法
CN103606085B (zh) 一种下发售后服务数据的方法及服务器
CN109889469B (zh) 短信验证方法、装置、存储介质、短信验证系统及终端
CN106537377A (zh) 一种基于云架构的售后服务平台
CN112732703B (zh) 元数据处理方法、元数据处理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5989135A (zh) 搜索结果的获取方法及装置
KR102055584B1 (ko)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2613948A (zh) 一种基于严选策略的商品推送管理方法
US201402958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eripheral devices
CN104574116A (zh) 基于电子地图的在线服务方法和装置
US20110088101A1 (en) Information exchange/share system, method and program thereof
CN101211443A (zh) 一种获取运费信息的方法及系统
US20100318563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ntents
CN101938383A (zh) 多种业务的用户账号在线监控方法、系统与监控服务系统
CN106557557A (zh) 基于配置项优先级的cmdb调和方法及装置
US99878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a product using a digital fabrication unit
KR102402549B1 (ko) 차량 파손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화하는 온라인 주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15563212A (zh) 云链协同下供应链数据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A2964690A1 (en) Geospatial location verification
KR101906119B1 (ko) 금속 와이어 공급 시스템 및 공급 방법
CN104111768A (zh) 可交互窗口及自定义、引用、同步可交互窗口的方法和系统
US20110264763A1 (en) Method for retrieving object from device management client and associated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3686232A (zh) 资源地址的处理方法、装置、认证服务器和智能电视
EP3177044A2 (en) Information querying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device to device relay gateway system and controller
CN111178818B (zh) 基于移动端的油库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