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178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78B1
KR102055178B1 KR1020130123896A KR20130123896A KR102055178B1 KR 102055178 B1 KR102055178 B1 KR 102055178B1 KR 1020130123896 A KR1020130123896 A KR 1020130123896A KR 20130123896 A KR20130123896 A KR 20130123896A KR 102055178 B1 KR102055178 B1 KR 10205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network
terminal
base station
private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621A (ko
Inventor
김태근
김영락
김문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 또는 특정 지역 또는 지자체 단위로, 자신만을 위한 사설망(Private Network)을 구축하여 기업 내 또는 특정 지역 내 또는 지자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들 만을 위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경마장, 보험회사 등과 같이 법적으로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이 금지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을 꺼리는 사업기관의 경우는, 데이터가 외부망(예 : 코어망, 인터넷망 등)을 경유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며 사설망 구축에 대한 요구가 더 높을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펨토기지국을 그 대상으로 하여 단말 및 사업기관 간의 데이터를 오프로딩(Offloading)시켜 사설망을 구축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LIPA기술, 매크로기지국을 그 대상으로 하여 단말 및 사업기관 간의 데이터를 오프로딩시켜 사설망을 구축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SIPTO 기술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LIPA기술의 경우는, 펨토기지국의 특성 상 코어망과 연동하기 위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장치를 거쳐 데이터가 오프로딩 된다. 결국, LIPA기술의 경우는, 펨토기지국 단이 아닌 코어망 단에서 데이터가 오프로딩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업기관의 요구를 완전히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SIPTO기술의 경우는, 코어망 상에 위치한 서빙게이트웨이장치(S-GW)를 거쳐 데이터가 오프로딩 된다. 결국, SIPTO기술의 경우 역시, 매크로기지국 단이 아닌 코어망 단에서 데이터가 오프로딩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업기관의 요구를 완전히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단에서 데이터를 오프로딩 시킴으로써,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업기관(사설장치)에 대해서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코어망에서는,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단말에 대하여, 액티브(Active)상태가 아닌 단말에 불필요한 자원이 할당된 것으로 인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을 해제시킨다.
즉, 코어망은,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 연결을 위해 단말 및 기지국 사이의 할당된 자원과 기지국 및 코어망 사이의 할당된 자원 모두를 해제시켜, 단말 및 코어망 간 연결된 세션을 해제시키는 것이다.
헌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단에서 데이터를 오프로딩 시켜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환경을 제공한다면, 코어망 입장에서는,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해서,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경우 기존과 같이 세션을 해제시킬 것이다.
이 경우, 단말은, 사설장치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어망에 의해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어, 기지국과의 연결도 해제되어 사설장치와의 통신 역시 끊어지게 되는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에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부; 상기 코어망 경유 없이, 상기 단말 및 특정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는 사설전송제어부; 상기 코어망에 의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결정부; 및 상기 결정한 특정 시점에,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코어망에 의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단계; 상기 코어망 경유 없이, 상기 단말 및 특정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는 사설전송제어단계; 상기 코어망에 의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결정단계; 및 상기 결정한 특정 시점에,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코어망에 의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환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데이터 오프로딩 시키는 과정의 IP헤더 변경의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에서는 단말(1),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코어망(2)이 포함된다.
단말(1)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코어망(2)과의 세션이 연결된다. 이때, 단말(1)에 대한 코어망 IP할당, 사용자 인증 및 허용 절차는 기존의 코어망(2) 세션 연결 절차대로 진행될 것이다.
이에,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코어망(2)을 거쳐 목적지에 해당하는 일반장치(예 : 제1장치(1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목적지에 해당하는 특정 사설장치(예 : 제2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장치(10)는,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사업기관의 일반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며, 예컨대 포털서비스 또는 쇼핑몰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장치(20)는,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는 프라이빗(Private)한 사업기관의 사설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며, 예컨대 경마장, 보험회사 등의 사내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장치(20) 및 사설장치(20)를 혼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코어망(2)은, 특정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단말의 호 즉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코어망(2)을 공용 LTE 네트워크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자신에 접속된 단말(1)에 대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노드로서, 예컨대 LTE 기지국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 및 일반장치 즉 제1장치(1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코어망(2)을 경유하여 송수신되도록 하고, 단말(1) 및 사설장치 즉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제2장치(2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코어망(2) 경유 없이 송수신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를 기지국장치(100)에서 오프로딩 시킴으로써, 코어망(2)의 어떠한 노드도 거치지 않을 수 있게 하여, 기존 코어망(2)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보안성 높은 사설망(이하, 프라이빗 LTE 네크워크라 함)을 구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이끌어 낸다.
한편, 코어망(2)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단말에 대하여, 액티브(Active)상태가 아닌 단말에 불필요한 자원이 할당된 것으로 인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을 해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망(2) 예컨대 코어망(2) 내 특정 장비에서는, 세션 연결된 각 단말 중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하, 제2시간이라 함)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단말(예 : 단말(1))이 있다면, 해당 단말(1)에 대해서는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해제시킨다.
즉, 코어망(2) 내의 특정 장비는, 단말(1) 및 코어망(20) 간의 세션 연결을 위해 단말(1) 및 기지국장치(100) 사이의 할당된 자원과 기지국장치(100) 및 코어망(2) 사이의 할당된 자원 모두를 해제시켜, 단말(1) 및 코어망(2) 간 연결된 세션을 해제시키는 것이다.
헌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장치(100) 단에서 데이터를 오프로딩 시켜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코어망(2) 입장에서는 사설장치(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1)에 대해서,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가 일정 시간 즉 제2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경우, 기존과 같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해제시킬 것이다.
이 경우, 단말(1)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한 사설장치(20)와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어, 기지국장치(100)와의 연결도 해제되어 사설장치(20)와의 통신 서비스 역시 끊어지게 되는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사설장치(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부(150)와, 코어망(2) 경유 없이, 단말(1) 및 특정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는 사설전송제어부(130)와,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결정부(160)와, 상기 결정한 특정 시점에,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사설장치는,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는 프라이빗(Private)한 사업기관의 사설장치를 의미하며, 전술의 제2장치(20)인 것으로 설명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장치(20) 및 사설장치(20)를 혼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110), 패킷전송부(120), IP할당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션연결부(150)는,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연결한다.
즉, 세션연결부(150)는, 코어망(2)으로의 접속 시도되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과 연동하여 단말(1)에 대한 코어망 IP할당, 사용자 인증 및 허용 절차, 자원 할당 등 기존의 코어망(2) 세션 연결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판단부(110)는,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 즉 제2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단부(110)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목적지IP가 사설장치(20)의 IP 또는 사설장치(20)로의 전송을 위해 기지국장치(100)에 별도로 할당된 특정 IP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100)에는, 코어망(2) 즉 공용 LTE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프라이빗 LTE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기 등록된 프라이빗(Private)한 여러 사업기관의 각 사설장치에 대한 IP리스트가 관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2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에는,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20)로 오프로딩시킨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특정 IP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사업기관A에서 배포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설망 즉 프라이빗 LTE 네트워크 이용을 위해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1)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하, 프라이빗 통신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을 실행하여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와의 통신서비스 이용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단말(1)에서 실행된 프라이빗 통신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의 단말번호(예 : IMSI)를 기지국장치(100)로 전달하여, 기지국장치(100)로 하여금 단말(1)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의 단말번호(예 : IMSI)를 기초로 단말(1)이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 즉 제2장치(20)에 접속을 허용하도록 기 등록된 단말이 아니면, 단말(1)로 접속 불가 메시지를 보내고 단말(1)로부터의 통신서비스 이용 시도를 무시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 즉 제2장치(20)에 접속을 허용하도록 기 등록된 단말이면,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에 대해서 판단부(110)로 하여금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1)의 프라이빗 통신 어플리케이션에서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하면, 판단부(110)는,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판단부(110)는, 단말(1)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를 리드하여 소스IP 및 목적지IP를 확인한다.
이에, 판단부(110)는, 각 사설장치에 대한 IP리스트를 기초로,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목적지IP가 IP리스트에 포함된 사설장치의 IP 예컨대 사설장치(20)의 IP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110)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목적지IP가 사설장치(20)로의 전송을 위해 기지국장치(100)에 별도로 할당된 특정 IP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패킷전송부(120)는, 판단부(110)의 판단 결과,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가 아닌 다른 장치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기존과 같이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코어망(2)을 거쳐 제1장치(1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설장치(20)가 아닌 다른 장치는,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사업기관의 일반장치를 의미하며, 전술의 제1장치(10)인 것으로 설명하겠다.
즉, 패킷전송부(120)는, 판단부(110)의 판단 결과,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가 아닌 다른 장치 예컨대 제1장치(10)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해당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기존과 같이 GTP 터널을 통해 기 지정된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코어망(2)을 거쳐 제1장치(10)로 전송되도록 한다.
물론, 패킷전송부(120)는, 기존과 같이 코어망(2)을 거쳐 제1장치(10)로부터 단말(1)을 목적지로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이를 단말(1)로 송신할 것이다.
즉, 패킷전송부(120)는, 단말(1) 및 일반장치 즉 제1장치(1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코어망(2)을 경유하여 송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코어망(2) 경유 없이,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판단부(110)의 판단 결과,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해당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사설장치(20)로 전송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부터 단말(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 인증되는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단말(1)로 송신한다.
다시 말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단말(1) 및 사설장치(20) 즉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코어망(2) 경유 없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즉 사설전송제어부(120)에서 코어망(2) 경우 없이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장치(100)는, IP할당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P할당부(140)는,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전송한 단말(1)에 대하여, 사설장치(20)와 관련된 사설망 IP를 할당한다.
사설전송제어부(130)는, 판단부(110)의 판단 결과,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업링크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소스IP 및 목적지IP를 저장한다.
이에,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사설장치(20)로 전송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 각각에 대하여 소스IP 및 목적지IP를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보유함으로써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 내 소스IP는 단말(1)의 코어망 IP일 것이고, 목적지IP는 사설장치(20)의 IP 또는 기지국장치(100)에 별도로 할당된 기지국장치(100)의 특정 IP일 것이다.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목적지IP가 사설장치(20)의 IP인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에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헤더를 제거한 후,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에서 소스IP 내 단말(1)의 코어망 IP를 단말(1)의 사설망 IP로 변경하여, 사설장치(20)와의 전용선을 통해 사설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목적지IP가 기지국장치(100)의 특정 IP인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에서 PDCP헤더를 제거한 후,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에서 소스IP 내 단말(1)의 코어망 IP를 단말(1)의 사설망 IP로 변경하고 목적지IP 내 기지국장치(100)의 특정 IP를 사설장치(20)의 IP로 변경하여, 사설장치(20)와의 전용선을 통해 사설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에서 오프로딩 시킨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 내 소스IP 및 목적지IP가 변경되어 코어망(1) 경유 없이 PDCP SDU(Service Data UnitT) 형태로 사설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 내 소스IP 및 목적지IP와 관련하여 IP만을 언급하고 있지만, 소스IP 및 목적지IP 내에는 단말(1)의 포트정보 및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의 카테고리(예 : 마권 구입)에 따른 사설장치(20)의 포트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것이다.
한편,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부터 단말(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적인 데이터패킷인지 인증한다.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 인증되는 경우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소스IP 및 목적지IP와 매칭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소스IP 및 목적지IP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사설장치(20)로 전송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 각각에 대하여 소스IP 및 목적지IP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사설전송제어부(130)는,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부터 단말(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를 리드하여 소스IP 및 목적지IP를 확인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부터 단말(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 내 소스IP는 사설장치(20)의 IP일 것이고, 목적지IP는 단말(1)의 사설망 IP일 것이다.
그리고, 사설전송제어부(130)는, 기 저장/관리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소스IP 및 목적지IP를 기초로,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로부터 확인되는 소스IP 및 목적지IP와 매칭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소스IP 및 목적지IP가 기 저장되어 있으면,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적인 데이터패킷인 것으로 정상 인증할 수 있다.
이에, 사설전송제어부(130)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 인증된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 인증되지 않은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삭제(폐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목적지IP가 사설장치(20)의 IP인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에서 IP헤더의 목적지IP 내 단말(1)의 사설망 IP를 단말(1)의 코어망 IP로 변경하고, PDCP SDU 형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에 PDCP헤더를 추가하여 PDCP PDU(Protocol Data Unit) 형태로, 단말(1)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패킷의 목적지IP가 기지국장치(100)의 특정 IP인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설전송제어부(130)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에서 IP헤더의 목적지IP 내 단말(1)의 사설망 IP를 단말(1)의 코어망 IP로 변경하고 소스IP 내 사설장치(20)의 IP를 기지국장치(100)의 특정 IP로 변경하고, PDCP SDU 형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에 PDCP헤더를 추가하여 PDCP PDU 형태로, 단말(1)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망(1) 경유 없이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 내 소스IP 및 목적지IP가 변경되어 단말(1)로 송신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 내 소스IP 및 목적지IP와 관련하여 IP만을 언급하고 있지만, 소스IP 및 목적지IP 내에는 단말(1)에서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카테고리(예 : 마권 구입)에 따른 사설장치(1)의 포트정보 및 단말(1)의 포트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것이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판단부(110) 및 사설전송제어부(130)에서 업링크 데이터패킷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를 리드하는 구성은, 리드 프로세싱의 오버로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업링크 데이터패킷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의 IP헤더를 리드하기 위한 구성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기지국장치(100) 내 별도 구비하거나 또는 기지국장치(100) 외부에 별도 구비할 수도 있다.
결국, 사업기관A의 입장에서는, 기지국장치(100)를 코어망(1)을 경유하지 않는 자신만의 사설망 예컨대 프라이빗 LTE 네트워크의 노드로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갖기 때문에, 자신만의 사설망을 별도 구축한 것과 같은 만족도를 느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 및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업기관(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를 기지국장치에서 오프로딩 시킴으로써,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2)의 어떠한 노드도 거치지 않을 수 있게 하여, 기존 코어망(2)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보안성 높은 사설망 즉 프라이빗 LTE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이끌어 낸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망(2)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가 일정 시간 즉 제2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단말에 대하여, 액티브(Active)상태가 아닌 단말에 불필요한 자원이 할당된 것으로 인지하여 단말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해제시킨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1)은,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사설장치(20)와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사설장치(20)와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단말(1)에 대하여,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우선, 시점결정부(160)는,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특정 시점은,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제1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1시간은, 전술의 제2시간 보다 짧은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망(2) 예컨대 코어망(2) 내 특정 장비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는 단말(1)에 대하여,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이하, 코어 타이머라 함)를 작동시켜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제2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해제시킬 것이다.
따라서, 시점결정부(160)는,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 즉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전술의 제2시간 보다 짧은 제1시간이 경과되는 특정 시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시점결정부(160)는, 제1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이하, 세션해제방지 타이머라 함)을 작동시켜,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제1시간이 경과되는 특정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세션연결제어부(170)는, 시점결정부(160)에서 결정한 특정 시점에,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특정 메시지는, 코어망(2)에서 2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 즉 전술의 코어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 경우라면, 코어망(2) 예컨대 코어망(2) 내 특정 장비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중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특정 메시지에 의해 코어 타이머가 리셋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단말(1)이 액티브상태인 것으로 인지하여 단말(1)과의 세션을 해제시키는 일이 없을 것이다.
한편, 특정 메시지는, 특정 단말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를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요청하는 핸드오버관련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관련메시지에서, 특정 단말은 단말(1)이고, 소스기지국 및 타겟기지국은 기지국장치(100)일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단말이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절차에서, 단말의 접속이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전환되어 타겟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타겟기지국은 단말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예 : 코어망-소스기지국-단말)을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여 변경(예 : 코어망-타겟기지국-단말)하도록 요청하는 핸드오버관련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핸드오버관련메시지는,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는, 기지국장치(100)에서 코어망(2) 제어 없이 주도적으로 코어망(2)으로 올릴 수 있는 메시지이다.
이때, 타겟기지국이 코어망(2)으로 전송하는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에는, 단말 정보, 이전 세션 연결 경로와 관련된 소스기지국 정보, 스위칭 요청할 세션 연결 경로와 관련된 타겟기지국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세션연결제어부(170)는, 이러한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를 활용하여, 코어망(1)에서 단말(1)이 액티브상태인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결과를 얻고자 한다.
즉, 세션연결제어부(170)는, 시점결정부(160)에서 결정한 특정 시점에, 특정 메시지, 즉 단말(1) 정보, 소스기지국 정보로서 기지국장치(100) 자신의 정보, 타겟기지국 정보로서 기지국장치(100) 자신의 정보를 포함한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코어망(2)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중 기지국장치(100)로부터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1)이 액티브상태이기 때문에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코어망(2)에서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중 기지국장치(100)로부터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1)이 액티브상태인 것으로 인지(간주)하고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에 따라서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예 : 코어망(1)-소스기지국으로서의 기지국장치(100)-단말(1))을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여 변경(예 : 코어망(1)-타겟기지국으로서의 기지국장치(100)-단말(1))하거나 또는 코어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단말(1)과의 세션을 해제시키는 일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세션연결제어부(170)는, 단말(1)에 대하여, 전술과 같이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 후,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전술의 세션해제방지 타이머에 의한 제1시간이 또 다시 경과되어 특정 시점이 결정되면, 전술과 같이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또 전송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사설장치(20)와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여 코어망(2) 경유 없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1)에 대해서,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세션해제방지 타이머에 의한 제1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판단부(110), IP할당부(140), 사설전송제어부(130), 시점결정부(160) 및 세션연결제어부(170)를 구비한 별도의 장치(예 : 프라이빗 연동 장치)를 구성하고, 이러한 프라이빗 연동 장치 및 기지국장치 간 연동을 통해서 전술과 같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와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1)은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S10).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패킷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특정 사설장치 예컨대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기지국장치(100)는, S20단계의 판단 결과,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가 아닌 다른 장치 예컨대 제1장치(10)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해당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기존과 같이 GTP 터널을 통해 기 지정된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S25),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코어망(2)을 거쳐 제1장치(10)로 수신되도록 한다(S30).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S20단계의 판단 결과,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사설장치(20)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 해당 업링크 데이터패킷을 사설장치(20)로 전송하여(S40), 업링크 데이터패킷이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 수신되도록 한다(S50).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코어망(2)을 거치지 않고 사설장치(20)로부터 단말(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S60),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 인증되지 않는 경우(S70 No)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삭제(폐기)하고(S90),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이 정상 인증되는 경우(S70 Yes) 다운링크 데이터패킷을 단말(1)로 송신한다(S80).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 및 사설장치(20) 즉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코어망(2) 경유 없이 송수신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1)은,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사설장치(20)와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한편, 코어망(2) 예컨대 코어망(2) 내 특정 장비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제2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으면(S130), 기지국장치(100)로 세션 해제를 명령하여(S140), 단말(1) 및 기지국장치(100) 사이의 할당된 자원과 기지국장치(100) 및 코어망(2) 사이의 할당된 자원 모두를 해제시켜(S150,S160), 단말(1) 및 코어망(2) 간 연결된 세션을 해제시킬 것이다.
이하에서는, 사설장치(20)와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단말(1)에 대하여,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S10~S80단계를 통해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을 코어망(1)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세션해제방지 타이머를 작동시켜,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제1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기지국장치(100)는, 제1시간이 경과되면(S100 Yes), 제1시간이 경과되는 특정 시점에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다(S105).
이에, 코어망(2)은, 특정 메시지에 따라서, 단말(1)에 대하여 2시간을 카운팅하는 코어 타이머를 리셋시키거나 또는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를 스위칭함으로써(S110), 결과적으로 전술의 S130단계를 수행하는 않을 것이고, 단말(1)과의 세션을 해제시키는 일이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연결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코어망(2)으로의 접속 시도되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과 연동하여 단말(1)에 대한 코어망 IP할당, 사용자 인증 및 허용 절차, 자원 할당 등 기존의 코어망(2) 세션 연결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 및 일반장치 즉 제1장치(1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코어망(2)을 경유하여 송수신되도록 한다(S2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 및 사설장치(20) 즉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업기관A의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코어망(2) 경유 없이 송수신되도록 한다(S22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1)은,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사설장치(20)와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S210~S220단계를 통해 단말(1) 및 사설장치(20) 간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을 코어망(1)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세션해제방지 타이머를 작동시켜, 단말(1)에 대하여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제1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제1시간이 경과되면(S230 Yes), 제1시간이 경과되는 특정 시점에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다(S240).
예를 들면, 특정 메시지는, 특정 단말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를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요청하는 핸드오버관련메시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단말이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절차에서, 단말의 접속이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전환되어 타겟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타겟기지국은 단말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예 : 코어망-소스기지국-단말)을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여 변경(예 : 코어망-타겟기지국-단말)하도록 요청하는 핸드오버관련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핸드오버관련메시지는,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러한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를 활용하여, 코어망(1)에서 단말(1)이 액티브상태인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결과를 얻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30단계에서 결정한 특정 시점에, 특정 메시지, 즉 단말(1) 정보, 소스기지국 정보로서 기지국장치(100) 자신의 정보, 타겟기지국 정보로서 기지국장치(100) 자신의 정보를 포함한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다(S240).
이 경우 코어망(2)에서는, 코어망(2)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중 기지국장치(100)로부터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단말(1)이 액티브상태이기 때문에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코어망(2)에서는, 단말(1)에 대하여 코어 타이머를 작동시켜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중 기지국장치(100)로부터 핸드오버관련메시지 즉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1)이 액티브상태인 것으로 인지(간주)하고 Path Switching Request 메시지에 따라서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 연결 경로(예 : 코어망(1)-소스기지국으로서의 기지국장치(100)-단말(1))을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여 변경(예 : 코어망(1)-타겟기지국으로서의 기지국장치(100)-단말(1))하거나 또는 코어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단말(1)과의 세션을 해제시키는 일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 대하여, 전술과 같이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한 후,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전술의 세션해제방지 타이머에 의한 제1시간이 또 다시 경과되어 특정 시점이 결정되면, 전술과 같이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또 전송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사설장치(20)와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여 코어망(2) 경유 없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1)에 대해서, 코어망(2)으로 전송하거나 코어망(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세션해제방지 타이머에 의한 제1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특정 메시지를 코어망(2)으로 전송하여, 코어망(2)에 의해 단말(1) 및 코어망(2) 간의 세션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 및 내부 데이터의 외부 노출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업기관(사설장치) 간의 데이터를 기지국장치에서 오프로딩 시킴으로써,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의 어떠한 노드도 거치지 않을 수 있게 하여, 기존 코어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보안성 높은 사설망을 구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이끌어 낸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 및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코어망 경유 없이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설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있으나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없는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판단부 120 : 패킷전송부
130 : 사설전송제어부 140 : IP할당부
150 : 세션연결부 160 : 시점결정부
170 : 세션연결제어부

Claims (7)

  1.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부;
    상기 코어망 경유 없이, 상기 단말 및 특정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는 사설전송제어부;
    상기 특정 사설장치와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있으나 상기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코어망에 의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결정부; 및
    상기 결정한 특정 시점에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세션연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코어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제1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은,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제2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을 해제시키며,
    상기 제1시간이 상기 제2시간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은,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이 제2시간이 경과되도록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을 해제시키며,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2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특정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 연결 경로를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요청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이며,
    상기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에서,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단말이고, 상기 소스기지국 및 상기 타겟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단말 및 코어망 간의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단계;
    상기 코어망 경유 없이, 상기 단말 및 특정 사설장치 간의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는 사설전송제어단계;
    상기 특정 사설장치와의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있으나 상기 코어망을 경유하는 데이터패킷 송수신은 없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코어망에 의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이 해제되기 이전의 특정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결정단계; 및
    상기 결정한 특정 시점에 상기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유도하는 특정 메시지를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세션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특정 단말 및 상기 코어망 간의 세션 연결 경로를 소스기지국에서 타겟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요청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이며,
    상기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에서,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단말이고, 상기 소스기지국 및 상기 타겟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123896A 2013-10-17 2013-10-1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5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96A KR102055178B1 (ko) 2013-10-17 2013-10-1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96A KR102055178B1 (ko) 2013-10-17 2013-10-1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21A KR20150044621A (ko) 2015-04-27
KR102055178B1 true KR102055178B1 (ko) 2020-01-22

Family

ID=5303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896A KR102055178B1 (ko) 2013-10-17 2013-10-17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03B1 (ko) * 2007-08-30 2009-0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브이 오 아이피 네트워크의 호 설정 시스템 및 호 설정방법
JP5313119B2 (ja) * 2009-12-02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902B1 (ko) * 2008-08-29 2011-02-15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기지국 제어기간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31531B1 (ko) * 2009-01-08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로컬 패킷 데이터 망 접속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03B1 (ko) * 2007-08-30 2009-0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브이 오 아이피 네트워크의 호 설정 시스템 및 호 설정방법
JP5313119B2 (ja) * 2009-12-02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21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262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ments to network slicing and the policy framework of a 5g network
KR102250738B1 (ko) Epc에서의 원활한 ue 이전
JP6727341B2 (ja) 通信制御方法および関連するネットワーク要素
US20210058771A1 (en) Key gener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AU2018409096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536020B1 (ko) 다중 액세스에 걸쳐 트래픽을 분할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팅 디바이스
CN109246708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KR1020171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분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233510A1 (zh) 通信方法及装置
US20190260857A1 (en) Data Packet Processing Method,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And User Plane Network Element
WO201919600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carrying out small data fast path communication
US20220303763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485032B2 (en) Providing a network gateway for user devices
JP6128116B2 (ja) 通信端末、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5916B2 (ja) 通信挙動の解析が可能な情報処理装置、移動端末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2068771A1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06304160B (zh) 承载创建、基站切换处理方法及装置
WO2017166314A1 (zh) 一种接入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2055178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US201403781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low mobility in a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KR102039583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US11394702B2 (en) Authentication system when authentication is not functioning
KR101790192B1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53167B1 (ko) 다중 경로 전송 시스템, 그리고 이의 다중 경로 전송 방법
CN110663261B (zh) 通信设备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