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097B1 - 폐유 정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유 정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097B1
KR102053097B1 KR1020190097881A KR20190097881A KR102053097B1 KR 102053097 B1 KR102053097 B1 KR 102053097B1 KR 1020190097881 A KR1020190097881 A KR 1020190097881A KR 20190097881 A KR20190097881 A KR 20190097881A KR 102053097 B1 KR102053097 B1 KR 10205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ste oil
stirring tank
temperatur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윤
Original Assignee
최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윤 filed Critical 최병윤
Priority to KR1020190097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3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 B01F15/00876
    • B01F15/00175
    • B01F15/00538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01F7/2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spirally co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0Mixing of ingredients for oils, fats or waxes
    • B01F2215/006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폐유를 정제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폐유를 보관 및 교반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유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제될 폐유를 저장해 두는 폐유 저장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유 정제 시스템{WASTE OIL REFINING SYSTEM}
본 발명은 폐유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폐유를 정제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폐유를 보관 및 교반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유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유는 제유소, 비축기지, 급유소등 석유 제품의 제조 유통에 관계되는 산업을 기본으로 하여, 전력, 철강, 기계, 화학 등의 제공업과 차량과 선박을 포함한 각종 운송기관 등 유류를 취급하는 모든 산업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폐유를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할 경우, 토양, 지하수, 하천, 호스, 해양 등을 심각하게 오염시켜 환경오염문제를 일으킴으로서 사회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야기하게 되므로, 폐유 처리에 대해서는 폐기물관리법, 수질환경보호법 등 각종 법규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폐유는 그 질, 성상, 발생량, 혼입물, 수분함유여부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고, 이런 폐유 처리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소각 등으로 폐기하는 방법과 소정의 정제과정을 통해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대별되며, 자원재활용의 관점에서 재활용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또한, 폐유는, 침전, 여과, 열처리 등의 물리적 방법, 조정, 산화, 환원, 응집, 흡착 등의 화학적 방법, 및 활성오니법, 살수여상법 등의 생물학적 방법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처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805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3417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폐유를 효율적으로 정제하여 재이용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폐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 및 일정한 온도를 폐유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조를 구비하는 폐유 정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폐유의 교반에서 교반조의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교반조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폐유 정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은, 정제될 폐유를 저장해 두는 폐유 저장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은, 상기 폐유 저장조로부터 폐유를 공급받아 정제를 위해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폐유 교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유 교반조는, 상기 폐유 저장조로부터 공급되는 폐유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교반 탱크; 상기 교반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 탱크에 저장된 폐유를 교반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 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교반 탱크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냉각수 터널; 상기 교반 탱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터널의 상측으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냉각수 터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터널로부터 냉각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수 터널에서 냉각수가 흘러가는 공간인 냉각수로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로를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속 조절부는, 상기 냉각수 터널의 측벽과 상기 교반 탱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냉각수 터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체결하여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터널을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냉각수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반대방향으로 냉각수를 저어주는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교반 탱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서로 대향하고 쌍을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교반 탱크의 각 부분의 온도를 전달받으며, 교반 중인 폐유가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유속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속 제어부는, 교반을 위한 적정 온도 이상으로 교반 중인 폐유의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켜 주고, 교반 중인 폐유의 온도가 상기 적정 온도 밑으로 다시 떨어지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속 제어부는, 상기 교반 탱크의 내측면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와 대향하고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 설치되는 제2 센서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비교하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상기 적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상기 적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도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수 터널은, 냉각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흐르는 상기 냉각수로의 측벽 또는 바닥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수로는,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유 교반조는, "#"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 탱크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 탱크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안측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각 지지 가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폐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 및 일정한 온도를 폐유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조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처리유량과 고급 품질의 연료유 재생이 가능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안정적으로 폐유를 효율적으로 정제하여 재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폐유의 교반에서 교반조의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교반조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폐유의 교반 효율을 증가시켜 폐유 정제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냉각수 터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냉각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폐유 교반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10은 도 7의 지지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하부캡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프레임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체결 돌기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하부 프레임에 의한 상부 프레임의 체결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10)은, 수거해온 폐유를 저장해 두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정제될 폐유를 저장해 두며, 정제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저장해 둔 폐유를 후술하는 폐유 교반조(200)로 전달하는 폐유 저장조(1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폐유 저장조(100)는, 작업자가 저장조의 상측으로 올라가기 위한 계단(110)이 저장조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상측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테두리를 따라 난간(1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 정제 시스템(10)은, 정제될 폐유를 저장해 두는 폐유 저장조(100) 및 폐유 교반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폐유 저장조(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폐유 교반조(200)는, 폐유 저장조(100)로부터 폐유를 공급받아 정제를 위해 균일하게 교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폐유 교반조(200)는, 교반 탱크(210), 구동축(220), 임펠러(230) 및 냉각부(300)를 포함한다.
교반 탱크(210)는, 폐유 저장조(100)로부터 공급되는 폐유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며, 폐유를 폐유 저장조(100)로부터 공급받거나 저장된 폐유로부터 발생되는 유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211, 212)가 상측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교반이 완료된 폐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213)이 하측에 형성된다.
구동축(220)은, 교반 탱크(2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하며, 폐유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장치인 임펠러(230)가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임펠러(230)는, 구동축(220)을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구동축(2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교반 탱크(210)에 저장된 폐유를 교반시킨다.
냉각부(300)는, 교반 탱크(210)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교반 탱크(210)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교반 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300)는, 냉각수 터널(310), 냉각수 공급관(320) 및 냉각수 배출관(330)을 포함한다.
냉각수 터널(310)은, 냉각수 공급관(320)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각수가 교반 탱크(210)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교반 탱크(21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교반 탱크(210)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설치되며, 교반 탱크(210)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각수가 배출되기 위한 냉각수 배출관(330)이 하측에 설치된다.
냉각수 공급관(320)은, 교반 탱크(21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냉각수 터널(310)의 상측으로 공급한다.
냉각수 배출관(330)은, 냉각수 터널(310)의 하측에 설치되어 냉각수 터널(310)로부터 냉각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수 터널(310)은, 냉각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로(312)의 측벽(310a) 또는 바닥면(310b)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수로(311)가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때, 보조 수로(311)는,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냉각수에 의한 방열은, 교반 탱크(210) 또는 교반 탱크(2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냉각수 터널(310)을 냉각수가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뒤 배출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냉각수에 의한 흡열은 교반 탱크(210) 또는 냉각수 터널(310)과 냉각수의 접촉면적에 전적으로 의존될 수밖에 없는데, 교반 탱크(210) 또는 냉각수 터널(310)과 냉각수의 접촉 면적은 한정적이어서 방열 효율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터널(310)에는 냉각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조 수로(311)가 형성됨에 따라 교반 탱크(2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냉각수 터널(310)로부터 냉각수로 열이 전달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냉각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300)는, 냉각수 터널(310), 냉각수 공급관(320), 냉각수 배출관(330) 및 유속 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각수 터널(310), 냉각수 공급관(320) 및 냉각수 배출관(330)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속 조절부(340)는, 냉각수 터널(310)에서 냉각수가 흘러가는 공간인 냉각수로(312)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냉각수로(312)를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속 조절부(340)는, 회전축(341), 구동 모터(342) 및 회전 날개(3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41)은, 냉각수 터널(310)의 측벽과 교반 탱크(2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 설치된 구동 모터(342)에 의하여 회전하여 회전 날개(343)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구동 모터(342)는, 냉각수 터널(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유속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구동되며, 회전축(341)의 일측을 체결하여 회전시킨다.
회전 날개(343)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341)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냉각수 터널(310)을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34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냉각수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반대방향으로 냉각수를 저어준다.
냉각수 터널(310)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의 유속에 따라 교반 탱크(210)로부터 전달되는 방열 성능이 결정되는 것으로, 냉각수의 유속이 빨라지면 열을 흡수하는 시간이 줄어들어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반면, 냉각수의 유속이 느려지면 열을 흡수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는 바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속 조절부(340)에 의한 냉각수의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성능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각부(300)는, 온도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유속 제어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교반 탱크(2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서로 대향하고 쌍을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한다.
유속 제어부는,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교반 탱크(210)의 각 부분의 온도를 전달받으며, 교반 중인 폐유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 내지 60℃ 등)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 모터(342)에 의한 회전축(34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속 제어부는, 교반을 위한 적정 온도(예를 들어, 40℃ 내지 60℃ 등) 이상으로 교반 중인 폐유의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구동 모터(342)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켜 주고, 교반 중인 폐유의 온도가 적정 온도 밑으로 다시 떨어지면 구동 모터(342)의 회전 속도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속 제어부는, 교반 탱크(210)의 내측면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와 대향하고 교반 탱크(210)의 외측면 설치되는 제2 센서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비교하며, 제1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제2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도 구동 모터(342)의 회전 속도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폐유 교반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 교반조(200)는, 교반 탱크(210), 구동축(220), 임펠러(230), 냉각부(300), 안착 프레임(240) 및 프레임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 탱크(210), 구동축(220), 임펠러(230) 및 냉각부(3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안착 프레임(240)은, "#" 형태로 형성되며, 교반 탱크(210)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교반 탱크(21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각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각 지지 가지(242)의 하측에 설치된 프레임 지지부(400)들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 지지부(400)는, 안측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각 지지 가지(242)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 프레임(24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유 교반조(200)는, 폐유의 교반 과정 중에 교반 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프레임 지지부(400)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폐유의 교반을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400)는, 지지 가지(24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 지지 가지(242)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240)에 안착된 교반 탱크(21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 프레임(240)의 뒤틀림에 따라 교반 탱크(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캡(410), 상부캡(420) 및 지지기둥(430)을 포함한다.
하부캡(4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411), 및 지지기둥(43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캡 본체(41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412)을 포함한다.
상부캡(42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본체(421), 지지기둥(43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42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422)이 형성되며, 하부캡(4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 가지(242)의 하측을 지지한다.
지지기둥(4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캡(410)과 상부캡(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캡(42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레임 지지부(400)의 지지기둥(430)은, 4 개의 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데, 각각의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및 상부가 하부캡(410) 또는 상부캡(42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10은 도 7의 지지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기둥(430)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하부 안착홈(412)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부 안착홈(422)에 삽입된다.
여기서, 각각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은, 모듈 본체(4311), 슬라이딩 돌기(4312), 슬라이딩 홈(4313), 지지 돌기(4314) 및 바퀴(4315)를 포함한다.
모듈 본체(4311)는,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홈(4313)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4312)는, 모듈 본체(4311)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431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된다.
슬라이딩 홈(4313)은,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슬라이딩 돌기(4312)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 돌기(4314)는, 모듈 본체(43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안착홈(42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바퀴(431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4315)는, 모듈 본체(4311)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43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바퀴(4315a, 4315b, 4315c 및 4315d)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지지기둥(4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기둥(430)은, 상부캡(420)의 일측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일측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둥모듈(431a, 431b, 431c 또는 431d)만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부캡(420)을 이용하여 상부캡(420)의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도 7의 하부캡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하부캡(410)은, 캡 본체(411), 하부 안착홈(412), 지지 원판(413) 및 회전 원판(4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캡 본체(411) 및 하부 안착홈(412)은, 도 7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원판(413)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회전 원판(415)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414)가 하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원판(415)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원판(41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기둥모듈(431)을 하부 안착홈(412)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416)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캡(4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화살표와 같이 승강 또는 하강, 회전함에 따라 회전 원판(415)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기둥(430)이 비틀림에 따라 회전하에 되어 비틀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기둥(430)을 지지하는 지지 원판(413)을 통해 지지기둥(4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이나 충경에 따른 파손 역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6의 프레임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500)는, 지지 가지(242)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즉, 프레임 지지부(500)는, 후술하는 하부 프레임(52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지지높이를 t1, t2 또는 t3(t1 > t2 > t3)로 조절함으로써 지지 가지(242)의 안착 높이를 다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가지(242)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부 프레임(520)의 안착홈(530)에 다단으로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510)은, 상부 본체(511), 체결 돌기(512) 및 걸림턱(513)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5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530)에 삽입되며,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 돌기(51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513)이 연장 형성된다.
체결 돌기(512)는, 상부 본체(5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안착홈(530)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부 본체(511)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걸림턱(513)은, 상부 본체(511)가 안착홈(530)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도 15의 (c)의 경우) 상부 본체(511)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520)은, 상부에 상부 프레임(5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510)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530)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삽입 깊이가 다단(도 15의 (a), (b) 또는 (c)의 경우)으로 조절된다.
도 13은 도 12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520)은, 수직 통로(521), 제1 수평 통로(522), 제1 체결 통로(523), 제2 수평 통로(524) 및 제2 체결 통로(525)를 포함한다.
수직 통로(521)는, 체결 돌기(512)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 통로(522)가 연장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 통로(524)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수평 통로(522)는, 체결 돌기(512)가 수직 통로(521)를 따라 하강하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제1 체결 통로(523)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 통로(523)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통로(523)는, 하강 통로(5231), 체결구(5232) 및 탄성 지지판(5235)을 포함한다.
하강 통로(5231)는, 제1 수평 통로(52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체결 돌기(512)가 하강된 후 하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구(5232)는, 하강 통로(5231)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5233)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홈(52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설치홈(5233)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5234)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탄성체(5234) 방향으로 이동된 후(도 14의 (a)의 경우)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통과하여 하강 통로(5231)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탄성체(523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이 설치홈(5233)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체결 돌기(512)의 상측을 체결(도 14의 (b)의 경우)한다.
탄성 지지판(5235)은, 하강 통로(523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52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체결 돌기(51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수평 통로(524)는, 체결 돌기(51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통로(525)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수평 통로(524)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수평 통로(524)와 제2 체결 통로(525)는, 제1 수평 통로(522)와 제1 체결 통로(52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체결 돌기(512)가 제1 체결 통로(523)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1이 되고, 체결 돌기(512)가 제2 체결 통로(52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2이 됨에 따라 지지 높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폐유 저장조
200: 폐유 교반조
210: 교반 탱크
220: 구동축
230: 임펠러
240: 안착 프레임
300: 냉각부
310: 냉각수 터널
320: 냉각수 공급관
330: 냉각수 배출관
400: 프레임 지지부

Claims (2)

  1. 정제될 폐유를 저장해 두는 폐유 저장조;를 포함하고,
    상기 폐유 저장조로부터 폐유를 공급받아 정제를 위해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폐유 교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 교반조는, 상기 폐유 저장조로부터 공급되는 폐유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교반 탱크; 상기 교반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 탱크에 저장된 폐유를 교반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 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교반 탱크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냉각수 터널; 상기 교반 탱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터널의 상측으로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상기 냉각수 터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터널로부터 냉각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수 터널에서 냉각수가 흘러가는 공간인 냉각수로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로를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 조절부는, 상기 냉각수 터널의 측벽과 상기 교반 탱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냉각수 터널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체결하여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터널을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냉각수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반대방향으로 냉각수를 저어주는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교반 탱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서로 대향하고 쌍을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교반 탱크의 각 부분의 온도를 전달받으며, 교반 중인 폐유가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유속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 제어부는, 교반을 위한 적정 온도 이상으로 교반 중인 폐유의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켜 주고, 교반 중인 폐유의 온도가 상기 적정 온도 밑으로 다시 떨어지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하강시켜 주며,
    상기 유속 제어부는, 상기 교반 탱크의 내측면 설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와 대향하고 상기 교반 탱크의 외측면 설치되는 제2 센서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비교하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상기 적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상기 적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도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하강시켜 주며,
    상기 냉각수 터널은, 냉각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흐르는 상기 냉각수로의 측벽 또는 바닥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로는,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폐유 교반조는, "#"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 탱크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 탱크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안착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각 지지 가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폐유 정제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97881A 2019-08-10 2019-08-10 폐유 정제 시스템 KR10205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81A KR102053097B1 (ko) 2019-08-10 2019-08-10 폐유 정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81A KR102053097B1 (ko) 2019-08-10 2019-08-10 폐유 정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97B1 true KR102053097B1 (ko) 2019-12-06

Family

ID=6883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881A KR102053097B1 (ko) 2019-08-10 2019-08-10 폐유 정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0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058A (ko) 2010-01-28 2011-08-03 주식회사 부강테크 분리막 공정을 이용한 폐유정제 장치 및 방법
KR20140064263A (ko) * 2012-11-20 2014-05-28 티알에스 주식회사 냉각 장치를 구비한 폐오일 여과 시스템
KR101934170B1 (ko) 2010-12-08 2018-12-31 다나카 기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촉매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058A (ko) 2010-01-28 2011-08-03 주식회사 부강테크 분리막 공정을 이용한 폐유정제 장치 및 방법
KR101934170B1 (ko) 2010-12-08 2018-12-31 다나카 기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의 촉매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64263A (ko) * 2012-11-20 2014-05-28 티알에스 주식회사 냉각 장치를 구비한 폐오일 여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676A (zh) 离心分离器及其方法
EA015139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гущения и способ сгущения
CA1038090A (en) Reactor for biological water treatment
JP2006289188A (ja) 汚水処理装置
KR102053097B1 (ko) 폐유 정제 시스템
CN1143336A (zh) 长方形浮选设备
JPH10202009A (ja) 凝集沈殿装置
US20090039003A1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EP2542333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RE20761E (en) Clarification plant
WO2013132610A1 (ja) 微生物反応槽
CA2932188C (en) Decanter centrifug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to dewater mature (fluid) fine tailings
KR101644442B1 (ko) 횡축 회전식 산화구 로터
US7967498B2 (en) Submersibly operable high volume and low pressure liquid transfer equipment
KR20020092717A (ko) 가압 부상조
JP5468316B2 (ja) 固液分離装置
US20230149950A1 (en) Centrifug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to dewater mature (fluid) fine tailings
KR100672217B1 (ko) 슬러지 응집겸 농축장치
CN105836967A (zh) 一种采用双重解耦联的膜生物反应器处理污水的方法
JP2006320777A (ja) 排水処理装置
JP5490491B2 (ja) 汚水処理装置
JP5697920B2 (ja) 浮上分離装置
JP4223651B2 (ja) 凝集沈殿装置
KR100380832B1 (ko) 액체처리장치
US3422007A (en) Waste treatment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