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267B1 -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267B1
KR102054267B1 KR1020180096794A KR20180096794A KR102054267B1 KR 102054267 B1 KR102054267 B1 KR 102054267B1 KR 1020180096794 A KR1020180096794 A KR 1020180096794A KR 20180096794 A KR20180096794 A KR 20180096794A KR 102054267 B1 KR102054267 B1 KR 102054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odel
target
tooth model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옥
신효진
정순종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06F17/5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obo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은, 치과용 캐드 장치가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된 치아 모델들 중에서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할 가상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와,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선택된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가공된 치아 모델을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ental CAD apparatus using characteristic of neighboring teeth and operating method the dental CAD apparatus}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세부적으로는 3차원 치아 영상 편집 및 렌더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치과 분야에서 보철 시술이란 대상 치아를 보철물을 사용하여 수복시키는 것을 말한다. 보철물은 탈착 가능한 의치와, 탈착할 수 없는 크라운 및 브리지가 있다. 임플란트(implant) 시술이란 인공으로 만든 치아 대체물을 식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 치아를 고정하여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한다. 이러한 치과용 보철물은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고,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유사하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게 하므로 반영구적이다.
실제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자에게 알맞은 인공 치아를 선정하고, 인공 치아를 타겟 위치에 가상으로 배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치과용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일반적인 치과용 캐드는 작업자가 임의로 결정한 치아 형태 디자인 및 교합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주관적인 보철물 디자인 결과물이 생성된다. 작업자가 유추하는 환자 고유의 교합 상태와 저작 습관의 재현 방식은 작업자의 개별 능력에 따라서 결과물에 큰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철물 시술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
KR 10-1805003 (2017. 12. 07. 공고) KR 10-2018-0061710 (2018. 06. 08. 공개) KR 10-1860878 (2018. 05. 24. 공고)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철물 시술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은, 치과용 캐드 장치가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된 치아 모델들 중에서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할 가상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와,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선택된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가공된 치아 모델을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전치부 또는 구치부로 구분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와 대칭되는 동명 치아가 있는지 1차 판단하는 단계와, 동명 치아가 없는 경우에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의 위치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절단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근심 측 및 원심 측의 각도,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 및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절단면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치경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대합치 견치를 과도하게 덮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의 치경선 및 측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보다 길고 제1 소구치보다도 긴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동일하고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보다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을 넘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제1 소구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의 끝 선 및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의 바운딩 박스와 절단 팁이 형성하는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평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직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의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교합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절단 치간공극 각도, 교합 면 형상 및 교합 면의 주 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주변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 연결선을 넘어서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없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의 끝 선 및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 치간공극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의 바운딩 박스 및 절단 테이블이 형성하는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소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소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 연장선과 평행한 선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와, 대상 치아가 대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대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들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교합 면의 주 구를 연결한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치아 모델의 주 와가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은, 가공된 치아 모델이 대상 치아에 배치될 때 치아 모델이 적합한지를 검증하고 가공된 치아 모델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치아 모델을 추가적으로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는,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가상의 치아 모델들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저장부에서 불러들인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제어부와, 치아 데이터와 치아 모델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전치부 또는 구치부로 구분하고, 전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며, 구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와 대칭되는 동명 치아가 있는지 1차 판단하고 동명 치아가 없는 경우에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절단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근심 측 및 원심 측의 각도,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 및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교합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절단 치간공극 각도, 교합 면 형상 및 교합 면의 주 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해, 환자의 3차원 치아 데이터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와 직접 연관된 치아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치아와 인접한 위치의 자연치로서 주변 치아의 특성을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본래 가지고 있던 자연치의 컨디션으로 환자의 치아 상태에 최적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모델에 대상 치아의 주변 치아 특성이 반영됨에 따라 작업 시에 환자의 개별적인 교합 상태, 저작 운동의 습관 및 악 관계 구조 등이 고려되므로 보철물의 기능적인 능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기존의 주변 치아들에 생물학적, 물리적 위해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환자가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고유의 교합 관계 및 저작 운동의 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작된 보철물의 후 처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환자가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환자 고유의 교합 관계 및 저작 운동의 재현이 가능하여,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높이고 진료 시간을 최소화하고, 내원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치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잇몸과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의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수평피개(Overjet) 및 수직피개(Overbite)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치부의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치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잇몸과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 형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1)는 실제 치과 치료, 예를 들어, 치아 보철 및 임플란트에 도움을 주기 위해 캐드 공정을 수행한다. 캐드 공정이란 환자의 3차원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서 가상의 치아 모델을 불러들인 후 치아 데이터의 타겟 위치에 가상으로 배치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3차원 치아 데이터는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의 3차원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타겟 위치는 대상 치아 위치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1)는 환자의 정상치아로서 자연치의 특성을 반영하여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한다. 즉, 환자의 3차원 치아 데이터에서 획득할 수 있는 자연치 특성정보와 직접 관련된 치아 모델을 사용한다. 자연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치과용 캐드 장치(1)는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손상된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한다. 주변 치아는 대상 치아의 상하 또는 좌우에 위치하는 실제 치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1)는 대상 치아의 동명치아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동명 치아가 없는 경우 주변 치아의 특성을 분석하여 주변 치아 특성에 맞게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동명 치아는 대상 치아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치아이다. 반대 측이라 함은, 대상 치아가 상악 좌측에 있는 경우 정중선을 기준으로 그와 대칭되는 상악 우측 위치가 되고, 대상 치아가 하악 우측에 있는 경우는 정중선을 기준으로 그와 대칭되는 하악 좌측 위치가 된다. 예를 들어, 정중선을 기준으로 4 분할하여 10번대, 20번대, 30번대, 40번대 치아로 각각 분류한 치식번호의 경우, 33번대 치아의 주변 치아는 43번 치아이다.
치과용 캐드 장치(1)는 라이브러리에서 가져온 소정의 치아 모델을 주변 치아의 형태와 흡사하게 가공한다. 가공된 치아 모델에는 환자의 교합 상태와 저작 운동 습관 등이 기록되어 있는 마모 면의 상태가 그대로 재현될 수 있다. 가공된 치아 모델은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보철물을 환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자연치의 컨디션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자연치와 균형감이 있는 심미적인 보철물을 재현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가진 주변 치아를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캐드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입체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한다. 치아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구분(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치아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획득된 치아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치과용 캐드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3차원 치아 데이터가 저장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치아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 매칭되는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는 복수의 치아 모델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를 가진다. 복수의 치아 모델은 가상의 보철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모델링한 디자인이다. 예를 들어, 치아 모델은 환자로부터 맹출된 영구치 또는 유치를 이용하여 모델링한 영상, 일정 지역별로 도출된 치아의 평균 모델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영상, 작업자가 직접 모델링하여 측정된 영상 등이 있다. 작업자는 보철물 생산업자, 치과 진료의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캐드 공정을 수행하면서 각 기능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환자의 3차원 치아 데이터를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정상 치아, 치아 치료가 수행될 대상 치아 및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4)가 저장부(12)에 저장된 특정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라이브러리에서 복수의 치아 모델 중 소정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고 선택된 치아 모델을 치아 데이터에 오버랩시켜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4)가 입력된 특정 환자의 치아 데이터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전체 치아 모델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치아 모델을 로딩하고, 로딩된 치아 모델을 치아 데이터의 대상 치아 위치에 오버랩시켜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치아 모델 선택 시, 제어부(14)는 정상 치아들 사이의 간격 및 정상 치아들의 높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저장부(12)에서 불러들인 치아 모델에 반영한다. 주변 치아 결정 예를 들면,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는 중절치와 견치가 있는데, 그 중에서 중절치를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주변 치아로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중절치에 대한 특징정보인 절단면 위치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고,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중절치의 절단면 위치보다 0.2~1mm 치경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주변 치아의 특징은 예를 들어 외형, 형상, 각도, 마모도 등일 수 있다. 세부적으로 대상 치아의 위치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특징은 절단 면의 위치, 치경선(Cervical Line)의 위치, 치관(크라운)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Gingiva)의 끝 선과 치경선(Cervical Line)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근심 측(Mesial) 및 원심 측(Distal)의 각도, 대합치와의 수평피개(Overjet) 각도 및 대합치와의 수직피개(Overbite) 각도 등이 될 수 있다. 대상 치아의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교합 면의 위치, 치경선(Cervical Line)의 위치, 치관(크라운)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Gingiva)의 끝 선과 치경선(Cervical Line)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절단 치간공극(Occlusal Embrasure) 각도, 교합 면 형상 및 교합 면의 주 구(Main Fossa) 등이 될 수 있다. 분석된 주변 치아의 특성이 치아 모델에 반영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또는 복수의 치아 모델 중에서 주변 치아 특징을 고려하여 라이브러리에서 치아 모델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14)의 주변 치아 분석 및 주변 치아 분석에 따른 치아 모델 가공에 대한 세부 구성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입력부(16)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명령에 따라 치아 모델이 타겟 위치로 이동하여 타겟 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의 주변 치아 분석 결과에 맞게 치아 모델의 형상, 각도, 모양, 크기, 마모도 등의 특징을 변경하고, 변경된 치아 모델을 타겟 위치에 자동으로 배치 시킬 수 있다.
출력부(18)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정보는 3차원 치아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위에서 바라본 치아의 배열 형태, 정면에서 바라본 치아의 배열 형태, 측면에서 바라본 치아의 배열 형태 및 치아 배열의 입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위치에 치아 모델을 가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치아 보철물을 시술할 때 인공 치아(크라운)를 깎아서 타겟 위치에 배치하게 되는데, 출력부(18)는 실제 보철 치료 시술을 수행하기 전에 가상으로 타겟 위치에 크라운을 배치하는 시뮬레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력부(18)는 실제 보철 치료 시술을 수행하기 전에 가상으로 타겟 위치에 어버트먼트를 배치하고 치아 모델과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시뮬레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는 위치 판단부(140), 분석부(142), 치아 모델 선택부(144), 가공부(146) 및 배치부(148)를 포함하며, 검증부(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140)는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치부이면 중절치, 측절치 또는 견치인지 판단하고, 구치부이면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또는 제2 대구치인지 판단한다.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분석부(142)의 추출 및 분석 대상이 되는 주변 치아와 주변 치아로부터 추출해야 할 특징정보가 달라진다.
분석부(142)는 치아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주변 치아의 특징점 정보, 특징점의 연결선, 마모 면의 형태, 마모 면적, 마모 각도 등을 분석하여 환자의 교합 상태와 저작 운동의 흔적을 정보로 추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142)는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의 외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설정하여 경계를 구획하고, 바운딩 박스 내 주변 치아의 외형 특징정보를 추출한다. 외형 특징정보에는 외형 특징점 형태, 치관의 길이 및 높이, 최대 풍융부의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외형 특징점은 치면(surface) 별 볼록한 부위와 오목한 부위가 될 수 있다. 전치부의 치면은 순면(labial surface), 설면(lingual surface), 근심면(mesial surface), 원심면(distal surface), 절단(Incial edge)을 포함한다. 구치부의 치면은 협면(buccal surface), 설면(lingual surface), 근심면(mesial surface), 원심면(distal surface), 교합 면(occlusal edge)을 포함한다.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바운딩 박스를 통해 구획된 치관의 길이 및 높이를 계산하고, 최대 풍융부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최대 풍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얻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협 측, 설 측에서 각각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치아 별 분류 특징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주변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에 따라 추출되는 치아 별 분류 특징정보는 달라질 수 있다. 주변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치아 별 분류 특징정보는 각도가 될 수 있다. 우선,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절단 우각(Incisal Angle)의 능각 점(Line Angle Point) 정보를 획득하고, 능각 점(Line Angle Point)을 잇는 연결선을 생성한다. 이어서, 능각 점 연결선을 기준으로 절단 능각(Incisal Line Angle)과 정중선(Median Line) 각도와, 절단 치간공극 각(Incisal Embrasure Angle)을 계산한다. 치간공극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삼각형 공간이다.
주변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치아 별 분류 특징정보는 교합 면 교두 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우선,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교합 면 교두 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교두 정들을 잇는 연결선을 생성한다. 교두(cusp)는 구치부 교합 면에 돌출된 융기 부위이고, 교두 정은 교두에서 가장 돌출한 부분이다.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교합 면 교두 정 연결선이 모두 연결되었을 때 형성되는 형태로부터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을 분류한다.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은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마름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마모 특징을 분석한다. 마모 특징은 마모 면의 형태, 마모 면적, 마모 각도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교합 상태와 저작 운동의 흔적을 알 수 있다.
주변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절단 면의 마모 특징을 분석한다. 절단 면의 마모 특징은, 절단 마모 면 형성의 양상, 마모 면의 형태(Shape), 대합치와의 수평피개(Overjet), 수직피개(Overbite) 파라미터 등이 있다. 일 예로,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의 절단 마모 면 형성의 양상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전방운동 및 측방운동 시 수평피개의 한계점을 찾아 설 측 절단 선을 형성하고 설 측 절단 선을 기준으로 순 폭 및 설 폭을 계산한다. 그리고 설 측 절단 선의 형태와 중심교합 형태로부터 절단 마모 면의 형태를 분석하고, 마모 면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대합치와의 수평피개(Overjet)와 수직피개(Overbite)를 계산할 수 있다. 수평피개는 상악 치아의 끝과 하악 치아의 끝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형성되는 거리이다. 수직피개는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를 덮고 있는 정도이다.
주변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분석부(142)는 주변 치아 교합 면의 마모 면 형성의 양상과 마모 면의 형태를 분석하여 마모 면의 형태, 마모 면의 면적 및 마모 각도를 분석한다.
가공부(146)는 분석부(142)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데, 주변 치아의 특징에 맞춰 치아 모델의 형상을 변형한다. 가공부(146)는 주변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에 따라 치아 모델 형상 변형 프로세스가 달라질 수 있다. 주변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가공부(146)는 주변 치아의 외형 정보에 맞춰 치아 모델의 외형을 변형하고, 주변 치아의 치아 분류 특징, 예를 들어 주변 치아의 각도를 고려하여 치아 모델의 형태를 변형한다. 가공부(146)는 주변 치아의 절단 면의 마모 특징에 맞춰 치아 모델의 형태를 변형한다. 주변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가공부(146)는 주변 치아의 외형 정보에 맞춰 치아 모델의 외형을 변형하고, 가공부(146)는 주변 치아의 치아 분류 특징, 예를 들어 주변 치아의 교합 면 특징에 맞춰 교합 면 형태를 변형한다.
이하,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가공부(146)의 치아 모델 가공 예에 대해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절단면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치경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대합치 견치를 과도하게 덮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의 치경선 및 측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보다 길고 제1 소구치보다도 긴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동일하고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보다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을 넘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제1 소구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Gingiva)의 끝 선 및 치경선(Cervical Line)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크라운)의 바운딩 박스와 절단 팁(Incial Tip)이 형성하는 근심 측(Mesial) 및 원심 측(Distal)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평피개(Overjet)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평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직피개(Overbite)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직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이하,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가공부(146)의 치아 모델 가공 예에 대해 후술한다.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주변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 연결선을 넘어서 협 측(Buccal) 방향으로 위치할 수 없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Gingiva)의 끝 선 및 치경선(Cervical Line)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치아 모델의 절단 치간공극(Occlusal Embrasure)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크라운)의 바운딩 박스 및 절단 테이블(Occlusal Table)이 형성하는 근심 측(Mesial) 및 원심 측(Distal)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가공부(146)는 대상 치아가 소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소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Cusp Tip) 연장선과 평행한 선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대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대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Cusp Tip)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된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과 동일한 형상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교두(cusp)는 구치부 교합 면에 돌출된 융기 부위이고, 교두 정(Cusp Tip)은 교두에서 가장 돌출한 부분이다. 주변 치아의 교합 면 교두 정 연결선이 모두 연결되었을 때 형성되는 형태로부터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마름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가공부(146)는 주변 치아의 교합 면의 주 구(Main Fossa)를 연결한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치아 모델의 주 와(Main Groove)가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배치부(148)는 3차원 치아 데이터의 대상 치아 위치에 변형된 치아 모델을 배치한다. 이때, 배치부(148)는 대합치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치아 모델을 배치할 수 있다. 치아 형태의 특성 상 치근 부분보다는 치관 부분이 크기 때문에 치관 부분의 폭이 정상 치아들 사이의 간격을 넘어서지 않아야 한다. 또한, 주변 치아들 침범하지 않도록 대상 치아 위치에 인공치아를 배치해야 함으로, 정상 치아들 사이의 공간 및 인공 치아가 잇몸과 접촉하는 부분을 고려한다. 배치부(148)는 치아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치아 위치의 폭, 깊이, 단면적 및 체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따라서 치아 모델이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증부(149)는 가공된 치아 모델이 대상 치아에 배치될 때 가공된 치아 모델이 적합한지를 검증한다. 예를 들어, 가공부(146)를 통해 가공된 치아 모델이 주변 치아와 유사한지를 판단하여 유사한 경우 가공된 치아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치부(148)를 통해 대상 치아 위치에 가공된 치아 모델을 배치했을 때 대상 치아 주변의 치아, 예를 들어 대합치와의 결합이 적합한지를 검증한다. 이때, 가공된 치아 모델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치아 모델을 추가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대상 치아 위치의 폭, 깊이, 단면적 및 체적의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선정된 치아 모델의 형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치과용 캐드 장치(1)는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S300)하고, 미리 저장된 치아 모델들 중에서 가상의 치아 모델을 선택한다(S310).
이어서, 치과용 캐드 장치(1)는 대상 치아 위치를 판단한다(S320). 이때,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전치부 또는 구치부로 구분하고,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추출 및 분석 대상이 되는 주변 치아와 주변 치아로부터 추출해야 할 특징정보가 달라지게 된다.
이어서, 치과용 캐드 장치(1)는 판단된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주변 치아를 결정한다(S330). 그리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분석(S340)하며, 분석결과를 선택된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S350).
분석 단계(S340) 및 가공 단계(S35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1)는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와 대칭되는 동명 치아가 있는지 1차 판단한 후, 동명 치아가 없는 경우에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선택된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분석 단계(S340) 및 가공 단계(S35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1)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절단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근심 측 및 원심 측의 각도,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 및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한다.
예를 들어,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절단면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치경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대합치 견치를 과도하게 덮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의 치경선 및 측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보다 길고 제1 소구치보다도 긴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동일하고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보다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을 넘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제1 소구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의 끝 선 및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의 바운딩 박스와 절단 팁이 형성하는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평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직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분석 단계(S340) 및 가공 단계(S35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캐드 장치(1)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교합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절단 치간공극 각도, 교합 면 형상 및 교합 면의 주 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한다.
예를 들어,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주변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 연결선을 넘어서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없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의 끝 선 및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 치간공극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의 바운딩 박스 및 절단 테이블이 형성하는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소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소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 연장선과 평행한 선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대상 치아가 대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대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들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다른 예로,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교합 면의 주 구를 연결한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치아 모델의 주 와가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이어서, 치과용 캐드 장치(1)는 주변 치아 분석 결과가 반영된 치아 모델을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한다(S360). 치아 모델 배치 단계(S360) 이전 또는 이후에, 치아 모델의 적합도를 판단하여 적합하지 않은 경우 치아 모델을 추가로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치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절단면의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40)의 절단면(41) 및 측절치(42)의 절단면(43)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cervical line)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40)의 치경선(45) 및 측절치(42)의 치경선(47)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치아의 외형적 형태는 치관 및 치근으로 구분되는데, 치관은 법랑질에 둘러싸여 있고, 치근은 백악질로 덮여 있다. 이때, 법랑질과 백악질의 경계를 백악법랑경계(cemento-enamel junction: CEJ)라고 하며, 그 경계선을 치경선(cervical line) 이라 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관(크라운) 길이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40) 및 측절치(42) 중에서 중절치(40)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절단면의 위치(57)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50) 및 견치(52) 중에서 중절치(50)의 절단면 위치(55)보다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치경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미리 설정된 간격은 0.2~1mm 일 수 있다. 또한,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cervical line)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50) 및 견치(52) 중에서 중절치(50)의 치경선(59)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관(크라운) 길이의 길이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50) 및 견치(5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절단면의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60) 및 제1 소구치(62) 중에서 제1 소구치(62)의 절단면 위치(65)에 형성되도록 하고 대합치 견치(64)를 과도하게 덮지 않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60) 및 제1 소구치(62) 중에서 제1 소구치(62)의 치경선(67)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관(크라운) 길이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60) 및 제1 소구치(62) 중에서 측절치(60)보다 길고 제1 소구치(62)보다도 긴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70) 및 측절치(72) 중에서 중절치(70)의 협 측 최대 풍융부 연장선(buccal line)(71)과 동일하고 협 측(Buccal) 최대 풍융부는 측절치(72)의 협 측 최대 풍융부 연장선(buccal line)(73)보다 협 측(Buccal)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80) 및 견치(82) 중에서 중절치(80)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buccal line)(81)을 넘지 않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90) 및 제1 소구치(92) 중에서 측절치(90)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buccal line)(91)과 제1 소구치(92)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buccal line)(93)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잇몸과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잇몸(Gingiva) 및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의 각도(1003)가, 주변 치아(1000)의 잇몸(Gingiva)의 끝 선 및 치경선(Cervical Line)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1001)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치부의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수평피개(Overjet) 및 수직피개(Overbite)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M)의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평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직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수평피개는 상악 치아의 끝과 하악 치아의 끝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형성되는 거리이다. 수직피개는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를 덮고 있는 정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치부의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치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1200) 및 제2 소구치(1202) 중에서 제2 소구치(1202)의 교합 면(1201)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1200) 및 제2 소구치(1202) 중에서 제2 소구치(1202)의 치경선(1203)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1300) 및 제1 대구치(1302) 중에서 제1 소구치(1300)의 교합 면(1301)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1300) 및 제1 대구치(1302) 중에서 제1 소구치(1300)의 치경선(1303)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1400) 및 제2 대구치(1402) 중에서 제2 소구치(1400)의 교합 면(1401)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1400) 및 제2 대구치(1402) 중에서 제2 소구치(1400)의 치경선(1403)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대상 치아에 배치될 치아 모델(M)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1500)의 교합 면(1501)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또한,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치경선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1500)의 치경선(1503)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잇몸과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M)의 잇몸(Gingiva) 및 치관(크라운)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1600)의 잇몸(Gingiva)의 끝 선 및 치경선(Cervical Line)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1601)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M)을 가공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치부 주변치아를 통한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 형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대상 치아가 소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소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Cusp Tip) 연장선과 평행한 선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대상 치아가 대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대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Cusp Tip)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된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과 동일한 형상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할 수 있다. 교두(cusp)는 구치부 교합 면에 돌출된 융기 부위이고, 교두 정(Cusp Tip)은 교두에서 가장 돌출한 부분이다. 주변 치아의 교합 면 교두 정 연결선이 모두 연결되었을 때 형성되는 형태로부터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교합 면 교두 정 유형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마름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캐드 장치가: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치아 모델들 중에서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할 가상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 여부를 포함하여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선택된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치아 모델을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 여부에 따라 추출 및 분석 대상이 되는 주변 치아와 주변 치아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가 상이하며, 추출된 주변 치아의 특징정보를 참조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전치부 또는 구치부로 구분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3.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캐드 장치가: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치아 모델들 중에서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할 가상의 치아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선택된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치아 모델을 대상 치아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와 대칭되는 동명 치아가 있는지 1차 판단하고 동명 치아가 없는 경우에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절단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근심 측 및 원심 측의 각도,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 및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절단면 위치보다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치경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면의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절단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고 대합치 견치를 과도하게 덮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의 치경선 및 측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관 길이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보다 길고 제1 소구치보다도 긴 길이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중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중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측절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동일하고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보다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측절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측절치의 주변 치아인 중절치 및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을 넘지 않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견치의 주변 치아인 측절치 및 제1 소구치 중에서 측절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과 제1 소구치의 최대 풍융부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의 끝 선 및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의 바운딩 박스와 절단 팁이 형성하는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평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가, 주변 치아 및 주변 치아의 대합치가 형성하는 수직피개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교합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절단 치간공극 각도, 교합 면 형상 및 교합 면의 주 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교합 면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교합 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제1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견치 및 제2 소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제2 소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소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소구치 및 제1 대구치 중에서 제1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대상 치아가 제1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1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2 소구치 및 제2 대구치 중에서 제2 소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제2 대구치인 경우, 치아 모델의 치경선 위치가, 제2 대구치의 주변 치아인 제1 대구치의 치경선의 위치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최대 풍융부 위치가, 주변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 연결선을 넘어서 협 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없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잇몸 및 치관의 이행부위의 각도가, 주변 치아의 잇몸의 끝 선 및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치아 모델의 절단 치간공극 각도가, 주변 치아의 치관의 바운딩 박스 및 절단 테이블이 형성하는 근심 측 및 원심 측 각도와 동일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소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소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 연장선과 평행한 선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및
    대상 치아가 대구치인 경우, 주변 치아인 대구치의 교합 면 교두 정들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생성될 수 있게 치아 모델의 교두 및 교두 정이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단계는
    대상 치아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의 교합 면의 주 구를 연결한 연장선과 동일한 선상에 치아 모델의 주 와가 형성되도록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은
    가공된 치아 모델이 대상 치아에 배치될 때 치아 모델이 적합한지를 검증하고 가공된 치아 모델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치아 모델을 추가적으로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구동방법.
  22.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가상의 치아 모델들이 저장되는 저장부;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 여부를 포함하여 대상 치아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저장부에서 불러들인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제어부; 및
    치아 데이터와 치아 모델을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주변 치아의 특징정보를 참조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며, 대상 치아가 전치부인지 구치부인지 여부에 따라 추출 및 분석 대상이 되는 주변 치아와 주변 치아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전치부 또는 구치부로 구분하고,
    전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며,
    구치부인 경우 대상 치아의 위치를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로 구분하여 대상 치아가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24. 손상된 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3차원 정보를 가지는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가상의 치아 모델들이 저장되는 저장부;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들 중에서 특징정보 추출이 필요한 소정의 주변 치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변 치아에 대한 특징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저장부에서 불러들인 치아 모델에 반영하여 치아 모델을 가공하는 제어부; 및
    치아 데이터와 치아 모델을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치아 데이터에서 대상 치아와 대칭되는 동명 치아가 있는지 1차 판단하고 동명 치아가 없는 경우에 대상 치아와 인접한 주변 치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전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절단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근심 측 및 원심 측의 각도, 대합치와의 수평피개 각도 및 대합치와의 수직피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상 치아의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주변 치아를 대상으로 교합 면의 위치, 치경선의 위치, 치관의 길이, 최대 풍융부 위치, 잇몸의 끝 선과 치경선이 만나는 선이 형성하는 각도, 절단 치간공극 각도, 교합 면 형상 및 교합 면의 주 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치아 특성과 대응되도록 치아 모델의 형상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KR1020180096794A 2018-08-20 2018-08-20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5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94A KR102054267B1 (ko) 2018-08-20 2018-08-20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94A KR102054267B1 (ko) 2018-08-20 2018-08-20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267B1 true KR102054267B1 (ko) 2019-12-10

Family

ID=6900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94A KR102054267B1 (ko) 2018-08-20 2018-08-20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2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661A (ko) * 2019-08-08 2021-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236836B1 (ko) * 2020-03-06 2021-04-05 박덕희 디지털 가공을 활용한 치아 보철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8708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디오 구강 영상의 결손 치아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20051692A (ko) * 2020-10-19 2022-04-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모델의 형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938A (ko) * 2016-03-30 2017-10-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덴탈 캐드 시스템과 이의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810218B1 (ko) * 2017-06-14 2017-12-18 이인찬 치아형태분류 및 치과용 보철물 형태 가이드 방법
JP6314276B1 (ja) * 2017-06-13 2018-04-18 デンタルサポート株式会社 補綴物3次元モデル生成装置、補綴物作製システム、補綴物3次元モデル生成方法及び補綴物3次元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
KR101860878B1 (ko) 2017-07-12 2018-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80060502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용 데이터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치아 디자인 방법
KR20180061710A (ko) 2016-11-30 2018-06-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73517B1 (ko) * 2017-04-25 2018-08-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보철물 모델의 디자인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938A (ko) * 2016-03-30 2017-10-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덴탈 캐드 시스템과 이의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805003B1 (ko) 2016-03-30 2017-12-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덴탈 캐드 시스템과 이의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80060502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디디에스 인공치아 가공용 데이터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치아 디자인 방법
KR20180061710A (ko) 2016-11-30 2018-06-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73517B1 (ko) * 2017-04-25 2018-08-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보철물 모델의 디자인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6314276B1 (ja) * 2017-06-13 2018-04-18 デンタルサポート株式会社 補綴物3次元モデル生成装置、補綴物作製システム、補綴物3次元モデル生成方法及び補綴物3次元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
KR101810218B1 (ko) * 2017-06-14 2017-12-18 이인찬 치아형태분류 및 치과용 보철물 형태 가이드 방법
KR101860878B1 (ko) 2017-07-12 2018-05-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설계를 위한 그래픽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661A (ko) * 2019-08-08 2021-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250520B1 (ko) 2019-08-08 2021-05-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102236836B1 (ko) * 2020-03-06 2021-04-05 박덕희 디지털 가공을 활용한 치아 보철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8708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디오 구강 영상의 결손 치아 예측 방법 및 장치
WO2021246643A1 (ko) *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디오 구강 영상의 결손 치아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453543B1 (ko) * 2020-06-01 2022-10-14 주식회사 디오 구강 영상의 결손 치아 예측 방법 및 장치
CN115379816A (zh) * 2020-06-01 2022-11-22 株式会社迪耀 口腔图像的缺损牙齿预测方法及装置
EP4159161A4 (en) * 2020-06-01 2024-05-29 Dio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MISSING TOOTH IN ORAL IMAGE
KR20220051692A (ko) * 2020-10-19 2022-04-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모델의 형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95819B1 (ko) 2020-10-19 2023-02-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모델의 형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160B2 (en) Designing a virtual preparation and a virtual gingival
KR102057207B1 (ko) 3차원 구강 모델 분석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보철물 디자인 방법
KR102054267B1 (ko) 주변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706672B2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JP5859986B2 (ja) 動的仮想咬合器
JP5427778B2 (ja) 歯科的プラン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131919U (ja) 歯科矯正治療結果を評価する方法とシステム
US20150374460A1 (en) Unified three dimensional virtual craniofacial and dentition model and uses thereof
EP3777756A1 (en) Modeling a digital design of a denture
KR102221530B1 (ko) 인접치 및 대합치와의 관계를 반영하여 크라운 위치를 결정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EA201700561A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выравнивания зубов на основании моде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коронок и корней
US20090068617A1 (en) Method Of Designing Dental Devices Using Four-Dimensional Data
KR20190119588A (ko) 수복물의 제작 방법
JP2012520694A (ja) 歯科修復の効果的な計画、可視化、および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6066552A1 (en)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digital design for use in manufacturing a molding-shell for a dental restoration
WO2009010543A1 (en) Device for reshaping hard and soft tissues of the jaw and dentition
KR102320857B1 (ko)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69030B1 (ko)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WO2013053903A1 (en) Method of globally designing a set of teeth
KR102085852B1 (ko) 대합치와의 교합관계를 반영한 치과용 가공물 설계방법 및 그 장치
ES2912550T3 (es) Diseño de una preparación virtual y una encía virtual
KR102144369B1 (ko) 동명 치아 특성을 이용하는 치과용 캐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06485B1 (ko)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US11980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