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214B1 -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214B1
KR102051214B1 KR1020180042137A KR20180042137A KR102051214B1 KR 102051214 B1 KR102051214 B1 KR 102051214B1 KR 1020180042137 A KR1020180042137 A KR 1020180042137A KR 20180042137 A KR20180042137 A KR 20180042137A KR 102051214 B1 KR102051214 B1 KR 10205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band
user terminal
senso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8846A (en
Inventor
김만홍
조진호
양준석
최성용
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ublication of KR2019008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2J20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작업자의 안전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모 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형성된 착용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및 상기 착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전모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에 대응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안전모 밴드의 내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상에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수납홈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납되고, 상기 제1 수납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센서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helmet b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elmet of the worker to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Hard hat including a wearing portion formed; And a hard hat b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earing part, wherein the hard hat band corresponds to the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and protrudes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hard band so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itted.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formed to be;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to protrude in a second directio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helmet band to define a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first sensor holder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is received and faste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Description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h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hard hat including a variety of sensors.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철소, 조선소, 또는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작업자들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해 안전모나 장갑 등과 같은 보호장구들 또한 발전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industrial sites such as steel mills, shipyards, or machine shops have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and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hard hats and gloves have also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safety and work efficiency of workers.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802호에는, 작업환경의 먼지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와 통합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탑재된 안전모가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196802 has proposed a safety helmet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a sensor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sensing the dust or temperature of the working environment.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802호를 비롯한 대부분의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모의 경우 센서 및 통신모듈 뿐만 아니라 센서나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도 안전모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안전모의 무게가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불편함이 증대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hard ha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96802, because not only the sensor and communication module but also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or communication module is directly attached to the hard ha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only increase the weight of, thereby increasing the discomfort of the worker.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모의 경우 센서가 안전모에 직접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에 따라 센서를 변경할 수 없어 적용범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sensor is directly attached to the helme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cope of application is limited because the sensor can 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안전모의 경우 습도나 분진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 습도나 분진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고, 스파크로 인해 화제 발생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elmet equipped with a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sparks may occur due to humidity or dust in a work environment in which humidity or dust is high, and there is a risk of fire occurrence due to spark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802호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2012.10.26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96802 (hat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2012.10.26 registr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모 밴드를 포함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including a helmet band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lmet of the worker to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Let it be technical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안전모 밴드에 설치되는 이어 마이크를 포함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including an ear microphone installed in the helmet band so that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used.

또한, 본 발명은 작업환경에 따라 가스센서를 안전모 밴드에 탈부착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operato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gas sensor to the helmet ban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원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that can perform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안전모 밴드를 포함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including a helmet band is installed with a button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형성된 착용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및 상기 착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전모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에 대응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안전모 밴드의 내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상에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수납홈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납되고, 상기 제1 수납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센서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afety helmet including a wearing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And a hard hat b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earing part, wherein the hard hat band corresponds to the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and protrudes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hard band so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itted.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formed to be;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to protrude in a second directio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helmet band to define a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first sensor holder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is received and faste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모 밴드의 탈부착 용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elmet band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회의나 긴급상황 발생시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이어 마이크를 제공하되, 사용시에만 이어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열악환 작업환경에서도 이어 마이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 microphone for providing an alarm in the event of video conferencing or emergency, the ear micro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only during use, thereby preventing the ear microphone from being damaged even in a heat evil environment.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센서를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에 따라 원하는 종류의 가스센서들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s senso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gas sensors of the desired type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by exte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 밴드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 및 데이터 통신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작업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안전모 밴드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모에 결합되는 안전모 밴드를 경량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모 전체의 무게 증가로 인한 작업자와 피로도를 최소화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upply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in the helmet band using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operator to supply power to the helmet band and at the same time can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erv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lmet band coupled to the weight, thereby minimizing the worker and fatigue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ntire helmet has the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 밴드에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을 배치함으로써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button for executing a variety of functions in the helmet band can only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pressing the button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 밴드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자와 원격지에 있는 전문가들간에 영상회의를 수행할 수 있어 원격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ideo conferen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professionals in the remote location using the camera mounted on the helmet band has the effect that can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by enabling remote collabo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이탈방지부가 삽입홈에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안전모 밴드로부터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 수납부 및 이어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 수납부 및 이어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촬영버튼 및 영상회의 요청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안전모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및 프로세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c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게이팅 신호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형 케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rd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are separated from the helmet band.
6A and 6B illustrate an ear microphone receiver and an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llustrate an ear microphone receiver and an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band for explaining the shooting button and the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Figure 9a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elme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ocket and a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 is mounted.
9C is a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of a gating signal generated by a gating signal generator.
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Y-typ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herei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scope of the rights shall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which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respectively.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100, 이하,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이라 함)은 복수개의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 및 서버(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fiel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mart hard hat sets 110 and a server 120. ).

복수개의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는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에 대한 센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작업자의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112), 안전모 밴드(114), 및 사용자 단말기(116)로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smart hardhat sets 110 generates sensing data and image data and voice data of the worker environment in which the worker is locat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voice data to the server. In one embodiment, the smart hardhat set 110 is composed of a hardhat 112, a hardhat band 114, and a user terminal 116, as shown in FIG.

안전모(112)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한다. 안전모(112)는 충격에 강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hard hat 112 is worn on the worker's head to protect the worker from external hazards. Hard hat 112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strong in impact and light in weight. Hereinafter, a hard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rd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12)는 안전모(112)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인 착용부(112a) 및 착용부(112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12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hard hat 11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ard hat 112 extending from the wearing part 112a and the wearing part 112a which are parts worn on the operator's head. (112b).

착용부(112a)의 외면에는 안전모 밴드(114)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112c)로 인해 안전모(112)와 안전모 밴드(114)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모(112)와 안전모 밴드(114)간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착용부(112a)에는 복수개의 결합부재(112c)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oupling member 112c for coupling the helmet band 114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12a. Due to the coupling member (112c)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helmet 112 and the helmet band 114.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12c may be formed in the wearing part 112a in order to maximize the adhesion between the hard hat 112 and the hard hat band 114.

연장부(112b)의 착용부(112a)에 결합된 안전모 밴드(1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홈(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홈(112d)은 연장부(112b)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장부(112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b)에 돌출부재(112e)가 형성되고, 돌출부재(112e) 내부에 삽입홈(112d)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삽입홈(112d)은 돌출부재(112e) 및 연장부(112b)를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112d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helmet band 114 coupled to the wearing part 112a of the extension part 112b from being separated. 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groove 112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extension 112b,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nsion 112b may be extended to the extension 112b as shown in FIG. 2A. The protruding member 112e may be formed, and the insertion groove 112d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member 112e. In this case, the insertion groove 112d may be formed to penetrate both the protruding member 112e and the extension part 112b.

한편, 연장부(112b)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부(112b)는 2개의 삽입홈(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홈(112d)은 연장부(112b)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12d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12b. For example, the extension part 112b may include two insertion grooves 112d. In this case, the insertion groove 112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n the extension portion 112b.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안전모 밴드(114)는 안전모(112)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자에게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hard hat band 114 is coupled to the hard hat 112 to be detachably provide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o the worker. Hereinafter,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는 본체부(200),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210), 및 이탈방지부(220)를 포함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0,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210, and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220.

본체부(200)는 안전모(112)의 착용부(112a)의 둘레부분에 결합된다. 본체부(220)는 대략적으로 원형의 고리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안전모 밴드(114)가 안전모(112)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부(200)의 내면(202)은 착용부(112a)와 마주보게 된다.Body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ing portion 112a of the helmet 112. The main body 220 has an approximately circular ring shape. Accordingly, when the helmet band 114 is coupled to the helmet 112,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main body 200 faces the wearing part 112a.

제1 돌출부(210)는 결합부재(112c)에 대응되도록 본체부(200)의 내면(202)에서 착용부(112a) 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는 본체부(200)의 내면(202)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들로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결합홈(212)을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돌출부(210a, 210b), 즉 한 쌍의 돌출부(210a, 210b)들이 하나의 제1 돌출부(210)를 구성하고, 한 쌍의 돌출부(210a, 210b)들이 하나의 결합홈(212)을 정의할 수 있다. 2개의 돌출부(210a, 210b)로 구성된 제1 돌출부(210)에 의해 정의되는 결함홈(212) 내에 착용부(112a)에 형성된 결합부재(112c)가 끼움 결합됨에 의해 안전모(112)와 안전모 밴드(114)가 결합된다.The first protrusion 21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e direction of the wearing part 112a from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main body 20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member 112c.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main body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define one coupling groove 212. For example, two protrusions 210a and 210b, that is, a pair of protrusions 210a and 210b constitute one first protrusion 210, and a pair of protrusions 210a and 210b may include one coupling groove 212. ) Can be defined. The hard hat 112 and the helmet band by fitting the coupling member 112c formed in the wearing portion 112a into the defect groove 212 defined by the first protrusion 210 composed of two protrusions 210a and 210b. 114 is combined.

안전모(112)가 복수개의 결합부재(112c)를 포함하는 경우, 안전모 밴드(114) 또한 복수개의 제1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각각의 결합부재(112c)가 각각의 제1 돌출부(210)들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결합홈(212) 내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안전모(112)와 안전모 밴드(114)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hard hat 112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12c, the hard hat band 114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coupling member 112c is fitted between the helmet 112 and the helmet band 114 by being fitted into each coupling groove 212 defined by the respective first protrusions 210. Adhesion can be increased.

이탈방지부(220)는 본체부(200)로부터 지면방향(G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탈방지부(220)는 본체부(200)의 내면(202)으로부터 지면방향(G1)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20)는 이탈방지돌기(222)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돌기(222)는 이탈방지부(22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22)는 이탈방지부(220)에서 지면방향(G1)과 수직한 방향(G2)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220 extends from the main body part 200 in the ground direction G1. In one embodiment,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220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body portion 200 in the ground direction (G1).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220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22. The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222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220. The anti-separation protrusion 22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anti-separation part 220 in a direction G2 perpendicular to the ground direction G1.

이탈방지돌기(222)가 형성된 이탈방지부(220)가 연장부(112b)에 형성된 삽입홈(112d)에 삽입됨에 의해 안전모 밴드(114)가 안전모(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탈방지부(220)가 삽입홈(112d)에 삽입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afety band band 114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ard hat 112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d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12b.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d in more detail.

도 4는 이탈방지부가 삽입홈에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20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22)가 삽입홈(112d)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돌기(222)가 삽입홈(112d)을 완전히 관통한 후 삽입홈(112d)의 외부에서 삽입방향(G1)과 수직한 방향(G2)으로 돌출되어 이탈방지돌기(222)가 돌출부재(112e)에 걸리게 됨으로써 안전모 밴드(114)가 안전모(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4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s shown in FIG. 4,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222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00 is fastened to the insertion groove 112d. Specifically, the departure preventing protrusion 222 completely penetrates the insertion groove 112d, and then protrudes in the direction G2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G1 from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2d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222. By being caught by the protruding member 112e, the helmet band 114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elmet 112.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재(112c)와 결합홈(212)이 결합되는 것뿐만 아니라 삽입홈(112d)에 이탈방지부(220)가 체결됨에 의해 안전모 밴드(114)와 안전모(112)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중에 안전모 밴드(114)가 안전모(1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upling member 112c and the coupling groove 212 are coupled, but also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220 is fastened to the insertion groove 112d, thereby, between the helmet band 114 and the helmet 112. Since the coupling force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lmet band 1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elmet 11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는 적어도하나의 제2 돌출부(230a, 230b),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240a, 240b), 제1 센서 수납함(250) 수납함, 및 제2 센서 수납함(260) 수납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230a and 230b,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240a and 240b, and a first sensor holder 250. )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and a second sensor holder 260 holder.

이하, 도 3 및 안전모 밴드로부터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합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230),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240), 제1 센서 수납함(250), 및 제2 센서 수납함(26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230,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240, and a first senso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5 show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usings are separated from the helmet band. The storage box 250 and the second sensor storage box 2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230)는 본체부(200)의 외면(204)에서 제1 방향(D1)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230)는 2개의 제2 돌출부(230a, 230b), 즉 한 쌍의 제2 돌출부(230a, 230b)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돌출부(230a, 230b)는 본체부(200)의 외면(204)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1 수납홈(232)을 정의한다. 한 쌍의 제2 돌출부(230a, 230b)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수납홈(232) 내에 제1 센서 수납함(250)이 장착된다.The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 5, the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230 may include two second protrusions 230a and 230b, that is,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230a and 230b.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230a and 230b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define the first receiving grooves 232. The first sensor holder 250 is moun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32 defined by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230a and 230b.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240)는 본체부(200)의 외면(204)에서 제1 방향(D1)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240)는 2개의 제3 돌출부(240a, 240b), 즉, 한 쌍의 제3 돌출부(240a, 240b)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돌출부(240a, 240b)는 본체부(200)의 외면(204)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2 수납홈(242)을 정의한다. 한 쌍의 제3 돌출부(240a, 240b)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수납홈(242) 내에 제2 센서 수납함(260)이 장착된다.The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24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 5, the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240 may include two third protrusions 240a and 240b, that is, a pair of third protrusions 240a and 240b. The pair of third protrusions 240a and 240b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define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42. The second sensor holder 260 is moun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42 defined by the pair of third protrusions 240a and 240b.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돌출부(230a, 230b) 및 한 쌍의 제3 돌출부(240a, 240b)는 안전모 밴드(114)의 밸런싱을 조절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밴드(114)의 중심(C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230a and 230b and the pair of third protrusions 240a and 240b are shown in FIG. 5 to adjust the balancing of the helmet band 114, as shown in FIG. 5.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C1) of (114).

제1 센서 수납함(250)은 한 쌍의 제2 돌출부(230a, 230b)에 정의되는 제1 수납홈(232) 내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센서 수납함(2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52)에 의해 제1 수납홈(23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고정부재(252)로 볼트가 이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제1 센서 수납함(250)은 볼트 이외의 다른 고정부재(252)를 이용하여 제1 수납홈(232)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first sensor holder 250 is moun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232 defined in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230a and 230b.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holder 250 may be mounted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232 by the fixing member 252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bolt is used as the fixing member 252 in FIG. 5,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first sensor holder 250 uses the first receiving groove (252) other than the bolt. 232 may be moun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센서 수납함(2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 수납함(250)에는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의 산소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 또는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의 일산화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가 수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ensor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ensor holder 250.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holder 250 may accommodate a gas sensor for sensing oxygen gas in a work environment in which a worker is located or a gas sensor for sensing monoxide gas in a work environment in which a worker is located.

제2 센서 수납함(260)은 한 쌍의 제3 돌출부(240a, 240b)에 정의되는 제2 수납홈(242) 내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센서 수납함(2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62)에 의해 제2 수납홈(24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고정부재(262)로 볼트가 이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제2 센서 수납함(260)은 볼트 이외의 다른 고정부재(262)를 이용하여 제2 수납홈(242)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ensor holder 260 is moun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42 defined in the pair of third protrusions 240a and 240b.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holder 260 may be mounted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42 by the fixing member 262 as shown in FIG. In FIG. 5, although the bolt is used as the fixing member 262,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second sensor holder 260 uses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62) other than the bolt. 242 may be moun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센서 수납함(26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의 일산화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 또는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환경의 산소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가 수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ensor may be stored in the second sensor holder 260. For example, a gas sensor for sensing monoxide gas in a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a worker is located or a gas sensor for sensing oxygen gas in a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a worker is located may be stored.

도 3 및 도 5에서는 안전모 밴드(114)에 제1 센서 수납함(250) 및 제2 센서 수납함(260)이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안전모 밴드(114)에는 3개 이상의 센서 수납함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센서 수납함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을 정의하기 위해 추가적인 돌출부들이 안전모 밴드(114)의 본체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수납함이 수납되는 수납홈을 정의하기 위한 각 쌍의 돌출부들은 안전모 밴드(114) 상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안전모 밴드(114)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FIGS. 3 and 5, the first sensor holder 250 and the second sensor holder 260 are mounted on the helmet band 114, but three or more sensor holders may be mounted on the helmet band 114. . In this case, additional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200 of the helmet band 114 to define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each sensor holder. At this time, each pair of protrusions for defin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sensor holder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 with each other on the helmet band 114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helmet band 114.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는 센서 수납함이 수납홈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 각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는 수납홈을 커버하기 위한 센서 수납함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는 소켓이 센서 수납함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슬롯을 보호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holder cover for covering a storage groove in which each sensor holder is mounted when the sensor holder is not mounted in the storage groove. The slot on which the sensor holder is mounte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ensor holder cover, thereby protecting the slot.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수납홈 내에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수납홈 내에 센서가 직접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nsor holder is described in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but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sensor may be directly mounted in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 및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 내에 수납되는 이어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이어 마이크 및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ar microphone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ear microphone housing 280 and the ear microphone housing 280 as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ear microphone and the ear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2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 수납부 및 이어 마이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A and 6B illustrate an ear microphone receiver and an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270)는 사용시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로부터 노출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전성되는 음성 데이터를 작업자에게 출력한다.As shown in FIG. 6A, the ear microphone 270 is exposed from the ear microphone housing 280 and transmits voice data input from an operator to the user terminal 116, and is voic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To the operator.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는 안전모 밴드(114)의 본체부(200)에 설치되어 이어 마이크(270)를 수납한다.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외면(202)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어 마이크 수납부(280)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돌출부(310) 및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Ear microphone housing 28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0 of the helmet band 114 to receive the ear microphone 270.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28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2 of the main body part 200 as shown in FIGS. 6A and 6B. In one embodiment, the ear microphone receiver 280 may include at least one fourth protrusion 310 and a cover 320.

적어도 하나의 제4 돌출부(310)는 본체부(200)의 외면(204)에서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돌출부(310)는 2개의 제4 돌출부(310a, 210b), 즉 한 쌍의 제4 돌출부(310a, 310b)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돌출부(310a, 310b)는 본체부(200)의 외면(204)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4 수납홈(312)을 정의한다. 한 쌍의 제4 돌출부(310a, 310b)에 의해 정의되는 제4 수납홈(312) 내에 이어 마이크(270)가 수납된다.At least one fourth protrusion 31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D2 from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In one embodiment, the fourth protrusion 310 may be composed of two fourth protrusions 310a and 210b, that is, a pair of fourth protrusions 310a and 310b. The pair of fourth protrusions 310a and 310b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define the fourth receiving grooves 312. The ear microphone 270 is accommodated in the fourth receiving groove 312 defined by the pair of fourth protrusions 310a and 310b.

커버(320)는 한 쌍의 제4 돌출부(310a, 310b)에 의해 정의되는 제4 수납홈(312)을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커버(320)는 오픈되면 이어 마이크(270)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클로즈되면 이어 마이크(270)가 은폐되도록 제4 수납홈(312)을 커버한다.The cover 320 covers the fourth receiving groove 312 defined by the pair of fourth protrusions 310a and 310b. Specifically, when the cover 320 is open, the ear microphone 27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cover 320 is closed, the cover 320 covers the fourth receiving groove 312 so that the ear microphone 270 is concea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20)는 제3 방향(D3)으로 슬라이딩되면 오픈되고, 제3 방향(D3)과 반대방향인 제4 방향(D4)으로 슬라이딩되면 클로즈된다. 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20)가 제3 방향(320)으로 슬라이딩되면 이어 마이크(270)가 외부로 노출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20)가 제4 방향(D4)으로 슬라이딩되면 이어 마이크(270)가 은폐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320 may operate in a sliding manner. In detail, the cover 320 is opened when the cover 320 is slid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closed when the cover 320 is slid in the fourth direction D4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D3.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A, when the cover 320 slides in the third direction 320, the ear microphone 27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s shown in FIG. 6B, the cover 320 is in the fourth direction. When sliding to D4, the ear microphone 270 is concealed.

한편, 안전모 밴드(114)는 케이블 조절부(330), 케이블 수납부(340), 및 케이블 조절버튼(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lmet band 114 may further include a cable control unit 330, a cable housing 340, and a cable control button 350.

케이블 조절부(330)는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이어 마이크(270)의 케이블을 와인딩(Winding)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조절부(330)는 본체부(200)의 외면(204)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able adjuster 33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cable of the microphone 270 is wound. In one embodiment, the cable adjusting unit 3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케이블 수납부(340)는 케이블 조절부(330)에 의해 이어 마이크(270)의 케이블이 와인딩되면, 와인?된 케이블을 수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수납부(3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4 돌출부(310a, 310b) 중 어느 하나(310a)에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cable of the microphone 270 is wound by the cable adjusting unit 330, the cable accommodating part 340 accommodates the wound cable.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A, the cable accommodating part 340 may be installed at any one 310a of the pair of fourth protrusions 310a and 310b.

케이블 조절버튼(350)은 작업자에 의해 외력이 발생되면 발생된 외력을 케이블 조절부(330)로 전달함으로써 케이블 조절부(330)가 전달된 외력에 의해 케이블을 와인딩 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cable adjustment button 350 transmits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y the operator to the cable control unit 330 so that the cable control unit 330 can wind the cable by the transmitted external force.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조절부(330) 외에 별도의 케이블 조절버튼(350)을 포함하는 이유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50)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케이블 조절부(330)가 외부로 노출되지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50)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케이블 조절부(3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케이블 조절부(33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ason for including a separate cable control button 350 in addition to the cable control unit 330 is that the cable control unit 330 in the closed state as shown in Figure 6b Although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6A, the cable adjusting unit 3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open state of the cover 350, so that external force cannot be applied to the cable adjusting unit 330.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블 조절버튼(350)을 커버(320) 상에 형성하되, 커버(320)가 오픈된 상태일 때 케이블 조절부(330)에 대응되는 커버(320) 상의 지점에 케이블 조절버튼(350)을 형성함으로써, 커버(320)가 오픈되었을 때 작업자가 케이블 조절버튼(350)을 누름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이 케이블 조절부(3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6A and 6B, the cable adjustment button 350 is formed on the cover 320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cable control part 330 is opened when the cover 320 is open. By forming the cable control button 350 at a point on the corresponding cover 320,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or pressing the cable control button 350 when the cover 320 is opened to the cable control unit 330 It is to be delivered.

도 6a 및 도 6b에서는 한 쌍의 제4 돌출부(310a, 310b)를 본체부(200)의 외면(204)에 형성함으로써 제4 수납홈(312)을 정의하고, 제4 수납홈(312) 내에 이어 마이크(270)가 수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6A and 6B, the pair of fourth protrusions 310a and 310b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200 to define the fourth accommodating groove 312, and within the fourth accommodating groove 312. Then, the microphone 27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stored.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 수납부(410)를 이어 마이크가(270)가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여 본체부(200)의 외면(204)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커버(42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커버(420)가 제3 방향(D3)으로 슬라이딩되면 이어 마이크(270)가 외부로 노출되고, 커버(420)가 제4 방향(D4)으로 슬라이딩되면 이어 마이크(270)가 은폐된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ear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410 is manufactured in a shape in which the ear microphone 270 may be accommodated, and thus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main body part 200. You can also install 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420 is operated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FIGS. 7A and 7B, and when the cover 420 is slid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ear microphone 27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420 is slid in the fourth direction D4, the ear microphone 270 is conceal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는 카메라(290) 및 조명장치(300)을 더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era 290 and an illumination device 300.

카메라(290)는 작업환경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2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에 설치된 촬영버튼(510) 또는 영상회의 요청버튼(520)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원공급이 개시됨으로써 활성화된다. 카메라(290)는 전원공급개시로 인해 활성화되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한다.The camera 290 generates image data by capturing an image of a working environment.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290 is activated by start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shooting button 510 or the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as shown in FIG. do. When the camera 290 is activated due to the start of power supply, the camera 290 generates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user terminal 116.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29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밴드(114)의 전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mera 29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helmet band 114, as shown in FIGS. 3 and 8.

조명장치(300)는 전원공급이 개시되어 활성화되면 작업환경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장치(300)는 본체부(200)에 설치된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원공급이 개시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장치(300)는 카메라(290)가 활성화되면 카메라(290)와 함께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300 serves to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working environment when the power supply is started and activated. 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device 300 may be activated by start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lighting device on-off button 5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ing device 300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together with the camera 290 when the camera 290 is activated.

한편,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전모 밴드(114)는 진동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장치는 사용자 단말기(116)으로부터 긴급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원공급이 개시됨으로써 활성화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16)에 의해 작업자가 위험한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가 해당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16)는 안전모 밴드(114)로 긴급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진동장치는 긴급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원공급이 개시됨으로써 활성화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3, the helmet band 114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device (not shown). The vibration device is activated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is activated by generating a vibration.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116 that the worker is located in a dangerous area, the user terminal 116 transmits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to the helmet band 114 and vibrates to allow the worker to escape from the area.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device is activated by generating power and generates vibr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밴드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 및 긴급구조버튼(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lmet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8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shooting button 510, the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the lighting device on-off button 530, and Emergency rescue button 540 may further include.

촬영버튼(510)은 온되면 카메라(29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290)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고, 오프되면 카메라(29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290)가 비활성화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버튼(510)은 안전모 밴드(114)의 외면(204)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래 눌려지면 온 상태가 되고 온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다시 눌려지면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button 510 is turned on, the camera 290 is activated by starting power supply to the camera 290, and when turned off, the camera 290 is deactivated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amera 290. do. In one embodiment, the shooting button 51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helmet band 114 to be in the on state when pressed by the operator and to be in the off state when pressed again by the operator in the on state.

영상회의 요청버튼(520)은 온되면 카메라(29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290)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영상회의 요청버튼(520)는 영상화의 개시요청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16)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16)가 작업자와 전문가 그룹 간에 영상회의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회의 요청버튼(520)은 오프되면 카메라(29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290)가 비활성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영상화의 종료요청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16)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와 전문가 그룹 간의 영상회의가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회의 요청버튼(520)은 안전모 밴드(114)의 외면(204)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래 눌려지면 온 상태가 되고 온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다시 눌려지면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video conferencing request button 520 is turned on, the camera 290 may be activated by starting power supply to the camera 290. At the same time, the video conferencing request button 520 generates an initiation request of the video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16 so that the user terminal 116 can open a video conference between the worker and the expert group. When the video conferencing request button 520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amera 290 is cut off so that the camera 290 is deactivated and the end request of the video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6. Allow video conferences to end. do. In one embodiment, the video conferencing request button 52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helmet band 114 to be turned on when pressed by the operator and turned off when pressed again by the operator in the turned on state. have.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은 온되면 조명장치(30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300)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은 오프되면 조명장치(30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300)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90)의 상단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자에 의래 눌려지면 온 상태가 되고 온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다시 눌려지면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lighting device on / off button 530 is turned on, power supply to the lighting device 300 is started to enable the lighting device 300 to be activated. In addition, when the lighting device on-off button 530 i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ing device 300 is cut off so that the lighting device 300 can be deactivated. 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device on-off button 53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amera 290, as shown in Figure 3 is turned on when pressed by the operator is turned on, and turned off when pressed again by the operator in the on state Can be a condition.

긴급구조버튼(540)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의 긴급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6)는 서버(120) 및 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 밴드(114)로 해당 작업자가 전송한 긴급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긴급구조버튼(540)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화발신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16)가 미리 정해진 번호로 전화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The emergency rescue button 540 allows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of a predetermined format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6 when it is selected by the operator.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16 to deliver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sent by the worker to the helmet band 114 worn by the server 120 and other workers. In another embodiment, the emergency rescue button 540 may allow the user terminal 116 to send a call to a predetermined number by forwarding a call command to the user terminal 116 when it is selected by the operator. .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긴급구조버튼(540)은 안전모 밴드(114)의 외면(204)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래 눌려지면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ergency rescue button 54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4 of the helmet band 114 may be initiated when pressed by the operator.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의 내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9b는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 및 프로세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c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게이팅 신호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Hereinafter,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elme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9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elme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socket and a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 is mounted. 9C is a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of a gating signal generated by the gating signal generator.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밴드(114)는 센서보드(900) 및 카메라 보드(910)를 포함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보드(900)는 장치 연결부(902), 프로세서(904), 리셉터클 커넥터(906), 및 인터페이싱 서브(90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A, the helmet band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board 900 and a camera board 910. As shown in FIG. 9A, the sensorboard 900 includes a device connection 902, a processor 904, a receptacle connector 906, and an interfacing sub 908.

장치 연결부(902)는 제1 및 제2 센서 수납부(250, 260)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소켓(902a), 진동장치(275)가 연결되는 진동장치 연결부(902b),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및 긴급구조버튼(540)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버튼 연결부(902c),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이 연결되는 조명장치 온오프버튼 연결부(902d), 이어 아이크(270)가 연결되는 이어 마이크 연결부(902e), 및 카메라 보드가 연결되는 카메라 보드 연결부(902f)를 포함한다.The device connection part 9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ckets 902a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ccommodating parts 250 and 260 are detachably mounted, a vibration device connection part 902b to which the vibration device 275 is connected, and a photographing button ( 510, a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and a plurality of button connection units 902c to which emergency rescue buttons 540 are connected, and a lighting device on / off button connection unit 902d to which the lighting device on / off button 530 is connected. , An ear microphone connector 902e to which the ear 270 is connected, and a camera board connector 902f to which the camera board is conne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904)는 각 소켓(902a)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해당 소켓(902a)에 장착된 경우에만 각 소켓(902a)을 통해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9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mounted in each socket 902a, and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 (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through the sockets 902a only when the sockets 250 and 260 are mounted in the sockets 902a.

본 발명에서 슬롯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장착된 경우에만 각 소켓(902a)을 통해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수분이나 분진이 많은 곳에서 작업할 때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소켓(902a)에 전원을 계속하여 공급하는 경우 분이나 분진 등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고 스파크로 인해 화제 발생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why th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through the sockets 902a is provided only when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mounted in the slots. When the worker is working in a place with a lot of moisture or dust, when th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ocket 902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not inserted, sparks may be generated due to dust or dust. Because there is a risk of fire occurring due to sparks and sparks.

이를 위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902a)은 전원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 단자(1030a, 1030b)와 신호전송을 위한 제3 단자(1030c) 이외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들의 삽입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단자(1030d)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904)은 스위치(1010) 및 게이트 신호 생성부(1020)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as illustrated in FIG. 9B, the socket 902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or second terminal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30a and 1030b for power supply and the third terminal 1030c for signal transmission. 2 includes a detection terminal 1030d for detecting whether the two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inserted, and the processor 9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1010 and a gate signal generator 1020.

소켓(902a)의 제1 단자(1030a)는 전원전압(Vcc)가 인가되는 단자이고, 제2 단자(1030b)는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이며, 제3 단자(1030cd)는 해당 소켓(902a)에 삽입된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자이다.The first terminal 1030a of the socket 902a is a terminal to which a power voltage Vcc is applied, the second terminal 1030b is a terminal to which a ground voltage is applied, and the third terminal 1030cd is a corresponding socket 902a. A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inserted into the terminal.

소켓(902a)에 포함된 검출단자(1030d)는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출단자(1030d)의 일단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링크(10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검출단자(1030d)의 타단은 소켓(902b)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가 삽입되면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를 통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단자(103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detection terminal 1030d included in the socket 902a is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inserted, and one end of the detection terminal 1030d is powered as shown in FIG. 9B. The other end of the detection terminal 1030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nk 1040 to which the voltage Vcc is applied, and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902b. I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030b to which the ground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two sensor holders 250 and 260.

이에 따라, 소켓(902a)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삽입되지 않으면 검출단자(1030d)의 타단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전압이 프로세서(904)의 게이트 신호 생성부(1020)로 공급됨에 따라, 링크(1040)를 통해 게이트 신호 생성부(1020)로 하이레벨의 검출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링크(1040)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소스(1050)에 저항(R)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소켓(902a)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삽입되지 않았을 때 링크(1040)에 인가되는 검출전압이 미리 정해진 하이레벨 값이 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not inserted into the socket 902a,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detection terminal 1030d is applied to the gate signal generator 1020 of the processor 904. As supplied to, the high level detect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signal generator 1020 through the link 1040. In this case, the link 10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ource 1050 to which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applied through the resistor R, so that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placed in the socket 902a. When not inserted, the detection voltage applied to the link 1040 is a predetermined high level value.

또한, 소켓(902b)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이 삽입되면 검출단자(1030d)의 일단이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단자(103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검출단자(1030d)의 타단으로 인가된 전원전압이 제2 단자(1030b)를 통해 접지단자로 흐르게 되므로 게이트 신호 생성부(1020)로 로우레벨의 검출전압이 인가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902b, one end of the detection terminal 1030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030b to which the ground voltage is applied. Since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 flows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erminal 1030b, a low level detect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signal generator 1020.

스위치(1010)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1020)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팅 신호에 따라 온되어 각 소켓(902b)의 제1 단자(1030a)로 전원전압을 공급하고, 제2 단자(1030b)를 접지시킨다.The switch 1010 is turned on according to a gating signal applied from the gating signal generator 1020 to supply a power voltage to the first terminal 1030a of each socket 902b, and ground the second terminal 1030b.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101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1100)로 구현될 수 있고, 게이팅 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1100)의 게이트 단자에는 커패시터(1110)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랜지스터(1100)의 게이트 단자에 커패시터(1110)를 연결한 이유는 게이팅 신호가 커패시터(1110)에 충전되도록 하고, 커패시터(1110)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부터 트랜지스터(1100)가 턴온되도록 함으로써 각 소켓(902a)으로 급격하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witch 1010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istor 1100 as shown in FIG. 9B, and a capacitor 1110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a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1100 to which a gating signal is applied. have. The reason why the capacitor 1110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1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gating signal is charged to the capacitor 1110 and the transistor 1100 is turned on after the charging of the capacitor 1110 is completed. This is to prevent sudden power supply to each socket 902a.

게이팅 신호 생성부는(1020)는 검출단자(1030d)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소켓(902a)에 삽입된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게이팅신호를 생성한다. 게이팅 신호 생성부(1020)는 생성된 게이팅 신호를 스위치(1010)로 공급한다.When a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from the detection terminal 1030d, the gating signal generator 1020 provides a gating sig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inserted into the socket 902a. Create The gating signal generator 1020 supplies the generated gating signal to the switch 10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팅 신호 생성부(1020)에 의해 생성된 게이팅 신호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단자(1030d)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된 이후의 미리 정해진 초기기간 동안(△△t)에는 하이레벨과 로우레벨로 교번하고, 초기기간(△△t)의 경과 이후에는 하이레벨로 유지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게이팅 신호 생성부(1020)가 초기기간(△△t) 동안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이 교번하는 펄스 형태의 게이팅 신호를 생성하는 이유는 갑작스러운 전원공급으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one embodiment, the gating signal generated by the gating signal generator 1020 is a predetermined initial period after the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from the detection terminal 1030d, as shown in Figure 9c (Δ [Delta] t is alternated between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and is maintained at the high level after the passage of the initial period [Delta] t. In this case, the reason why the gating signal generator 10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gating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in which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are alternated during the initial period (ΔΔt) may be caused by a sudden power supply. To prevent this.

한편, 복수개의 소켓(902a)과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간의 연결 및 진동장치 연결부(902b)와 진동장치(275)간의 연결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버튼 연결부(902c)와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긴급구조버튼(540)간의 연결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방식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ockets 902a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vibrator connection unit 902b and the vibrator 275 may be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method. have.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utton connection unit 902c, the shooting button 510, the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the emergency rescue button 540 may be a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GPIO) method.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 연결부(902d)는 조명장치 온오프 버튼(53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어 마이크 연결부(902e)는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이어 마이크(270)로 전달하고 이어 마이크(270)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달한다.The lighting device on / off button connection unit 902d supplies power to the lighting device on / off button 530, and the microphone connection unit 902e transfers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to the ear microphone 270. Then, the voice data generated by the microphone 270 is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 116.

프로세서(904)는 센서보드(900)에 장착되는 제1 센서 수납함(250), 제2 센서 수납함(260), 진동장치(275),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긴급구조버튼(540)에 대한 전원 공급 및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4)는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동작을 제어하며, 제1 및 제2 센서 수납함(250, 26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6)으로 전송한다.The processor 904 may include a first sensor holder 250, a second sensor holder 260, a vibrator 275, a shooting button 510, a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and an emergency mounted on the sensor board 900. Performs a power supply and operation control function for the rescue button (540).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904 suppli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nd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holders 250 and 26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6.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9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902a)에 제1 또는 제2 센서 수납함(250, 260)의 장착여부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소켓(902a)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9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supplies power only to the socket 902a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or second sensor holders 250 and 260 are mounted on the socket 902a as described above. You can also supply.

또한, 프로세서(904)는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긴급구조버튼(54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긴급구조버튼(540)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버튼(510), 영상회의 요청버튼(520), 긴급구조버튼(540)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프로세서(904)는 촬영버튼(510)이 선택되면 카메라((29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290)를 활성화시킨다.Further, the processor 904 supplies power to the photographing button 510, the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the emergency rescue button 540, the photographing button 510, the video conference request button 520, the emergency rescue button ( 540 to operate, and if the shooting button 510, video conferencing request button 520, emergency rescue button 54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ctivate it. For example, the processor 904 activates the camera 290 by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290 when the photographing button 510 is selected.

또한, 프로세서(904)는 카메라 보드(91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data is received from the camera board 910, the processor 904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data to the user terminal 116.

또한, 프로세서(904)는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위험 사항을 알리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어 마이크(270)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904 receives a text message indicating a danger from the user terminal 116, the processor 904 may convert the text message into a voice message and then provide the text message to the microphone 270.

리셉터클 커넥터(906)에는 안전모 밴드(114)와 사용자 단말기(116)를 연결시키는 Y형 케이블(920)이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Y형 케이블(920) 및 리셉터클 커넥터(906)는 7핀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906)에 Y형 케이블(920)이 삽입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센서보드(902)로 공급되고,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가 이어 마이크(270)로 전송되며, 프로세서(904)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데이터 및 카메라 보드(91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된다.The receptacle connector 906 is inserted with a Y-type cable 920 connecting the helmet band 114 and the user terminal 116. In one embodiment, the Y-type cable 92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906 may be of a 7-pin type. As the Y-type cable 920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906, power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is supplied to the sensor board 902, and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is then microphone 270. ) And sensing data transferred from the processor 904 and image data transferred from the camera board 910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6.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형 케이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형 케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Hereinafter, a Y-typ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Y-typ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셉터클 커넥터(906)에 삽입되는 Y형 케이블(9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 연결부(922), 오디오단자 연결부(924), 및 센서보드 연결부(9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Y-type cable 920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906 may include a charging terminal connector 922, an audio terminal connector 924, and a sensor board connector 926, as shown in FIG. 10.

충전단자 연결부(922)는 사용자 단말기(116)의 충전단자(116a)에 삽입된다. 오디오 단자 연결부(924)는 사용자 단말기(116)의 오디오 단자(116b)에 연결된다. 센서보드 연결부(926)의 일단은 충전단자 연결부(922) 및 오디오단자 연결부(924)로 분기되고, 타단은 센서보드(900)의 리셉터클 커넥터(906)에 삽입된다.The charging terminal connector 922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terminal 116a of the user terminal 116. The audio terminal connector 924 is connected to the audio terminal 116b of the user terminal 116. One end of the sensor board connector 926 is branched to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or 922 and the audio terminal connector 924,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906 of the sensor board 900.

이러한 센서보드 연결부(92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센서보드(900)로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배선(L1),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센서보드(900)로 접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2 배선(L2),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센서보드(900)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3 배선(L3), 센서보드(9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6)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4 배선(L4), 이어 마이크(270)에서 발생된 음성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하기 위한 제5 배선(L5), 및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이어 마이크(270)로 전달하기 위한 제6 배선(L6) 및 제7 배선(L7)을 포함한다. 따라서, 센서보드 연결부(926)는 7핀으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sensor board connection unit 926 includes a first wiring L1 for applying a power voltage from the user terminal 116 to the sensor board 900, and a sensor board from the user terminal 116. The second wiring L2 for applying the ground voltage to the 900, the third wiring L3 for transferr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16 to the sensor board 900, and the user terminal 116 from the sensor board 900. The fourth wire L4 for transferring data to the user, the fifth wire L5 for transmitting voice data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270 to the user terminal 116, and the user terminal 116. And a sixth wire L6 and a seventh wire L7 for transferring voice data to the microphone 270. Therefore, the sensor board connector 926 is composed of 7 pins.

이때, 제6 배선(L6)은 이어 마이크(270)의 좌측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제7 배선(L7)은 이어 마이크(270)의 우측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ixth wire L6 is for delivering voice data to the left earphone of the ear microphone 270, and the seventh wire L7 is for transferring voice data to the right earphone of the ear microphone 270.

한편, 충전단자 연결부(922)의 경우 제1 배선(L1) 내지 제4 배선(L4)만이 연결되므로 4핀으로 구성되고, 오디오단자 연결부(924)의 경우 제2 배선(L2), 제5 배선(L5) 내지 제7 배선(L7)만이 연결되므로 4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보드 연결부(926)의 제2 배선(L2)이 충전단자 연결부(922) 및 오디오단자 연결부(924)로 분기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ion unit 922, since only the first wires L1 to the fourth wire L4 are connected,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ion unit 922 is composed of 4 pins, and in the case of the audio terminal connection unit 924, the second wire L2 and the fifth wire. Since only the L5 to the seventh wires L7 are connected, they may be configured as 4 pins, and the second wire L2 of the sensor board connection part 926 branches to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ion part 922 and the audio terminal connection part 924. do.

인터페이싱 허브(908)는 리셉터클 커넥터(906)에 삽입되는 Y형 케이블(920)의 제1 내지 제4 배선(L1~L4)을 프로세서(904) 및 카메라 보드 연결부(902f)로 각각 분기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배선(L1, L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프로세서(904) 및 카메라 보드(910)로 공급되고, 프로세서(904)로부터 공급되는 센싱 데이터 및 카메라(29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될 수 있다.The interfacing hub 908 branches the first to fourth wires L1 to L4 of the Y-type cable 920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906 to the processor 904 and the camera board connection part 902f, respectively. Accordingly, pow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s L1 and L2 is supplied to the processor 904 and the camera board 910, and is supplied from the sensing data and the camera 290 supplied from the processor 904. The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6.

카메라 보드(910)에는 카메라(29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912)가 설치된다. 카메라 보드(910)는 센서보드(900)에 설치된 카메라 보드 연결부(902f)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인터페이싱 허브(908)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The camera board 910 is provided with a camera 290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912. The camera board 9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board connection unit 902f installed in the sensor board 900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through the interfacing hub 908.

디지털 신호 처리부(912)는 카메라(290)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고, 화이트 밸런스(음영조정), 노이즈 제거, 오토 포커싱과 같은 영상 보정작업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912)는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센서보드(9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912 converts an analo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90 into a digital image, and generates corrected image data by performing image correction operations such as white balance (shading), noise reduction, and auto focusing. d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912 transmits the generated image data to the user terminal 116 through the sensor board 90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6)는 Y형 케이블(920)을 통해 안전모 밴드(114)에 연결되어 안전모 밴드(114)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안전모 밴드(114)와 서버(120)를 연동시킴으로써 안전모 밴드(114)와 서버(12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16)가 안전모 밴드(114)로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 단말기(116)를 통해 안전모 밴드(114)와 서버(12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기 때문에 안전모 밴드(114)에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 및 데이터 통신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안전모(112)에 결합되는 안전모 밴드(114)를 경량화 할 수 있고, 안전모(112) 전체의 무게 증가로 인한 작업자와 피로도를 최소화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user terminal 116 is connected to the helmet band 114 through a Y-type cable 920 to supply the helmet band 114 power and simultaneously connect the helmet band 114 and the server 120. By interwork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mediated between the helmet band 114 and the server 12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terminal 116 supplies power to the helmet band 114,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helmet band 114 and the server 120 are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6. 114, it is not necessary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 supply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can reduce the helmet band 114 coupled to the hard hat 112, and the worker and fatigue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ntire hard hat 112 Minimization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사용자 단말기(116)에는 안전모 밴드(114)와 서버(120)간의 연동을 위해 에이전트(미도시)가 탑재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16)에 탑재되는 에이전트는 안전모 밴드(114)가 연결되는 안전모 밴드(114)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안전모 밴드(114)의 인증이 성공하면 에이전트는 안전모 밴드(114)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한다.The user terminal 116 is equipped with an agent (not shown)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helmet band 114 and the server 120. Specifically, the agent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116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helmet band 114 to which the helmet band 114 is connected. If authentication of the helmet band 114 is successful, the agent transmits sensing data, voice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helmet band 114 to the server 120.

또한, 에이전트는 안전모 밴드(114)로부터 영상회의 개설요청이 수신되면 영상회의 개설요청을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서버(120)와 작업자 간의 영상회의가 개설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에이전트는 안전모 밴드(114)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안전모 밴드(114)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agent receives a video conferencing establishment request from the helmet band 114, the agent transmits the video conferencing establishment request to the server 120 so that the video conferencing between the server 120 and the worker may be established. At this time, the agent transmi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helmet band 114 to the server 120 and the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20 to the helmet band 114.

이외에도, 에이전트는 서버(120)로부터 위험여부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안전모 밴드(114)로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gent receives a text mess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risk from the server 120, it may be converted to voice data and delivered to the helmet band 114.

서버(120)는 각각의 스마트 안전모 세트(11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16)와 통신하여 안전모 밴드(114)를 인증하거나 작업자와 영상회의를 수행한다.The server 12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16 included in each smart helmet set 110 to authenticate the helmet band 114 or perform a video conference with an operator.

또한,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6)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저장하고,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16)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worker is in the dangerous area based on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6, and stores the work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is in the dangerous area, and the worker exists in the dangerous area. A text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6.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110: 스마트 안전모 세트
112: 안전모 114: 안전모 밴드
116: 사용자 단말기 120: 서버
200: 본체부 201a, 210b: 제1 돌출부
212: 결합홈 220: 이탈방지부
230a, 230b: 제2 돌출부 232: 제1 수납홈
240a, 240b: 제3 돌출부 250: 제1 센서 수납함
260: 제2 센서 수납함 270: 이어 마이크
280: 이어 마이크 수납부 290: 카메라
300: 조명장치
100: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110: smart hard hat set
112: Hard Hat 114: Hard Hat Band
116: user terminal 120: server
200: main body 201a, 210b: first protrusion
212: coupling groove 220: separation prevention part
230a, 230b: second protrusion 232: first receiving groove
240a and 240b: third protrusion 250: first sensor holder
260: second sensor holder 270: ear microphone
280: ear microphone housing 290: camera
300: lighting device

Claims (20)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형성된 착용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및
상기 착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전모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에 대응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안전모 밴드의 내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상에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수납홈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납되고, 상기 제1 수납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센서 수납함; 및
상기 제1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는 센서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보드는 Y형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영상 데이터, 센싱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Safety helmet including a wearing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And
It includes a helmet band coupled to the removable portion,
The helmet band,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and protruding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n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helmet band such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itted;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to protrude in a second directio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of the helmet band to define a first receiving groove;
A first sensor holder accommodating at least one sensor and detachably fasten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And
A sensor board on which the first sensor holder is mounted;
The sensor board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Y-type cable to receive power from the user terminal or to transmit and receive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sensing data, and audio data with the user terminal and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for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안전모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모 밴드의 내면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는 상기 착용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lmet band further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elmet band;
The hard hat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earing portion, smart safety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that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smart safety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is fastened to the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어 마이크; 및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어 마이크가 수납되는 이어 마이크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lmet band,
An ear microphone for outputting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voice data input from an operator to the user terminal; And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ar microphone housing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is the ear microphone is accommod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 수납부는,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어 마이크가 수납되는 제2 수납홈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 및
오픈되면 상기 이어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되고 클로즈되면 상기 이어 마이크가 은폐되도록 상기 제2 수납홈을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ar microphone storage unit,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to define a second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ear microphone is received; And
Smart ha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es a cover for covering the second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ear micro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opened and the ear microphone is closed when clo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 수납부는,
제3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오픈되면 상기 이어 마이크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클로즈되어 상기 이어 마이크를 은폐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ar microphone storage unit,
And a cover for exposing the ear microphone to the outside when the slide is opened in a third direction and being closed when the sliding in the fourth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to conceal the ear microphone.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for communication.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이어 마이크의 케이블을 와인딩(Winding) 시키는 케이블 조절부;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 오픈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외력이 발생되면 상기 외력을 상기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는 케이블 조절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helmet band,
Cable adjustment unit for winding the cable of the ear microphone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formed on the cov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y the operator in the open state cover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ble control button for transmitting the external force to the cable control unit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어 마이크;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이어 마이크의 케이블을 와인딩 시키는 케이블 조절부; 및
상기 케이블 조절부에 의해 와인딩된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lmet band
An ear microphone for outputting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voice data input from an operator to the user terminal;
Cable adjustment unit for winding the cable of the ear microphone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nd
Smart ha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ble housing for receiving the cable wound by the cabl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형 케이블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충전단자 연결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 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충전단자 연결부 및 상기 오디오단자 연결부로 분기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보드에 연결되는 센서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Y-type cable,
A charging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user terminal;
An audio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to an audio terminal of the user terminal; And
One end is branched to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nd the audio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e other end is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site communication comprising a sensor boar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nsor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에는 이어 마이크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Y형 케이블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보드로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보드로 접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2 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서보드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3 배선;
상기 센서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4 배선;
상기 이어 마이크에서 발생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5 배선: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이어 마이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6 배선 및 제7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board is additionally equipped with an ear microphone,
The Y-type cable,
First wiring for a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ensor board;
A second wiring for applying a ground voltage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ensor board;
Third wirings for transferr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ensor board;
A fourth wiring for transferring data from the sensor board to the user terminal;
Fifth wiring for transmitting voice data generated by the ear microphone to the user terminal; and
And a sixth wire and a seventh wire for transferring the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ear microphon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보드에는 상기 Y형 케이블의 제1 내지 제4 배선을 상기 제1 센서 수납함 및 상기 카메라 보드로 각각 분기시키는 인터페이싱 허브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helmet b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to generate image data; And
The camera is installed, further comprising a camera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board,
Smart hat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board is further equipped with an interfacing hub for branching the first to fourth wires of the Y-type cable to the first sensor holder and the camera board respectively.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영상회의의 개설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회의 요청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lmet b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to generate image data; And
The safety of the worker further comprises a video conferencing request button for activating the camera by being powered by the camera when selected by the operator, generating a video conference opening request and transferring the video conferencing to the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and field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고,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가 녹화되게 하는 작업환경 촬영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lmet b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to generate image data; And
When selected by the operator to activate the camera by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ork environment shooting button for record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activated camera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for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의 긴급 알림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 및 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 밴드로 전송되게 하는 긴급구조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d hat band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rescue button for allow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of a predetermined type to be transmitted to the hard hat band worn by the server and other workers through the user terminal when the hard hat band is selected by the worker.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on-sit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긴급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활성화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d hat band is a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bration device that is activated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generate a vib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밴드는,
상기 안전모 밴드의 외면 상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3 수납홈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납되고, 상기 제3 수납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센서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lmet band,
At least one fourth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band to define a third accommodation groove; And
Smart ha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sensor is housed,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or holder is fastened to be detachable to the third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작업환경의 산소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 또는 상기 작업환경의 일산화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sensor is a smart hard ha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s sensor for sensing the oxygen ga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r a gas sensor for sensing the monoxide gas of the working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는,
상기 제1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켓에 상기 제1 센서 수납함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소켓에 장착된 상기 제1 센서 수납함으로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 단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소켓에 상기 제1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면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로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켓에 상기 제1 센서 수납함이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로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board,
A socket to which the first sensor holder is mounted; And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to suppl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first sensor holder mounted on the socke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ensor holder is mounted on the socket.
The socket is
A first terminal to which a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A second terminal to which a ground voltage is applied; And
When the first sensor holder is mounted in the socket, the firs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to output a low level signal to the processor, and when the first sensor holder is not mounted in the socket, the high level signal is output to the processor. Smart helmet control system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on-sit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termina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켓의 검출단자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소켓에 전원공급을 위한 게이팅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팅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게이팅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단자로 상기 전원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단자로 상기 접지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ocessor,
A gating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gating sig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cket when a high level signal is output from the detection terminal of the socket; And
And a switch for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ground voltage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gating signal is applied.
KR1020180042137A 2018-01-19 2018-04-11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KR1020512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281 2018-01-19
KR1020180007281 2018-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46A KR20190088846A (en) 2019-07-29
KR102051214B1 true KR102051214B1 (en) 2019-12-03

Family

ID=6748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137A KR102051214B1 (en) 2018-01-19 2018-04-11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2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891A (en)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safety helmet with v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229B1 (en) * 2021-06-04 2023-12-28 주식회사 와트 Wearer monitoring module for hard hat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566524B1 (en) * 2023-04-21 2023-08-16 대한민국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733Y1 (en) * 2001-11-07 2002-02-21 이충권 cap combined with pocket
JP5058685B2 (en) * 2007-05-18 2012-10-24 株式会社谷沢製作所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219A (en) * 1993-10-01 1995-11-28 Kanebo Ltd Working helmet
KR20100115688A (en) * 2009-04-20 2010-10-28 (주)아이블포토닉스 Safety cap and head band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
KR101196802B1 (en) 2011-11-04 2012-11-05 김인희 System of safety supervision using hard h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733Y1 (en) * 2001-11-07 2002-02-21 이충권 cap combined with pocket
JP5058685B2 (en) * 2007-05-18 2012-10-24 株式会社谷沢製作所 helm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891A (en)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safety helmet with v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46A (en)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21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KR101848669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0842607B1 (en) Charging cradle for head set device and speaker cover for head set device
CN109756811B (en) Wire control box for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arphone
US7457427B2 (en) Dual microphone assembly for mask
US6999732B2 (en) Transceiver adapted for mounting upon a strap of facepiece or headgear
KR101884536B1 (en)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Industrial Environment
US10561532B2 (en) Method of retrofitting a hearing protector, and a hearing protector
US9742890B2 (en)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KR102173877B1 (en) Ear protector,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ective helmet
SE1750005A1 (en) A storage and charging capsule for wireless earbuds
US20170340046A1 (en) Headset
JP2003517244A (en) Wireless system with general-purpose communication interface
KR101474519B1 (en) Mask for air respirator
US10165101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20060097686A (en) Portable wireless headset
KR20200038902A (en) Connector and smart helmet using the same
KR20180010083A (en) Connector and smart helmet using the same
WO2010017359A1 (en) Accessory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CN108851317A (en) The helmet
US11038999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control
KR102313120B1 (en)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CA2243728C (en) Earphone-microphone-earmuff assembly
TWM524643U (en) Helmet with Bluetooth module
KR20160094053A (en) Accessory type wat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