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943B1 - 충전 회로와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충전 회로와 이동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1943B1 KR102051943B1 KR1020177009193A KR20177009193A KR102051943B1 KR 102051943 B1 KR102051943 B1 KR 102051943B1 KR 1020177009193 A KR1020177009193 A KR 1020177009193A KR 20177009193 A KR20177009193 A KR 20177009193A KR 102051943 B1 KR102051943 B1 KR 102051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charging
- direct current
- capacitor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6—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02J7/0052—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02J2007/0059—
-
- H02J2007/0062—
-
- H02J2007/10—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충전 회로(30)와 이동 단말은, 충전 인터페이스(10)와 연결되며, 충전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충전용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제1 회로(31); 배터리(20)와 연결되며,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전환하여,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제2 회로(32); 제1 회로(31)와 제2 회로(32) 사이에 위치하는 정전결합소자(33)를 포함한다. 정전결합소자(33)를 통해 충전선로의 직류 통로를 분리시키며, 다시 말해, 충전 회로(30)에 직류 통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회로(31)가 효력을 상실 시,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제2 회로(32)와 배터리(20)로 직접 출력될 수 없어, 충전 회로(3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충전 회로와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의 사용이 갈수록 보급화되면서 이동 단말의 충전문제는 이동 단말 제공업체가 중점적으로 주목하는 문제가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에 사용되는 충전 회로의 회로도이다. 상기 회로도는 BUCK 회로라고 칭하며, 주로 MOS관, 제어회로, 다이오드, 인덕터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충전 시, 제어회로는 MOS관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변화된 사각파 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사각파 전류는 MOS관으로부터 인덕터로 흐르고, 인덕터를 통해 전압이 안정화된 후 배터리로 흐른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주요 문제점은 MOS관이 파괴될 경우, 전류가 직접 인덕터, 전류전압 검사회로 및 배터리를 통과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가 제한 전압을 초과하게 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MOS관의 손상을 초래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MOS관이 잘못 도통되어, MOS관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MOS관의 최대 허용전압, 정전파괴 또는 서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2. MOS관의 품질이 불량하거나 또는 기기 전체의 제조공정 문제;
3. 기타 결함 등.
MOS에 비교적 많은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문제를 방지하고, MOS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종래의 해결방안은 MOS관의 온(on)-저항(RDSON)의 저항값을 증가시켜 MOS관의 내압성을 높이는 방식이나, 온-저항이 높으면 충전 회로가 발열되기 쉽고, 에너지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 내의 충전 회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충전 회로와 이동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 방안으로, 충전 회로를 제공하며, 상기 충전 회로는 이동 단말의 충전 인터페이스와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충전용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제1 회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전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회로;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간의 직류 통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 시,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상기 제2 회로에 커플링시키고, 상기 제1 회로가 고장으로 인해 교류전기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결합소자를 포함한다.
제1 방안과 결합하여, 제1 방안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회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로 내부의 스위치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에 대해 충방전을 실시하여,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제1 방안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회로는 브릿지 회로 및 상기 브릿지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브릿지 회로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을 교대로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제1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제1 방안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중의 하나이다.
제1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제1 방안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의 크기, 형상 또는 두께는 상기 충전 회로의 구조에 따라 설계된다.
제1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제1 방안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회로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회로는 복수의 금속 산화층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 포함한다.
제1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제1 방안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회로는 정류회로 및 여파회로를 포함한다.
제2 방안으로, 충전 인터페이스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제1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충전 회로가 설치된다.
제2 방안과 결합하여, 제2 방안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이다.
제2 방안 또는 상기 구현 방식의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제2 방안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이동 단말은 일반 충전모드와 급속 충전모드를 지원하며, 상기 급속 충전모드의 충전 전류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의 충전 전류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전결합소자를 통해 충전선로의 직류 통로를 분리시키며, 다시 말해, 충전 회로에 직류 통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회로가 효력을 상실 시, 충전 인터페이스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제2 회로와 배터리로 직접 출력될 수 없어, 충전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첨부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묘사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충전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충전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묘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획득하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전 회로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2의 충전 회로(30)는 이동 단말의 충전 인터페이스(10)와 배터리(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충전 회로(30)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10)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충전용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제1 회로(31);
상기 배터리(2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전환하여, 상기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제2 회로(32);
상기 제1 회로(31)와 상기 제2 회로(32) 사이의 직류 통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 회로(31)와 상기 제2 회로(3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로(31)가 정상적으로 작동 시, 상기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상기 제2 회로(32)에 커플링시키고, 상기 제1 회로(31)가 고장으로 인해 교류전기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결합소자(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전결합소자를 통해 충전선로의 직류 통로를 분리시키며, 다시 말해, 충전 회로에 직류통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회로가 효력을 상실 시, 충전 인터페이스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제2 회로와 배터리로 직접 출력될 수 없어, 충전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해하여야 할 점으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10)는 UBS(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보통의 USB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micro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밖에, 더 이해하여야 할 점으로, 상기 배터리(20)는 리튬배터리일 수 있다.
이해하여야 할 점으로, 상기 제2 회로(32)의 역할은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전류를 배터리(20)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충전전류로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회로(32)는 정류회로, 여파회로 또는 전압안정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정류회로 또는 트라이오드 정류회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종래 기술의 정류방식을 참고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해하여야 할 점으로, 상기 제2 회로(32)는 상기 제1 회로(31)가 상기 정전결합소자(33)를 통해 제2 회로(32)에 커플링시키는 교류전기를 상기 배터리(20) 충전에 적합한 직류전기로 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으로, 제1 회로(31)가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방식은 제1 회로(31)가 정전결합소자(33) 중의 커패시터에 대해 충방전을 실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회로(31)는 일정한 제어 로직을 통해 정전결합소자(33) 중의 커패시터에 대한 충방전을 구현하며, 상기 제어 로직의 제어 빈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커패시터의 측면에서 보면, 제1 회로(31)가 출력하는 것은 교류전기이며, 커패시터는 교류를 통하게 하고, 직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교류전기는 커패시터를 통해 제2 회로(32)로 전송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로(31)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로(31) 내부의 스위치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전결합소자(33) 중의 커패시터에 대해 충방전을 실시하여,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회로 내부에 스위치관(예를 들어 MOS관)이 설치되며, 스위치관은 파괴되기 쉬우므로, 스위치관이 파괴될 경우, 제1 회로는 스위치관을 통해 직류를 교류로 전환할 수 없게 되어, 충전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직류전기가 충전 회로의 후속 소자 또는 배터리에 직접 인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회로와 제2 회로 사이에 정전결합소자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정전결합소자가 충전 회로의 직류 통로를 차단하여, 교류 전기는 통하고, 직류전기는 차단된다. 다시 말해, 설사 제1 회로 중의 스위치관이 파괴되거나 또는 효력을 잃더라도, 충전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직류전기가 제2 회로 또는 배터리 부위로 흐를 수 없기 때문에, 이동 단말의 충전 회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밖에, 정전결합소자는 양호한 격리 성능을 구비하므로, 제1 회로 중의 스위치관의 온-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종래 기술과 같이 온-저항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통해 MOS관의 내압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발열과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충전 회로의 에너지 전달효율이 향상된다.
주의해야 할 점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회로(31)의 구체적인 형식, 정전결합소자(33) 중의 커패시터 수량, 및 제1 회로(31)와 정전결합소자(33) 중의 커패시터의 연결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회로(31)는 하프브릿지 회로이거나, 풀브릿지 회로일 수 있고, 정전결합소자(33)는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2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로, 상기 회로와 소자의 구체적인 형식과 연결관계는 제1 회로(31)가 정전결합소자를 통해 에너지를 제2 회로(32)로 전달할 수만 있으면 된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로(31)는 브릿지 회로 및 상기 브릿지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브릿지 회로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제1 회로(31)는 하프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정전결합소자(33)는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제1 회로(31)와 제2 회로(32)는 공통접지되어, 상기 제1 회로(31)는 각각 커패시터의 일단 및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커패시터의 타단은 제2 회로 및 배터리를 통해 접지된다. 제1 회로(31)는 하프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통해 커패시터의 충전 및 커패시터의 대지 방전을 구현한다. 또는, 제1 회로(31)는 풀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정전결합소자(33)는 2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풀브릿지 회로는 각각 상기 2개의 커패시터와 연결되고, 제1 회로(31)는 풀브릿지 회로의 제어를 통해 2개의 커패시터의 전압 방향을 교대로 변경한다.
설명해야 할 점으로, 제어회로의 전기 획득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어 충전 전류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거나, 이동 단말 내부의 전원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중의 하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의 크기, 형상 또는 두께는 상기 이동 단말의 구조에 따라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PCB 기판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는 PCB 기판 소재 및 상면의 동박을 이용하여 특별히 구성되는 커패시터일 수 있고; FPC 기판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는 FPC의 특별한 설계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PCB 기판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및 FPC 기판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의 장점은 주로, 임의의 형상, 임의의 크기, 임의의 두께로 설계할 수 있어, 핸드폰 등 단말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마음대로 설계가 가능하다는데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로(31)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 회로는 복수의 금속 산화층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회로는 정류회로와 여파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주의해야 할 점으로, 도 3 내지 도 4의 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된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상황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제공되는 도 3 내지 도 4의 예에 따라, 당업자가 각종 등가의 수정 또는 변화를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화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회로(31)는 제어회로(311)와 하프브릿지 회로(31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하프브릿지 회로(312)는 스위치관(T1)과 스위치관(T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전결합소자(33)는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과정에서, 제어회로(311)는 스위치관(T1)과 스위치관(T2)의 작동을 교대로 제어하여 커패시터(C1)에 대한 충방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직류전기는 교류전기로 전환된 후, 커패시터(C1)를 통해 제2 회로(32) 및 배터리(20)로 흐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 과정에서, 제어회로(311)는 먼저 스위치관(T1)이 도통되고, 스위치관(T2)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충전 인터페이스(10)에 입력된 직류전기는 스위치관(T1)을 거쳐 커패시터(C1)를 충전한다. 이후, 제어회로(311)는 스위치관(T1)이 차단되고 스위치관(T2)이 도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회로(31)와 제2 회로(32)가 공통접지되므로, 커패시터(C1)는 대지 방전될 수 있다. 제어회로(311)는 상기 방식에 따라 하프브릿지 회로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제어하여 커패시터(C1)를 거친 교류전기를 형성할 수 있다.
하프브릿지 회로(312) 중의 스위치관이 파괴된 경우, 커패시터(C1)는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제2 회로(32)와 배터리로 직접 흐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충전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른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 회로(31)는 제어회로(313)와 풀브릿지 회로(3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풀브릿지 회로(314)는 스위치관(T1), 스위치관(T2), 스위치관(T3) 및 스위치관(T4)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결합소자(33)는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충전 과정에서, 제어회로(313)는 먼저 스위치관(T1)과 스위치관(T4)의 작동을 제어한 다음, 스위치관(T2)과 스위치관(T4)의 작동을 제어하여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2) 중의 전압 방향을 교대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직류전기가 교류전기로 전환되어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2)를 거쳐 제2 회로(32) 및 배터리(20)로 흐른다.
구체적으로, 충전 과정에서, 제어회로(311)는 먼저 스위치관(T1)과 스위치관(T4)이 도통되고, 스위치관(T2)과 스위치관(T3)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충전 인터페이스(10)에 입력된 직류전기는 스위치관(T1), 커패시터(C2), 커패시터(C1), 스위치관(T4)을 거쳐 그라운드까지 루프를 형성한다. 이후, 제어회로(311)는 스위치관(T1)과 스위치관(T4)이 차단되고, 스위치관(T2)과 스위치관(T3)이 도통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충전 인터페이스(10)에 입력된 직류전기는 스위치관(T3), 커패시터(C1), 커패시터(C2), 스위치관(T2)을 거쳐 그라운드까지 루프를 형성한다. 제어회로(311)는 상기 방식을 통해 풀브릿지 회로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제어하여,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2)를 거친 교류전기를 형성할 수 있다.
풀브릿지 회로(314) 중의 스위치관이 파괴된 경우,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2)는 충전 인터페이스(10)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제2 회로(32)와 배터리로 직접 흐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충전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50)은 충전 인터페이스(51), 배터리(52), 및 충전 회로(53)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충전 회로(53)는 상기 충전 회로(30) 중의 어느 하나의 실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전결합소자를 통해 충전선로의 직류 통로를 분리시키며, 다시 말해, 충전 회로에 직류 통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회로가 효력을 상실 시, 충전 인터페이스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제2 회로 및 배터리로 직접 출력될 수 없어 충전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51)는 USB 인터페이스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50)은 일반 충전모드와 급속 충전모드를 지원하며, 여기서 상기 급속 충전모드의 충전 전류는 상기 일반 충전모드의 충전 전류보다 크다.
이해해야 할 점으로, MOS관이 파괴되는 현상은 급속충전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에서 특히 심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을 통해 급속 충전 시의 MOS 파괴로 인한 선로 불안정 문제를 훌륭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회로를 더 제공하며, 상기 충전 회로는 직류 전기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직류전기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제1 회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전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회로;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사이의 직류 통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 시,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상기 제2 회로에 커플링시키고, 상기 제1 회로가 고장으로 인해 교류전기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결합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전결합소자를 통해 충전선로의 직류 통로를 차단하며, 다시 말해, 입력된 직류전기가 배터리로 직접 흐를 수 없기 때문에, 제1 회로가 효력을 상실 시, 충전 인터페이스가 출력하는 직류전기가 정전결합소자에 의해 차단되므로 배터리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로 내부의 스위치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에 대해 충방전을 실시하여,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로는 브릿지 회로 및 상기 브릿지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브릿지 회로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을 교대로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중의 하나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로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회로는 복수의 금속 산화층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회로는 정류회로 및 여파회로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충전 회로는 이동 단말에 사용된다. 또한,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의 크기, 형상 또는 두께는 상기 이동 단말의 구조에 따라 설계된다.
당업자라면, 본문에 공개된 실시예를 결합하여 묘사되는 각종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 방식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할지 여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의 제한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 상황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본문에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와 간결성을 위해, 본문에서 설명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이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상응하는 과정을 참고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실시예에 공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묘사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용일 뿐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의 구분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 별도의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하거나 또는 집적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하거나 토론한 상호 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할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한 부재는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으며,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체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되거나,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가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약간의 지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매체는 U디스크, 이동식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이며, 단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결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공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10)
- 이동 단말의 충전 인터페이스와 배터리 사이에 위치하는 충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충전용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제1 회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전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회로;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간의 직류 통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 시,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교류전기를 상기 제2 회로에 커플링시키고, 상기 제1 회로가 고장으로 인해 교류전기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회로가 출력하는 직류전기를 차단하는 정전결합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로는 상기 정전결합소자의 일단 및 접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정전결합소자를 충전시키거나 상기 정전결합소자에서 상기 접지에 방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로 내부의 스위치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에 대해 충방전을 실시하여,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브릿지 회로 및 상기 브릿지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브릿지 회로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방전을 교대로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으로 구성되는 커패시터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결합소자 중의 커패시터의 크기, 형상 또는 두께는 상기 충전 회로의 구조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회로는 복수의 금속 산화층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정류회로 및 여파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 이동 단말에 있어서,
충전 인터페이스와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충전 회로가 설치되는 이동 단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일반 충전모드와 급속 충전모드를 지원하며, 상기 급속 충전모드의 충전 전류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의 충전 전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5/080478 WO2016192005A1 (zh) | 2015-06-01 | 2015-06-01 | 充电电路和移动终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8561A KR20170048561A (ko) | 2017-05-08 |
KR102051943B1 true KR102051943B1 (ko) | 2019-12-04 |
Family
ID=5715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9193A KR102051943B1 (ko) | 2015-06-01 | 2015-06-01 | 충전 회로와 이동 단말 |
Country Status (20)
Country | Link |
---|---|
US (1) | US9960623B2 (ko) |
EP (1) | EP3139463B1 (ko) |
JP (1) | JP6559778B2 (ko) |
KR (1) | KR102051943B1 (ko) |
CN (2) | CN105940589A (ko) |
AU (1) | AU2015397723B2 (ko) |
BR (1) | BR112017010237B1 (ko) |
CA (1) | CA2963509C (ko) |
DK (1) | DK3139463T3 (ko) |
ES (1) | ES2710331T3 (ko) |
HU (1) | HUE042107T2 (ko) |
MA (1) | MA40183B1 (ko) |
MX (1) | MX360571B (ko) |
MY (1) | MY182687A (ko) |
PH (1) | PH12017500721A1 (ko) |
PL (1) | PL3139463T3 (ko) |
PT (1) | PT3139463T (ko) |
SG (1) | SG11201702426WA (ko) |
TW (1) | TW201703386A (ko) |
WO (1) | WO20161920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48040B1 (en) * | 2015-06-01 | 2023-08-16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Charging circuit and mobile terminal |
CN108124498B (zh) * | 2017-02-24 | 2020-07-2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均衡电路、待充电设备和充电控制方法 |
EP3610552B1 (en) * | 2017-06-12 | 2023-11-29 | Gbatteries Energy Canada Inc. | Battery charging through multi-stage voltage conversion |
CN110492559A (zh) * | 2019-08-01 | 2019-11-22 |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 扫地机器人及其扫地机器人充电座 |
TWI773940B (zh) * | 2019-11-12 | 2022-08-11 |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 無線耳機 |
WO2023204477A1 (ko) * | 2022-04-22 | 2023-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고속 충전이 가능한 전자 장치 |
CN114614575B (zh) * | 2022-05-16 | 2022-08-02 | 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容性耦合机构的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119A (ko) | 1973-05-15 | 1975-01-10 | ||
US5892351A (en) * | 1997-08-29 | 1999-04-06 | Compaq Computer Corporation | DC-isolated converting battery module |
US7101475B1 (en) * | 2003-12-22 | 2006-09-05 | Terry Antone Maaske | Autonomously navigating solar swimming pool skimmer |
DE102004031216A1 (de) | 2004-06-28 | 2006-01-19 | Siemens A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ungsausgleich in Reihe geschalteter Energiespeicher |
US7526659B2 (en) * | 2005-02-01 | 2009-04-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use of power in a computer system |
TW200742491A (en) | 2006-04-17 | 2007-11-01 | Delta Electronics Inc | Power supply system for lighting lamp |
WO2010003158A2 (en) * | 2008-07-04 | 2010-01-07 | Vampire Labs | Automatic coupling of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and an inductive power apparatus to charge a target device battery |
CN102196071B (zh) * | 2010-07-30 | 2013-02-20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 |
IL213824A (en) * | 2011-06-28 | 2013-03-24 | Yaacov Shmuel Chaim Ben Aharo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power supply |
US9444289B2 (en) * | 2011-09-09 | 2016-09-13 | Lg Electronics Inc. | Wireless power system and resonant frequency changing method thereof |
JP5997456B2 (ja) | 2012-02-17 | 2016-09-28 | 学校法人慶應義塾 | 無線給電装置 |
JP5843066B2 (ja) * | 2012-03-06 | 2016-01-1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送電装置 |
FR2987947B1 (fr) * | 2012-03-09 | 2017-04-28 | Intelligent Electronic Systems | Dispositif de charge comprenant un convertisseur dc-dc |
CN204290504U (zh) | 2012-03-26 | 2015-04-22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电力传输系统以及用于该电力传输系统的送电装置 |
ITRE20120021A1 (it) | 2012-04-02 | 2013-10-03 | Igor Spinella | Metodo ed apparato per il trasferimento di potenza elettrica |
US9520799B2 (en) * | 2012-08-17 | 2016-12-13 | Advanced Charging Technologies, LLC | Power device |
CN104578439B (zh) | 2013-10-21 | 2018-10-09 |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 用于无线充电线路的装置 |
CN104283262B (zh) * | 2014-09-30 | 2016-08-17 | 西安交通大学 | 一种基于电场耦合的大功率无线充电方法与装置 |
TWI510907B (zh) * | 2014-11-05 | 2015-12-01 | Cyberpower Systems Inc | Adjustment method of power sensitivity |
-
2015
- 2015-06-01 DK DK15889425.3T patent/DK3139463T3/en active
- 2015-06-01 EP EP15889425.3A patent/EP3139463B1/en active Active
- 2015-06-01 JP JP2017516508A patent/JP6559778B2/ja active Active
- 2015-06-01 BR BR112017010237-4A patent/BR112017010237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01 MY MYPI2017701982A patent/MY182687A/en unknown
- 2015-06-01 KR KR1020177009193A patent/KR1020519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01 ES ES15889425T patent/ES2710331T3/es active Active
- 2015-06-01 PT PT15889425T patent/PT3139463T/pt unknown
- 2015-06-01 AU AU2015397723A patent/AU2015397723B2/en active Active
- 2015-06-01 CN CN201580004529.3A patent/CN105940589A/zh active Pending
- 2015-06-01 CA CA2963509A patent/CA2963509C/en active Active
- 2015-06-01 SG SG11201702426WA patent/SG11201702426WA/en unknown
- 2015-06-01 CN CN201910194446.5A patent/CN109888895B/zh active Active
- 2015-06-01 MX MX2017004677A patent/MX360571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01 US US15/306,093 patent/US9960623B2/en active Active
- 2015-06-01 WO PCT/CN2015/080478 patent/WO2016192005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01 HU HUE15889425A patent/HUE042107T2/hu unknown
- 2015-06-01 MA MA40183A patent/MA40183B1/fr unknown
- 2015-06-01 PL PL15889425T patent/PL3139463T3/pl unknown
-
2016
- 2016-05-31 TW TW105117065A patent/TW201703386A/zh unknown
-
2017
- 2017-04-18 PH PH12017500721A patent/PH12017500721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710331T3 (es) | 2019-04-24 |
US9960623B2 (en) | 2018-05-01 |
MA40183B1 (fr) | 2019-03-29 |
EP3139463B1 (en) | 2018-12-19 |
SG11201702426WA (en) | 2017-04-27 |
WO2016192005A1 (zh) | 2016-12-08 |
US20170149263A1 (en) | 2017-05-25 |
TW201703386A (zh) | 2017-01-16 |
AU2015397723A1 (en) | 2017-04-13 |
CN105940589A (zh) | 2016-09-14 |
CN109888895B (zh) | 2023-01-10 |
JP2017529055A (ja) | 2017-09-28 |
BR112017010237B1 (pt) | 2022-05-31 |
KR20170048561A (ko) | 2017-05-08 |
JP6559778B2 (ja) | 2019-08-14 |
MA40183A (fr) | 2017-03-08 |
EP3139463A4 (en) | 2018-03-14 |
AU2015397723B2 (en) | 2018-06-28 |
MX360571B (es) | 2018-11-08 |
MY182687A (en) | 2021-01-29 |
EP3139463A1 (en) | 2017-03-08 |
CN109888895A (zh) | 2019-06-14 |
CA2963509C (en) | 2019-12-31 |
MX2017004677A (es) | 2017-07-26 |
BR112017010237A2 (pt) | 2018-02-14 |
HUE042107T2 (hu) | 2019-06-28 |
PT3139463T (pt) | 2019-02-06 |
PL3139463T3 (pl) | 2019-06-28 |
DK3139463T3 (en) | 2019-03-18 |
CA2963509A1 (en) | 2016-12-08 |
PH12017500721A1 (en) | 2017-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1943B1 (ko) | 충전 회로와 이동 단말 | |
JP5590268B2 (ja) | 電界結合型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受電装置 | |
CN108390428B (zh) | 充电电路和移动终端 | |
TWI646756B (zh) | 充電電路和移動終端 | |
US20150364912A1 (en) | Secondary Power System and Power Supply Device | |
JP6976982B2 (ja) | 充電回路及び移動端末 | |
JP6218244B2 (ja) | 電力変換装置 | |
CN208923819U (zh) | 一种开关电源的保护组件和开关电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