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701B1 -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701B1
KR102054701B1 KR1020170160865A KR20170160865A KR102054701B1 KR 102054701 B1 KR102054701 B1 KR 102054701B1 KR 1020170160865 A KR1020170160865 A KR 1020170160865A KR 20170160865 A KR20170160865 A KR 20170160865A KR 102054701 B1 KR102054701 B1 KR 10205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otary
stage
diffus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953A (ko
Inventor
정광화
김중곤
이동준
이상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6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7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2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회전하는 담체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키고 회전식 산기날개 노즐에 의해 폭기 및 산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식 담체기기; 하부면이 개구부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가 배치된 반응조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 및 회전식 담체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구조물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하여 거치시키는 담체기기 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Description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Aerator attached to the rotating vertical axis}
본 발명은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방법에 있어서 활성 슬러지 처리방법은 가장 보편화된 하수처리방법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최종 침전조로부터 유입오수량의 20∼40%의 활성슬러지를 폭기조로 반송하여 유입 오수와 활성슬러지를 혼합하고 최종 침전조에서 슬러지를 분리시켜 상등수를 방류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침전성이 좋은 활성슬러지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BOD부하에 대응하는 MLSS의 조정과 활성슬러지의 질과 폭기 시간에 좌우되는 흡착작용과 산화작용의 균형 슬러지 및 급기량의 조절에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시설의 대규모의 시설에서나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다.
접촉산화법은 활성슬러지 공정의 단점을 보완하여 폭기조 내에 접촉재를 충전하여 하수를 담체의 표면에 생성된 생물막과 순환 접촉시키면서 하수 중의 유기물을 미생물의 분해작용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써, 고농도 미생물을 접촉재에 부착시킬 수 있어 유입수의 유기물과 수리학적 부하변동에 강하며 반송슬러지가 불필요하므로 운전관리가 용이하고 슬러지는 적게 발생하지만 폭기조 내의 매체를 균일하게 폭기 교반하는 조건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폭기방식에는 물을 공기 중에 살포하는 방식과 수중에 공기를 들여보내는 방식이 있다. 호기성 미생물을 주체로 하는 활성슬러지를 활성화하거나, 그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충분한 용존산소가 공급되어야 한다. 폭기장치에는 산기식(기포식)과 표면포기식 등이 있는데 산기식 폭기장치는 공기를 물 속에 공급시키는 동시에 폭기조를 혼합시킨다.
이러한 산기식은 폭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기포 상태로 만들어 오니 속에 분산시키게 된다. 다공질인 세라믹(석영 모래나 탄화규소 입자를 성형, 소결한 것)제 산기판이나 산기관, 또는 노즐 상태의 구멍을 설치한 송기관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폭기조에는 충분한 용존산소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장치의 고장 등 기반 여건의 변동으로 산소 공급이 충분치 못하여 폭기조 내의 전체 미생물이 부패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보조적으로 산기장치가 필요한 산업 현장에서 기 이용하고 있는 기존 폭기조의 토목구조 변경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폭기장치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소규모 축산 농가에서 오 폐수 처리시설에 간편하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모듈식 산기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 기술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187972 Y1호에 게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187972 Y1호
본 발명은 기존 폭기조에서 구조물의 변경 없이 보조 폭기장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모듈식으로 형성된 수직 회전축 부착 산기형 담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규모 축산농가에서 발생되는 오 폐수에 대한 수처리 시설에서 이동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직 회전축 부착 산기형 담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회전하는 담체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키고 회전식 산기날개 노즐에 의해 폭기 및 산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식 담체기기; 하부면이 개구부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가 배치된 반응조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 및 회전식 담체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구조물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하여 거치시키는 담체기기 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상기 담체기기 거치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아링부에 의해 장착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내부에 장착되며 중심부에 제2공기 공급부가 형성된 제2회전축; 상기 제1, 2 회전축의 상단부에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2 회전축에 제1, 2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장치;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 상부 측과 로타리조인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2공기 공급부 및 상기 제1, 2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기 공급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제1단 담체들을 수납하는 제1단 담체수납부; 상기 제1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1단 담체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단 담체수납부를 회전시키는 제1단 담체지지부; 상기 제1단 담체지지부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며, 제2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제2단 담체들을 수납하는 제2단 담체수납부; 및 상기 제1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2단 담체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단 담체수납부를 회전시키는 제2단 담체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상기 제2단 담체지지부의 하부공간으로 연장된 상기 제2회전축의 종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산기날개 노즐 측으로 공급하는 하부 산기부; 및 상기 하부 산기부의 하부의 양단에 비틀림각으로 꼬아진 구조로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산기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수중으로 산기시키는 상기 산기날개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수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장착가이드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회전표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 부착물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물 제거부는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회전표면과 접촉하는 제거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가 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제거브러시가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원통면 상을 긁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기기에서 담체기기 거치부에 제1회전축의 베아링부에 축에 결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전송되는 무게측정 정보로부터, 상기 담채의 표면에 이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에서 상기 제1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는 진공압 측정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압 측정관은 진공펌프와 연결된 진공압 측정게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는 휴지 시에 상기 공기 주입관을 잠근 상태에서, 상기 진공압 측정게이지로부터 전송되는 진공압 측정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진공압 측정정보로부터 상기 담채의 표면에 이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이동 설치가 가능한 소규모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기 이용하고 있는 기존 폭기조에 토목구조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과 공기 주입에 의한 폭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듈식으로 형성되어 소규모 축산 농가에서 폭기장치가 필요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기존의 수처리 폭기장치 장치에 구조물에 대한 변경이 없이 설치가 용이하여 기존의 포기장치에서 부족한 폭기설비의 보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기존 수처리 시설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로부터 원통면에 형성된 기공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수중에 미세한 기포로 공기를 주입하여 넓은 비표면적으로 산소전달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식 산기날개 노즐에 의해 수조 내의 교반 기능과 발생된 기포를 부서지게 하여 미세하게 산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설치가 간단하고 폭기 기능까지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에 의하여, 축산농가를 비롯한 각종 처리시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에서 회전식 담체기기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담체는 고체의 내부 또는 표면에 다수의 작은 공극(空隙)을 갖는 형태를 다공성(多孔性)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은 공극으로 이어진 담체를 수조에 담그고 공기를 불어넣으면 작은 기포의 형태로 수중에 공기가 공급되는데, 미세한 기포로 공기를 주입하면 넓은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산소전달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하는 담체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키고 회전식 산기날개 노즐에 의해 폭기 및 산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식 담체기기; 하부면이 개구부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회전식 담체기기가 배치된 반응조 모듈 하우징(91); 및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91) 및 회전식 담체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구조물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하여 거치시키는 담체기기 거치부(101); 를 포함한다.
상기 담체기기 거치부(101)는 사용장소의 토목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기기 거치부(101)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담체 교체나 정비가 필요할 경우 반응조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에서 회전식 담체기기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상기 담체기기 거치부(10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아링부에 의해 장착되는 제1회전축(21) 및 상기 제1회전축(22) 내부에 장착되며 중심부에 제2공기 공급부(202)가 형성된 제2회전축(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2 회전축의 상단부에 구동모터(25)와 연결되어 상기 제1, 2 회전축에 제1, 2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장치(24)와 상기 제1회전축(21) 및 상기 제2회전축(22) 상부 측과 로타리조인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축(22) 내부의 공기공급관으로 형성된 제2공기 공급부(202) 및 제1, 2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기공급부(201)에 블로워 장치(미 도시됨)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반응조 모듈 하우징(91) 상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 격벽(17)에 의해 분할되어 제1단 담체(10-1)들을 수납하는 제1단 담체수납부(15); 제1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1단 담체 수납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단 담체수납부를 회전시키는 제1단 담체지지부(19-1); 및 상기 제1단 담체지지부(19-1)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며, 제2단의 격벽(17)에 의해 분할되어 제2단 담체(10-2)들을 수납하는 제2단 담체수납부(15-2); 상기 제1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2단 담체 수납부(15-2)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단 담체수납부(15-2)를 회전시키는 제2단 담체지지부(19-2);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상기 제2단 담체지지부(19-2)의 하부공간으로 연장된 상기 제2회전축의 종단에 장착되며, 제2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축 내부의 제2 공기공급부(202)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산기날개 측으로 공급하는 하부 산기부(31); 상기 하부 산기부(31)의 하부의 양단에 비틀림각으로 꼬아진 구조로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산기부(31)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수중으로 산기시키는 산기날개 노즐(32)을 포함한다.
상기 산기날개 노즐(32)은 공급된 공기를 미세하게 기포화되도록 중간부에 비틀림 각을 가진 다수의 산기날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축(21)에서 상기 제1단 담체수납부 및 제2단 담체수납부의 높이에 해당하는 수직구간의 원통면 상에는 각각 상기 제1단 담체수납부 및 제2단 담체수납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축(21)은 저속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21)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담체는 제1회전축(21)의 원통면에 형성된 기공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면서 제1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저속으로 회전을 하여 반응조 모듈 하우징 내에서 수중에 미세한 기포로 공기를 주입하여 넓은 비표면적으로 산소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산기날개 노즐(32)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된 공기를 산기시키는 동작에 의해, 공기방울이 크게 형성된 것을 미세하게 부수어지도록 하며, 아래로 흐르는 햐향류를 생성하여 산소공급이 차단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반응조 모듈 하우징(91)으로부터 연장된 장착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회전표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 부착물 제거부(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착물 제거부(41)는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회전표면과 접촉하는 제거브러시를 포함하며, 반응조 모듈 하우징(9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가 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제거브러시가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원통면 상을 긁어줌으로써, 담체표면에 부착된 침전물이나, 미생물이 증착되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기기에서 담체기기 거치부(101)에 제1회전축의 베아링부에 축에 결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무게측정부(2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미 도시됨)는 상기 무게측정부(27)에서 전송되는 무게측정 정보로부터, 담채의 표면에 이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담체의 이상에 대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즉,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는 무게측정정보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으로 무게가 변화하였을 경우에는 담체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용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기기에서 상기 제1 공기 공급부(201)와 연결되는 진공압 측정관(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압 측정관(62)은 진공펌프(미 도시됨)와 연결된 진공압 측정게이지(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미 도시됨)는 휴지 시에 상기 공기 주입관(30)을 잠근 상태에서 상기 진공압 측정게이지(61)로부터 진공압 측정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전송되는 진공압 측정정보로부터, 담채 표면에 이물질 및 미생물 등으로부터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담체의 이상 여부에 대하여 알림정보를 출력한다.
즉,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진공압 측정정보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으로 진공압이 상승되도록 변화하였을 경우에는 담체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용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기기의 제1 회전축 상단에 형성된 견인고리(9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기기의 담체 교체나 정비가 필요할 경우 기중장치(미 도시됨)로 견인고리(95)로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를 들어올려서 현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할 경우 지상에서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상기 견인 고리(95)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91)을 분리한 다음, 제1단 담체수납부 및 제2단 담체수납부에서 각 격벽(17)에 의해 구분된 공간에 조각 케익 형태의 담체들을 용이하게 탈, 부착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이동 설치가 가능한 소규모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기 이용하고 있는 기존 폭기조에 토목구조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과 공기 주입에 의한 폭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모듈식으로 형성되어 소규모 축산 농가에서 폭기장치가 필요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기존의 수처리 폭기장치 장치에 구조물에 대한 변경이 없이 설치가 용이하여 기존의 포기장치에서 부족한 폭기설비의 보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기존 수처리 시설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로부터 원통면에 형성된 기공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수중에 미세한 기포로 공기를 주입하여 넓은 비표면적으로 산소전달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식 산기날개 노즐에 의해 수조 내의 교반 기능과 발생된 기포를 부서지게 하여 미세하게 산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설치가 간단하고 폭기 기능까지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에 의하여, 축산농가를 비롯한 각종 처리시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15-1, 150-1: 담체수납부
17: 격벽
19-1, 19-2: 담체지지부
21: 제1회전축
22: 제2회전축
24: 감속기어장치
25: 구동모터
27: 무게측정부
31: 하부산기부
32: 산기날개 노즐(
41: 부착물 제거부
91: 반응조 모듈 하우징
101: 담체기기 거치부
201: 제1공기 공급부
202: 제2공기 공급부

Claims (8)

  1. 회전하는 담체에 의해 공기를 배출시키고 회전식 산기날개 노즐에 의해 폭기 및 산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식 담체기기;
    하부면이 개구부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가 배치된 반응조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 및 회전식 담체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구조물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하여 거치시키는 담체기기 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상기 담체기기 거치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아링부에 의해 장착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내부에 장착되며 중심부에 제2공기 공급부가 형성된 제2회전축;
    상기 제1, 2 회전축의 상단부에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2 회전축에 제1, 2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장치;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 상부 측과 로타리조인트로 연결되며, 상기 제2공기 공급부 및 상기 제1, 2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기 공급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며, 제1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제1단 담체들을 수납하는 제1단 담체수납부;
    상기 제1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1단 담체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단 담체수납부를 회전시키는 제1단 담체지지부;
    상기 제1단 담체지지부의 하부공간에 배치되며, 제2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제2단 담체들을 수납하는 제2단 담체수납부; 및
    상기 제1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제2단 담체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단 담체수납부를 회전시키는 제2단 담체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는,
    상기 제2단 담체지지부의 하부공간으로 연장된 상기 제2회전축의 종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산기날개 노즐 측으로 공급하는 하부 산기부; 및
    상기 하부 산기부의 하부의 양단에 비틀림각으로 꼬아진 구조로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산기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수중으로 산기시키는 상기 산기날개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수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상기 반응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장착가이드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회전표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 부착물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제거부는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회전표면과 접촉하는 제거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가 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제거브러시가 제1단 담체 및 제2단 담체의 원통면 상을 긁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회전식 담체기기에서 담체기기 거치부에 제1회전축의 베아링부에 축에 결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전송되는 무게측정 정보로부터, 상기 담체의 표면에 이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는, 상기 회전식 담체기기에서 상기 제1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는 진공압 측정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압 측정관은 진공펌프와 연결된 진공압 측정게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의 제어부는 휴지 시에 상기 공기 주입관을 잠근 상태에서, 상기 진공압 측정게이지로부터 전송되는 진공압 측정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진공압 측정정보로부터 상기 담체의 표면에 이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막힘 정도를 판단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KR1020170160865A 2017-11-28 2017-11-28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KR10205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65A KR102054701B1 (ko) 2017-11-28 2017-11-28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65A KR102054701B1 (ko) 2017-11-28 2017-11-28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53A KR20190061953A (ko) 2019-06-05
KR102054701B1 true KR102054701B1 (ko) 2020-01-22

Family

ID=6684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865A KR102054701B1 (ko) 2017-11-28 2017-11-28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7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512B2 (ja) * 1991-08-22 2000-03-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ベツド
JP2007190486A (ja) * 2006-01-19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水処理装置
KR101114524B1 (ko) * 2011-07-13 2012-02-27 덕인환경주식회사 공기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879B2 (ja) * 1994-09-14 2004-06-14 株式会社エイブル 好気性微生物処理装置
JP3019512U (ja) * 1995-06-16 1995-12-19 三山産業株式会社 攪拌接触水処理装置
JPH10128357A (ja) * 1996-10-30 1998-05-19 Mitsubishi Materials Corp 池水等の微生物利用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3045478B2 (ja) * 1996-11-28 2000-05-29 株式会社リュウビ 養魚用汚水ろ過装置および浄化装置
KR200187972Y1 (ko) 1999-12-04 2000-07-15 조원태 하수처리설비의 회전식 담체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512B2 (ja) * 1991-08-22 2000-03-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ベツド
JP2007190486A (ja) * 2006-01-19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水処理装置
KR101114524B1 (ko) * 2011-07-13 2012-02-27 덕인환경주식회사 공기공급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1951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53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9021B2 (ja) 汚水処理装置
JP2012529989A (ja) 懸濁システムを含む懸濁媒体膜生物学的反応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941949B1 (ko) 부유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에스비알 공법의 하수 또는 폐수 처리장치 및 반응조의 제어방법
US6572774B2 (en)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with integral clarifier
US10550022B2 (en) Sewage/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granular activated sludge and membrane bio-reactor and sewage/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6071998B2 (ja) 微生物反応槽
KR102054701B1 (ko)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FI61019B (fi) Biologiskt filter foer behandling av biologiskt nedbrytbara avfallsprodukter innehaollande vaetska och anvaendande av detsamma till rening av avfallsvatten
KR200385782Y1 (ko) 고농도 슬러지 수집 및 교반장치
JP7016623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RU20609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8892233B (zh) 一种污水处理池的机械式曝气搅拌装置及其工作方法
KR100469327B1 (ko) 공기자흡,간헐포기,탈취,교반기능이 구비된 수중포기장치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09347A (ko) 부하변동에 대하여 효과적인 고도처리가 가능한 막 생물반응장치
JP5490491B2 (ja) 汚水処理装置
CN211770515U (zh) 一种污水处理sbr池总氮超低排放装置
CN209906555U (zh) 一种好氧提标过滤装置
KR101461592B1 (ko) 난류날개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CN109019905B (zh) 一种基于曝气控制的水处理系统
SU9317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997446B1 (ko) 미세 기포발생기 및 그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시설
CN205556142U (zh) 一种新型高效气浮装置
WO2021131485A1 (ja) 微生物反応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