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019B1 - 펜 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펜 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019B1
KR102053019B1 KR1020180012104A KR20180012104A KR102053019B1 KR 102053019 B1 KR102053019 B1 KR 102053019B1 KR 1020180012104 A KR1020180012104 A KR 1020180012104A KR 20180012104 A KR20180012104 A KR 20180012104A KR 102053019 B1 KR102053019 B1 KR 10205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rotating body
piston
gea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856A (ko
Inventor
석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프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프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프러스
Priority to KR102018001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19B1/ko
Priority to PCT/KR2018/009073 priority patent/WO2019151593A1/en
Priority to US16/107,167 priority patent/US10674802B2/en
Publication of KR2019009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19B1/ko
Priority to US16/864,830 priority patent/US202002533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의 전진을 통해 내용물을 노즐로 밀어내는 펜 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전진은 물론 후진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노즐에 주입된 내용물의 회수가 가능한 펜 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펜 형 화장품 용기{Pen Type Cosmetics Case}
본 발명은 피스톤의 전진을 통해 내용물을 노즐로 밀어내는 펜 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전진은 물론 후진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노즐에 주입된 내용물의 회수가 가능한 펜 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펜 타입의 화장품류(아이라이너, 컨실러, 립틴트, 립글로스 등)에서는 실린더 형태의 용기에 사용목적에 적합한 충전액을 넣고, 노크버튼 등의 작동부를 작동시키면 피스톤이 전진하여 내부 충전액이 통상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라 불리는 브러쉬나 스펀지 또는 연질의 실리콘을 통해 밀려나옴으로써 눈썹을 그리거나 컨실러 내지 립라커/립틴트 등의 화장품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노크버튼으로 작동되는 펜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브러쉬나 스펀지 또는 연질의 실리콘을 통해 밀려나온 액상의 화장품을 다시 회수할 수 없었다.
또한, 노크 방식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의 노즐 주입량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내용물이 노즐에 과도하게 밀려나온 경우 이를 회수할 수 없어 티슈 등에 닦아내고 사용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브러쉬나 스펀지 또는 실리콘과 같은 노즐에 액상의 화장품이 주입된 상태에서 보관이 이루어질 경우 액상의 화장품이 고형화되어 사용이 어렵고, 노즐이 고형물로 인해 막혀 이를 세척 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5280호 '노크식 투입 용기' (2014.04.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식 작동부를 통해 피스톤의 전진은 물론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후 노즐에 주입된 내용물의 회수가 가능한 펜 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회전식 작동부 회전 시 돌기와 톱니홈이 주기적으로 맞물림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양만큼 내용물을 노즐에 주입 또는 회수할 수 있는 펜 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실시 예의 본 발명은 회전식 작동부에 노크 작동부를 추가 구성하여 피스톤 전진에는 회전 작동부 또는 노크 작동부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피스톤 후진에는 회전식 작동부를 이용하도록 한 펜 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 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노즐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캠;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전진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타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후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가 중공되며 양측이 개방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몸체에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형 내용물;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캠;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전진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타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후진시킨다.
특히, 상기 펜 형 화장품 용기는, 상기 피스톤의 일측 이동 시 내용물이 상기 노즐부에 주입되고, 피스톤의 타측 이동 시 내용물이 상기 노즐부에서 회수되거나, 상기 피스톤의 일측 이동 시 상기 고형 내용물이 상기 몸체의 일측 외부로 전진하고, 피스톤의 타측 이동 시 고형 내용물이 상기 몸체 내부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일단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캠의 타단에는 상기 톱니홈 중 어느 하나의 톱니홈에 맞물리도록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 회전 시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복수의 톱니홈에 순차적으로 맞물림 된다.
또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고정캠의 타단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고정캠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의 끝단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톱니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펜 형 화장품 용기는, 상기 회전체 회전 시 상기 톱니홈과 이웃하는 톱니홈의 피치만큼 상기 피스톤의 일측 또는 타측 이동 거리를 유도한다.
또한, 상기 펜 형 화장품 용기는, 상기 회전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상기 피스톤 로드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노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크부는, 상기 회전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회전체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노크버튼; 상기 회전체 내부에 상기 노크버튼의 일측에 이웃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 로드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피스톤 로드의 타단이 끼워지는 회전캠을 포함하며, 상기 노크버튼의 일단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의 타단에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경사면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노크버튼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 시 상기 회전캠이 상기 경사면 기어의 피치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캠의 회전 길이만큼 상기 피스톤 로드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체 내부에 삽입되되,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체 내측에 형성된 내향돌기기어와 맞물리는 측면돌기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노크버튼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 시에는 상기 노트버튼에 의해 상기 회전캠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측면돌기기어가 내향돌기기어로부터 이탈된다.
아울러, 상기 노크부는, 상기 노크버튼의 일측 이동 후 타측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노트버튼 또는 상기 회전캠을 탄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펜 형 화장품 용기는 노즐에 주입된 내용물의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노즐에 내용물이 과도하게 주입된 경우 이를 회수하여 적정량의 내용물이 노즐에 주입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내용물의 낭비를 줄인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에 주입된 내용물을 회수한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즐의 고형화된 내용물로 인한 사용불가 및 노즐 막힘을 예방하여 재사용 시 세척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작동부 이용 시 돌기와 톱니홈이 일정간격으로 맞물림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피스톤을 일정 가격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함에 따라 적정량의 내용물을 주입 또는 회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물의 노즐 주입 시에는 노크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 후 회전 작동부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후진시켜 용기 내부를 감압 상태로 유지시켜 용기의 이동 시 내용물의 유출로 인한 용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로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캠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와 고정캠의 작동상태 정면도(a는 물림 시, b는 풀림 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전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부분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캠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캠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 부분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 예 1 (회전형)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1000, 이하 "용기")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10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10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1000)는 크게 몸체(100), 노즐부(200), 피스톤(300), 피스톤로드(310), 구동부(400)로 구성되며, 구동부(400)는 회전체(410)와, 고정캠(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노즐부(200)가 브러쉬(2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아이라이너, 컨실러, 립틴트 또는 립그로스의 역할을 위한 붓, 스펀지, 다공성 수지 등 다양한 구성 중 하나를 포함하는 노즐부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노즐부(200)측을 일측으로 구동부(400)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1000)는 액상의 내용물을 몸체(100)에 충전하여 피스톤(300)의 왕복운동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을 노즐부(200)에 주입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으나, 립스틱과 같은 고형의 내용물을 몸체(100)에 수용하여 피스톤(300)의 일측에 결합하고, 노즐부(200)를 삭제하여 피스톤(300)의 왕복운동을 통해 고형 내용물을 몸체(100)의 일측 외부로 돌출 시키거나, 내부로 삽입시키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몸체(100), 노즐부(200), 피스톤(300), 피스톤로드(310), 구동부(400)의 세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노즐부(200)는 몸체(100)의 일측에 체결되어 몸체(100)의 내용물을 주입받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구성으로 몸체(100)의 내용물을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토출하는 브러쉬(210)와, 브러쉬(210)를 몸체(100)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노즐고정캡(220)과, 몸체(100)에서 노즐부(200)로 주입되는 내용물을 브러쉬(210)에 전달하는 노즐심(230)과, 노즐심(230)을 몸체(100)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심고정캡(240)을 포함한다. 또한, 노즐부(200)는 브러쉬(210)를 보호하고, 내용물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캡(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00)은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몸체(100)의 길이 방향 일측 이동 즉 전진을 통해 몸체(100) 내부의 내용물을 노즐부(200)에 주입하고, 몸체(100)의 길이 방향 타측 이동 즉 후진을 통해 노즐부(200)에 주입된 내용물을 몸체(100)로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피스톤로드(310)는 일단이 피스톤(300)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술한 구동부(400)에 연결된다. 피스톤로드(310)는 구동부(400)의 구동을 통해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30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성된다. 피스톤로드(310)와 구동부(400)의 결합관계 및 동작은 각각의 구성을 세부화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부(400)는 본체(10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체(410)와, 본체(100)의 타측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캠(420)으로 구성된다. 회전체(410)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도록 하며, 회전을 통해 피스톤로드(3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캠(420)은 피스톤로드(310)와 나사 결합되어 피스톤로드(310) 회전 시 피스톤로드(310)를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체(410)의 일단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톱니홈(411)이 형성되고, 고정캠(420)의 타단에는 탄성돌기(421)가 형성되어 회전체(410) 회전 시 탄성돌기(421)가 톱니홈(411)에 주기적으로 맞물림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양만큼 내용물을 노즐에 주입 또는 회수하도록 회전체(410)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하 피스톤로드(310)와 구동부(4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1000)의 작동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회전체(4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410)는 크게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410a)와,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부(410b)로 구성되며, 삽입부(410a)는 몸체(100)의 타측에 삽입되며, 손잡이부(410b)는 몸체(100)의 타단 외측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10b)를 회전시킴에 따라 몸체(100) 내부에 삽입된 삽입부(410a)가 회전하게 된다. 삽입부(410a)의 일단에는 둘레를 따라 톱니홈(411)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홈(411) 중 어느 하나에는 상술된 고정캠(420)의 탄성돌기(421)가 맞물림 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체(410)의 회전에 의해 탄성돌기(421)가 복수의 톱니홈(411)에 물림과 풀림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톱니홈(411)은 회전체(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체(410)의 일방향 회전은 물론 타방향 회전 시에도 탄성돌기(421)의 물림과 풀림이 원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410) 상에는 피스톤로드(310)가 끼워지도록 로드삽입공간(4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체(410) 회전 시 피스톤로드(310)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로드(310)는 회전체(410)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도 길이방향 이동은 자유롭도록 회전체(4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체(410) 상에는 피스톤로드(310)의 길이방향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415)가 로드삽입공간(41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피스톤로드(310)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선(311)이 형성되며, 수나사선(311)은 본체(100)에 내설된 고정캠(420)의 중공부에 형성된 암나사선(422)과 나사 결합될 있다. 또한, 피스톤로드(310)의 측면에는 편평부(312)가 형성되어 회전체(410)의 로드삽입공간(412)에 끼움 결합되고, 회전체(410)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310)는 일방향 회전 시 고정캠(420)과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300)을 전진시키고, 타방향 회전 시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300)을 후진시킨다. 따라서 피스톤로드(310)의 일측단부에는 피스톤(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한 회전결합부(313)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10)의 타단부는 회전체(410)의 로드삽입공간(412)에 끼움 결합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피스톤로드(310)의 가이드돌기(415)에 맞물리는 가이드홈(315)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310)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홈(315)은 피스톤로드(31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6에는 고정캠(4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고정캠(4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420)은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8a에는 고정캠(420)의 탄성돌기(421)가 톱니홈(411)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b에는 고정캠(420)의 탄성돌기(421)가 회전체(410)의 톱니홈(411)을 이탈하여 풀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캠(420)의 타측 단부에는 탄성돌기(421)가 형성되고, 고정캠(42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암나사선(422)이 형성된다. 탄성돌기(421)는 회전체(410) 회전 시 탄성을 통해 톱니홈(411)과 물림 또는 풀림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즉 탄성돌기(421)는 톱니홈(411)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웃하는 톱니홈에 맞물리는 작동을 통해 톱니홈(411)과 이웃하는 톱니홈의 피치만큼 회전체(410)를 회전시키도록 사용자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탄성돌기(421)는 회전체(410)의 일방향 회전은 물론 타방향 회전 시에도 탄성을 통해 톱니홈(411)과 물림 또는 풀림을 반복하도록 구성하여 노즐부(200)에서 내용물을 회수 시에도 원활히 동작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탄성돌기(421)는 고정캠(420)의 타측 단부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421a)와, 지지부(421a)의 끝단에서 고정캠(4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탄성편(421b)과, 탄성편(421b)의 끝단에서 타측방향으로 돌출된 톱니돌기(421c)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돌기(421)는 탄성력이 있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탄성편(421b)을 통해 톱니돌기(421c)가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돌기(421)는 도면상에 서로 대향하여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단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 실시 예 2 (노크 하이브리드 형)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2000, 이하 "용기")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기(20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용기(2000)는 크게 몸체(500), 노즐부(600), 피스톤(700), 피스톤로드(710), 구동부(800) 및 노크부(900)로 구성되며, 구동부(800)는 회전체(810)와, 고정캠(820)으로 구성되고, 노크부(900)는 노크버튼(910), 회전캠(920) 및 탄성스프링(9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노즐부(600)가 브러쉬(6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아이라이너, 컨실러, 립틴트 또는 립그로스의 역할을 위한 붓, 스펀지, 다공성 수지 등 다양한 구성 중 하나를 포함하는 노즐부가 적용될 수 있다. 편의상 몸체(5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노즐부(600)측을 일측으로 노크부(900)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위 구성 중 몸체(500), 노즐부(600), 피스톤(700), 피스톤로드(710)의 경우 상술된 제1 실시 예의 용기(1000)의 몸체(100), 노즐부(200), 피스톤(300), 피스톤로드(3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용기(2000)는 노즐부(200)에 내용물 주입을 위한 수단으로 구동부(800)와 별개로 노크부(900)를 통해서도 피스톤로드(710)를 회전시킴에 그 특징이 있는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동부(800)와 노크부(9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기(20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기(2000)의 주요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800)는 본체(50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체(810)와, 본체(500)의 타측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캠(820)으로 구성된다. 회전체(810)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도록 하며, 회전을 통해 피스톤로드(7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체(810)는 중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노크부(900)의 노크버튼(910)이 수용되도록 타단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810)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력을 가하도록 하며, 회전을 통해 피스톤로드(7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캠(820)은 피스톤로드(710)와 나사 결합되어 피스톤로드(710) 회전 시 피스톤로드(710)를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체(810)의 일단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톱니홈(811)이 형성되고, 고정캠(820)의 타단에는 탄성돌기(821)가 형성되어 회전체(810) 회전 시 탄성돌기(821)가 톱니홈(811)에 주기적으로 맞물림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양만큼 내용물을 노즐에 주입 또는 회수하도록 회전체(810)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때 피스톤로드(710)의 형상, 고정캠(820)의 형상, 피스톤로드(710)와 고정캠(820)의 구동 메커니즘 및 회전체(810)와 고정캠(820)의 결합구조 등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노크부(900)의 세부 구성을 통한 피스톤로드(710), 회전체(810) 및 노크부(900)의 결합구조 및 구동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8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캠(9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노크부(900)는 노크버튼(910)과 회전캠(920)을 포함한다. 노크버튼(910)은 일단부가 회전체(810) 내부에 수용되며, 타단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푸시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노크버튼(910)의 일단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돌기(911)가 형성되어 노크버튼(910)이 일방향 이동 시 회전캠(920)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 기어(921)에 맞물려 회전캠(9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전캠(9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피스톤로드(710)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로드삽입홀(925)이 형성되어 회전캠(920) 회전 시 피스톤로드(710)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로드삽입홀(925)은 회전캠(920) 회전 시 삽입된 피스톤로드(710)를 회전 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피스톤로드(7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크버튼(910)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을 통해 회전캠(920)이 회전하면 회전캠(920)이 회전한 길이만큼 피스톤로드(710)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고정캠(820)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로드(710)는 회전 길이만큼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스톤(700)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캠(920)은 노크버튼(910)의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체(81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피스톤로드(710)를 회전시키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상술된 1실시 예와 달리 2실시 예의 용기는 피스톤로드(710)가 회전체(810)에 직결되지 않고, 회전체(810) 회전 시 회전캠(920)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회전캠(920)은 회전체(810)의 일단부 내면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캠(9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버튼(910) 일단에 형성된 기어돌기(411)에 대응되는 경사면 기어(921)가 타단에 형성되고, 회전체(810) 삽입 시 회전체(810)의 내측에 형성된 내향돌기기어(812)와 맞물리는 측면돌기기어(922)가 회전캠(9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회전체(810)에는 내측에 내향돌기기어(812)가 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돌기기어(922)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회전캠(920)이 회전체(810)와 맞물려 회전체(810) 회전 시 회전캠(920)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회전캠(920)의 회전을 통해 피스톤로드(7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회전캠(920)은 회전체(810)와 맞물려 회전하기 때문에 일방향과 타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회전캠(920)은 회전체(810)와 별개로 노크버튼(910)에 의해 회전하도록 노크버튼(9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캠(92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노크버튼(910)의 푸시로 인해 회전캠(920)도 일측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측면돌기기어(922)가 회전체(810)의 내향돌기기어(812)로부터 풀림 되어 노크버튼(9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노크버튼(910)을 눌러 피스톤을 전진시켜 용기(2000)로부터 화장품을 밀어내어 사용하는 펜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서, 회전체(810)를 회전시켜 피스톤을 후퇴시킴으로써 과도하게 밀려나온 화장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2000)의 작동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용기(2000)의 본체(500)에 수납된 화장품을 밀어내기 위하여 사용자는 노크버튼(910)을 누르게 된다. 눌린 노크버튼(910)의 하단에 설치된 기어돌기(911)가 탄성 스프링(930)으로 탄력 지지되는 회전캠(920)의 경사면기어(921)와 맞물리게 되며, 기어(911)가 경사면기어(921)의 경사면을 밀어 회전캠(920)을 회전시킨다.
회전캠(920)은 스프링(930)에 의해 탄지되며, 노크버튼(910)이 눌리지 않는 경우 회전캠(920)의 측면돌기기어(922)가 회전체(810)의 내향돌기기어(812)와 맞물려있게 되고, 노크버튼(410)을 누를 경우 회전캠(420)이 밀려 내려와 회전캠(920)의 측면돌기기어(922)가 회전체(810)의 내향돌기기어(812)에서 이탈되어 회전캠(920)이 회전할 때 회전체(81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회전캠(920)이 스프링(930)에 의해 내향돌기기어(812)와 맞물리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향돌기기어(812)는 경사부(813)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캠(920)의 측면돌기기어(812)는 스프링(930)에 의해 올라오면서 경사부(813)의 가이드를 받아 내향돌기기어(812)와 맞물리는 위치로 안착될 수 있다.
회전캠(9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캠(920)의 중앙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710)가 회전하게 된다. 피스톤로드(710)는 회전캠(920)의 회전에 맞추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피스톤로드(710)는 회전캠(920)과 같이 회전하지만 피스톤로드(710)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 실시 예 3 (스틱 형)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50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50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펜 형 화장품 용기(5000)의 몸체(1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용기(5000)는 크게 몸체(1100), 고형 내용물(1200), 피스톤(1300), 피스톤로드(1310), 구동부(1400) 및 노크부(1500)로 구성되며, 구동부(1400)는 회전체(1410)와, 고정캠(1420)으로 구성되고, 노크부(1500)는 노크버튼(1510), 회전캠(1520) 및 탄성스프링(1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5000)는 내용물의 보호를 위한 보호캡(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와는 달리 몸체(1100) 내부에 고형 내용물(1200), 일예로 립스틱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편의상 몸체(1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고형 내용물(1200)이 돌출되는 측을 일측으로 노크부(1500)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위 몸체(1100), 피스톤(1300), 피스톤로드(1310), 구동부(1400) 및 노크부(1500)의 구성은 상술된 제2 실시 예의 몸체(500), 피스톤(700), 피스톤로드(710), 구동부(800) 및 노크부(9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작동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고형 내용물(1200)을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체(14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 및 노트버튼(1510)을 누르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회전체(1410)는 회전 시키는 만큼 고형 내용물(1200)이 전진되고, 노크버튼(1510)은 1회 누름 시 회전캠(1520)의 회전 피치만큼만 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형 내용물(1200)을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체(14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만 가능하며, 고형 내용물(1200)이 몸체(1100) 내부에 수용될 때까지 회전체(1410)를 회전시켜 고형 내용물(12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2000, 5000 : 화장품 용기
100, 500, 1100 : 몸체
200, 600 : 노즐부
1200 : 고형 내용물
300, 700, 1300 : 피스톤
310, 710, 1310 : 피스톤로드
400, 800, 1400 : 구동부
900, 1500 : 노크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가 중공되며 양측이 개방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몸체에 수용되며,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형 내용물;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캠;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상기 피스톤 로드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노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전진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타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후진시키고,
    상기 노크부는,
    상기 회전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회전체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노크버튼;
    상기 회전체 내부에 상기 노크버튼의 일측에 이웃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 로드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피스톤 로드의 타단이 끼워지는 회전캠을 포함하며,
    상기 노크버튼의 일단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의 타단에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경사면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노크버튼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 시 상기 회전캠이 상기 경사면 기어의 피치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캠의 회전 길이만큼 상기 피스톤 로드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체 내부에 삽입되되,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체 내측에 형성된 내향돌기기어와 맞물리는 측면돌기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노크버튼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 시에는 상기 노크버튼에 의해 상기 회전캠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측면돌기기어가 내향돌기기어로부터 이탈되는, 펜 형 화장품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
    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노즐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피스톤 로드;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캠;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별개로 상기 피스톤 로드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노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회전체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전진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타방향 회전 시 상기 피스톤을 후진시키고,
    상기 노크부는,
    상기 회전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회전체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노크버튼;
    상기 회전체 내부에 상기 노크버튼의 일측에 이웃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 로드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피스톤 로드의 타단이 끼워지는 회전캠을 포함하며,
    상기 노크버튼의 일단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의 타단에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경사면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노크버튼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 시 상기 회전캠이 상기 경사면 기어의 피치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캠의 회전 길이만큼 상기 피스톤 로드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체 내부에 삽입되되, 회전체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체 내측에 형성된 내향돌기기어와 맞물리는 측면돌기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노크버튼의 길이방향 일측 이동 시에는 상기 노크버튼에 의해 상기 회전캠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측면돌기기어가 내향돌기기어로부터 이탈되는, 펜 형 화장품 용기.
  11. 삭제
KR1020180012104A 2018-01-31 2018-01-31 펜 형 화장품 용기 KR10205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04A KR102053019B1 (ko) 2018-01-31 2018-01-31 펜 형 화장품 용기
PCT/KR2018/009073 WO2019151593A1 (en) 2018-01-31 2018-08-09 Pen type cosmetics case
US16/107,167 US10674802B2 (en) 2018-01-31 2018-08-21 Pen type cosmetics case
US16/864,830 US20200253356A1 (en) 2018-01-31 2020-05-01 Pen type cosmetics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04A KR102053019B1 (ko) 2018-01-31 2018-01-31 펜 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56A KR20190092856A (ko) 2019-08-08
KR102053019B1 true KR102053019B1 (ko) 2019-12-09

Family

ID=6739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04A KR102053019B1 (ko) 2018-01-31 2018-01-31 펜 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674802B2 (ko)
KR (1) KR102053019B1 (ko)
WO (1) WO20191515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054A (ko) 2022-05-16 2023-11-23 이희정 출몰식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2274S1 (en) * 2019-11-13 2020-04-28 Cixi Xiubi Sizhuang Stationery Manufacturing Co., Ltd. Water brush pen
CN111067234B (zh) * 2019-11-28 2022-08-26 上海惠慧企业发展东台有限公司 一种旋转式睫毛刷笔
US11786028B2 (en) * 2019-12-06 2023-10-17 Sung Jin Cosmetics Co., Ltd. Cosmetic container
AU2021106951A4 (en) * 2021-08-24 2021-11-25 Barker Bowie Pty Ltd A device for applying lotion to ski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0636B2 (ja) * 1995-06-21 2006-04-26 三菱鉛筆株式会社 固形化粧料容器
JP2007236529A (ja) 2006-03-07 2007-09-20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JP2009268660A (ja) 2008-05-07 2009-11-19 Mitsubishi Pencil Co Ltd ノック式繰出容器
KR101409004B1 (ko) *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602925B1 (ko) 2015-06-24 2016-03-14 주식회사 리치코스 누름 작동식 립스틱 용기
KR101733569B1 (ko) 2016-05-16 2017-05-24 주식회사 리치코스 원터치 화장펜슬 수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3078B1 (de) * 1999-04-23 2004-01-21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Creme- und deospender
JP4932332B2 (ja) * 2006-05-31 2012-05-16 株式会社 資生堂 粘性化粧品
JP5288934B2 (ja) * 2008-08-08 2013-09-11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KR101869991B1 (ko) 2010-08-11 2018-06-22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노크식 조출 용기
KR101247124B1 (ko) * 2011-08-31 2013-03-25 (주)연우 펜슬형 화장품용기
JP5990735B2 (ja) * 2012-09-04 2016-09-14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具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0636B2 (ja) * 1995-06-21 2006-04-26 三菱鉛筆株式会社 固形化粧料容器
JP2007236529A (ja) 2006-03-07 2007-09-20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JP2009268660A (ja) 2008-05-07 2009-11-19 Mitsubishi Pencil Co Ltd ノック式繰出容器
KR101409004B1 (ko) *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602925B1 (ko) 2015-06-24 2016-03-14 주식회사 리치코스 누름 작동식 립스틱 용기
KR101733569B1 (ko) 2016-05-16 2017-05-24 주식회사 리치코스 원터치 화장펜슬 수납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054A (ko) 2022-05-16 2023-11-23 이희정 출몰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3356A1 (en) 2020-08-13
WO2019151593A1 (en) 2019-08-08
US10674802B2 (en) 2020-06-09
KR20190092856A (ko) 2019-08-08
US20190231051A1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19B1 (ko) 펜 형 화장품 용기
KR200416565Y1 (ko) 겔상 화장조성물 용기
CN100525673C (zh) 涂敷用填充物推出容器
KR20180044055A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US20040028455A1 (en) Applicator with rotary end and distributor comprising the said applicator
US8939671B2 (en) Toothbrush with automatic paste dispensing mechanism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JP2007143857A (ja) 内容物押出容器
US20100284725A1 (en) Pressable Pen
KR20180046931A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US4149552A (en) Fountain brush
KR200362401Y1 (ko) 자동 배출 립클로우즈의 도포용 팁
KR101843828B1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JP2585910Y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及び棒状物補充カセット
JP3204368U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3169255U (ja) 揮発性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S6221233Y2 (ko)
KR200350245Y1 (ko)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US3023449A (en) Applicators
JP6262466B2 (ja) 固形棒状化粧料容器
KR20180003765A (ko) 화장품 용기
CN216255933U (zh) 一种旋转式化妆笔
CN214103617U (zh) 一种双头化妆刷
KR102128572B1 (ko) 화장품 용기
KR102114326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