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396B1 -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396B1
KR102053396B1 KR1020180067068A KR20180067068A KR102053396B1 KR 102053396 B1 KR102053396 B1 KR 102053396B1 KR 1020180067068 A KR1020180067068 A KR 1020180067068A KR 20180067068 A KR20180067068 A KR 20180067068A KR 102053396 B1 KR102053396 B1 KR 10205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input
impact device
vehicle
inp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유
장인배
김평기
박영진
박진수
정휘상
홍승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유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는 유리 충격 장치, 충돌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활성 여부가 결정되며, 유리 충격 장치로 제1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1정보가 입력되는 제1입력 스위치, 유리 충격 장치로 제2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2정보가 입력되는 제2입력 스위치, 그리고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를 통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유리 충격 장치가 작동 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VEHICLE EMERGENCY ESCAPE WINDOW IMPACT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화재나 사고 발생 시 차량 내부 승객들의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 등과 같은 대형차량에 화재 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버스 내부에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기,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삼각대, 비상 시 문을 열 수 있는 비상 밸브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재 또는 사고가 발생한 비상상황에서 내부의 승객들이 차량의 문을 통해 정상적으로 탈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승객들이 직접 창문을 깨고 사고현장을 탈출할 수 있도록 버스 내부의 특정 위치에 비상용 망치도 함께 구비되어 있다.
한편, 16인 이상 탑승 가능한 차량은 의무적으로 4개 이상의 비상용 망치를 구비하도록 되어있는데, 40개 이상의 좌석을 보유한 고속버스나 출·퇴근시간의 버스 이용객 수 등을 고려하면 비상용 망치의 개수는 턱없이 부족하고, 사고 발생 시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전복되면서 비상용 망치가 구비된 위치에서 이탈하여 정작 필요한 상황에 비상용 망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사용하더라도 창문을 깨기 위해서 힘과 시간이 소요되어 승객들이 버스를 신속하게 탈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승객들이 비상용 망치를 이용해 직접 유리를 파괴하는 경우, 유리의 일부만 파괴되어 탈출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유리 파괴 도중 파편에 의해 상해를 입기도 하였다.
이에, 차량 내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자동 유리 파괴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1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하게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유리 충격 장치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유리 충격 장치의 오작동은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유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는 유리 충격 장치, 충돌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활성 여부가 결정되며, 유리 충격 장치로 제1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1정보가 입력되는 제1입력 스위치, 유리 충격 장치로 제2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2정보가 입력되는 제2입력 스위치, 그리고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를 통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유리 충격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충격 장치와 제1입력 스위치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유리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는 차량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모든 유리 충격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은 유리 충격 장치의 작동을 미리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은 센서부가 차량의 충돌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활성 여부가 결정되며 제1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제2입력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차량의 유리와 인접하여 설치된 유리 충격 장치가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그리고 차단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를 통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유리 충격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충격 장치와 제1입력 스위치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유리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신호는 차량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모든 유리 충격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은 유리 충격 장치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기 전, 출력장치가 유리 충격 장치의 작동을 미리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의 입력만으로 유리 충격 장치가 작동하여 비상 상황 발생 시 승객 또는 운전 기사가 버스 밖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입력 스위치는 센서부에 의해 화재 또는 사고가 감지된 경우 일정시간 동안만 활성화되고,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의 입력으로 발생된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는 차단 스위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리 충격 장치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차량 내부 승객들의 탈출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부(110), 스위치부(미도시), 출력장치(150), 유리 충격 장치(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110)는 차량 운행 중 비상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11)와 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돌 감지 센서(112)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비상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을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화재 감지 센서(111) 또는 충돌 감지 센서(112)에 의해 화재 또는 사고가 감지된 경우 후술할 제1입력 스위치(12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미도시)는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스위치(미도시)와 입력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가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신호를 생성하는 차단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스위치(미도시)는 제1입력 스위치(120)와 제2입력 스위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입력 스위치(120)는 승객들에 의해 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승객 측 좌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유리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제1입력 스위치(120)는 센서부(110)의 비상 상황 감지 여부에 따라 활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및/또는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제1입력 스위치(120)는 활성화 될 수 있고, 화재 및 사고가 모두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란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비상 상황이 감지되어 제1입력 스위치(120)가 활성화 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승객들이 실수로 제1입력 스위치(120)를 눌러 사고가 발생하는 것에 대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입력 스위치(130)는 주로 운전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입력 스위치(130)는 제1입력 스위치(120)와 달리 센서부(110)에 의해 비상 상황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는 화재 또는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운전자가 주행 중 비상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제2입력 스위치(130)를 누름으로써 차량 내 승객들의 비상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승객 또는 운전자가 제1입력 스위치(120) 또는 제2입력 스위치(130)를 누르는 경우,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제어신호는 유리 충격 장치(160)로 전달되어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객이 제1입력 스위치(120)를 누르는 경우, 제1정보가 입력 되어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제어신호는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 되어 유리 충격 장치(160)룰 작동 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운전자가 제2입력 스위치 (130)를 누르는 경우에도 제2정보가 입력되어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제어신호는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 되어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비상 상황이 아님에도 입력 스위치(미도시)가 잘못 눌린 경우, 생성된 제어신호가 유리 충격 장치(16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차단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0)는 제2입력 스위치(130)와 함께 운전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가 차단 스위치(140)의 차단 신호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는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되어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유리 충격 장치(160)는 차량의 유리와 인접하여 혹은 차량 유리 상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유리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차량 내 구비된 복수 개의 유리 충격 장치(160)에 동시에 전달되어, 모든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유리 충격 장치(160)는 차량에 적용되는 에어백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아지드화 질산과 저속폭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리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신호에 의해 유리 충격 장치(160)가 작동하는 경우, 출력 장치 (150)에 의해 차량 내 승객들에게 유리 충격 장치(160)의 작동을 미리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출력장치(150)는 청각신호 출력장치(151)와 시각신호 출력장치(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상벨, 경고등 등이 출력장치(150)로서 구비될 수 있다.
출력장치(15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혼잡한 상황에서 유리 충격 장치(160) 작동 전 승객들에게 미리 유리가 제거될 것임을 청각적 신호 및 시각적 신호를 통해 알림으로써, 유리 충격 장치(160)가 유리에 충격을 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편 등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센서부(110), 스위치부(미도시), 출력장치(150), 및 유리 충격 장치(160)는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있고,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 구성 간 상호작용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110)가 충돌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입력 스위치(미도시)가 입력되는 단계, 유리 충격 장치(160)가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센서부(110)에 의해 충돌 또는 화재가 감지된 경우, 제1입력 스위치 (120)는 활성화 될 수 있고, 충돌 또는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1입력 스위치(120)가 활성화 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제1입력 스위치(120)가 활성화 된 경우에는, 제1입력 스위치(120) 또는 제2입력 스위치(130)에 의해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제1입력 스위치(120)가 활성화 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입력 스위치(130)에 의해 제2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제1입력 스위치(120) 또는 제2입력 스위치 (130)에 의해 어떠한 정보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되는 신호는 없으므로, 유리 충격 장치(16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입력 스위치(120) 또는 제2입력 스위치(130)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스위치에 따라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입력 스위치(120)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가, 제2입력 스위치(130)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차량 내 구비된 모든 유리 충격 장치(160)로 전달될 수 있고,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충격 장치(160)가 작동하기 전에 출력장치(150)에 의해 미리 유리의 제거를 알리는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차단 스위치(140)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스위치(미도시)를 잘못 누른 경우, 불필요한 상황에서 유리 충격 장치(16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스위치 (140)를 누름으로써, 입력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가 유리 충격 장치(16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들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입력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유리 충격 장치(160)를 작동시켜 차량 밖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입력 스위치(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화재 또는 사고가 감지된 경우 일정시간 동안만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고, 비상 상황이 아님에도 입력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제어신호가 생성된 경우 제어 신호가 유리 충격 장치(16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스위치 (140)를 구비함으로써 유리 충격 장치(16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장치(150)를 통해 유리 충격 장치(160) 작동 전 유리의 제거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여 승객들에게 미리 알림으로써, 유리 충격 장치(16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파편 등에 의한 2차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110: 센서부
111: 화재 감지 센서
112: 충돌 감지 센서
120: 제1입력 스위치
130: 제2입력 스위치
140: 차단 스위치
150: 출력장치
151: 청각신호 출력장치
152: 시각신호 출력장치
160: 유리 충격 장치
170: 제어부

Claims (8)

  1. 차량의 유리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는 유리 충격 장치;
    충돌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활성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유리 충격 장치로 제1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1정보가 입력되는 제1입력 스위치;
    상기 유리 충격 장치로 제2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2정보가 입력되는 제2입력 스위치; 및
    상기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유리 충격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 충격 장치와 제1입력 스위치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유리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되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는,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모든 유리 충격 장치에 전달되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충격 장치의 작동을 미리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5. 센서부가 차량의 충돌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활성 여부가 결정되며 제1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제2입력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차량의 유리와 인접하여 설치된 유리 충격 장치가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및
    차단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입력 스위치 또는 제2입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정보 또는 제2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유리 충격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 충격 장치와 제1입력 스위치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유리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되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차량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모든 유리 충격 장치에 전달되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충격 장치가 상기 차량의 유리에 충격을 가하기 전,
    출력장치가 상기 유리 충격 장치의 작동을 미리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방법.
KR1020180067068A 2018-06-11 2018-06-11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5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68A KR102053396B1 (ko) 2018-06-11 2018-06-11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68A KR102053396B1 (ko) 2018-06-11 2018-06-11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396B1 true KR102053396B1 (ko) 2019-12-06

Family

ID=6883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68A KR102053396B1 (ko) 2018-06-11 2018-06-11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3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120A (ko) 2009-01-22 2010-07-30 박중현 비상용 차량 유리 제거 시스템
KR20120004479U (ko) * 2010-12-14 2012-06-22 배성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유리 파괴 장치
KR20180047033A (ko) * 2016-10-30 2018-05-10 김기태 여객운송용자동차 화재대피용 유리폭약필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120A (ko) 2009-01-22 2010-07-30 박중현 비상용 차량 유리 제거 시스템
KR20120004479U (ko) * 2010-12-14 2012-06-22 배성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유리 파괴 장치
KR20180047033A (ko) * 2016-10-30 2018-05-10 김기태 여객운송용자동차 화재대피용 유리폭약필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32463T3 (es) Procedimiento para la activacion de bolsas de aire laterales de un dispositivo de seguridad pasiva para vehiculos.
JPH03197256A (ja) 車両乗客に対する受動的安全装置を作動させる装置
JP2004523415A (ja) 車両内の少なくとも1つのエアバッグを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
KR102053396B1 (ko) 차량 비상탈출을 위한 유리 충격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359709B1 (ko) 비상탈출용 안전장치
MY120731A (en) Control appratus for passenger restraining safety devices
KR101654436B1 (ko)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US6296273B1 (en) Automobile airbag deactivation system
JP6156168B2 (ja) 重大事故検知装置
JP4258727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2066036B1 (ko) 차량의 강화 유리 파괴 장치
KR20200023844A (ko) 차량용 비상 탈출 시스템
KR200330499Y1 (ko) 비상탈출용 망치의 위치 안내장치
US11214212B2 (en) Method for triggering safety functions
KR101881046B1 (ko) 공명현상을 이용한 유리창 파쇄장치
KR20200023837A (ko) 비상용 해머 장치
KR0128186Y1 (ko) 차량충돌시의 긴급구조신호 발생시스템
KR100534304B1 (ko) 차량의 도난 및 충돌 감지시스템
KR100422535B1 (ko) 차량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JP2985543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5239059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090004902U (ko) 차량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KR100844639B1 (ko) 측면 에어백용 승객 보호 시스템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214705B1 (ko) 차량의 사고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