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06B1 - 손 운동용 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손 운동용 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06B1
KR102052906B1 KR1020180032936A KR20180032936A KR102052906B1 KR 102052906 B1 KR102052906 B1 KR 102052906B1 KR 1020180032936 A KR1020180032936 A KR 1020180032936A KR 20180032936 A KR20180032936 A KR 20180032936A KR 102052906 B1 KR102052906 B1 KR 10205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passing
ball
ho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907A (ko
Inventor
유연호
이성아
윤지운
한승희
최가영
유우진
황시윤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0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1Games or toys connected to, or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bjects with a second use as a toy or game
    • A63F2009/0049Objects with a second use as toy or game
    • A63F2009/0064Items relating to health or medical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운동용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공부재,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놀이판부재,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손 통과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이 통과되는 손통로가 길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손통과부재를 포함하여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공을 지정된 위치로 보내는 놀이를 통해 손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몸의 전체적인 근육들의 운동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 인지적 능력, 지구력, 지남력과 실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손 운동용 놀이 기구{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본 발명은 손 운동용 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 대상자의 45 ~ 80%가 하루 중 다양한 강도의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의 경우는 인지적인 손상과 더불어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손상된 경우가 많다.
치매 증상은 통증에 대한 표현의 제한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신체기능 감소, 식욕의 감퇴 등 심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러한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노인들은 젊은이들에 비해 인지기능 및 감각기능이 하락되며 손의 조작 능력 또한 감소된 상태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의료기관에서는 인지 및 감각 기능,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의료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이 정도만으로 모든 치료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만 1세에서 만 6세의 유아 시기에 유아의 손운동이 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또는 노인들, 유아가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간단한 놀이 기구 개념으로서 환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보조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 특허로 한국특허등록 제0915993호 '오자미 놀이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0915993 호 '오자미 놀이 운동기구'는 오자미를 던져 기능성 원판에 붙이는 방식의 놀이 기구로써 손이나 팔의 근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 특허로 한국특허등록 제1 405706호 '수동, 능동 훈련이 가능한 바이오피드백 상지 기능적 전기자극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과 관련 특허로 한국특허등록 한국특허등록 제1 405706호 '수동, 능동 훈련이 가능한 바이오피드백 상지 기능적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 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손의 근육 및 신경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0915993호 (2009.08.31.) 한국특허등록 제1405706호 (2014.06.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감을 제공하여 감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몸 감각을 통합한 감각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공부재,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놀이판부재,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손 통과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이 통과되는 손통로가 길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손통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통과부재는 천재질로 제조되거나, 접힐 수 있는 주름이 연속되게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제조되거나, 천재질의 원통형 본체와 원통형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부재는 신축 가능한 탄성 밴드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직경을 줄이고, 손이 통과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기 손통과부재를 통과한 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이 위치된 보조 놀이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와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손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1 구멍표시부재 및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볼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2 구멍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구멍표시부재는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구멍표시부재는 보조 놀이판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부재의 표면에는 구분된 복수의 상기 손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손통과표시, 구분된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볼통과표시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부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을 통과한 상기 공부재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공수거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에 대응되는 복수의 볼수거공간이 복수의 구획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각 볼수거공간에 공부재가 수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상부 측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는 손 통과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손통과부재가 하부면에 연결되어 위치된 복수의 손통과판부재 및 상기 손통과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베이스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통과판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 내에는 상기 손통과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제1 결합용 슬릿, 상기 제1 결합용 슬릿의 하단부에서 제1 결합용 슬릿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좌, 우 이동되는 제2 결합용 슬릿, 상기 제2 결합용 슬릿의 단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공을 지정된 위치로 보내는 놀이를 통해 손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몸의 전체적인 근육들의 운동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감을 제공하여 감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몸 감각을 통합한 감각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시간동안 집중해서 지정된 위치로 공부재를 보내야 하므로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공부재를 보낼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지남력과 실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손통과 판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부재(100)를 포함한다.
공부재(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공 형상을 가지는 공지의 공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공부재(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후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손 통과구멍(200a)을 통해 손통과부재(300)의 손통로를 통과하여 손통과부재(300)의 단부 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베이스 놀이판부재(200)는 공부재(100)를 잡은 손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이 위치된다.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은 손통과부재(300)의 손통로와 연결되고, 손통과부재(300)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원통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손통로가 내부에 위치된다.
손통로는 손통과부재(300)의 일단부 측에서 개방되어 손 통과구멍(200a)과 연결되고, 손통과부재(300)의 타단부 측에서 개방되어 손 통과구멍(200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손이 통과되어 나갈 수 있게 된다.
손통과부재(300)는 스판덱스 등의 신축성 있는 천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손통과부재(300)는 접힐 수 있는 주름이 연속되게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고, 천재질의 원통형 본체와 원통형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링부재는 신축 가능한 탄성 밴드로 손통과부재(300)의 직경을 줄이고, 손이 통과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손이 통과될 때 힘이 필요하도록 할 수 있다.
손통과부재(300)는 사용자의 팔뚝 길이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공을 잡은 손이 통과되어 외측으로 나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손통과부재(3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하부면에 손 통과구멍(200a)의 외측 둘레로 장착되어 고정되어 손통로가 손 통과구멍(200a)의 하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공부재(100)를 손으로 잡은 후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손을 손 통과구멍(200a)과 손통과부재(300)를 통과시킴으로써 놀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손통과부재(300)를 통과한 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이 위치된 보조 놀이판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놀이판부재(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손통과부재(300)를 통과한 볼이 통과되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이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는 손통과부재(300)의 출구로 나온 손에서 볼을 놓음으로써 볼 통과구멍(400a)을 통해 볼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 놀이판부재(400)는 지지대부재(500)로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연결된다.
지지대부재(500)는 일단부가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를 연결한다.
지지대부재(5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대부재(5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부재(5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 중 어느 한 측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510),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 중 다른 한 측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5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부재(500)는 제2 지지부(5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2 지지부(520)가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 고정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10)는 제2 지지부(52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 삽입부가 위치되고, 위치 고정구(530)는 제1 지지부(510)에 체결되어 이동 삽입부 내에서 제2 지지부(520)를 가압하여 제2 지지부(5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세트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지지대부재(500)는 세트 스크류를 풀고 제2 지지부(520)를 이동시켜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 뒤 세트 스크류를 조여 제2 지지부(52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 조절된 간격으로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와 보조 놀이판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공부재(100)를 손으로 잡은 후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손을 손 통과구멍(200a)과 손통과부재(300)를 통과시킨 다음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볼을 놓아 선택한 볼 통과구멍(400a)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놀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손통과 판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위치되어 각 손 통과구멍(200a)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1 구멍표시부재(600),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위치되어 각 볼 통과구멍(400a)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2 구멍표시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표시부재(600)와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숫자로 손 통과구멍(200a)과 볼 통과구멍(400a)을 구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볼 통과구멍(400a)은 손 통과구멍(200a)보다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서 손 통과구멍(200a)이 5개이고, 볼 통과구멍(400a)이 8개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이에 5개의 손 통과구멍(200a)은 1 ~ 5의 숫자가 각각 표시된 5개의 제1 구멍표시부재(600)로 구분하고, 볼 통과구멍(400a)은 1 ~ 8의 숫자가 표시된 제2 구멍표시부재(700)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번호로 구분된 손 통과구멍(200a) 중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고, 번호로 구분된 볼 통과구멍(400a) 중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여 선택한 번호의 손 통과구멍(200a)을 통해 공부재(100)를 잡은 손을 통과시키고, 선택한 번호의 볼 통과구멍(400a)으로 공부재(100)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놀이 치료를 안내하는 치료 안내사가 손 통과구멍(200a) 중 하나의 번호를 지정하고, 볼 통과구멍(400a) 중 하나의 번호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치료 안내사가 지정한 번호의 손 통과구멍(200a)으로 공부재(100)를 잡은 손을 통과시키고, 치료 안내사가 지정한 번호의 볼 통과구멍(400a)으로 공부재(100)를 통과시킬 수 있다.
공부재(100)의 표면에는 구분된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손통과표시(110), 구분된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볼통과표시(120)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공부재(100)의 표면에 1 ~ 5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 및 1 ~ 8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가 표시될 수 있고, 1-1, 1-2, 1-3, 1??4, 1??5, 1??6, 1-7, 1-8, 2-1, 2-2, 2-3, 2??4, 2??5, 2??6, 2-7, 2-8, 3-1, 3-2, 3-3, 3??4, 3??5, 3??6, 3-7, 3-8, 4-1, 4-2, 4-3, 4??4, 4??5, 4??6, 4-7, 4-8, 5-1, 5-2, 5-3, 5??4, 5??5, 5??6, 5-7, 5-8 등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공부재(100)가 준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부재(100)의 표면에 표시된 손통과표시(110)에 대응되는 손 통과구멍(200a)으로 공부재(100)를 잡은 손을 통과시킨 후 공부재(100)의 표면에 표시된 볼통과표시(120)에 대응되는 볼 통과구멍(400a)으로 공부재(100)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는 제1 구멍표시부재(6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표시 삽입부(200b)가 위치될 수 있고,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표시 삽입부(200b)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표시 삽입부(200b)의 양쪽 내측면에는 끼움홈부(200c)가 각각 위치되고, 제1 구멍표시부재(600)의 양측면에는 끼움홈부(200c)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610)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표시 삽입부(200b)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표시 삽입부(200b)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끼움돌기(610)부가 끼움홈부(200c)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제1 구멍표시부재(600)가 표시 삽입부(200b)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놀이판부재(400)의 상면에는 제2 구멍표시부재(700)를 자력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자석부(410)가 위치될 수 있고,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자석부(410)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자석부(410)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석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자력으로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구멍표시부재(600)는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서 분리되어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에 대한 표시를 변경하여 베이스 놀이판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구멍표시부재(700)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에 대한 표시를 변경하여 보조 놀이판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200a)을 구분하는 표시를 변경하고,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을 구분하는 표시를 변경함으로써 더 다양한 놀이를 가능하게 하고, 인지 능력과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에 대한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용 놀이 기구는 상부에 보조 놀이판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을 통과한 공부재(10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공수거함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수거함부재(800)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에 대응되는 복수의 볼수거공간이 복수의 구획판(81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각 볼 통과구멍(400a)을 통과한 공부재(100)는 복수의 구획판(810)에 의해 구분된 각 볼수거공간에 구분되어 수거될 수 있다.
일 예로, 볼 통과구멍(400a)이 8개인 경우 공수거함부재(8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구획판(810)에 의해 8개의 볼수거공간이 구분되어 위치되어 각 볼 통과구멍(400a)에 각 볼수거공간이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공수거함부재(8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각 볼수거공간에 공부재(100)가 수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공수거함부재(800)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상부 측에 보조 놀이판부재(40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홈(820)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슬라이드홈(820)은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즉, 보조 놀이판부재(400)는 공수거함부재(800)의 상부 측에 위치된 슬라이드홈(820)으로 결합시켜 공수거함부재(800)의 개방된 상부를 덮게 되고, 복수의 볼 통과구멍(400a)이 각 볼수거공간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놀이판부재(200)는 손 통과구멍(200a)이 위치되고 손통과부재(300)가 하부면에 연결되어 위치된 복수의 손통과판부재(210), 손통과판부재(2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221)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베이스판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통과판부재(210)는 베이스판부재(22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는 것으로 교체될 수 있고, 손통과부재(300)가 손상된 경우 교체되어 교체되어 간단하게 수리할 수 있다.
결합부(221) 내에는 손통과판부재(21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222)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손통과판부재(21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211)가 돌출되고, 결합부(221)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211)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제1 결합용 슬릿(221a), 제1 결합용 슬릿(221a)의 하단부에서 제1 결합용 슬릿(221a)과 연결되고 결합부(22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211)가 삽입되어 좌, 우 이동되는 제2 결합용 슬릿(221b), 제2 결합용 슬릿(221b)의 단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걸림돌기(211)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221c)이 위치된다.
또한, 손통과판부재(210)의 상부면에는 회전용 돌기부(212)가 돌출되거나 회전용 홈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도구 등을 이용하여 손통과판부재(2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손통과판부재(210)는 걸림돌기(211)를 제1 결합용 슬릿(221a)에 위치시킨 후 하강되고, 회전되어 걸림돌기(211)가 걸림홈(221c)에 위치됨으로써 베이스판부재(22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손통과판부재(210)는 스프링부재(22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부면이 베이스판부재(220)의 상부면에 일치되게 위치되고, 걸림돌기(211)가 걸림홈(221c)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손통과판부재(210)를 하강시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돌기(211)를 제2 결합용 슬릿(221b)을 통해 제1 결합용 슬릿(221a)으로 위치시키면 손통과판부재(210)는 스프링부재(2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결합부(221)의 상부 측으로 일부분 돌출되게 위치된다.
즉, 사용자 또는 치료 안내사는 손통과판부재(210)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공을 지정된 위치로 보내는 놀이를 통해 손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몸의 전체적인 근육들의 운동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근육 활동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과 양손 협응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감을 제공하여 감각능력을 증진시키고, 몸 감각을 통합한 감각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 활성화를 도모하여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시간동안 집중해서 지정된 위치로 공부재(100)를 보내야 하므로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공부재(100)를 보낼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지남력과 실행능력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공부재 110: 손통과표시
120: 볼통과표시 200: 베이스 놀이판부재
200a: 손 통과구멍 200b: 표시 삽입부
200c: 끼움홈부 210: 손통과판부재
211: 걸림돌기 220: 베이스판부재
221: 결합부 221a: 제1 결합용 슬릿
221b: 제2 결합용 슬릿 221c: 걸림홈
222: 스프링부재 300: 손통과부재
400: 보조 놀이판부재 400a: 볼 통과구멍
410: 자석부 500: 지지대부재
510: 제1 지지부 520: 제2 지지부
530: 위치 고정구 600: 제1 구멍표시부재
610: 끼움돌기 700: 제2 구멍표시부재
800: 공수거함부재 810: 구획판
820: 슬라이드홈

Claims (9)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공부재,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손 통과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놀이판부재 및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연결되어 위치되고, 손 통과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공부재를 잡은 손이 통과되는 손통로가 길이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조된 손통과부재
    를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손통과부재를 통과한 볼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볼 통과구멍이 위치된 보조 놀이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3.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와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대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4.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손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1 구멍표시부재 및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에 위치되어 각 상기 볼 통과구멍을 구분할 수 있게 표시하는 복수의 제2 구멍표시부재
    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5. 제2항에서,
    상기 공부재의 표면에는 구분된 복수의 상기 손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손통과표시, 구분된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볼통과표시가 각각 표시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6. 제2항에서,
    상부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복수의 상기 볼 통과구멍을 통과한 상기 공부재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공수거함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7. 제6항에서,
    상기 공수거함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상부 측에 상기 보조 놀이판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8.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 놀이판부재는 손 통과구멍이 위치되고 상기 손통과부재가 하부면에 연결되어 위치된 복수의 손통과판부재 및
    상기 손통과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베이스판부재를 포함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9. 제8항에서,
    상기 손통과판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 내에는 상기 손통과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제1 결합용 슬릿, 상기 제1 결합용 슬릿의 하단부에서 제1 결합용 슬릿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좌, 우 이동되는 제2 결합용 슬릿, 상기 제2 결합용 슬릿의 단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위치되는 손 운동용 놀이 기구.
KR1020180032936A 2018-03-21 2018-03-21 손 운동용 놀이 기구 KR10205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36A KR102052906B1 (ko) 2018-03-21 2018-03-21 손 운동용 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36A KR102052906B1 (ko) 2018-03-21 2018-03-21 손 운동용 놀이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07A KR20190110907A (ko) 2019-10-01
KR102052906B1 true KR102052906B1 (ko) 2019-12-06

Family

ID=682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36A KR102052906B1 (ko) 2018-03-21 2018-03-21 손 운동용 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24B1 (ko) 1999-03-19 2001-11-03 이명종 옥찜질방
KR101097514B1 (ko) 2011-09-20 2011-12-22 문현재 어린이용 조립식 놀이대의 발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93B1 (ko) 2007-10-02 2009-09-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오자미 놀이 운동기구
KR20120113418A (ko) * 2011-04-05 2012-10-15 서정수 유아용 공 넣기 놀이판
KR101405706B1 (ko) 2012-06-27 2014-06-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동, 능동 훈련이 가능한 바이오피드백 상지 기능적 전기자극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24B1 (ko) 1999-03-19 2001-11-03 이명종 옥찜질방
KR101097514B1 (ko) 2011-09-20 2011-12-22 문현재 어린이용 조립식 놀이대의 발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07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ge et al. Maximizing the benefits of Pilates-inspired exercise for learning functional motor skills
US10292889B1 (en) Compliant bimanual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90111660A1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KR200484175Y1 (ko) 재활운동기구
US5454774A (en) Goal oriented learning device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KR102052906B1 (ko) 손 운동용 놀이 기구
Oh et al. TEACHING FUNCTIONAL FITNESS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R101346471B1 (ko) 피트니스 구조물
KR100869178B1 (ko)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70001582U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CN106139534A (zh) 一种康复训练棒及包括该康复训练棒的康复训练装置
CN208389281U (zh) 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CN106730621B (zh) 一种便携式全身拉力器
WO2017095130A2 (ko) 자극 및 근력을 위한 노인건강 생활기구
TW202303541A (zh) 混合實境式運動訓練系統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200276266Y1 (ko)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TWM539928U (zh) 手部復健結構
JPS6211634Y2 (ko)
US20240316396A1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for group therapy
CN216571416U (zh) 一种田径比赛训练用腿部锻炼器
RU189167U1 (ru) Тренажер-бита для занятий по разработке двигательных функций рук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CN216798639U (zh) 一种舞蹈防晕眩训练装置
CN208838975U (zh) 一种多功能体育训练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