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31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318B1
KR102054318B1 KR1020130088796A KR20130088796A KR102054318B1 KR 102054318 B1 KR102054318 B1 KR 102054318B1 KR 1020130088796 A KR1020130088796 A KR 1020130088796A KR 20130088796 A KR20130088796 A KR 20130088796A KR 102054318 B1 KR102054318 B1 KR 10205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very signal
terminal
rescan
resource reg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791A (ko
Inventor
오진영
곽용준
정경인
지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318B1/ko
Priority to US14/907,487 priority patent/US9949106B2/en
Priority to PCT/KR2014/006763 priority patent/WO2015012621A1/ko
Publication of KR2015001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발견 신호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송신 자원상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단말은 기지국과의 시그널링을 통해 D2D 통신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할당 받고 주기적으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발견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scanning radio resource of discovery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과 무선 셀룰라 통신 기술이 혼재되어 사용되는 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을 발견하기 위해 전송하는 발견 신호를 송, 수신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주기적으로 재탐색하는 단말 동작, 그리고 그에 상응하여 단말에게 발견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자원을 할당 및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 방법 및 이들의 장치에 대한 것이다.
단말 대 단말 (Device to Device, 이하 D2D) 통신은 임의의 단말이 해당 단말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단말들이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기존의 통신방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할 수 있고, 인접 거리에 위치한 D2D 단말들간의 주파수 재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무선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D2D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이 자신의 주위에 있는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획득된 단말들의 정보를 활용한 광고 서비스,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등의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기대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D2D 통신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이 주위의 단말들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견 신호 송, 수신 방법,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등의 다양한 기술적인 논의가 현재 진행 중이다.
도 1은 셀룰라 시스템 안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 기지국(101)은 기지국(101)의 신호 전송 범위인 셀 (102) 내에 위치하는 단말 103, 단말 104, 및 단말 105를 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3은 기지국(101)과 107의 단말-기지국 간 링크를 이용하여 셀룰라 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단말 104는 기지국(101)과 108의 단말-기지국 간 링크를 이용하여 셀룰라 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단말 105는 기지국(101)과 109의 단말-기지국 간 링크를 이용하여 셀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 103과 단말 104가 D2D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말 103과 단말 104는 기지국(101)을 통하지 않고 단말 대 단말 링크(106)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서로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만일, 단말 103과 단말 104가 D2D간 링크(106)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할 경우 사용되는 무선 자원과, 단말 105와 기지국(101)간의 109 링크에서 사용하는 무선 자원이 동일 할 경우, 상호 간섭의 영향으로 올바른 셀룰라 및 D2D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만일 D2D 통신이 LTE 시스템과 같은 셀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올바른 셀룰라 통신 및 D2D 통신을 위해 상기와 같이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들은 기존의 셀룰라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들이 사용하는 자원들과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D2D 통신을 위해 전송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D2D 통신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 발견 신호의 전송을 위한 할당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주기적으로 재탐색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발견 신호 자원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발견 신호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송신 자원상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신호 송수신을 하는 단말은 기지국 및 다른 단말과 신호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발견 신호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송신 자원상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신호 송수신 지원 방법은 단말로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발견 신호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발견 신호는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 D2D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발견 신호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발견 신호는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단말은 기지국과의 시그널링을 통해 D2D 통신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할당 받고 주기적으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발견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1은 셀룰라 시스템 안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D2D 통신이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의 무선 자원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D2D 동작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단말이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재탐색을 수행하는 재탐색 동작을 단말 1 관점에서 설명한 도면,
도 6은 기지국이 단말에 D2D 영역 정보 및 재탐색 주기 정보를 알려 주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 정보를 수신 받은 후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단말이 발견 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재탐색을 수행하는 재탐색 동작을 단말1 관점에서 설명한 도면,
도 9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 정보를 수신 받은 후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기지국이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변경하였을 경우, 기지국 및 단말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수신 받은 후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단말이 발견 신호로부터 주변 단말 정보 변화를 판단 한 후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D2D 통신이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에 대한 무선 자원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에서 역방향(uplink)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 중에서, 시간 축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s) 집합 201 내의 일부분을 D2D 통신용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즉, 202와 같은 서브프레임들(cellular subframes)은 셀룰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을 위하여 할당되고, 203과 같은 서브프레임들(D2D subframes)은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을 위하여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은 하나 혹은 복수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의 양은 주파수 축, 또는 시간 축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D2D 서브프레임들은 일정 주기(Tdiscovery) 마다 반복적으로 할당 될 수 있다. 또한 D2D 서브프레임들은 주기에 상관 없이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할당될 수도 있다.
LTE 시스템과 같은 셀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D2D 통신 기술은 기본적으로 단말의 발견 (discovery) 동작과 단말 간 직접 통신 (Direct communication) 동작으로 구분된다. 단말의 발견 동작은 단말이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다른 단말들이 전송하는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단말의 발견 동작은 도 3과 같다.
도 3은 D2D 동작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01)은 기지국으로(302)로부터 D2D 발견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할 전체 무선 자원(이하, D2D 자원 또는 발견 신호 자원이라 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정보는 기지국(302)이 자신의 셀 영역 전체에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하여 단말(301)을 포함하는 셀 내의 D2D 단말들에게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하여 단말(301)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301)이 이미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303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 303에서 할당되는 자원 영역은 기지국(302)이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302)은 단말(301)이 전송하는 발견 신호의 강도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의 크기 및 주기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 단말(301)은 304단계에서 도2의 204와 같은 모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하여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이때 단말(301)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하여 수신 신호 세기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301)은 305단계에서 측정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수신 신호 크기를 비교하여,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작은 발견 신호 자원을 선택하여 306단계를 통해 자신의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단말(301)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단말(301)의 발견 신호 송신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다른 단말들이 전송하는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306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을 시작하는 오프셋은 단말(301)의 설정 또는 기지국(302)이 단말(301)에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 될 수 있다.
도 4은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발견 신호 송수신 절차를 설명하면, D2D 통신을 시작하는 단말은 401과 같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하여 수신 전력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어 단말은 측정된 수신 신호의 강도를 기반으로 결정된 자원을 사용하여 발견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작은 자원(402)을 선택하여 발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발견 신호 전송 주기(Tdiscovery) 이후에서 상기 선택한 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자신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서는 동시에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서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402 자원을 포함한 404 자원 영역에서는 단말은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단말이 402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 또는 이후로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송신에서 수신, 또는 수신에서 송신상태로 전환하는데 일정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 수신간 전환시간은 없다고 가정하였으나, 상기 도4의 404 영역으로 표현한 발견 신호 수신 불가 영역은 상기 송, 수신 전환으로 인해 발견 신호를 수신 할 수 없는 구간까지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402 및 404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 403 영역에서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단말은 자신이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및 송, 수신을 전환하는 시간 동안에는 다른 단말들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 동안에는 해당 발견 자원들에 대한 채널품질 및 간섭 등과 같은 자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단말이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중에서 수신 신호의 크기가 가장 작은 자원을 선택하여 해당 기지국의 발견 신호 전송 주기에 따라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하였을 경우에, 인접 기지국의 변화 또는 다른 인접 단말들의 이동에 따라 할당된 자원에 대한 간섭이 커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내에 D2D를 사용하는 단말의 수가 변함으로써 기지국이 할당하는 발견 신호 자원의 양이 변화할 수 있고, 자신과 동일한 자원을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의 수가 증가하거나, 동일한 자원을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단말이 점점 근접하여 이동할 경우, 해당 자원을 통한 발견 신호의 전송은 올바르게 동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단말은 주기적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측정 등의 재탐색 동작을 수행하여 발견 신호 자원을 재할당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실시예 1]
기지국은 자신의 셀 영역 전체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을 지시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 (Trescan)를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재탐색을 시작하는 오프셋 값을 단말에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탐색 주기는 기지국이 설정한 발견 신호 전송 주기(Tdiscovery)의 양의 정수배(Trescan = kTdiscovery, k ≥1)로 표현 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한 단말은 임의로 하나의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거나, 단말의 이동상태(mobility state)를 기준으로 재탐색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외에 단말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재탐색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사전에 정의 된 재탐색 주기를 알고 있을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없이도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이 측정시간 (TCRmax), 임계 값 1(NCR _M), 및 임계 값 2(NCR_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상태 측정 변수 값을 SIB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한다. 이때, 이동상태 측정 변수 값을 수신 받은 단말은 상기 변수 값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들은 측정시간(TCRmax) 시간 동안 단말이 이동하며 선택한 셀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측정시간 동안 단말이 이동하며 선택한 셀의 수가 임계 값1 (NCR _M) 보다 크고 임계 값2 (NCR _H) 보다 작을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를 medium-mobility state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주어진 측정시간 동안 단말이 이동하며 선택한 셀의 수가 임계 값2 보다 클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를 high-mobility state로 판단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를 normal-mobility state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의 이동상태가 high-mobility state일 경우, 무선 채널의 변화가 normal-mobility state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즉, high-mobility state 단말의 경우, 가장 최근의 발견 신호 전송 시에 사용된 발견 신호 자원과 현재의 발견 신호 자원과의 상관도는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시 말해, 단말이 기지국이 할당한 발견 신호 영역 중에서 가장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자원을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 선택하였을 경우라도, high-mobility state 단말의 경우, 다음 발견 신호 송신 주기에서의 해당 자원의 수신 신호 크기는 이전과 전혀 다른 상태로 변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high-mobility state 단말의 경우 normal-mobility state 단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견 자원 영역 재탐색이 필요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IB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 중에서 자신의 이동 상태에 따라서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 주기를 선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한 단말이, 자신의 이동 상태를 high-mobility state로 판단 하였을 경우, 수신 주기 중 가장 짧은 주기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표 1과 같은 이동 상태에 따른 재탐색 주기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였을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표 1과 같은 이동상태에 따른 재탐색 주기 값들이 사전에 정의 되어 있을 경우, 기지국으로부터의 재탐색 주기 수신 없이 단말은 자신의 이동 상태를 파악한 후, 이동상태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선택 할 수 있다.
Mobility state Period
Normal-mobility state Trescan _ normal
Medium-mobility state Trescan _ medium
High-mobility state Trescan _ high
표 1은 단말의 이동상태에 따른 재탐색 주기를 나타낸 표이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상태가 동일한 복수개의 단말들은 서로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만일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갖는 복수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발견 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재탐색 동작을 수행 할 경우, 상기 단말들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전력 크기와 같은 정보를 올바르게 측정 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들의 재탐색 동작 시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단말 고유의 재탐색 오프셋 (offset) 설정이 필요하다.
재탐색 오프셋(offset)은 단말 식별 번호와 같은 단말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고유의 값으로 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선택하거나 할당 받은 재탐색 주기(Trescan)와 단말 식별 번호(UE_ID)와의 modulo 연산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할 수 있다, (x = UE_ID mod Trescan).
또한 실시 예에 다라 재탐색 오프셋 값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도 결정 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오프셋 값에 따라 재탐색 주기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 식별 번호, 즉 UE_ID로는 단말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ID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이 단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 혹은 사업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면서 받게 되는 ID, 즉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Packet-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식별 번호뿐만 아니라 단말 고유의 값을 갖는 다른 정보를 이용 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 할 수 있다.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한 단말은 상기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에 따라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면 재탐색 오프셋 이후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단말이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재탐색을 수행하는 재탐색 동작을 단말 1 관점에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UE1)과 단말2(UE2)는 D2D 서브프레임 506에서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별도의 재탐색 오프셋이 없다면 단말1과 단말2가 동시에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단말1의 재탐색 오프셋은 1 (x=1), 단말2의 재탐색 오프셋이 2 (x=2)로 설정되었다면, 단말 1은 D2D 서브프레임 507에서 재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2는 재탐색 오프셋에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발견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 2는 D2D 서브프레임 508에서 재탐색을 수행하고, 단말 1은 재탐색 동작 후 결정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즉, 재탐색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가진 단말들이 동시에 재탐색을 수행하는 확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가 돌아오면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에 따라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재탐색 동작을 단말1(UE1) 관점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들이 결정된 단말들은 기지국의 발견 신호 자원 주기(Tdiscovery)에 따라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즉, 단말1은 D2D용 서브프레임 506에서 자신의 재탐색 주기에 도달하였으나, 기 설정 된 재탐색 오프셋에 따라 D2D용 서브프레임 506에서는 재탐색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발견 신호 자원(501)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1은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501 및 50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502) 에서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한다.
이어 단말1이 D2D용 서브프레임 507에서와 같이 자신의 재탐색 오프셋 값에 도달하면, 단말1은 D2D용 서브프레임 507에서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504 영역과 같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전체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1은 발견 신호 자원 일부에 대해서만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재탐색을 수행한 상기 단말1은 도3의 단계 304와 같이 각 자원 영역의 수신 신호 크기를 측정 할 수 있다. 이어 단말1은 측정된 수신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1은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낮은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수신 신호 세기가 낮은 순서로 사전에 정의된 개수만큼 발견 신호 전송 자원 후보를 선택한 후, 선택 된 자원들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은 별도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 없이 임의로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1은 자신의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 단말1은 발견 신호 자원 주기에 따라 D2D 서브프레임 508에서 새롭게 선택된 발견 신호 자원(505)을 이용하여 자신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서 다른 단말들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1은 505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하며 D2D 서브프레임 509 및 510에서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매 발견 신호 전송 주기마다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은 논리적인 무선 자원을 표현한 것이며, 상기 논리적인 무선 자원은 일정한 규칙에 의해 실제 무선 자원과 연결 될 수 있다. 따라서, 매 발견 신호 전송 주기마다 논리적인 무선 자원을 변경 되거나 변경 되지 않아도 실제 단말이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은 매 발견 신호 전송 주기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때 논리적인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실제 사용 되는 무선 자원을 알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이 단말에 D2D 영역 정보 및 재탐색 주기 정보를 알려 주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D2D를 수행하는 단말(601)이 속한 기지국(602)은 SIB 정보에 D2D 영역 정보 및 D2D 영역 재탐색 주기를 포함하여 기지국(602)이 관장하는 모든 영역의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단말(601)은 603단계에서 기지국(602)으로부터 D2D 영역 정보 및 D2D 영역 재탐색 주기가 포함된 SIB를 수신할 수 있다.
604 단계에서 단말(601)은 D2D 자원 영역 및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판단한다.
이어 단말(601)은 605 단계에서 재탐색 주기를 판단한다.
이후 D2D 영역 재탐색 주기를 선택한 단말(601)은 606단계에서 선택된 재탐색 주기 값 및 단말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재탐색 오프셋을 결정한다.
이후, 단계 607에서 단말(601)은 발견 신호를 송, 수신하고, 단계 605 및 606에서 선택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발견 자원 영역 재탐색을 수행한다.
도 7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 정보를 수신 받은 후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에 대한 정보를 701 단계에서 수신 받는다.
만일 단계 702를 통해 단말이 수신 받은 재탐색 주기의 수가 1개로 판단 되면, 단계 703에서 단계 701에서 수신 받은 재탐색 주기를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로 설정한다.
만일, 단계 702에서 단말이 단계 701에서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받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704를 이용하여 재탐색 주기를 선택한다.
단계 703 또는 단계 704에서 선택된 재탐색 주기 및 단말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 705에서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이후 단계 706에서 단말은 단계 703, 704및 705를 통해 결정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한다.
[실시예 2]
기지국은 자신의 셀 영역 전체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을 지시하거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 (Trescan)를 전달 할 수 있다. 여기서 재탐색 주기는 기지국이 설정한 발견 신호 전송 주기(Tdiscovery)의 양의 정수배(Trescan = kTdiscovery, k ≥1)로 표현 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한 단말은 임의로 하나의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거나, 단말의 이동상태(mobility state)를 기준으로 재탐색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외에 단말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재탐색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사전에 정의 된 재탐색 주기를 알고 있을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없이도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이 측정시간 (TCRmax), 임계 값 1(NCR _M), 및 임계 값 2(NCR_H) 등의 이동상태 측정 변수 값을 SIB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한다. 이때, 이동상태 측정 변수 값을 수신 받은 단말은 상기 변수 값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값들은 측정시간(TCRmax) 시간 동안 단말이 이동하며 선택한 셀의 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측정시간 동안 단말이 이동하며 선택한 셀의 수가 임계 값1 (NCR _M) 보다 크고 임계 값2 (NCR _H) 보다 작을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를 medium-mobility state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주어진 측정시간 동안 단말이 이동하며 선택한 셀의 수가 임계 값2 보다 클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를 high-mobility state로 판단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를 normal-mobility state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의 이동상태가 high-mobility state일 경우, 무선 채널의 변화가 normal-mobility state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즉, high-mobility state 단말의 경우, 가장 최근의 발견 신호 전송시에 사용된 발견 신호 자원과 현재의 발견 신호 자원과의 상관도는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시 말해, 단말이 기지국이 할당한 발견 신호 영역 중에서 가장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자원을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으로 선택하였을 경우라도, high-mobility state 단말의 경우, 다음 발견 신호 송신 주기에서의 해당 자원의 수신 신호 크기는 이전과 전혀 다른 상태로 변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high-mobility state 단말의 경우 normal-mobility state 단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견 자원 영역 재탐색이 필요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IB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 중에서 자신의 이동 상태에 따라서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 주기를 선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한 단말이, 자신의 이동 상태를 high-mobility state로 판단 하였을 경우, 수신 주기 중 가장 짧은 주기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상기 실시예 1의 표1과 같은 이동 상태에 따른 재탐색 주기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였을 경우, 단말은 자신의 이동상태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상기 실시예 1의 표 1과 같은 이동상태에 따른 재탐색 주기 값들이 사전에 정의 되어 있을 경우, 기지국으로부터의 재탐색 주기 수신 없이 단말은 자신의 이동 상태를 파악한 후, 이동상태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선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상태가 동일한 복수개의 단말들은 서로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만일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갖는 복수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발견 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재탐색 동작을 수행 할 경우, 상기 단말들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전력 크기와 같은 정보를 올바르게 측정 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들의 재탐색 동작 시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단말 고유의 재탐색 오프셋 (offset) 설정이 필요하다.
재탐색 오프셋(offset)은 단말 식별 번호와 같은 단말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고유의 값으로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선택하거나 할당 받은 재탐색 주기(Trescan)와 단말 식별 번호(UE_ID)와의 modulo 연산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할 수 있다, (x = UE_ID mod Trescan).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 식별 번호, 즉 UE_ID로는 단말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ID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이 단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 혹은 사업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면서 받게 되는 ID, 즉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Packet-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식별 번호뿐만 아니라 단말 고유의 값을 갖는 다른 정보를 이용 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 할 수 있다.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한 단말은 상기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에 따라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면 재탐색 오프셋 이후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도 8은 단말이 발견 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재탐색을 수행하는 재탐색 동작을 단말1 관점에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UE1)과 단말2(UE2)는 D2D 서브프레임 806에서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별도의 재탐색 오프셋이 없다면 단말1과 단말2가 동시에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단말1의 재탐색 오프셋은 1 (x=1), 단말2의 재탐색 오프셋이 2 (x=2)로 설정되었다면, 단말 1은 D2D 서브프레임 807에서 재탐색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2는 기 발견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 2는 D2D 서브프레임 808에서 재탐색을 수행하고, 이때 단말 1은 재탐색 동작 후 결정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즉, 상기의 재탐색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가진 단말들이 동시에 재탐색을 수행하는 확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Trescan)가 돌아오면 실시 예 1과 달리 D2D 서브프레임 807에서와 같이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재탐색 동작을 단말1(UE1)관점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들이 결정된 단말들은 기지국의 발견 신호 자원 주기(Tdiscovery)에 따라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즉, 단말1은 D2D용 서브프레임 806에서 자신의 재탐색 주기에 도달하였으나, 기 설정 된 재탐색 오프셋에 따라 D2D용 서브프레임 806에서는 재탐색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발견 신호 자원(801)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1은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801 및 80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802) 에서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한다. 이어 단말1이 D2D용 서브프레임 807에서와 같이 자신의 재탐색 오프셋 값에 도달하면, 단말은 D2D용 서브프레임 807에서 실시예 1과 달리 D2D용 서브프레임 806에서 사용하던 자원을 계속 이용하여 발견 신호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1은 804 영역과 같은 발견 신호 수신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1은 발견 신호 수신 자원 영역 중 일부에 대해서만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재탐색을 수행한 상기 단말1은 도3의 단계 304와 같이 각 자원 영역의 수신 신호 크기를 측정 할 수 있다. 이어 단말1은 측정된 수신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1은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낮은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거나, 수신 신호 세기가 낮은 순서로 사전에 정의된 개수만큼 발견 신호 전송 자원 후보를 선택한 후, 선택 된 자원들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은 별도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 없이 임의로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1은 자신의 발견 신호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 단말1은 발견 신호 자원 주기에 따라 D2D 서브프레임 808에서 새롭게 선택된 발견 신호 자원(805)을 이용하여 자신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서 다른 단말들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1은 805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하며 D2D 서브프레임 809 및 810에서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에 따라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발견 신호 자원을 전송을 유지하고 발견 신호 수신 영역에 대하여 재탐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발견 신호 전송에 대한 지연 시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실시예 1보다 주변 단말에게 발견 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에서 매 발견 신호 전송 주기마다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은 논리적인 무선 자원을 표현한 것이며, 상기 논리적인 무선 자원은 일정한 규칙에 의해 실제 무선 자원과 연결 될 수 있다. 따라서, 매 발견 신호 전송 주기마다 논리적인 무선 자원을 변경 되거나 변경 되지 않아도 실제 무선 자원은 매 발견 신호 전송 주기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때 논리적인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실제 사용 되는 무선 자원을 알 수 있다.
도 9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 정보를 수신 받은 후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에 대한 정보를 901 단계에서 수신 받는다.
만일 단계 902를 통해 단말이 수신 받은 재탐색 주기의 수가 1개로 판단 되면, 단계 903에서 단계 901에서 수신 받은 재탐색 주기를 단말의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로 설정한다.
만일, 단계 902에서 단말이 단계 901에서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받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904를 이용하여 임의로 하나의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거나, 사전에 정의 된 방식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선택한다.
이후 단말은 단계 903 또는 904에서 선택된 재탐색 주기 및 단말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 905에서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이후 단계 906에서 단말은 단계 903및 904를 통하거나 단계 905를 통해 결정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이전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하던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발견 신호 자원 수신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한다.
[실시예 3]
단말은 기지국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변화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판단 할 수 있다. 기지국은 불필요한 발견 신호 자원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셀 영역에 위치하는 D2D 단말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D2D를 위해 할당된 자원의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의 영역을 변화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의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이 변화하였을 경우, 단말들은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 후, 새로운 자원 영역에 단말의 발견 신호를 송, 수신 할 수 있다.
LTE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망에서 기지국에 대한 단말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연결 상태(CONNECTED MODE)와 비연결 상태 (IDLE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연결 상태의 단말은 기지국과 순방향과 역방향의 동기를 맺은 상태로 순방향 및 역방향 전송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반면 비연결 상태의 단말은 더 이상 데이터 송, 수신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로, 기지국과 순방향 동기만을 유지하며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수신하는 상태이다.
이때, 기지국은 연결 상태(connected mode)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의 양을 판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요청하거나 수행하고 있는 단말의 수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을 결정 할 수 있다. 즉, 만일 D2D 통신을 요청하거나 수행하고 있는 단말의 수가 줄어들었을 경우, 기 할당했던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을 주파수 또는 시간 축으로 감소시켜 불필요한 자원의 사용을 방지 할 수 있다. 반대로, D2D 통신을 요청하거나 수행하고 있는 단말의 수가 증가하였을 경우,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을 주파수 또는 시간 축으로 증가시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D2D 신호 전송을 위한 자원의 양 전체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비연결 상태(idle mode)의 단말들을 포함하여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의 양을 판단 할 수 있다.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측정된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현재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수신 전력 크기를 측정하고,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단말의 수를 예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신 전력 값이 커지게 되면 발견 신호 자원의 영역을 주파수 또는 시간 축으로 증가시키고, 수신 전력 값이 작아지게 되면 발견 신호 자원의 영역을 주파수 또는 시간 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이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 변경된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SIB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자신의 셀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의 변화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 수신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정보와 기지국이 최근에 전달한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기지국이 전달한 신호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변경되었다고 판단 될 경우, 단말은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바로 다음 발견 신호 전송 시점 또는 기 선택된 재탐색 주기를 이용하여 변화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 선택한 재탐색 주기를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따라서 변경하여 변화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 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단말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영역보다 줄어들었을 경우, 상기 줄어든 영역에서 발견 신호 전송을 수행하던 단말은 더 이상 발견 신호를 전송할 자원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바로 다음 발견 신호 전송 시점에서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변화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단말이 복수개의 재탐색 주기를 수신 받은 경우, 가장 짧은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여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단말에게 발견 자원 영역 변경을 전달 한 후, 사전에 정의 된 시간(Tchange) 이후에 실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을 변경할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사전에 정의 한 시간(Tchange) 이내의 발견 신호 전송 영역 중에서 발견 신호 전송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이 사전에 정의 한 시간(Tchange) 이전의 발견 신호 전송 시간 중에서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여 재탐색을 수행하거나, 실시예 1및 실시예 2에서 단말의 재탐색 오프셋을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발견 자원 영역 전환 시간(Tchange)과 단말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의 재탐색 오프셋을 설정하여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x = UE_ID mod Tchange). 이때, 기지국의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전환 시간(Tchange)은 기지국의 SIB에 포함될 수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 식별 번호, 즉 UE_ID로는 단말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ID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이 단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 혹은 사업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면서 받게 되는 ID, 즉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Packet-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식별 번호뿐만 아니라 단말 고유의 값을 갖는 다른 정보를 이용 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단말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영역보다 줄어들었을 경우, 상기 줄어든 영역에서 발견 신호 전송을 수행하던 단말은 더 이상 발견 신호를 전송할 자원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실시예 2와 같이 발견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재탐색을 실시할 수 없다. 즉, 상기 단말은 실시예 1과 같이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이 변경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에 포함되어 별도의 발견 신호 전송 자원 변경 없이 전송 가능한 단말의 경우, 별도의 발견 자원 영역 재탐색 수행 없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을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기 선택 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재탐색을 수행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경된 자원 영역에서 발견 신호 전송을 수행하던 단말만이 발견 신호 영역의 재탐색 대상이 됨으로써 불필요한 재탐색을 줄이고, 단말들간의 재탐색 충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단말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영역보다 증가하였을 경우, 상기 증가한 영역을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 단말들은 변경된 발견 신호 전송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단말들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같이 기 설정 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재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빠르게 변화된 발견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단말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영역보다 증가하였을 경우, 바로 다음 발견 자원 주기에서 재탐색을 수행하거나, 기 설정 된 재탐색 주기를 변화시켜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재탐색 주기는 단말 임의의 비율로 줄이거나, 기지국이 SIB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재탐색 주기 변화량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 할당 된 발견 자원 영역과 변경된 발견 자원 영역의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등과 같이 사전에 정의 된 비율을 이용하여 기 설정 된 재탐색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재탐색 주기의 변화량을 0.5로 알려줄 경우, 단말은 기 설정된 자신의 재탐색 주기를 0.5xTrescan으로 변경 하여 재탐색을 수행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이 변화할 경우, 기 설정된 재탐색 주기를 줄이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재탐색 주기를 유지하거나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단말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영역보다 증가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은 실시예 1과 같이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하거나,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발견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재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만일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갖는 복수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발견 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재탐색 동작을 수행 할 경우, 상기 단말들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전력 크기와 같은 정보를 올바르게 측정 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들의 재탐색 동작 시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단말 고유의 재탐색 오프셋 (offset) 설정이 필요하다.
재탐색 오프셋(offset)은 단말 식별 번호와 같은 단말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고유의 값으로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선택하거나 할당 받은 재탐색 주기(Trescan)와 단말 식별 번호(UE_ID)와의 modulo 연산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할 수 있다, (x = UE_ID mod Trescan).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 식별 번호, 즉 UE_ID로는 단말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ID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이 단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 혹은 사업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면서 받게 되는 ID, 즉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Packet-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식별 번호뿐만 아니라 단말 고유의 값을 갖는 다른 정보를 이용 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 할 수 있다.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한 단말은 상기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에 따라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면 재탐색 오프셋 이후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UE1)과 단말2(UE2)는 D2D 서브프레임 506에서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별도의 재탐색 오프셋이 없다면 단말1과 단말2가 동시에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단말1의 재탐색 오프셋은 1 (x=1), 단말2의 재탐색 오프셋이 2 (x=2)로 설정되었다면, 단말 1은 D2D 서브프레임 507에서 발견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재탐색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2는 기 발견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 2는 D2D 서브프레임 508에서 재탐색을 수행하고, 이때 단말 1은 재탐색 동작 후 결정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즉, 재탐색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가진 단말들이 동시에 재탐색을 수행하는 확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D2D 통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기반으로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여 재탐색을 실시한 이후에는 기존에 재탐색을 실시하는 주기 및 오프셋 중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기지국이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변경하였을 경우, 기지국 및 단말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D2D를 수행하는 단말(1001)이 속한 기지국(1002)은 1003 단계에서 SIB를 통해 D2D 영역 정보 및 재탐색 주기 정보를 기지국(1002)이 관장하는 모든 영역의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단말(1001)은 1004단계에서 기지국(1001)으로부터 D2D 영역 정보 및 재탐색 주기가 포함된 SIB를 수신하여 D2D 자원 영역을 판단하고, 발견 신호 자원을 선택한다.
이후 단말은 단계 1005에서 재탐색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1006에서 상기 단말은 발견 신호를 송, 수신한다.
이후 기지국(1002)은 1007단계에서 단말들이 1006단계에서 전송하는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자원 영역 변경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
이때, 만일 D2D 자원 영역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단계1008과 같이 변경된 D2D 영역 정보를 단말들에게 전달한다. 이때 기지국은 변경된 D2D 영역 정보와 함께, 실제로 발견 신호 자원이 변경되는 시간을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D2D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1009 단계에서 D2D 영역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기준에 따라 재탐색 주기를 설정한다. 이후 단계 1010에서 단말은 단계 1009에서 설정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1010에서의 재탐색 결과에 따라 단말은 1011 단계에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고, 발견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11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수신 받은 후 재탐색 주기를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계 1101에서 기 수신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선택하고 송, 수신한다.
만일, 단계 11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정보를 수신할 경우, 단계 1103을 통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송신 자원과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비교한다.
만일, 판단 결과로 단계 1101에서 기 사용중인 자원 영역이 단계 1102에서 수신한 발견 신호 자원 영역내에 위치할 경우, 단계 1104와 같이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및 재탐색 주기를 유지한다.
만일, 단계 1102에서 수신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단계 1101에서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단말은 단계 1105에서 재탐색 주기를 변경 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단계 1106에서 변경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1106에서의 재탐색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은 단계 1107에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선택 및 발견 신호 송,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예 4]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탐색 주기를 판단 할 수 있다. 단말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 중에서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하거나 송, 수신 전환하는데 필요한 자원 영역을 제외한 발견 신호 영역에서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 영역에 대한 수신 신호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인접 단말들의 단말 식별 번호 등과 같은 단말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기 수신된 발견 신호 수신 자원 영역의 수신 신호 크기와 최근에 측정된 발견 신호 수신 자원 영역의 수신 신호 크기가 특정 값 이상일 경우 단말은 재탐색 주기를 변경 하여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사전에 정의 되거나 혹은 기지국의 SIB 정보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임계 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단말은 재탐색 주기를 변경 하여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할 수 있다.
또한, 기 수신된 발견 신호를 통해 발견된 단말들의 정보와 최근의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발견된 단말의 정보가, 사전에 정의 되거나 혹은 기지국의 SIB 정보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임계 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단말은 재탐색 주기를 변경 하여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안에서 발견 신호를 송, 수신하던 단말이 건물 밖으로 위치를 변경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이 획득한 발견 신호 수신 자원 영역의 수신 신호 크기 또는 주변 단말들에 관한 정보는 기 수신된 정보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시 말해, 건물 안에서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획득한 발견 신호 수신 영역의 수신신호 크기 또는 주변 단말에 관한 정보는, 건물 밖에서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획득한 발견 신호 수신 영역의 수신신호 크기 또는 주변 단말에 관한 정보가 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자신이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자원의 상태변화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 변화를 이용하여 단말의 재탐색 수행 여부 또는 주기를 선택하여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탐색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재탐색 주기는 단말 임의의 비율로 변화시키거나, 기지국이 SIB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재탐색 주기 변화량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사전에 정의 된 방법을 이용하여 재탐색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단말이 최근에 획득한 발견 신호 수신 영역의 수신 전력의 크기와 기 획득된 수신 전력 크기의 차이가 -3dB일 경우 경우, 재탐색 주기를 절반(0.5xTrescan)으로 줄여 재탐색을 수행 할 수 있다. 반대로, 만일 단말이 최근에 획득한 발견 신호 수신 영역의 수신 전력의 크기와 기 획득된 수신 전력 크기의 차이가 +3dB일 경우, 재탐색 주기를 두배(2xTrescan)로 증가하여 재탐색을 수행하거나 기존 재탐색 주기를 유지 할 수 있다.
만일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갖는 복수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발견 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재탐색 동작을 수행 할 경우, 상기 단말들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대한 수신 전력 크기와 같은 정보를 올바르게 측정 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들의 재탐색 동작 시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단말 고유의 재탐색 오프셋 (offset) 설정이 필요하다.
재탐색 오프셋(offset)은 단말 식별 번호와 같은 단말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고유의 값으로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선택하거나 할당 받은 재탐색 주기(Trescan)와 단말 식별 번호(UE_ID)와의 modulo 연산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할 수 있다, (x = UE_ID mod Trescan).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 식별 번호, 즉 UE_ID로는 단말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ID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이 단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ID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 혹은 사업자 네트워크에 등록하면서 받게 되는 ID, 즉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Packet-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식별 번호뿐만 아니라 단말 고유의 값을 갖는 다른 정보를 이용 하여 재탐색 오프셋 값을 결정 할 수 있다.
재탐색 오프셋 값(x)을 설정한 단말은 상기 재탐색 주기 및 재탐색 오프셋 값에 따라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면 재탐색 오프셋 이후 재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UE1)과 단말2(UE2)는 D2D 서브프레임 506에서 재탐색 주기가 도달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별도의 재탐색 오프셋이 없다면 단말1과 단말2가 동시에 재탐색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단말1의 재탐색 오프셋은 1 (x=1), 단말2의 재탐색 오프셋이 2 (x=2)로 설정되었다면, 단말 1은 D2D 서브프레임 507에서 발견신호 전송을 중단하고 재탐색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2는 기 발견 신호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 2는 D2D 서브프레임 508에서 재탐색을 수행하고, 이때 단말 1은 재탐색 동작 후 결정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즉, 재탐색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재탐색 주기를 가진 단말들이 동시에 재탐색을 수행하는 확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재탐색 주기를 선택한 단말은 자신의 재탐색 주기에서 실시예 1과 같이 자신의 발견 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발견 신호 자원에 대한 재탐색을 수행하거나,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발견신호 전송을 유지하며 재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2은 단말이 발견 신호로부터 주변 단말 정보 변화를 판단 한 후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계 1201에서 기 수신된 발견 신호 전송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선택하고 송, 수신한다.
단말은 단계 1201로부터 수신된 발견 신호로부터 단계 1202에서 수신 신호 크기 또는 주변 단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기 수신된 발견 신호들을 통해 획득된 정보와 단계 1202에서 발견 신호 수신을 통해 획득된 정보의 차이를 판단한다.
만일, 획득된 정보의 차이가 사전에 정의 되거나 혹은 기지국의 SIB 정보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임계 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단말은 단계 1205에서 자신의 위치 또는 주변의 단말의 위치가 변한 것으로 판단하고 재탐색 주기를 변경한다.
단계 1206에서는 변경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재탐색을 수행한다. 만일 단계 1203에서 판단한 획득 정보의 차이가 사전에 정의 되거나 혹은 기지국의 SIB 정보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임계 값 미만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단말은 단계 1204에서 기 사용중인 발견 신호 자원 및 재탐색 주기를 유지하여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수신부(1301), 발견 자원 영역 판단부 (1302), 발견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 판단부(1303), 제어부(1304) 및 송신부(130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의 핵심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각 부의 구분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발견 자원 영역부(1302)는 기지국의 발견 자원 영역 판단 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발견 자원 영역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견 자원 영역 재탐색 주기 판단부(1303)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탐색 선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1410), 제어부(1420) 및 저장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410)는 연결 상태의 단말과 시그널링을 수행하거나, 셀 내의 단말들에게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1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발견 자원 조절부(1421) 및 발견 자원 재탐색 주기 조절부(1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경된 발견 자원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단말에 발견 신호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 처리부(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 기지국
102 : 셀
103, 104, 105 : 단말

Claims (18)

  1.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발견 신호 재탐색에 대한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 및 상기 탐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자원을 제외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재탐색 오프셋(offset)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재탐색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상기 선택된 자원을 제외한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된 자원을 제외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단계는
    전송된 발견 신호를 가지는 주변 단말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양 만큼 변경되는 것을 상기 탐색 결과가 지시하는 경우, 현재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단계는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된 상기 자원이 상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현재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상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주기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을 기반으로 결정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을 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견 신호 재탐색에 대한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 및 상기 탐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자원을 제외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탐색 오프셋(offset)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재탐색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서 상기 선택된 자원을 제외한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견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된 자원을 제외한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발견 신호를 가지는 주변 단말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양 만큼 변경되는 것을 상기 탐색 결과가 지시하는 경우, 현재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발견 신호 전송에 사용된 상기 자원이 상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현재 재탐색 주기를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변경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상기 변경된 발견 신호 자원 주기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이동성을 기반으로 결정된 재탐색 주기에 따라 상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발견 신호 재탐색에 대한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은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자원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 탐색의 결과에 따라 발견 신호 자원 영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 및 상기 탐색 결과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을 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 발견 신호 재탐색에 대한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자원에서 발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은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자원은 발견 신호 자원 영역 탐색의 결과에 따라 발견 신호 자원 영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발견 신호 설정 정보 및 상기 탐색 결과를 기반으로 발견 신호 자원 영역을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삭제
  18. 삭제
KR1020130088796A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KR10205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96A KR102054318B1 (ko)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US14/907,487 US9949106B2 (en) 2013-07-26 2014-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arching resource of discovery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4/006763 WO2015012621A1 (ko) 2013-07-26 2014-07-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96A KR102054318B1 (ko)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91A KR20150012791A (ko) 2015-02-04
KR102054318B1 true KR102054318B1 (ko) 2020-01-22

Family

ID=5239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96A KR102054318B1 (ko)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9106B2 (ko)
KR (1) KR102054318B1 (ko)
WO (1) WO2015012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1270B1 (en) * 2013-08-07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36020B1 (ko) 2013-10-08 2021-04-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및 발견 신호 자원 다중화 방법 및 장치
WO2017030349A1 (ko) * 2015-08-14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7086852A1 (en) * 2015-11-20 2017-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ssigning resources for control signalling for a wireless device
CN116566566A (zh) * 2017-11-15 2023-08-0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相位追踪参考信号传输
CN109150741B (zh) * 2018-08-10 2022-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报文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400B2 (en) 2007-01-19 2012-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3012222A2 (ko) 2011-07-21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들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기기
WO2013062310A1 (ko) 2011-10-24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d2d 단말이 효율적으로 d2d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WO2013074463A1 (en) 2011-11-14 2013-05-23 Kyocera Corporation Transmission of device to device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ing macrocell communication resources
WO2013077684A1 (ko) 2011-11-24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964A (ko) * 2011-09-30 2013-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망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EP2979508B1 (en) * 2013-03-26 2018-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a discovery procedure
KR102170987B1 (ko) 2013-04-09 2020-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400B2 (en) 2007-01-19 2012-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3012222A2 (ko) 2011-07-21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들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기기
WO2013062310A1 (ko) 2011-10-24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d2d 단말이 효율적으로 d2d 통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WO2013074463A1 (en) 2011-11-14 2013-05-23 Kyocera Corporation Transmission of device to device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ing macrocell communication resources
WO2013077684A1 (ko) 2011-11-24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22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621A1 (ko) 2015-01-29
KR20150012791A (ko) 2015-02-04
US20160174057A1 (en) 2016-06-16
US9949106B2 (en)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2720B (zh) 一种选择波束的方法及设备
US10660018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18352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동작을 위한 지시자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075385B (zh) 直接模式ue对ue通信中的网络辅助的ue检测
JP6313284B2 (ja) ネットワーク支援型デバイストゥ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ビーコンマネジメント
US956051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2D discovery
JP5883146B2 (ja) コンテンツを発行する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KR102552289B1 (ko) 인터 캐리어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543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 자원 재탐색 방법 및 장치
EP3097742B1 (en) D2d communication using d2d capability information of a network node
KR20180018448A (ko) 서비스 기반 셀 선택 및 재선택 제어 방법
KR20150010434A (ko)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지원/사용하는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
CN107005829B (zh) D2d发现
CN110720238A (zh) 用于实施群组切换的方法和装置
KR201401221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7113664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中切换的改进的报告
CN106304258A (zh) 中继选择及发现的方法、装置及系统
US10292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lay device discovery
KR20140063476A (ko) 단말간 디스커버리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1839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CN116097762A (zh) 小区选择或重选方法,信息发送方法以及装置
CN109891930B (zh) 无线通信网络中的邻居关系建立
KR20150004256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40065356A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