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072B1 -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072B1
KR102053072B1 KR1020180067563A KR20180067563A KR102053072B1 KR 102053072 B1 KR102053072 B1 KR 102053072B1 KR 1020180067563 A KR1020180067563 A KR 1020180067563A KR 20180067563 A KR20180067563 A KR 20180067563A KR 102053072 B1 KR102053072 B1 KR 10205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ack
hole
roof
spacer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내측공간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루프랙과, 슬라이드홀을 통해 끼워져 루프랙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루프랙에 결합되며 루프패널에 대해 루프랙을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루프랙의 하부에 결합되며 루프랙과 루프패널에 접촉되며 스페이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패드와,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스페이서와 루프랙의 밑면을 관통한 후에,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루프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프랙을 루프패널에 조립할 때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결합도록 구성됨으로써, 루프랙을 통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Roof rack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랙을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고정하여 루프랙을 통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화물의 이송을 위하여 트렁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트렁크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운 큰 부피의 화물이나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루프에 설치된 루프랙을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상기 루프랙은 차량에 장착되는 편의부품의 하나로서, 차량의 지붕 상면인 루프 패널(Roof Panel)에 고정되어 스키와 같은 레저장비 등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SUV(sport Utility Vehicle)의 대중화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루프랙은 별도의 조립체(체결장치)를 통해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된다. 이러한 루프랙을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조립체가 개발되었으며, 그 일 예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45757(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차량용 루프랙 조립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랙(10)을 차량의 루프패널(1)의 상부 양측에 대칭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홀(10a)을 갖는 루프랙(10)과, 체결볼트(11)와, 너트(20)와, 캡부재(13)로 구성된다.
먼저, 루프랙(10)은 내부가 비어 있고, 단면이 사각 형상의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밑면에 복수의 체결홀(10a)이 내측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루프랙(10)의 윗면에는 개구부(10b)가 형성되어 너트(20)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T)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체결볼트(11)는 루프랙(10)을 루프패널(1)에 고정하는 부품으로서, 루프패널(1)의 하측에서 루프패널(1)을 관통한 후에, 루프랙(10)의 체결홀(10a)도 관통하여 루프랙(10)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된다. 이때, 루프랙(10)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1)의 상단에 너트(20)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캡부재(13)는 루프랙(10)에서 공구(T)가 끼워지는 개구부(10b)를 덮어서 물이나 이물질이 루프랙(10)의 내측공간으로 들어가는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루프랙 조립 구조는, 루프랙(10)의 외주면에 복수의 개구부(10b) 및 이를 결합하는 커버(13)를 포함하고 있어 부품의 개수와 조립 공수가 늘어남은 물론 개구부(10b)에 결합된 커버(13)의 틈새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4575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루프랙의 윗면에 별도의 공구용 개구부를 구성하지 않고, 루프 패널의 하측에서 루프랙을 체결부재로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루프랙의 내측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루프랙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으로 된 바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에 내측공간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루프랙과, 슬라이드홀을 통해 끼워져 루프랙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루프랙에 결합되며 루프패널에 대해 루프랙을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루프랙의 하부에 결합되며 루프랙과 루프패널에 접촉되며 스페이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패드와,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스페이서와 루프랙의 밑면을 관통한 후에,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루프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루프랙의 밑면에는, 슬라이드홀에 이격되어 스페이서의 결합돌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고, 고정홀에 이격되어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이격되어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의 윗면에는,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에는, 체결볼트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루프랙의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의 중간부분에는, 체결볼트가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스페이서의 관통홀에 끼워질 때 스페이서의 관통홀 하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루프랙을 루프패널에 조립할 때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결합도록 구성됨으로써, 루프랙을 통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루프랙 조립체에서 루프랙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루프랙 조립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100)는, 루프패널(101)의 하측에서 루프랙(11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홀(120)과, 슬라이드 블록(130)과, 스페이서(140)와, 패드(150)와, 체결볼트(160)와, 체결용 너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루프랙(110)이 루프패널(101)에 결합될 때 루프패널(101)에 형성된 결합홈(101a)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루프랙(110)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루프패널(101)의 윗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루프랙(110)은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루프랙(110)의 밑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블록(130)이 끼워진 후에 슬라이드되어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홀(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홀(120)은 루프랙(110)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후술하는 슬라이드 블록(1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블록(1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루프랙(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홀(120)은 슬라이드 블록(130)을 끼운 후에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블록(130)을 밀기 위함이다.
루프랙(110)의 밑면에는 후술하는 스페이서(140)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홀(111), 관통홀(112), 끼움홀(113)이 슬라이드홀(120)에서 서로 이격되어 차례로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홀(120)에서 이격되어 고정홀(111)이 형성되고, 고정홀(111)에서 이격되어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관통홀(112)에서 이격되어 끼움홀(113)이 형성된다.
루프랙(110)은 그 하부에서 양측단부가 하측으로 더 돌출 형성되며, 양측 하단부에는 수평으로 걸림턱(114)이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드 블록(130)은 소정길이의 다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루프랙(110)의 내측 공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루프랙(110)의 내측공간 보다 작은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블록(130)에는 후술하는 체결볼트(160)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홀(131)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패드(150)는 상기 루프랙(110)이 루프패널(101)에 결합될 때, 루프랙(110)의 하부와 루프패널(101)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루프랙(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패드(150)는 루프랙(110)과 같이 길게 형성되며, 루프랙(110)의 하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스페이서(140)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해 대응되도록 복수의 장홀이 구비된다.
패드(150)는 양측단부에서 안쪽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리브(151)가 각각 형성되어 루프랙(1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4) 사이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패드(150)에 형성된 양측의 돌출리브(151) 사이 간격이 루프랙(110)의 걸림턱(114) 사이의 간격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루프랙(110)의 걸림턱(114) 사이에 끼워질 때 걸림턱(114)의 단부에 밀착되어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루프랙(110)의 걸림턱(114)에 돌출리브(151)가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루프랙(110)의 하부 쪽으로 이물질이나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패드(150)는 돌출리브(151)가 루프랙(110)의 걸림턱(114) 사이에 억지로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150)는 양측단의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후에 다시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루프패널(101)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14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루프패널(101)의 윗면과 루프랙(110)의 하부 사이에 결합되며 루프패널(101)의 윗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하여 루프랙(110)을 지지한다.
스페이서(140)는 루프랙(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루프랙(110)의 하부에 임시 결합되도록 윗면에는 루프랙(110)의 고정홀(111)에 끼워져서 임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돌기(141)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141)는 고정홀(111)에 끼워져서 스페이서(140)가 루프랙(110)에 임시 고정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홀(111)에 억지 끼움 형태로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탄성을 가지고 형성된다.
스페이서(140)의 윗면에는 결합돌기(141)에서 이격되어 걸림돌기(142)가 돌출 형성되며, 루프랙(110)의 끼움홀(113)에 끼워져서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된다.
걸림돌기(142)는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블록(130)의 일측부를 지지하여 내측공간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블록(130)이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드 블록(130)의 고정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 블록(130)을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에 끼워 넣을 때 루프랙(110)의 하측에 스페이서(140)를 임시 고정한 후에, 슬라이드 블록(130)을 루프랙(110)의 슬라이드홀(120)을 통해 끼워 넣으면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2)에 슬라이드 블록(130)의 일측이 걸리게 되는데, 이 슬라이드 블록(130)이 걸림돌기(142)에 걸려서 이동되지 않는 위치를 슬라이드 블록(130)의 결합 위치로 결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스페이서(140)에는 루프패널(101)에 루프랙(110)을 완전히 고정시키는 후술하는 체결볼트(160)가 관통되는 관통홀(143)이 형성된다.
루프패널(101)의 밑면에 접촉되는 스페이서(140)의 관통홀(143)의 가장자리에는 루프랙(110)의 관통홀(112)에 끼워지는 링형태의 끼움돌기(144)가 돌출 형성된다. (관통홀로 끼워진 체결볼트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끼움돌기(144)의 외경은 루프랙(110)의 관통홀(1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내경은 체결볼트(160)가 관통되도록 체결볼트(16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체결볼트(160)는 루프패널(101)의 하측에서 스페이서(140)의 관통홀(143), 루프랙(110)의 관통홀(112)을 차례로 관통한 후에 슬라이드 블록(130)의 체결홀(131)에 체결됨으로써, 루프랙(110)을 루프패널(101)에 고정하게 된다.
체결볼트(160)의 중간부분에는 체결볼트(160)가 루프패널(101)의 하측에서 스페이서(140)의 관통홀(143)에 끼워질 때 관통홀(143)의 하측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는 돌기부(161)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용 너트(170)는 루프패널(101)의 하측에서 체결볼트(160)에 체결됨으로써 루프랙(110)을 완전히 루프패널(101)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볼트(160)의 하단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면서 루프랙(110)을 루프패널(101)에 대해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물론, 체결용 너트(170)는 체결볼트(160)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홀이 마련된다.
체결용 너트(17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루프패널(101)의 밑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체결용 너트(170)가 더 이상 체결되지 않도록 하면서 체결용 너트(170)의 체결홀 상부 가장자리가 루프패널(10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돌기부(171)가 돌출 형성되되, 외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 지지돌기부(171)는 그 모서리 쪽으로 상향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루프랙을 루프패널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의 작용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루프랙(11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0)이 노출되도록 한다. 즉, 루프랙(110)의 하부에 패드(15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패드(150)를 분리하게 된다.
이때, 루프랙(110)의 끝단 쪽에서 슬라이드홀(120)에 슬라이드 블록(130)을 일부 끼워 넣은 후에,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좀더 밀어 넣는다. 즉,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슬라이드 블록(130)이 완전히 들어가서 슬라이드홀(120)에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후에, 루프랙(110)의 하면에 스페이서(140)를 결합하게 된다. 즉, 루프랙(11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스페이서(14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돌기(144)를 끼워서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스페이서(140)의 결합돌기(141)는, 루프랙(110)의 고정홀(111)에 끼워지고, 스페이서(140)의 걸림돌기(142)는 루프랙(110)의 끼움홀(113)에 끼워진다.
이렇게 스페이서(140)가 루프랙(110)의 하부에 결합되면,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에 끼워진 슬라이드 블록(130)을 루프랙(110)의 내측공간으로 더 밀어넣거나 슬라이드홀(120) 쪽으로 당겨서 슬라이드 블록(130)의 체결홀(131)과 루프랙(110)의 관통홀(143)을 일치시킨다.
이후에, 체결볼트(160)를 스페이서(140)의 하측에서 스페이서(140)의 관통홀(143)을 관통시킨 후에 슬라이드 블록(130)의 체결홀(131)까지 끼워서 체결한 후에, 체결볼트(160)의 돌기부(161)를 스페이서(140)의 관통홀(143) 가장자리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루프랙(110)의 하부에 패드(150)를 결합하여 루프랙 조립체를 루프랙(110)에 완전히 결합한 후에, 루프랙(110)을 루프패널의 위쪽에 밀착시키고, 루프패널의 하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체결볼트(160)의 하단에서 체결용 너트(170)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루프패널에 루프랙(110)을 조립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루프랙(110)을 루프패널에 조립할 때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결합도록 구성됨으로써, 루프랙을 통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루프랙 111: 고정홀
112: 관통홀 113: 끼움홀
114: 걸림턱 120: 슬라이드홀
130: 슬라이드 블록 131: 체결홀
140: 스페이서 141: 결합돌기
142: 걸림돌기 143: 관통홀
144: 끼움돌기 150: 패드
151: 돌출리브 160: 체결볼트
161; 돌기부 170; 체결용 너트
171: 지지돌기부

Claims (5)

  1. 중공으로 된 바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에 내측공간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루프랙;
    슬라이드홀을 통해 끼워져 루프랙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
    루프랙에 결합되며 루프패널에 대해 루프랙을 지지하는 스페이서;
    루프랙의 하부에 결합되며 루프랙과 루프패널에 접촉되며 스페이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패드;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스페이서와 루프랙의 밑면을 관통한 후에,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루프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를 포함하고,
    루프랙의 밑면에는 슬라이드홀에 이격되어 스페이서의 결합돌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고, 고정홀에 이격되어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이격되어 끼움홀이 형성되며,
    스페이서의 윗면에는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슬라이드 블록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에는 체결볼트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루프랙의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체결볼트의 중간부분에는 체결볼트가 루프패널의 하측에서 스페이서의 관통홀에 끼워질 때 스페이서의 관통홀 하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KR1020180067563A 2018-06-12 2018-06-12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KR10205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63A KR102053072B1 (ko) 2018-06-12 2018-06-12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63A KR102053072B1 (ko) 2018-06-12 2018-06-12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72B1 true KR102053072B1 (ko) 2020-01-09

Family

ID=6915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563A KR102053072B1 (ko) 2018-06-12 2018-06-12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509A (ko) 2021-06-10 2022-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8230A (ja) * 2008-06-11 2009-12-24 Faltec Co Ltd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US20130299539A1 (en) 2012-05-10 2013-11-14 Jac Products, Inc. Device For Mounting Attachment Externally Supporting Against Body Outer Panel Of Vehicle Body On Body Structure
JP2017019457A (ja) 2015-07-14 2017-01-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ルーフ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8230A (ja) * 2008-06-11 2009-12-24 Faltec Co Ltd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US20130299539A1 (en) 2012-05-10 2013-11-14 Jac Products, Inc. Device For Mounting Attachment Externally Supporting Against Body Outer Panel Of Vehicle Body On Body Structure
JP2017019457A (ja) 2015-07-14 2017-01-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ルーフレー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509A (ko) 2021-06-10 2022-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장치
US11845403B2 (en) 2021-06-10 2023-12-19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pparatus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936A (en) Locking device in a telescopic tripod leg assembly
US5033701A (en) Plastic holder element
US8096017B2 (en) Grommet for metal stud
US20110260025A1 (en) Carpet clamp
US7905059B2 (en) Door lining fixing construction and door lining fixing method
US7497490B2 (en) Telescopic stay
US9217453B2 (en) Mounting structure for parts
US20180186305A1 (en) Service hole fastening clip assembly
JPH10252719A (ja) パイプクランプ
EP1511368A2 (de) Sandwich Gehäuse für einen Antennenverstärker
US20150035319A1 (en) Cooling Line Grommet Sealing Passage Through Multiple Vehicle Panels
KR102053072B1 (ko)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US11493078B2 (en) Stud locking tool
US5632648A (en) Adapter fixing device
KR102239610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0528009B1 (ko)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JP2985742B2 (ja) カウルルーバの取付け構造
KR200181748Y1 (ko) 자동차의 범퍼 커버 측면 결합용 고정부재
CN106808984B (zh) 汽车后背门开启辅助装置及汽车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KR20200047152A (ko) 대쉬패드 마운팅 클립
EP4230507A1 (en) Locking/unlocking device for vehicle mudguards and mudguard assembly
KR100395689B1 (ko) 자동차의 소음 차단재 조립구조
KR102347748B1 (ko) 자동차용 튜브 홀딩 장치
KR20090107741A (ko) 간판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