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26B1 -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 Google Patents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26B1
KR102052926B1 KR1020190032382A KR20190032382A KR102052926B1 KR 102052926 B1 KR102052926 B1 KR 102052926B1 KR 1020190032382 A KR1020190032382 A KR 1020190032382A KR 20190032382 A KR20190032382 A KR 20190032382A KR 102052926 B1 KR102052926 B1 KR 10205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lete delete
artificial
space
esophag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주
윤보배
명정구
최희정
이영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3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26B1/en
Priority to PE2020000413A priority patent/PE202013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lus space artificial fishway and fish re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s space artificial fishway and fish reef comprises: a main body which comprises a central part and four protrusion parts protruding towards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central part; and a fishway which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mmunicates the central part with each of the protrusion parts. The fishway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each of opening ports formed in an end portion in each of the protrusion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fishway and fish reef formed as a cross shape comprises the fishway communicating the inside thereof, the opening parts and a side open hole, thereby playing a role of artificial fish reef and a fishway and a role of a fishway when installed in a stream and the like.

Description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Plus space artificial seaweed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본 발명은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생물이 은신, 산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할 수 있고, 어류의 상류지역 소상시 어도 역할 및 침식방지에 대한 지지수단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s-space artificial esophagus,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in which marine life can hide, spawn, inhabit, the role of small fish in the upstream area of the fish and a support means for preventing erosion It is about a plus space artificial fish.

일반적으로, 어초는 해양생물이 많이 모여드는 해저의 융기부를 말하는 것으로, 그 형태, 넓이, 수심, 저질에 따라 암초, 퇴, 주등으로 불리며, 어초 부근에서는 지형을 따라 상승류와 하강류가 발생하여 해수의 순환이 활발해져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게 되어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In general, the reef is a ridge of the seabed where marine life is gathered a lot, and it is called reef, retreat, and state depending on its shape, width, depth, and quality. The circulation of seawater becomes active, and plankton grows in large quantities, and the food chain of the ecosystem is naturally formed, forming a good fishing ground.

따라서, 인공어초는 연안 수역의 수산자원 증대를 위한 인공적인 구조물로 어류 및 패류의 산란 및 서식장소로 제공되고, 어린 치어들을 보호 육성할 수 있는 은신처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인공어초는 해양생물이 은신, 산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인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수심 10 - 50m의 해역에 설치한다.Therefore, artificial reefs are artificial structures for aquatic resources in coastal waters, and are provided as a place for spawning and breeding fish and shellfish, and as a hiding place for protecting and nurturing young fry. In other words, artificial reefs are to artificially provide space for hiding, spawning, and inhabiting marine life, and they are mainly installed in the water of 10-50m depth.

이러한 인공어초에 조류가 부딪치면서 용승류 및 와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해저면에 쌓여 있던 부유물을 상승시켜 각종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연안 어장의 생산력을 높이게 한다.As algae collide with these artificial reefs, water flows and vortices are generated, thereby raising the floating matter accumulated on the sea floor,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plankton can multiply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oastal fisheries.

최근 수산자원의 감소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은 환경오염, 매립 등에 의한 자원증식환경상실과 과도한 어획에 의해 해양생태계가 파괴된다. 이렇게 파괴된 연근해에서는 인공적으로 해양생물을 보호 육성할 수 있고, 고급 어패류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어초 그룹을 통해서 어장환경을 회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reduction of fishery resources in recent years, but most of them destroy marine ecosystems due to the loss of resources and excessive catching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andfill.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fishing environment through the group of artificial reefs, which can artificially protect and foster marine life in the destroyed offshore, and provide a habitat for high quality fish and shellfish.

이와 같이 인공어초는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패류의 은신처 및 산란장을 조성하여 수산자원을 육성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지지만, 일반적인 인공어초는 형상이 매우 단순한 육면체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되어있어 외력에 안정적이기는 하나 강한 조류나 해류 또는 파도에 의해 전도의 위험성이 높고 각종 치어나 치패가 천적의 눈을 피하여 은신할 수 있는 공간과 조류가 강한 해역에서의 은신처가 없거나 완급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이지 않아 치어와 치패가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artificial reef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fisheries from low-tethered nets with high catching capacity, and for cultivating fishery resources by forming hideouts and spawning grounds for various fish and shellfish. Although it is stable to external force, there is a high risk of falling due to strong algae, currents or waves, and there are places where various cheers and plaques can hide away from the eyes of natural enemies, and there is no hiding place in the seas with strong algae or smooth adjust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heer and chippings can safely live.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33782호(공개일 : 2018.04.04)에는 고강도 무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인공어초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어초(100)는,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40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확보하는 고강도 무근콘크리트 구조물(1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3782 (published: 2018.04.04) discloses an artificial reef of high strength rootless concret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he artificial reef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high strength plain concrete structure 110 that secures a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or more without using reinforcing bars and has a rectangular shape.

이러한 인공어초에 의하면, 인공어초에 요구되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인공어초의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의 부식에 따른 내구성 저하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such artificial reefs, while securing sufficient strength required for artificial reefs, not only can significantly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artificial reefs, but also prevent degradation of durabil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corrosion of reinforcing bars.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어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파도나 조류 등에 의해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rtificial reef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has a problem that is easily conducted by waves or birds by being made in a hexahedral shape.

또한, 해양생물이 은신, 산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어초로서의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marine life lacks the space for hiding, spawning, inhabiting and can not function as fish.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033782호(공개일 : 2018.04.04).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3782 (published: 2018.04.04)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생물이 은신, 산란, 서식 및 보육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역할과, 회유성 어류들의 상류지역 소상(遡上)시 어도 역할 및 연안 등의 침식방지에 대한 지지수단 역할을 겸할 수 있는 인공어도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reef that allows marine organisms to function as stealth, spawning, habitat and nursery, and to prevent erosion such as the esophagus and coastal areas of upstream areas of migratory fish. It is to provide artificial reefs that can also serve as a supporting mea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류나 파도에 의해 쉽게 전복되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조력 감쇠 기능을 갖을 뿐만 아니라, 은신, 산란, 서식 및 보육장으로서의 공간 확보가 용이한 인공어도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echo that not only has an attenuation function so that it is not easily overturned or inverted by birds or waves, but also easily hides, scatters, breeds, and secures space as a nurser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각 상기 돌출부를 연통시키는 어도를 포함하고, 상기 어도는, 각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개구부들에 의해 사방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including a central portion and four protrusions projecting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nd an airway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portion and each of the protrusions, wherein the fisher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 all directions by respective openings formed at the end of each of the protrusions. , Plus space artificial fish.

상기 돌출부의 각 측면에는, 수류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하고 파력에 의한 저항이 감쇠 되도록 상기 어도와 연통되는 측면 개방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On each side of the protrusion, side openings communicating with the esophagus may be formed to allow the flow of water to pass smoothly and to attenuate the resistance due to the wave force.

상기 돌출부의 각 상면에는, 조력 또는 파력에 의해 상기 측면 개방공 및 각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수류가 상향으로 유동 되면서 조력이나 파력이 감쇠 되도록 하고, 수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rotrusions,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the opening by each of the openings by the help or wave flows upward to attenuate the help or wave force, and a plurality of flows to smoothly flow Blow holes may be formed.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어도와 연통되고, 상기 본체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말뚝이 관통되는 어도 중심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sophagus, the esophagus center hole through which a fixing pile for fixing the main body to the sea bottom.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해초 또는 수초의 활착을 돕고, 성장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연석이 일부가 매립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natural stones for helping the seaweed or plants to slide, and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vironment for growth may be embedded in part.

상기 본체는, 평면적 관점에서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a "╋" shape from a planar point of view.

상기 돌출부의 양쪽 상부영역에는, 부착생물의 부착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면적 확장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영역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수류가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both upper reg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 an area extension portion for extending the attachment area of the attachment organism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or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flows smooth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과 각 측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동공들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상부 공간 형성부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an inner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upper space forming portion of a polygon in which flow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each side thereof may protrude upward.

상기 상부 공간 형성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어도 중심공을 통하여 상기 어도와 연통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space forming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esophagus through an esophagus central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돌출부의 바닥에는, 해저면의 일부가 상기 어도와 연통되어 상기 어도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저면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 bottom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bottom of the protrusion of the main body so that a part of the sea bottom surface communicates with the esophagus and is exposed to the esophagus.

돌출부의 각 상부 단부에는, 저항 회피용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t each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 slope for resistance avoidance may be formed,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하면, "╋"형으로 이루어진 인공어도초가 내부를 연통시키는 어도와 개구부 및 측면 개방공을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해양생물이 은신, 산란, 서식 및 보육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등에 설치되어 회유성 어류들의 상류지역 소상(遡上)시 어도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fish that has a “╋” type is provided with a fishery, an opening, and a side ope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whereby marine life can perform functions as a hiding place, spawning, habitat, and nursery. In addition to serving as a candle, it can be installed in rivers, etc.,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serve as a small fish in the upstream area of migratory fis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도초를 연안 등의 경사면에 설치하여 침식방지에 대한 지지수단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capable of acting as a support means for preventing erosion by installing artificial esopha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n inclined surface such as coast.

또한, 본체의 각 돌출부 측면에 측면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분출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조류나 파도에 의한 파력이 본체에 가해지더라도 측면 개방공과 개구부를 통하여 분출공들로 분산되어 분출됨으로써 파력이 현저하게 감쇠될 수 있고, 따라서 파력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전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de openings are formed on the sides of each protrusion of the main body, and blow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even if wave force caused by birds or waves is applied to the main body, the wave power is remarkably attenuated by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side openings and the opening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ducted by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wave force and the like.

또한, 본체에 각각의 돌출부가 형성되가 각 돌출부의 측면과 단부 영역에 측면 개방공과 개구부 및 분출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수류의 유동 및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해양생물에 신선한 산소공급 및 플랑크톤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side openings, openings, and ejection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and end regions of the protrusions, so that the flow and flow of water flows smoothly, thereby supplying fresh oxygen and plankton to marine lif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어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가 고정말뚝에 의해 해저면에 고정되는 되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인공어도초에 자연석이 구비된 사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도면으로, 인공어도초의 표면에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자연물이 일체화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인공어도초의 각 돌출부에 면적 확장부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가 다양한 각도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tificial reef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s space artificial isl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s space artificial isl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s space artificial echocho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ea bottom by a fixed pile.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isl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natural stones are provided in the artificial island.
10 is a view showing a plus-space artificial echo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atural material composed of sand and gravel is integrat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echo.
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islan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island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and 15 are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s-space artificial esophag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various ang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fi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10)는, 연안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은신, 산란, 서식 및 보육장 기능의 인공어초의 역할과, 회유성 어류들의 상류지역 소상시 어도 역할 및 연안 및 경사면의 해저 침식방지에 대한 지지수단 역할을 하도록 된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plus space artificial reef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ast and the role of artificial reefs of the hiding, spawning, habitat and nursery function of marine life and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serve as a support for small fish in upstream areas of migratory fishes and to prevent sea erosion of coastal and slopes.

이러한 인공어도초(1)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평면적 관점에서 "╋"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C)를 기준으로 사방에 4개의 돌출부(12A,12B,12C,12D)가 각각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0)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길이(중앙부로부터 돌출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필요에 따라 짧게 형성하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의 높이에 비하여 돌출부(12)의 길이는 대략 1.5 - 3배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12)의 길이가 1.5배 미만으로 짧은 경우에 파력에 의한 전도 가능성이 높아지고, 3배 이상으로 길게 형성할 경우에는 전도 가능성은 낮아지나 중앙부(C)와 돌출부(12)의 경계영역에서의 강성이 낮아지고,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체(10) 높이를 기준으로 돌출부(12)의 길이는 1.5 - 3배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rtificial islands 1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s a whole, and are formed in the shape of " ╋ " in a plan view, and four projections 12A, 12B, 12C, and 12D are formed on four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C, respectively. It includes a main body 10.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t this time, the length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of each protrusion 12A, 12B, 12C, 12D may be formed as short as necessary but long.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1.5 to 3 times the length of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This is because when the length of the projection 12 is shorter than 1.5 times, the possibility of conduction due to the wave force becomes high, and when formed longer than 3 times, the possibility of conduction becomes low, but at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C and the protrusion 12, This is because the rigidity of the resin is lowered and the movement and transportation thereof are not easy. Therefor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 based o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to a length of 1.5 to 3 times.

본체(10)의 내부에는, 중앙부(C)와 각 돌출부(12A,12B,12C,12D)들을 연통시키는 어도(14)가 형성된다. 즉, 어도(14)는, 중앙부(C)의 내부와 각 돌출부(12A,12B,12C,12D)들의 내부를 연통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으로 형성된다. Inside the main body 10, an island 14 for communicating the central portion C and the projections 12A, 12B, 12C, and 12D is formed. That is, the fish 14 is formed in the shape of " 를 " as shown in FIG. 4 by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central portion C with the inside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이러한 어도(14)는, 각 돌출부(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A-1,12B-1,12C-1,12D-1)들에 의해 사방에서 외부와 연통된다. 즉 이러한 개구부(12A-1,12B-1,12C-1,12D-1)들에 의해 외부의 물이 어도(14) 내부로 유입되고 어도(14)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island 1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 all directions by the openings 12A-1, 12B-1, 12C-1, 12D-1 formed at the ends of each projection 12. That is, by the openings 12A-1, 12B-1, 12C-1, and 12D-1, external water flows into the airway 14 and water flows out of the airway 14 smoothly. Can be done.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각 상부 단부에는, 저항 회피용 경사면(12A-5,12B-5,12C-5,12D-5)이 중앙부(C) 쪽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된다. 이 저항 회피용 경사면(12A-5,12B-5,12C-5,12D-5)은, 파력이나 조력의 발생시 모서리 부분에서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2, at each upper end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inclined surfaces 12A-5, 12B-5, 12C-5, and 12D-5 for resistance avoidance are centered. (C) is formed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respectively. The inclined surfaces 12A-5, 12B-5, 12C-5, and 12D-5 for avoiding resistance are for minimizing the resistance at the corners when wave force or tidal force is generated.

그리고, 본체(10) 중앙부(C)의 중심 상부와 하부에는, 어도(14)와 연통되는 어도 어도 중심공(16)이 각각 형성된다. 이 어도 중심공(16)에 의해 어도(14)는 본체(10)의 상부 쪽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하부쪽에 형성되는 어도 중심공(16)은 해저면의 일부가 어도(14) 쪽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양생물들에게 보다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And,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central portion C of the main body 10 are each formed with an airway center hole 16 communicating with the fish 14. The fishery 14 may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by the fishery hole 16. In addition, the fish core hole 16 formed in the lower side to expose a portion of the sea bottom toward the fish 14, thereby providing a more natural environment for marine life.

이와 같은 중앙부(C)의 중심에 형성되는 어도 중심공(1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해저면, 연안의 경사면 또는 하천에 어도를 형성할 경우에 하천의 경사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말뚝(30)이 관통되도록 한다. 즉, 본체(10)가 해저면이나 경사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말뚝(30)을 어도 중심공(16)으로 관통시켜 해저면에 박아 넣음으로써 본체(10)는 해저면이나 경사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fish core hole 16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C has an inclined surface of a river when the main body 10 forms a fish on a sea bottom, a coastal inclined surface or a river. Fixing pile 30 for fixing to the penetrates through. That is, the main body 10 is firmly fixed to the sea bottom or the inclined surface by penetrating the fixed pile 30 through the central hole 16 in the state where the body 10 is seated on the sea bottom or the inclined surface. Can be.

이와 같이 인공어도초(1)가 고정말뚝(30)에 의해 연안 경사면이나 해저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해당 연안 경사면이나 해저 경사면의 침식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천의 경사면에 설치될 경우에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artificial seaweed 1 is installed on the coastal inclined surface or the seabed inclined surface by the fixed pile 30, erosion of the corresponding coastal inclined surface or the seabed inclined surfac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when install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iver to form the isla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공어도초(1)는, 전체적인 형상이 "╋"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C)를 기준으로 사방에 4개의 돌출부(12A,12B,12C,12D)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파도나 조류에 의한 저항으로 본체(10)가 전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islands 1 have an overall shape of a "형상" shape, and four projections 12A, 12B, 12C, and 12D are formed on four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C, respectively, so that the waves The phenomenon that the main body 10 is conducted by the resistance by the algae can be prevented.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어도(14)가 "╋"형으로 형성되고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개구부(12A-1,12B-1,12C-1,12D-1)들을 통하여 사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해양생물의 산란, 서식에 필요한 산소와 플랑크톤 등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어 또는 작은 어류가 천적을 피하여 은신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side 14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 the openings 12A-1, 12B-1, 12C-1, 12D-1 of each projection 12A, 12B, 12C, 12D. It is formed so as to open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shells, so th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infiltrate marine organisms, inflow of oxygen and plankton required for habitation, and to facilitate stealth movement by fry or small fish to avoid natural enemies.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도초(1)는, 연안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은신, 산란, 서식 및 보육장으로서의 인공어초 기능과, 하천 등에 설치되어 회유성 어류들의 상류지역 소상시 어도의 기능, 연안 경사면 또는 해저 경사면에 설치됨으로써 침식방지를 위한 지지수단의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reef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ast, the function of artificial reefs as a hiding place, spawning, habitat and nursery of marine life, and installed in rivers, etc. It is equipped with a wide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the function of fish in upstream area, the coastal slope or the seabed slope, and the function of supporting means for preventing eros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fi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1)는, 각 돌출부(12)의 각 측면에, 수류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하고 파력에 의한 저항이 감쇠 되도록 어도(14)와 연통되는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이 각각 형성되고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As shown in FIGS. 5 to 7, the positive space artificial island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lows the water flow to pass smoothly through each side surface of each protrusion 12 and attenuates resistance due to wave force. It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side open holes 12A-2, 12B-2, 12C-2, and 12D-2 which communicate with the island 14 are formed, respectively.

그리고, 돌출부(12A,12B,12C,12D)의 각 상면에는, 조류에 의해 형성되는 조력 또는 파도에 의해 형성되는 파력에 의해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 및 각 개구부(12A-1,12B-1,12C-1,12D-1)들을 통하여 유입된 수류가 상향으로 유동 되면서 조력이나 파력이 감쇠 되도록 하고, 수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출공(12A-3,12B-3,12C-3,12D-3)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And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s 12A, 12B, 12C, and 12D, the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12D- are formed by tidal forces formed by tidal currents or wave forces formed by waves. 2) and so that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s 12A-1, 12B-1, 12C-1, 12D-1 flows upward and attenuates tidal or wave forces, and the flow of water flows smoothly.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except that a plurality of blow holes 12A-3, 12B-3, 12C-3, 12D-3 are formed, respectively.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도초(1)는, 본체(10)의 돌출부(12) 각 바닥에, 해저면의 일부가 어도(14)와 연통되어 어도(14)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저면 관통공(18)이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rtificial edibl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bottom for allowing a part of the sea bottom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fish 14 and be exposed toward the fish 14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 of the main body 10. Through-holes 18 are formed respectively.

이와 같이,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각 측면에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들이 각각 형성되고, 각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출공(12A-3,12B-3,12C-3,12D-3)들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어도(14)는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들과 각 개구부(12A-1,12B-1,12C-1,12D-)를 통하여 외부와 사방으로 연통될 수 있다. As such, the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and 12D-2 are formed at each side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are formed on each top surface. By forming 12A-3, 12B-3, 12C-3, and 12D-3, respectively, the fish 14 is formed with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and 12D-2, respectively.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openings 12A-1, 12B-1, 12C-1, 12D-.

또한,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각 측면에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들이 각각 형성되고, 각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출공(12A-3,12B-3,12C-3,12D-3)들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조력이나 파력이 발생할 경우에 일부의 수류가 각 돌출부(12A,12B,12C,12D)에 부딪히고 나머지 일부의 수류는 각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으로 유입되면서 분산되므로 수류와 유속의 세기가 현저하게 감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and 12D-2 are formed at each side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 12A-3, 12B-3, 12C-3, 12D-3) are formed respectively, so that in the event of tidal or wave forces, some of the streams hit each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12D, and some of the remaining streams. Dispersion is introduced into each of the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12D-2) so that the strength of the water flow and the flow velocity can be significantly attenuated.

특히, 각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으로 유입된 수류는 분출공(12A-3,12B-3,12C-3,12D-3)들을 통하여 상향으로 유출됨으로써 수류의 세기가 현저하게 감쇠된다. In particular,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each of the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and 12D-2 is upward through the ejection holes 12A-3, 12B-3, 12C-3, and 12D-3. As it flows out, the strength of the water flow is significantly attenuated.

따라서, 파력이나 조력이 발생하여 본체(10)에 압력을 가하더라도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들과 다수개의 분출공(12A-3,12B-3,12C-3,12D-3)들이 파력의 세기를 감쇠시킴으로써 본체(10)의 전도 가능성은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 wave force or assistance is generated to apply pressure to the main body 10, the side opening holes 12A-2, 12B-2, 12C-2, and 12D-2 and the plurality of ejection holes 12A-3 and 12B- By 3, 12C-3, 12D-3 attenuating the strength of the wave force, the possibility of conduction of the body 10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즉, 너울성 파도나 태풍에 의해 강한 파력이 발생하더라도 밀려오는 바닷물이 각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 등을 통과하면서 분산되어 저항이 최소화되므로 부력에 의한 본체(10)의 이동이나 저항에 의한 유실 및 전도 등이 방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even if strong wave is generated by swelling wave or typhoon, the incoming sea water is dispersed while passing through each side opening hole (12A-2, 12B-2, 12C-2, 12D-2) and so buoyancy is minimized. By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or loss due to resistance and fall can be prevented.

또한,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각 측면에 측면 개방공(12A-2,12B-2,12C-2,12D-2)들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치어나 작은 어류의 은신 이동이 원활하고 간섭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와 플랑크톤을 함유한 물이 원활하게 들로 나는 유동현상이 원활하게 되므로 해양생물의 서식 및 성장, 보육장으로서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openings 12A-2, 12B-2, 12C-2, and 12D-2 are formed at each side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respectively, so that the movement of stealth or small fish Not only can it be made smoothly and freely without interference, but also smooth flow of oxygen and plankton-containing water can improve the habitat, growth, and nursery of marine life.

또한, 본체(10)의 저면에 저면 관통공(18)들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해저면의 일부가 어도(14) 쪽으로 노출되어 해양생물들에게 보다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해양생물들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bottom through-holes 18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 part of the sea bottom is exposed toward the fish 14, thereby providing a more natural environment for marine life. Their survival rat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인공어도초에 자연석이 구비된 사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plus-space artificial echo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natural stone is provided in the artificial echo.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해초 또는 수초의 활착을 돕고, 성장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연석(50)이 일부가 매립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자연석(50)이 일체화됨으로써 인공어도초(1)의 제작시 콘크리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자연석(50)에 해초나 플랑크톤이 용이하게 활착하여 서식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자연석(50)이 사용됨으로써 해초의 활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수중 생태계 보호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9, the above-described implementation is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except that a part of natural stone 50 is integrated to help the seaweed or water plants to slide, and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vironment for growth. Same as the examples. As such, the natural stone 50 is integ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artificial edible (1), and seaweed or plankton may easily adhere to the natural stone 50 to inhabit. . In addition, by using the natural stone (50) can improve the sticking rate of seawee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protect the underwater ecosystem.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인공어도초의 표면에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자연물이 일체화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0 is a view showing a plus-space artificial esophag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atural material composed of sand and gravel is integrat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echo.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표면에는, 독성물질을 방출하는 콘크리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모래 및 2 - 75mm 크기의 자갈이 혼합된 자연물(60)이 덮혀 일체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자연물(60)이 본체(10)의 상면은 물론, 표면에 일체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자갈의 크기가 75mm 이상으로 클 경우에 본체(10)의 측면 등 수직면에 부착하여 일체화하기 곤란하므로 바람직하게는 75mm 이하 크기의 자갈을 이용한다.As shown in FIG. 10, except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10 is integrated with a natural material 60 mixed with sand and gravel of a size of 2 to 75 mm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to emit toxic substance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the natural material 60 mixed with sand and gravel is integrated on the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size of the gravel is greater than 75mm, since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by attaching to the vertical surface such as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preferably, gravel having a size of 75 mm or less is used.

이때, 자연물(60)을 본체(10)의 표면에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를 거푸집을 이용하여 성형할 때, 거푸집의 내측 표면에 자연물(60)을 부착시킨 후 양생하여 완성할 수 있고, 자연물(60)과 바인더(binder)을 혼합한 후 혼합물을 완성된 본체(10)의 표면에 부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various methods may be provided to integrate the natural material 60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0 is molded using a formwork, the natural matter 6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and then cured, and the natural matter 60 and the binder may be mixed. The mixture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d body 10 to integrat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0)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샌딩 가공 또는 성형시 미리 거칠게 성형하는 등)한 후 전술한 자연물(60)과 바인더(binder)을 혼합한 혼합물을 거칠게 가공된 본체(10)의 표면에 채워 넣어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roughly processed (eg, roughly molded in advance during sanding or molding), and then the mixture of the above-described natural material 60 and a binder is roughly processed.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filled and integrated.

이와 같이, 본체(10)의 표면에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자연물(60)이 부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본체(1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콘크리트의 독성물질의 방출이 최소화될 수 있고, 또한 본체(10)의 표면이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짐으로써 해양생물에게 자연친화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해양식물의 활착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by attaching and integrating the natural material 60 made of sand and gravel on the surface of the body 10, the surface of the body 10 made of concret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minimizing the emission of toxic substances in the concret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body 10 may be made of sand and gravel to provide a natural environment for the marine lif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bitat environment that can remarkably improve the marine plant survival rat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인공어도초의 각 돌출부에 면적 확장부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islan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area extension part is provided in each protrusion of the artificial islan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의 양쪽 상부영역에, 부착생물의 부착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면적 확장부(12A-4,12B-4,12C-4,12D-)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류가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12A-3,12B-3,12C-3,12D-3)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As shown in FIG. 11, in both upper regions of the protrusions 12, area extension portions 12A-4, 12B-4, 12C-4, and 12D-extend outwardly to expand the attachment area of the adheren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med, except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A-3, 12B-3, 12C-3, and 12D-3 are respectively formed to smoothly flow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Same as

이와 같이,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상부 양쪽에 면적 확장부(12A-4,12B-4,12C-4,12D-)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부착생물에게 양호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area extension portions 12A-4, 12B-4, 12C-4, and 12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thereby providing a favorable habitat environment for more adherents. It can be provided.

또한, 면적 확장부(12A-4,12B-4,12C-4,12D-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각 돌출부(12A,12B,12C,12D)의 상부영역과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면적 확장부(12A-4,12B-4,12C-4,12D-4)의 면적은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rea extensions 12A-4, 12B-4, 12C-4, and 12D-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upper region of each of the neighboring protrusions 12A, 12B, 12C, and 12D,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to be. In this case, the areas of the area extension parts 12A-4, 12B-4, 12C-4, and 12D-4 can be secured more widely.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us space artificial fish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도초(10)는, 본체(10)상면의 중앙부(C)에, 내부에 내부공간(72)이 형성되고, 상면과 각 측면에 내부공간(72)과 연통되는 유동공(74)들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상부 공간 형성부(70)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As shown in FIG. 13, in the artificial esophagus 1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n inner space 7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C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each side surfac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the upper space forming part 70 of the polygons in which the flow holes 74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72 are formed are protruded upward.

이때, 상부 공간 형성부(70)의 내부공간(72)은, 본체(10)의 중앙부(C)에 형성되는 어도 중심공(16)을 통하여 어도(14)와 연통된다.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72 of the upper space forming unit 70 communicates with the fish 14 through the fish central hole 16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C of the main body 10.

이와 같이, 본체(10)의 중앙부(C)에 상부 공간 형성부(70)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이 보다 확장될 수 있고, 치어를 포함한 작은 어류는 본체(10)의 어도(14)와 상부 공간 형성부(70)의 내부공간(72)을 연결하는 어도 중심공(16)을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활동반경이 더욱더 넓어지게 된다. As such, the upper space forming portion 70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C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habitat environment of marine life can be further expanded, and the small fish including the larvae can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 Since the free space can be freely moved through the central hole 16 connecting the inner space 72 of the 14 and the upper space forming unit 70, the activity radius becomes wider.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서와 같이 구성된 인공어도초(1)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보다 확장된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expanded marine life environment by arranging the artificial seaweed (1) configured as described 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various ways.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본체(10)들이, 각 본체(10) 사이에 해양생물 서식 및 보육공간(80)이 형성되도록, 이웃하는 본체(10)의 각 돌출부(1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거나, 각 돌출부(12) 사이의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개의 본체(1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사방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illustrated in FIGS. 14 and 15,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marine life habitat and the nursery space 80 are formed between the main bodies 10. Each of the protrusions 12 of 10 may face each other, or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may b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reas between the protrusions 12 face each other.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본체(10)가 서로 어긋나도록 "╋"형 으로 배치되어 각 본체(10) 사이에 보육공간(80)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각 본체(10)를 "×"형상으로 각각 배치하여 각 본체(10) 사이에 보육공간(8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4, each of the main body 10 is arranged in a "╋" type so as to shift each other so that the nursery space 80 is formed between each main body 10, or each main body 10 It is arranged to each of the "x" shape so that the nursery space 80 is formed between each body (10).

이와 같이, 다수개의 본체(10)를 사방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본체(10) 사이에 보육공간(80)이 형성됨으로써, 넓은 면적의 해저면에 어류의 산란, 서식 및 보육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nursery spaces 80 are formed between the main bodies 10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scattering, habitat, and nursery spaces of the fish can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arge area. do.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인공어도초 10 : 본체
12, (12A,12B,12C,12D) : 돌출부
12A-1,12B-1,12C-1,12D-1 : 개구부
12A-2,12B-2,12C-2,12D-2 : 측면 관통공
12A-3,12B-3,12C-3,12D-3 : 분출공
12A-4,12B-4,12C-4,12D-4 : 면적 확장부
12A-5,12B-5,12C-5,12D-5 : 저항 회피용 경사면
14 : 어도 16 : 어도 중심공
18 : 저면 관통공 30 : 고정말뚝
50 : 자연석 60 : 자연물
70 : 상부 공간 형성부 80 : 보육공간
1: artificial seaweed 10: main body
12, (12A, 12B, 12C, 12D): protrusion
12A-1,12B-1,12C-1,12D-1: Opening
12A-2,12B-2,12C-2,12D-2: Side through hole
12A-3,12B-3,12C-3,12D-3: Blowout Hole
12A-4,12B-4,12C-4,12D-4: Area Expansion
12A-5,12B-5,12C-5,12D-5: slope for avoiding resistance
14: Fish 16: Fish core
18: bottom through hole 30: fixed pile
50: natural stone 60: natural
70: upper space forming unit 80: nursery space

Claims (11)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평면적 관점에서 "+"형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각 상기 돌출부를 연통시키고, 각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개구부들에 의해 사방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어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각 측면에는,
수류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하고 파력에 의한 저항이 감쇠 되도록 상기 어도와 연통되는 측면 개방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각 상면에는,
조력 또는 파력에 의해 상기 측면 개방공 및 각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수류가 상향으로 유동 되면서 조력이나 파력이 감쇠 되도록 하고 수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쪽 상부영역에는,
부착생물의 부착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면적 확장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영역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수류가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각 상부 단부에는,
저항 회피용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어도와 연통되고, 상기 본체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말뚝이 관통되는 어도 중심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과 각 측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유동공들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상부 공간 형성부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공간 형성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어도 중심공을 통하여 상기 어도와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돌출부 바닥에는,
해저면의 일부가 상기 어도와 연통되어 상기 어도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저면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에는,
독성물질을 방출하는 콘크리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모래 및 2 - 75mm 크기의 자갈이 혼합된 자연물이 덮혀 일체화되되, 상기 자연물은 상기 본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일체화되거나, 바인더와 혼합되어 거칠게 가공된 상기 표면에 채워져 일체화되고,
상기 본체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 본체 사이에 해양생물 서식 및 보육공간이 형성되도록, 각각의 본체가 서로 어긋나도록 "╋"형으로 각각 배치되하거나, "×"형으로 각각 배치하여 각 본체 사이에 보육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
A main body including a central portion and four protrusions projecting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the main body being formed in a " + " And an esophagu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portion and each of the protrusions,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n all directions by respective openings formed at an end of each of the protrusions.
On each side of the protrusion,
Side openings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sophagus so that the flow of water flows smoothly and the resistance by the wave force is attenuated.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s the water flow introduced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each opening by the help or wave force flows upward,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help or wave force is attenuated and the flow of water flows smoothly.
In both upper regions of the protrusions,
An area extension for extending the attachment area of the adherent organism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or is connected to an upper region of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allow the flow of water to flow smooth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
At each upper end of the protrusion,
Slopes for resistance avoidance are formed respectively,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sophagus, the esophagus center hole through which a fixed pile for fixing the main body to the sea bottom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 inner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upper space forming portion of a polygon formed with a flo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n an upper surface and each side thereof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an inner space of the upper space forming portion is formed in the air hole. Communicated with the above through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of the main body,
A bottom through-hole is formed for each part of the sea bottom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esophagus to be exposed toward the esophagus.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In order not to expose the concrete that emits toxic substances, natural materials mixed with sand and 2-75 mm in size are covered and integrated. Filled and integrated into the surfac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ach of the main body so as to form a marine life habitat and nursery space between the main body, each arranged in a "╋" shape or each arranged in a "x" shape between each of the main body betw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nursery space is formed,
Plus space artificial fi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2382A 2019-03-21 2019-03-21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KR102052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82A KR102052926B1 (en) 2019-03-21 2019-03-21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PE2020000413A PE20201317A1 (en) 2019-03-21 2020-04-21 ARTIFICIAL REEF THAT HAS A PASSAGE OF FISHES IN THE FORM OF A CR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82A KR102052926B1 (en) 2019-03-21 2019-03-21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926B1 true KR102052926B1 (en) 2019-12-06

Family

ID=6883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382A KR102052926B1 (en) 2019-03-21 2019-03-21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2926B1 (en)
PE (1) PE2020131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9567A (en) * 2021-04-16 2021-07-09 吉林建筑科技学院 Fabricated concrete lattice group array coast erosion prevention struct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3A (en) * 1996-02-15 1997-08-26 Hokuetsu:Kk Revetment concrete boock and revetment work
KR200184796Y1 (en) * 1998-06-09 2000-06-01 조용승 Artificial reef for shell-fish
KR20050013662A (en) * 2005-01-17 2005-02-04 (주)대풍산업 The artifical knocked-down fish shelter adhering nature stones
KR101103328B1 (en) * 2011-05-02 2012-01-11 주식회사 정석종합건설 Turtle type artificial fishing reef
KR101327397B1 (en) * 2013-02-28 2013-11-08 주식회사 미래와바다 Culture equipment for sea cucumber
KR20180033782A (en) 2016-09-26 2018-04-04 노재호 Artificial reef having structure of plane concre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3A (en) * 1996-02-15 1997-08-26 Hokuetsu:Kk Revetment concrete boock and revetment work
KR200184796Y1 (en) * 1998-06-09 2000-06-01 조용승 Artificial reef for shell-fish
KR20050013662A (en) * 2005-01-17 2005-02-04 (주)대풍산업 The artifical knocked-down fish shelter adhering nature stones
KR101103328B1 (en) * 2011-05-02 2012-01-11 주식회사 정석종합건설 Turtle type artificial fishing reef
KR101327397B1 (en) * 2013-02-28 2013-11-08 주식회사 미래와바다 Culture equipment for sea cucumber
KR20180033782A (en) 2016-09-26 2018-04-04 노재호 Artificial reef having structure of plane concre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9567A (en) * 2021-04-16 2021-07-09 吉林建筑科技学院 Fabricated concrete lattice group array coast erosion preven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201317A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897B1 (en) Attaching uneven groove seaweed having a trapezoidal-type artificial reefs and production methods
KR200473631Y1 (en) Multi-Function Complex Artificaial Fishing Reef For Restoring Marine Ecosystem
KR100913808B1 (en) Triangle shellfish and seaweed reef
KR100985893B1 (en) Hexagonal concrete reef
KR20100041623A (en) Artificial reef for propagating octopus, octopus ocellatus
KR101784306B1 (en) Artificial reef to provide spawn space
KR101994253B1 (en) Artificial reef for spawning and octopus inhabitation
KR100762820B1 (en) Stone pagoda style multifucntional artificial reef
KR100541281B1 (en) Trtrapod multiple artificial fish-breeding structure
KR101120922B1 (en) Three curvature sided reef for seaweed
KR102052926B1 (en) Artificial reef having plus type fishway
KR102144053B1 (en) Multi-functional triangular type artificial fishing reef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and increased habitat and stealth space
KR20120108100A (en) An art fish-breeding ground
KR100969232B1 (en) Artificial reef advanced uneven
KR100762355B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spawning ground block
KR200489456Y1 (en) Coastal erosion resistant submerged block with artificial reef function
KR20090000182U (en) Steel artificial reef having with oyster shell let fly type
KR100570938B1 (en) An artificial fish globe
KR20180052297A (en) Concrete artificial fish reef
KR101239378B1 (en) The many functions structure that laying eggs ground of octopus and growth are possible
KR200353471Y1 (en) An artificial fish globe
KR200405469Y1 (en) Fishing Habitat and Reef Block Help Farm or Help Ocean Farm
KR100232719B1 (en) Adhered artificial fishing reef of artificial seaweed to control waves and flow
KR100407103B1 (en) The artificial fishing plants utilizing the wasted vinyl resin and stones
KR101011766B1 (en) Artificial reef with many 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