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63B1 -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63B1
KR102054063B1 KR1020180031877A KR20180031877A KR102054063B1 KR 102054063 B1 KR102054063 B1 KR 102054063B1 KR 1020180031877 A KR1020180031877 A KR 1020180031877A KR 20180031877 A KR20180031877 A KR 20180031877A KR 102054063 B1 KR102054063 B1 KR 10205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pplication
application
advertisement
budg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658A (ko
Inventor
신희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케이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케이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케이팩토리
Priority to KR102018003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0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의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에 따라 광고 집행을 제공함으로써, 일정한 수준 동안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를 유지할 수 있고,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비용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ADVERTISING MARKETING SYSTEM OF APPLICATION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획득되는 순위 정보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프로모션 함에 있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마켓에서 인기 순위(랭킹) 상위권의 진입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키워드 광고의 경우, 단가 비딩을 통하여 노출 순위가 결정되지만,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경우, 다운로드 수, 클릭 수, 검색 수 등의 인기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
인기를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우선적으로 많은 수의 유저(user, 사용자)를 모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순위 정보를 통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 정도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을 위한 광고 투입 예산의 규모를 결정하여 매체에 광고를 노출시키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의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에 따라 광고 집행을 제공함으로써, 최대한 일정한 수준 동안 인기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표 순위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비교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서의 사용 비율 및 광고 집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광고비용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이름, 카테고리, 고유ID 등의 상기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예산, 광고 방법, 광고 계획 등의 상기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상기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인기 애플리케이션 간의 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노출되는 영역, 노출 횟수, 노출 시간 등의 목표 노출량 및 목표 순위에 따라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활동 지수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 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은 결정되는 광고의 집행 여부 및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를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결정부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는 예산 확인부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하는 사용 비율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비율 결정부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상기 사용 비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의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에 따라 광고 집행을 제공함으로써, 최대한 일정한 수준 동안 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순위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비교하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인기순위가 낮은 경우 광고 규모를 확장하고, 인기순위가 목표순위에 도달하는 경우 광고예산을 축소함으로써, 광고비용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매체 간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매체 간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단계 110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이름, 카테고리, 고유ID 등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예산, 광고 방법, 광고 계획 등의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440)에 액세스하는 단계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44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이름, 카테고리, 고유ID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 서비스 패키지코드 및 URL 스킴(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설정된 광고 예산, 광고 방법, 광고 계획 등의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단계 120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2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뿐 아니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단계 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요청 신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송신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20은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은 단계 120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대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를 획득한다.
단계 120은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활동 지수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20은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또는 업데이트 횟수 등의 활동 지수와,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업데이트 횟수 등의 활동 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30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은 단계 130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은 단계 130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및 활동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는 단계(미도시) 및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이 최대 100만원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시, 단계 130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라 1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1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고, 10위 내지 2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며, 21위 내지 5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은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광고 정보에 따른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단계 130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교육 카테고리'에서 5위, '전체 카테고리'에서 10위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거나, 둘 다 순위 권에 진입된 경우, 일 예산 사용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교육 카테고리'에서는 2위권이나, '전체 카테고리'에서는 10위 내지 20위권인 경우, '전체 카테고리'의 순위에 부가되는 가중치에 따라 '전체 카테고리'의 순위 정보에 대응하는 일 예산의 사용 비율로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 카테고리'에서는 2위권이고, '전체 카테고리'에서는 10위권인 경우, 10위 내지 20위권 달성 시 제공되는 일 예산의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 130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전체 카테고리'에서 10위이나,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연령대가 주요 타겟층이 아닌 30대 또는 40대인 경우, 일 예산의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단계 130은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따른 사용 비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부가되는 가중치에 따른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며, 대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인기 애플리케이션 간의 순위에 따라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연관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카테고리'의 상위권에 위치하는 경우, 단계 130은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심도가 높은 인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른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교육 관련 애플리케이션이고, 인기 애플리케이션이 게임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다만, 인기 애플리케이션이 교육에 관련된 책, 영상, 스케줄 관리 등의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단계 130은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노출되는 영역, 노출 횟수, 노출 시간 등의 목표 노출량 및 목표 순위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광고 방법 및 광고 계획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노출(광고)되는 영역이 메인(main)인지, 추천 애플리케이션 영역인지와, 노출되는 횟수 및 노출되는 시간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130은 지정된 노출 시간, 노출 영역 등의 목표 노출량 및 목표 순위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전체 카테고리'에서 15위권이나,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순위가 5위권인 경우, 단계 130은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전체 카테고리'에서 15위권이나, 2일 동안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순위가 10위권인 경우, 단계 130은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은 특정 기간 예산을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지정된 일 예산이 아니라, 특정 기간 예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하루 10만원의 일 예산, 1주간 50만원의 주 예산 등으로 설정한 후,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은 활동 지수를 기반으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활동 지수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활동 범위, 단계, 비율에 따라 활동 지수가 기 설정된 값에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일 예산의 70% 내지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고, 기 설정된 값에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일 예산의 30% 내지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며, 기 설정된 값에 평균을 나타낼 경우, 일 예산의 50% 내지 7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의 단계 130은 전술한 실시예의 교차적용, 중복적용을 통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한 후,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매체 간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매체 간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마켓(200) 및 매체(300)와 통신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기재하기 위해 단수의 애플리케이션 마켓(200) 및 매체(300)로 설명한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및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공하는 마켓이며, 매체(300)는 광고가 제공되는 콘텐츠, 방송, 미디어, 인터넷 사이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 마켓 등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마켓(200) 및 매체(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과 애플리케이션 마켓(200) 및 매체(300)를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유/무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결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1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이름, 카테고리, 고유ID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 서비스 패키지코드 및 URL 스킴(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설정된 광고 예산, 광고 방법, 광고 계획 등의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은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은 단계 302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순위 정보를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303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으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현재 순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순위 정보 요청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의 요청 신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04 및 단계 305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켓 시스템(400)은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으로부터 수신하며, 대상 애플리케이션뿐 아니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단계 306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한다(단계 307).
예를 들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이 최대 100만원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단계 306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예산을 체크하고, 단계 307에서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라 1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1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고, 10위 내지 2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며, 21위 내지 5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마켓(200)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고, 범위 내에서 유동적으로 사용 비율을 변동시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단계 308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서 결정되는 사용 비율이 적용된 광고 방법 또는 광고 계획에 따라 광고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광고 방법 또는 광고 계획이 계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결정된 사용 비율이 적용된 광고의 예산을 광고 방법 또는 광고 계획에 적용하여 광고를 송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획득되는 순위 정보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획득부(410), 광고 결정부(420) 및 데이터베이스부(44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44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44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이름, 카테고리, 고유ID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 서비스 패키지코드 및 URL 스킴(Sche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설정된 광고 예산, 광고 방법, 광고 계획 등의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440)는 광고 결정부(420)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의 시스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획득부(41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획득부(410)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부(41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뿐 아니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의 요청 신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송신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획득부(41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획득부(41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대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를 획득한다.
획득부(410)는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활동 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획득부(410)는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또는 업데이트 횟수 등의 활동 지수와,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업데이트 횟수 등의 활동 지수를 획득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의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및 활동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는 예산 확인부(미도시) 및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하는 사용 비율 결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 비율 결정부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광고 정보에 따른 사용 비율을 결정하고,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이 최대 100만원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시, 광고 결정부(420)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라 1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1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고, 10위 내지 2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며, 21위 내지 50위권 달성 시 일 예산의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광고 정보에 따른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결정부(420)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교육 카테고리'에서 5위, '전체 카테고리'에서 10위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거나, 둘 다 순위 권에 진입된 경우, 일 예산 사용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교육 카테고리'에서는 2위권이나, '전체 카테고리'에서는 10위 내지 20위권인 경우, '전체 카테고리'의 순위에 부가되는 가중치에 따라 '전체 카테고리'의 순위 정보에 대응하는 일 예산의 사용 비율로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 카테고리'에서는 2위권이고, '전체 카테고리'에서는 10위권인 경우, 10위 내지 20위권 달성 시 제공되는 일 예산의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결정부(420)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전체 카테고리'에서 10위이나,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연령대가 주요 타겟층이 아닌 30대 또는 40대인 경우, 일 예산의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광고 결정부(420)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따른 사용 비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부가되는 가중치에 따른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며, 대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인기 애플리케이션 간의 순위에 따라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연관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카테고리'의 상위권에 위치하는 경우, 광고 결정부(420)는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심도가 높은 인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른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교육 관련 애플리케이션이고, 인기 애플리케이션이 게임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다만, 인기 애플리케이션이 교육에 관련된 책, 영상, 스케줄 관리 등의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광고 결정부(420)는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노출되는 영역, 노출 횟수, 노출 시간 등의 목표 노출량 및 목표 순위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지정된 광고 방법 및 광고 계획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노출(광고)되는 영역이 메인(main)인지, 추천 애플리케이션 영역인지와, 노출되는 횟수 및 노출되는 시간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광고 결정부(420)는 지정된 노출 시간, 노출 영역 등의 목표 노출량 및 목표 순위에 따라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전체 카테고리'에서 15위권이나,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순위가 5위권인 경우, 광고 결정부(420)는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가 '전체 카테고리'에서 15위권이나, 2일 동안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순위가 10위권인 경우, 광고 결정부(420)는 설정된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비율에서 3% 내지 20% 정도 증가된 사용 비율을 재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특정 기간 예산을 설정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지정된 일 예산이 아니라, 특정 기간 예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하루 10만원의 일 예산, 1주간 50만원의 주 예산 등으로 설정한 후,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420)는 활동 지수를 기반으로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결정부(420)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활동 지수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활동 범위, 단계, 비율에 따라 활동 지수가 기 설정된 값에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일 예산의 70% 내지 10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고, 기 설정된 값에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일 예산의 30% 내지 5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하며, 기 설정된 값에 평균을 나타낼 경우, 일 예산의 50% 내지 70%를 사용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의 광고 결정부(420)는 전술한 실시예의 교차적용, 중복적용을 통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한 후,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400)은 결정되는 광고의 집행 여부 및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적용하여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를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송출부(4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매체와 연결되어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활동 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및 상기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이름, 카테고리, 고유ID 등의 상기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예산, 광고 방법, 광고 계획 등의 상기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더 획득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상기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유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와,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연관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연관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인기 애플리케이션 간의 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노출되는 영역, 노출 횟수, 노출 시간 등의 목표 노출량 및 목표 순위에 따라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광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대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집행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획득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각각에서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다운로드 순위, 실행 횟수, 실행 시간 및 업데이트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활동 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서의 인기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인기 카테고리 순위 정보 및 검색 순위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광고 결정부는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을 체크하는 예산 확인부; 및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를 집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 및 상기 활동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또는 사용 한계값)을 결정하는 사용 비율 결정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결정되는 광고의 집행 여부 및 광고의 예산에 대한 사용 비율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를 송출하는 광고 송출부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비율 결정부는
    카테고리별, 나이별, 성별, 지역별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정보에 따른 광고의 예산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순위 변동에 따라 광고의 예산에 대한 상기 사용 비율을 유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18. 삭제
KR1020180031877A 2018-03-20 2018-03-20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77A KR102054063B1 (ko) 2018-03-20 2018-03-20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77A KR102054063B1 (ko) 2018-03-20 2018-03-20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58A KR20190110658A (ko) 2019-10-01
KR102054063B1 true KR102054063B1 (ko) 2019-12-11

Family

ID=6820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77A KR102054063B1 (ko) 2018-03-20 2018-03-20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1817B1 (ja) * 2016-06-17 2017-08-16 ヤフー株式会社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KR101771537B1 (ko) * 2017-02-06 2017-08-29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의 광고 매체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48B1 (ko) * 2012-07-18 2014-08-1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타겟팅 광고 노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1817B1 (ja) * 2016-06-17 2017-08-16 ヤフー株式会社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KR101771537B1 (ko) * 2017-02-06 2017-08-29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의 광고 매체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58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2230A1 (en) Cross-screen optimization of advertising placement
US11425441B2 (en) Programmatic TV advertising placement using cross-screen consumer data
CN108352025B (zh) 基于消费者在线行为的电视广告时段定位
US10324960B1 (en) Determining a number of unique viewers of a content item
CN108733706B (zh) 热度信息的生成方法和装置
Nath et al. SmartAds: bringing contextual ads to mobile apps
US11720915B2 (en) Behavioral content discovery
US10262339B2 (en) Externality-based advertisement bid and budget allocation adjustment
US20100318432A1 (en) Allocation of internet advertising inventory
CN109417644B (zh) 跨屏广告投放的收益优化
US10402465B1 (en) Content authority ranking using browsing behavior
KR102453535B1 (ko)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3024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9075987A (zh) 优化数字组件分析系统
US201703005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 message to authorized recipients with selected content
US20150220939A1 (en) Monetization Channel Exchange
KR102054063B1 (ko)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317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 information using application list
CN115601088A (zh) 对象投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00318413A1 (en) Allocation of internet advertising inventory
US20160189712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dio transcriptions for use in content resources
WO20161955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llocating data to different online delivery platforms
US20240160678A1 (en) Distributing digital components based on predicted attributes
US20160019101A1 (en) Content generation and tracking application, engine, system and method
US20150255065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dio transcriptions for use in content re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