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120B1 -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 Google Patents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120B1
KR102313120B1 KR1020190119561A KR20190119561A KR102313120B1 KR 102313120 B1 KR102313120 B1 KR 102313120B1 KR 1020190119561 A KR1020190119561 A KR 1020190119561A KR 20190119561 A KR20190119561 A KR 20190119561A KR 102313120 B1 KR102313120 B1 KR 10231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ard
sub
data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7784A (en
Inventor
한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90119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120B1/en
Publication of KR2021003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촬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의류;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1 수납부에 배치되고, 제1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장치;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2 수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 함으로써 제1 출력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메인 케이블 및 상기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통합장치를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시키는 제1 서브 케이블을 포함하는 멀티케이블; 및 상기 의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멀티 케이블을 상기 의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케이블이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photographing a job performed by a worker includes: clothing including a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 integrated device including a first camera module disposed in a first receiv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first working environment; a main board disposed in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he main board generating first output data by image process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st output data to an external server; a multi-cable including a main cable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first sub-cable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to connect the integrated device to the main board; and a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lothes to fix the multi-cable to the clothes, wherein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fixed through the main cable; and a second coupling part branch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fixed through the first sub-cable.

Description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lot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smart clothing.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철소, 조선소, 또는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산업현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위험에 작업자들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작업교육이 필요하다.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industrial sites such as steel mills, shipyards, or machinery factorie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In these industrial sites, workers may be exposed to unexpected risks, so work training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is required.

하지만, 산업현장에서는 작업 전수가 도제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작업교육에 대한 정형화된 교육자료가 없고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교육을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와 함께 현장에 참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교육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industrial sites, since it is common that the transfer of work is carried out through an apprenticeship method, there is no standardized training material for job training, and for job training for workers, job training is difficult because they have no choice but to participate in the field with skilled workers. there is

또한, 산업현장에서는 작은 실수가 중상이나 사망 등 큰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작업에 몰두함에 따라 안전에 대한 주의를 놓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industrial sites, attention to safety is required because a small mistake leads to a major accident such as serious injury or death.

또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현장에 위치하는 다른 작업자들이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작업자들 중에 숙련된 작업자가 없으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an accident occurs, other workers located at the site of the accident may take action, but if there are no skilled workers among the work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not be possible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which may lead to a major accid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촬영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work performed by the worker.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위험한 영역에 진입하면 이를 작업자에 알릴 수 있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that can notify the worker when the worker enters a dangerous area.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현장 외부에 위치하는 전문가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that enables the worker to make a video call with an expert located outside the work site.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의류에 각종 모듈을 탈착 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technical task to provide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that can detach various modules from clothing worn by work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의류;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1 수납부에 배치되고, 제1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장치;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2 수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 함으로써 제1 출력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메인 케이블 및 상기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통합장치를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시키는 제1 서브 케이블을 포함하는 멀티케이블; 및 상기 의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멀티 케이블을 상기 의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케이블이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clothing includ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n integrated device including a first camera module disposed in a first receiv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first working environment; a main board disposed in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he main board generating first output data by image process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st output data to an external server; a multi-cable including a main cable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first sub-cable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to connect the integrated device to the main board; and a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lothes to fix the multi-cable to the clothes, wherein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fixed through the main cable; and a second coupling part branch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fixed through the first sub-cable.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시 보조인력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교육을 위한 교육용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hotograph the work performed by the operator, there is an effect that not only auxiliary personnel are not required during filming, but also educational materials for work educ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에 몰두하여 주변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작업자가 위험한 영역에 진입하면 이를 작업자에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ensured because the operator can notify the operator when the operator enters a dangerous area even if the operator is immersed in the work and does not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현장 외부에 위치하는 전문가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make a video call with an expert located outside the work site, even if a problem occurs during work, the problem can be solved immediately.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의류에 각종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게 하여 의류가 이물질 등에 오염되더라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washed even if the clothes are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by allowing various modules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lothes worn by the wor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결합된 의류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결합된 의류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결합된 의류를 펼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mart device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smart device is coupled to the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clothing combined with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C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view showing a third coupl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view showing a third coupl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C is a view showing a third coupling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efines otherwise, and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2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as well as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1, 이하 '스마트 의류'이라 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마트 의류(1)는 의류(10), 스마트 장치(15) 및 외부서버(2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mart clothing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clothing 1 includes the clothing 10 , the smart device 15 , and the external server 20 .

의류(10)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의류를 의미하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안전을 위한 스마트 장치(15)가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류(10)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수납부에는 스마트 장치(15)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수납부에는 스마트 장치(15)가 서로 연결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스마트 장치(15)는 각 수납부의 통과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clothing 10 refers to all types of clothing that the worker can wear, and the smart device 15 for the worker's work efficiency and safety can be detached. To this end, the clothing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 smart device 15 may be disposed in each receiving unit. In one embodiment, each receiving unit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the smart device 15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mart device 15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each receiving uni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마트 장치(15)가 의류(10)의 수납부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장치(15)가 수납부에 배치됨으로써 스마트 장치(15)의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evice 15 is not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of the clothing 10 , but the smart device 15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thereby enabling detachment of the smart device 15 .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류(10)는 조끼 모양을 가진 것으로 설명하지만, 여기서 조끼는 하나의 예일뿐, 본 발명에 따른 의류(10)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의류를 포함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lothing 10 is described as having a vest shape, but the vest is just one example, and the cloth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ypes of clothing that an operator can wear. .

스마트 장치(15)는 의류(10)의 탈착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작업자의 안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The smart device 1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othing 1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order to improve worker safety and work efficiency.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결합된 의류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결합된 의류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가 결합된 의류를 펼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clothing is coupled with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lothing coupled with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clothing combined with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장치(15)는 통합장치(100), 후면장치(110), 메인보드(120), 배터리(130), LED 랜턴(140), 긴급구조버튼(150), 멀티케이블(160), 및 고정부(17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smart device 15 includes an integrated device 100, a rear device 110, a main board 120, a battery 130, an LED lantern 140, and an emergency rescue button 150. , a multi-cable 160 , and a fixing unit 170 .

통합장치(100)는 의류(15)의 복수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에 배치되고,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생성된 데이터들을 메인보드(120)로 전달한다. 이때, 통합장치(100)는 의류(15)의 전면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수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장치(100)가 수납되는 수납부에는 제1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배치될 수 있도록 렌즈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통합장치(100)가 수납되는 수납부는 망사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스피커 모듈과 마이크 모듈의 소리의 전달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The integrated device 10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of the clothing 15 ,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to the main board 120 . ) to pass In this case, the integrated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a receiv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left front side of the clothing 15 . In an embodiment, a lens hole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in which the integrated device 100 is accommodated so that a lens of the first camera module can be disposed.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integrated device 100 is accommodated may be made of a mesh material. When this embodiment is followed, sound transmission between the speaker module and the microphone module may be facilitated.

통합장치(100)의 구성을 도 3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장치(100)는 제1 카메라 모듈(210), 제1 영상처리모듈(220), 제1 활성화 버튼(225), 스피커 모듈(230), 마이크 모듈(240), 제1 가스 센서(250), 제2 가스 센서(260), 및 속도 측정 센서(270)를 포함한다.3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integrated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mera module 210 , a first image processing module 220 , a first activation button 225 , and a speaker module 230 . ), a microphone module 240 , a first gas sensor 250 , a second gas sensor 260 , and a speed measuring sensor 270 .

제1 카메라 모듈(210)은 제1 작업환경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1 작업환경은 작업자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amera module 210 generates image data by capturing an image of the first working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first working environmen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opera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카메라 모듈(210)은 통합장치(100)에 설치된 활성화 버튼(225)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메인보드(120)로부터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활성화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s activated by supplying power from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when the activation button 225 install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do.

제1 카메라 모듈(210)은 메인보드(120)로부터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통합장치(10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어 활성화되면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영상처리모듈(220)로 전송한다.The first camera module 210 generates first image data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integrated device 100 is started and activated from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to the first image processing module 220 . se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카메라 모듈(210)의 렌즈는 통합장치(100)가 배치되는 수납부에 형성된 렌즈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210)은 촬영하기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ens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may be inserted into a lens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in which the integrated device 100 is disposed. Accordingly, the first camera module 210 may secure a field of view for photograph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카메라 모듈(210)은 통합장치(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 모듈(210)은 미리 정해진 길이의 와이어로 통합장치(100)와 연결되어 통합장치(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amera module 210 may be detached from the integrated device 100 . For example, the first camera module 210 may be connect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tegrated device 100 through a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때, 사용자가 제1 카메라 모듈(210)을 통합장치(100)로부터 탈착하여 촬영함으로써, 근접촬영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the user detaching the first camera module 210 from the integrated device 100 to take a picture, close-up photography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통합장치(100)는 레이저 포인터(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214)는 제1 카메라 모듈(210) 측면에 장착되어 제1 카메라 모듈(210)이 촬영 시 활성화되어 제1 카메라 모듈(210)의 시점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트(214)는 제1 카메라 모듈(210)이 촬영하고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촬영 중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The integrat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aser pointer 214 . The laser pointer 214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to be activated when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s photographed to guide the viewpoint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 Accordingly, the laser point 2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s photographing,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user is photographing.

제1 영상처리모듈(220)은 제1 카메라 모듈(210)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고, 화이트 밸런스(음영조정), 노이즈 제거, 오토 포커싱과 같은 영상 보정작업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영상처리모듈(220)은 보정된 제1 영상 데이터를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로 전송한다.The first image processing module 220 converts the analog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nto a digital image, and performs image correction operations such as white balance (shading adjustment), noise removal, and auto-focusing to correct the image. generated image data. The first image processing module 220 transmits the corrected first image data to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영상처리모듈(220)은 보정된 제1 영상 데이터를 MJPEG(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포맷으로 변환하여 메인보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멀티 케이블(160)이 통합장치(100)와 메인보드(120)를 USB 2.0 타입의 인터페이스로 연결시키는 경우 제1 영상처리모듈(220)은 MJPEG 포맷으로 변환된 제1 영상 데이터를 USB 2.0의 280 Mbps 대역폭 중 35Mbps 대역폭을 이용하여 메인보드(120)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image processing module 220 may convert the corrected first image data into a 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JPEG) format and transmit it to the motherboard 12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multi-cable 160 connects the integrated device 100 and the main board 120 through a USB 2.0 type interface, the first image processing module 220 converts the first image into the MJPEG format.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therboard 120 using a 35 Mbps bandwidth among the 280 Mbps bandwidth of USB 2.0.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통합장치(100)를 활성화 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활성화 버튼(225)은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각 모듈들을 활성화시켜 각 모듈들이 동작되게 할 수 있다.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activates the integrated device 100 when selected by the operator. Specifically,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may activate each module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to operate each module.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 카메라 모듈(210)을 활성화시켜 촬영이 개시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예컨대, 1초) 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1 카메라 모듈(210) 및 마이크 모듈(240)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영상회의 개설신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인보드(120)를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와 전문가 그룹 간에 영상회의가 개설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s activated to start shooting.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activates the first camera module 210 and the microphone module 240 when pressed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g, 1 second) by the operator and at the same time By generating a video conference open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main board 120, a video conference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worker and the expert group.

한편,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작업자에 의해 다시 제1 시간 동안 눌려지면 제1 카메라 모듈(210) 및 마이크 모듈(240)을 비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영상회의 종료요청을 생성하여 외부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와 전문가 그룹 간의 영상회의가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is pressed by the operator again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camera module 210 and the microphone module 240 are deactivated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 a video conference termination request to the external server 20 By sending it to , the video conference between the worker and the expert group can be ended.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작업자에 의해 제1 시간보다 더 긴 제2 시간(예컨대, 2초) 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1 카메라 모듈(210)을 활성화시켜 제1 카메라 모듈(210)에 의해 촬영되는 제1 영상 데이터가 녹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선택적으로 마이크 모듈(240)이 함께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음성이 함께 녹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activates the first camera module 210 when pressed by the operator for a second time (eg, 2 seconds) longer than the first time to activate the first camera module The first image data captured by 210 may be recorded. In this case,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may selectively activate the microphone module 240 together so that the operator's voice can be recorded together.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활성화 버튼(225)은 작업자에 의해 제2 시간보다 더 긴 제3 시간(예컨대, 3초) 동안 눌려지는 경우 마이크 모듈(240)을 활성화시켜 외부서버(20)와의 음성통화를 위해 작업자로부터 음성(이하, '제2 음성 데이터'라 함) 입력이 개시되게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activates the microphone module 240 when pressed for a third time (eg, 3 seconds) longer than the second time by the operator to the external server 20 A vo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voice data') is input from the operator for a voice call with the operator.

스피커 모듈(230)은 메인보드(120)로부터 전달되는 제1 음성 데이터나 긴급 알림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한다The speaker module 230 outputs the first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board 120 or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to the outside.

마이크 모듈(240)은 제1 활성화 버튼(225)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됨에 의해 활성화되어 음성통화를 위해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회의를 위해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메인보드(120)로 전송한다.The microphone module 240 is activated when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is selected by the operator to receive second voice data input by the operator for a voice call or second voice data input by the operator for video conference.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ard 120 .

본 발명에 따른 통합장치(100)는 필터링 모듈(2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듈(245)은 마이크 모듈(240)로부터 입력되는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필터링 모듈(245)은 마이크 모듈(240)에 의해 입력된 제2 음성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노이즈가 제거된 제2 음성 데이터를 메인보드(120)로 전달한다.The integrat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ing module 245 . The filtering module 245 serves to remove noise from the second voice data input from the microphone module 24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ltering module 245 removes noise from the second voice data input by the microphone module 240 , and then transmits the noise-removed second voice data to the motherboard 120 .

제1 가스 센서(250)는 제1 활성화 버튼(225)에 의해 활성화되어 작업환경의 일산화가스를 센싱하여 제1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가스 센서(250)는 생성된 제1 센싱데이터를 메인보드(120)로 전달한다. The first gas sensor 250 is activated by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to sense monoxide gas in the working environment to generate first sensing data. The first gas sensor 250 transmits the generated first sensing data to the main board 120 .

제2 가스 센서(260)는 제1 활성화 버튼(225)에 의해 활성화되어 작업환경의 산소를 센싱하여 제2 센싱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가스 센서(260)는 생성된 제2 센싱데이터를 메인보드(120)로 전달한다.The second gas sensor 260 is activated by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to sense oxygen in the working environment to generate second sensing data. The second gas sensor 260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sensing data to the main board 120 .

속도 측정 센서(270)는 제1 활성화 버튼(225)에 의해 활성화되어 작업자의 낙하속도를 센싱하여 제3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속도 측정 센서(270)는 생성된 제3 센싱 데이터를 메인보드(120)로 전달한다.The speed measuring sensor 270 is activated by the first activation button 225 to sense the falling speed of the operator to generate third sensed data. The speed measuring sensor 270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sensing data to the main board 120 .

한편,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합장치(100)는 진동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장치는 외부서버(20) 또는 메인보드(120)에 의해 생성된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활성화되어 작업자가 해당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통합장치(100)는 스피커 모듈(230)외에 버저(미도시, Buzz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저는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활성화되어 작업자가 해당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integrated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ng device (not shown). The vibrating device is activated when a warning message generated by the external server 20 or the main board 120 is received and generates vibration to allow the operator to escape from the area. Also, the integrated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buzzer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speaker module 230 . The buzzer is activated when a warning message is received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to allow the operator to move out of the area.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후면장치(110)는 의류(10)의 복수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에 배치되고,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후면장치(110)는 의류(10)의 후면 상단에 위치하는 수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면장치(110)가 수납되는 수납부에는 제2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배치될 수 있도록 렌즈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rear device 11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of the clothing 10 ,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to operate. have. In this case, the rear device 110 may be disposed in a receiv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clothing 10 . In one embodiment, a lens hole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rear device 110 is accommodated so that a lens of the second camera module can be disposed.

후면장치(110)는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생성된 데이터들을 메인보드(120)로 전달한다.The rear device 11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to the main board 120 .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후면장치(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r device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장치(1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장치(110)는 제2 카메라 모듈(310), 제2 영상처리모듈(320), 제2 활성화 버튼(325), 및 근접 센서(3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rear device 110 includes a second camera module 310 , a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 a second activation button 325 , and a proximity sensor 330 .

제2 카메라 모듈(310)은 제2 작업환경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2 작업환경은 제1 작업환경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작업환경은 작업자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module 310 generates second image data by capturing an image of the second working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second working environment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working environment. For example, the second working environment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opera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카메라 모듈(310)은 후면장치(110)에 설치된 제2 활성화 버튼(325)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메인보드(120)로부터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활성화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amera module 310 is powered from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when the second activation button 325 installed on the rear device 11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being activated by

제2 카메라 모듈(310)은 메인보드(120)로부터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후면장치(110)에 전원공급이 개시되어 활성화되면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영상처리모듈(320)로 전송한다.The second camera module 310 generates second image data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rear device 110 is started and activated from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to the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 se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카메라 모듈(310)의 렌즈는 후면장치(110)가 배치되는 수납부에 형성된 렌즈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카메라 모듈(310)은 촬영하기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ns of the second camera module 310 may be inserted into a lens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in which the rear device 110 is disposed. Accordingly, the second camera module 310 may secure a field of view for photographing.

제2 영상처리모듈(320)은 제2 카메라 모듈(310)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고, 화이트 밸런스(음영조정), 노이즈 제거, 오토 포커싱과 같은 영상 보정작업을 수행하여 보정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영상처리모듈(320)은 보정된 제2 영상 데이터를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로 전송한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converts the analog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310 into a digital image, and performs image correction operations such as white balance (shading adjustment), noise removal, and auto-focusing to correct it. generated second image data. The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transmits the corrected second image data to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영상처리모듈(320)은 보정된 제2 영상 데이터를 MJPEG(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포맷으로 변환하여 메인보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멀티 케이블(160)이 후면장치(110)와 메인보드(120)를 USB 2.0 타입의 인터페이스로 연결시키는 경우 제2 영상처리모듈(320)은 MJPEG 포맷으로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를 USB 2.0의 280 Mbps 대역폭 중 35Mbps 대역폭을 이용하여 메인보드(120)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may convert the corrected second image data into a 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JPEG) format and transmit it to the motherboard 12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multi-cable 160 connects the rear device 110 and the main board 120 to the USB 2.0 type interface, the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converts the second image processing module 320 into the MJPEG format.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therboard 120 using a 35 Mbps bandwidth among the 280 Mbps bandwidth of USB 2.0.

제2 활성화 버튼(325)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후면장치(110)를 활성화 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활성화 버튼(325)은 후면장치(100)에 포함된 각 모듈들을 활성화시켜 각 모듈들이 동작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activation button 325 activates the rear device 110 when selected by the operator. Specifically, the second activation button 325 may activate each module included in the rear device 100 to operate each module.

근접 센서(330)는 제2 활성화 버튼(325)에 의해 활성화되어 작업자에 근접한 객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여 객체 센싱데이터를 생성한다. 근접 센서(330)는 생성된 객체 센싱데이터를 메인보드(120)로 전송한다.The proximity sensor 330 is activated by the second activation button 325 to detect whether an object proximate to the operator approaches and generates object sensing data. The proximity sensor 330 transmits the generated object sensing data to the main board 120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메인보드(120)는 배터리(130)에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의류(10)의 복수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에 배치되어 통합장치(100), 후면장치(110), 및 긴급구조버튼(18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메인보드(120)는 의류(10)의 전면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수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보드(120)가 수납되는 수납부에는 메인보드(120)가 발산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복수개의 통풍 홀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main board 12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through a multi-cable 160 to receive power, and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of the clothing 10 . Power is supplied to the integrated device 100 , the rear device 110 , and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80 . Here, the main board 120 may be disposed in a receiv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left front side of the clothing 10 .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 discharging heat emitted by the main board 120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in which the main board 120 is accommodated.

또한, 메인보드(120)는 통합장치(100), 후면장치(110), 및 긴급구조버튼(150)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외부서버(20)로 전송하거나 외부서버(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120 transmits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from the integrated device 100 , the rear device 110 , and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to the external server 20 or data from the external server 20 . receiv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보드(1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ar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보드(12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보드(120)는 제어모듈(410) 및 통신모듈(420)을 포함한다.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ar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main boar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410 and a communication module 420 .

제어모듈(410)은 통합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음성 데이터,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통신모듈(420)을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410)은 후면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 데이터 및 객체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통신모듈(420)을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한다.The control module 410 processes the first image data, the second audio data, and the first to third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device 100 to generate output data,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utput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410 generates output data by processing the second image data and object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rear device 110 ,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utput data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 send to

또한, 제어모듈(410)은 외부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통합장치(100)를 통해 작업자에게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410 processes the first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server 20 and outputs it to the operator through the integrated device 100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410)은 영상 데이터 송수신 논리적 경로와 센싱 데이터 송수신 논리적 경로를 구분함과 동시에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다르게 설정하여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의 병렬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module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a logical path for transmitting/receiving image data and a logical path for transmitting/receiving sensing data, and at the same time sets different data formats for image data and sensing data, allowing parallel processing of image data and sensing data configured to d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470)은 영상데이터 제어부(510), 센싱 데이터 제어부(520), 음성 데이터 제어부(530), 및 메시지 생성부(5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 module 4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ata controller 510 , a sensing data controller 520 , a voice data controller 530 , and a message generator 540 . includes

영상 데이터 제어부(510)는 제1 카메라 모듈(210) 및 제2 카메라 모듈(3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영상 데이터 제어부(510)는 영상 데이터 획득부(512) 및 제1 출력 데이터 생성부(514)를 포함한다.The image data controller 510 generates first output data by process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2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10 . To this end, the image data controller 510 includes an image data acquirer 512 and a first output data generator 514 .

영상 데이터 획득부(512)는 제1 카메라 모듈(210) 및 제2 카메라 모듈(3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획득부(512)는 UVC(Universal Video Class) 카메라 드라이버로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data acquisition unit 512 acquires first image data and second image data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2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data acquisition unit 512 may be implemented as a UVC (Universal Video Class) camera driver.

제1 출력 데이터 생성부(514)는 영상 데이터 획득부(512)에 의해 획득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RGB 데이터로 변환하고, RGB 데이터로 변환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비디오 코덱으로 압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데이터 생성부(514)는 H.264 코덱으로 RGB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제1 출력 데이터 생성부(514)는 H.264로 압축된 RGB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1 출력 데이터 생성부(514)는 H.264로 압축된 RGB 데이터에 SIP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제1 출력 데이터를 SIP 포맷에 따른 패킷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IP 헤더에는 목적지 IP 주소, 비디오 코덱에 대한 정보, 오디오 코덱에 대한 정보, 대역폭, 또는 포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output data generator 514 converts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e data acquirer 512 into RGB data, and converts the first image data and the second image into RGB data. Compresses data with a predetermined video codec. In an embodiment, the first output data generator 514 may compress RGB data using an H.264 codec. The first output data generating unit 514 generates first output data by converting RGB data compressed in H.264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format.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protocol may b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put data generator 514 may generate the first output data as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SIP format by adding a SIP header to the H.264 compressed RGB data. In this case, the SIP header may include a destination IP address, information on a video codec, information on an audio codec, bandwidth, or port information.

센싱 데이터 제어부(520)는 통합장치(100)의 제1 가스 센서(250), 제2 가스 센서(260), 및 속도 측정 센서(270)와 후면장치(110)의 근접 센서(330)로부터 수신된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와 객체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센싱 데이터 제어부(520)는 센싱 데이터 획득부(522), 데이터 변환부(524), 및 제2 출력 데이터 생성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ata controller 520 receives from the first gas sensor 250 , the second gas sensor 260 , and the velocity measuring sensor 270 of the integrated device 100 and the proximity sensor 330 of the rear device 110 . The first to third sensing data and the object sensing data are processed to generate second output data. To this end, the sensing data control unit 520 may include a sensing data acquisition unit 522 , a data conversion unit 524 , and a second output data generation unit 526 .

센싱 데이터 획득부(522)는 통합장치(100)의 제1 가스 센서(250) 및 제2 가스 센서(260)와 후면장치(110)의 근접 센서(330)로부터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와 객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변환부(524)는 센싱 데이터 획득부(522)에 의해 획득된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와 객체 센싱 데이터를 십진수로 변환한다.The sensing data acquisition unit 522 may obtain first to third sensing data from the first gas sensor 250 and the second gas sensor 260 of the integrated device 100 and the proximity sensor 330 of the rear device 110 and The object sensing data is obtained, and the data conversion unit 524 converts the first to third sensing data obtained by the sensing data obtaining unit 522 and the object sensing data into decimal numbers.

제2 출력 데이터 생성부(526)는 십진수로 변환된 제1 내지 제3 센싱 데이터와 객체 센싱 데이터에 해당 센싱 데이터가 획득된 센서를 나타내는 센서 식별자 및 해당 센싱 데이터가 획득된 시간정보를 추가하여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 출력 데이터 생성부(526)는 생성된 제2 출력 데이터를 통신모듈(420)를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한다.The second output data generating unit 526 adds a sensor identifier indicating a sensor from which the corresponding sensing data was obtained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corresponding sensing data was obtained to the first to third sensing data and object sensing data converted into decimal numbers. 2 Create output data. The second output data generating unit 526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output data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

음성 데이터 제어부(530)는 마이크 모듈(24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통신모듈(420)로 전송하거나, 통신모듈(420)을 통해 외부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 모듈(23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음성 데이터 제어부(530)는 오디오 코덱부(532)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4)를 포함한다.The voice data controller 530 processes the second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microphone module 240 and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 or first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module 230 . To this end, the voice data control unit 530 includes an audio codec unit 532 and an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4 .

오디오 코덱부(532)는 제2 음성 데이터를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펄스부호변조는 비압축 방식으로 제2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오디오 코덱부(532)는 펄스부호변조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4)로 전달한다.The audio codec unit 532 converts the second voice data into digital data by performing pulse code modulation (PCM). Here, the pulse code modulation converts the second voice data into digital data in an uncompressed manner. The audio codec unit 532 transmits the pulse code-modulated second voice data to the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4 .

또한, 오디오 코덱부(532)는 통신모듈(420)로부터 펄스부호변조된 제1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펄스부호복조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를 획득한다. 오디오 코덱부(532)는 획득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스피커 모듈(23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audio codec unit 532, upon receiving the pulse code-modulated first voic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pulse-code-demodulates it to obtain analog data. The audio codec unit 532 transmits the acquired analog data to the speaker module 230 .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4)는 오디오 코덱부(532)로부터 전달되는 펄스부호변조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3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4)는 생성된 제3 출력 데이터를 통신모듈(420)을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한다.The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4 generates third output data by compressing the pulse code-modulated second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audio codec unit 532 . The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4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output data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

또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4)는 외부서버(20)로부터 압축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된 제1 음성 데이터를 복호함으로써 펄스부호변조된 제1 음성 데이터를 획득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4)는 펄스부호변조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부(532)로 전달한다.Also, the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4 receives the compressed first voice data from the external server 20 and decodes the compressed first voice data to obtain the pulse code-modulated first voice data. The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4 transmits the pulse code-modulated first voice data to the audio codec unit 532 .

메시지 생성부(540)는 긴급구조버튼(180)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긴급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540)는 생성된 긴급알림 메시지를 통신모듈(420)을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하거나 스피커 모듈(23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80 is received, the message generator 540 generates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The message generator 540 may transmit the generated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or to the speaker module 230 .

또한, 메시지 생성부(540)는 외부서버(20)로부터 텍스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음성변환 알고리즘(TTS: Text to Speech)를 이용하여 텍스트 메시지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외부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텍스트 메시지는 인접한 타 작업자의 스마트 조끼로부터 수신된 긴급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540)는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술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532) 및 오디오 코덱부(532)를 통해 스피커 모듈(23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tex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20 , the message generator 540 converts the text message into voice data using a text to speech algorithm (TTS). At this time, the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20 may be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smart vest of another worker adjacent. The message generating unit 540 may transmit the generated voice data to the speaker module 230 through the audio data processing unit 532 and the audio codec unit 532 described above.

또한, 메시지 생성부(540)는 제1 및 제2 가스 센서(250, 260)에 의해 생성된 제1 및 제2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가 위험한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230)을 통해 출력하거나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버저(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generator 540 generates a warning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is located in a dangerous area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gas sensors 250 and 260 . Thus, an alarm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module 230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or a buzzer (not shown)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

또한, 메시지 생성부(540)는 속도 측정 센서(270)에 의해 생성된 제3 센싱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면 낙상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모듈(430)을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540)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230)을 통해 출력하거나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버저(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generating unit 540 determines that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when the third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speed measuring sensor 270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30 .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20). In addition, the message generator 540 generates a warning message and output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module 230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or a buzzer (not shown)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 can

또한, 메시지 생성부(540)는 근접센서(330)에 의해 생성된 객체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객체가 접근하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230)을 통해 출력하거나 통합장치(100)에 포함된 버저(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generator 540 generates a warning message when a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object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proximity sensor 330 , and the speaker module 230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100 . A warning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때, 메시지 생성부(540)에 의해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통합장치(100)는 제1 카메라모듈(410) 및 제2 카메라모듈(510)을 활성화되어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tegrated device 100 receiving the warning message by the message generating unit 540 may activate the first camera module 4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510 to start shooting. .

통신모듈(420)은 제어모듈(410)에 의해 생성된 제1 내지 제3 출력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서버(20)로 전송하고, 외부서버(20)로부터 펄스부호변조된 제1 음성 데이터 또는 텍스트 메시지를 제어모듈(41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420 transmits the first to third output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410 to the external server 2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pulse code-modulated first voice data from the external server 20 . Alternatively,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4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모듈(420)은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및 LTE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4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tooth module, a Wi-Fi module, and an LTE communication module.

한편,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보드(540)에는 마이크 모듈(24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모듈(미도시)이 추가로 탑재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a noise removing module (not shown) for removing noise from the secon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odule 240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main board 540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130)는 의류(10)의 복수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 및 LED 랜턴(170)에 연결된다. 이때, 배터리(130)는 의류(10)의 전면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수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가 수납되는 수납부에는 배터리(130)가 발산하는 열을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복수개의 통풍 홀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battery 13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of the cloth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20 and the LED lantern 17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In this case, the battery 130 may be disposed in a storage unit located at the lower right front side of the clothing 10 .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heat emitted by the battery 130 may be discharged may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battery is accommodated.

배터리(130)는 상용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내부에 저장하거나, 메인보드(120)와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연결되어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메인보드(12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130)는 리튬 폴리머 타입의 배터리로 구현됨으로써 스마트 의류(1)의 무게를 경량화 시킬 수 있다.The battery 130 internally stores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or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20 and the multi-cable 160 through a multi-cable 160 to supply the power stored therein to the main board 120 . In one embodiment, the battery 130 is implemented as a lithium polymer type battery, so that the weight of the smart clothing 1 can be reduced.

또한, 배터리(130)는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LED 랜턴(17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130 may supply power to the LED lantern 17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LED 랜턴(140)은 의류(10)의 복수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배터리(130)와 연결된다. 이때, LED 랜턴(140)은 의류(10)의 전면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수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ED 랜턴(140)이 수납되는 수납부에는 LED 랜턴이 발광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발광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LED lantern 14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of the cloth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In this case, the LED lantern 140 may be disposed in a receiv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right front side of the clothing 10 .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in which the LED lantern 140 is accommodated so that the LED lantern can emit light.

일 실시예에 있어서, LED 랜턴(140)은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배터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본 발명은 LED 랜턴(140)이 메인보드(120)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메인보드(120)를 활성화시키지 않고도, LED 랜턴(140)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the LED lantern 14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LED lantern 140 can receive power independently of the main board 120, without the user activating the main board 120, LED lantern 140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use it.

긴급구조버튼(150)은 의류(10)의 복수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멀티 케이블(160)을 통해 메인보드(12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긴급구조버튼(150)은 메인보드(12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긴급구조버튼(150)은 의류(10)의 전면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수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긴급구조버튼(150)이 수납되는 수납부에는 긴급구조버튼(150)이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of the cloth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20 through the multi-cable 160 . Accordingly,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may be powered by the main board 120 . In this case,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may be disposed in a receiv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left front side of the clothing 10 . At this time, a protrus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is accommodated so that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can protrude.

긴급구조버튼(150)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메인보드(120)로 전송함으로써 메인보드(120)가 미리 정해진 형식의 긴급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보드(120)에 의해 생성된 긴급 알림 메시지는 외부서버(20)로 전달되어 외부서버를 통해 타 작업자의 스마트 조끼로 전달되거나, 스피커 모듈(230)을 통해 외부로 직접 출력됨으로써, 해당 작업자의 인근에 위치한 타 작업자가 해당 작업자에게 발생된 위험을 빠른 시간 내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is selected by the operator, a sel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in board 120 so that the main board 120 can generate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in a predetermined format.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generated by the main board 120 is delivered to the external server 20 and delivered to the smart vest of another worker through the external server, or is directly outpu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module 230, so that the worker's It enables other workers located nearby to recognize the danger to the worker in a short time.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긴급 알림 메시지는 메인보드(12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긴급구조버튼(150)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미리 정해진 형식의 긴급알림 메시지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has been described as being generated by the main board 120,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directly sends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in a predetermined format when selected by the operator. you might be able to create

멀티케이블(160)은 메인보드(120)와 배터리(130)를 연결시켜 메인보드(12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메인보드(120)와 통합장치(100)를 연결시켜 통합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통합장치(100)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메인보드(120)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교환이 수행되게 한다. 또한, 멀티 케이블(160)은 메인보드(120)와 후면장치(110)를 연결시켜 후면장치(11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후면장치(110)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메인보드(120)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교환이 수행되게 한다. 또한, 멀티 케이블(160)은 메인보드(120)와 긴급구조버튼(150)를 연결시켜 긴급구조버튼(15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긴급구조버튼(150)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메인보드(120)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교환이 수행되게 한다. 또한, 멀티 케이블(160)은 배터리(130)와 LED 랜턴(160)을 연결시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The multi-cable 160 connects the main board 120 and the battery 130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ard 120 . In addition, the main board 120 and the integrated device 100 ar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integrated device 100 so that the data generated by the integrated device 100 and the data generated by the main board 120 are exchanged. do. In addition, the multi-cable 160 connects the main board 120 and the rear device 110 to supply power to the rear device 110 , so that the data generated by the rear device 110 and the main board 120 are generated. data exchange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multi-cable 160 connects the main board 120 and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so that the data generated from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and the main board 120 are supplied. ) to exchange the generated data. In addition, the multi-cable 160 connects the battery 130 and the LED lantern 160 to supply power.

멀티케이블(160)은 의류(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부(170)에 의해 고정되어 각 모듈(100-15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멀티 케이블(160)은 의류(10)의 안감에 고정부(170)에 의해 고정되고, 의류(10)의 각 수납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홀을 통해 각 수납부에 배치된 각 모듈(100-150)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The multi-cable 160 may be fixed by the fixing unit 170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othing 10 to connect the respective modules 100 to 150 . For example, the multi-cable 160 is fixed to the lining of the clothing 10 by a fixing unit 170 , and each module ( 100-150) can be connected.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멀티케이블(16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ulti-cable 1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블(16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cable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케이블(160)은 메인 케이블(610), 제1 서브 케이블(620), 제2 서브 케이블(630), 제3 서브 케이블(640), 및 제4 서브 케이블(6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멀티케이블(160)이 메인 케이블(610), 제1 내지 제4 케이블(620-65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멀티케이블(160)은 6개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4개 이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6 , the multi-cable 160 includes a main cable 610 , a first sub-cable 620 , a second sub-cable 630 , a third sub-cable 640 , and a fourth sub-cable 650 . ) is included. Here, the multi-cable 16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main cable 610 and the first to fourth cables 620-650, but the multi-cable 160 may include 6 or more cables, and 4 or less. It may include a cable of

메인 케이블(610)은 메인보드(120)와 배터리(130)를 연결시킨다. 이때, 메인 케이블(610)은 복수개의 신호선(미도시)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신호선의 일단은 메인보드(120)로 연결되게 하고, 복수개의 신호선 중 하나의 신호선의 타단이 배터리로 연결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블(610)은 배터리(130)에 의해 메인보드(120)로 전력이 공급되게 한다. 이때, 메인 케이블(6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신호선은 각 신호선 별로 분기되어 서브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cable 610 connects the main board 120 and the battery 130 . At this time, the main cable 610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lines (not shown),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20 , and the other end of one signal line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s connected to the battery. . Accordingly, the first cable 610 allow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main board 120 by the battery 130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ncluded in the main cable 610 may be branched for each signal line to be configured as sub cables.

제1 서브 케이블(620)은 메인 케이블(610)로부터 분기되어 메인보드(120)와 통합장치(100)를 연결시킨다. 이때, 제1 서브 케이블(620)은 메인 케이블(6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신호선 중 하나의 신호선의 타단이 분기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케이블(620)은 메인보드(120)에 의해 통합장치(100)로 전력이 공급되게하고, 메인보드(120)와 통합장치(100)간에 데이터 교환이 되게 할 수 있다.The first sub-cable 620 is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610 to connect the main board 120 and the integrated device 100 . In this case, the first sub-cable 620 may be configured by branching the oth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ncluded in the main cable 610 . Accordingly, the first sub-cable 620 may allow power to be supplied to the integrated device 100 by the main board 120 , and data may be exchanged between the main board 120 and the integrated device 100 .

제2 서브 케이블(630)은 메인 케이블(610)로부터 분기되어 메인보드(120)와 후면장치(110)를 연결시킨다. 이때, 제2 서브 케이블(630)은 메인 케이블(6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신호선 중 하나의 신호선의 타단이 분기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서브 케이블(630)은 메인보드(120)에 의해 후면장치(110)로 전력이 공급되게하고, 메인보드(120)와 후면장치(110)간에 데이터 교환이 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sub cable 630 is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610 to connect the main board 120 and the rear device 110 . In this case, the second sub-cable 630 may be configured by branching the oth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ncluded in the main cable 610 . Accordingly, the second sub-cable 630 enable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rear device 110 by the main board 120 and data exchange between the main board 120 and the rear device 110 .

제3 서브 케이블(640)은 메인 케이블(610)로부터 분기되어 배터리(130)와 LED 랜턴(140)을 연결시킨다. 이때, 제3 서브 케이블(640)은 메인 케이블(6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신호선 중 배터리(130)로 연결된 신호선의 타단이 분기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브 케이블(640)은 배터리(130)에 의해 LED 랜턴(140)으로 전력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The third sub-cable 640 is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610 to connect the battery 130 and the LED lantern 140 . In this case, the third sub-cable 640 may be configured by branching the other end of the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ncluded in the main cable 610 . Accordingly, the third sub-cable 640 may allow power to be supplied to the LED lantern 140 by the battery 130 .

본 발명은 제3 서브 케이블(640)이 배터리(130)로 연결된 신호선의 타단이 분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메인보드(120)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LED 랜턴(140)을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LED lantern 140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main board 120 because the third sub cable 640 is configured by branching the other end of the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

제4 서브 케이블(650)은 메인 케이블(610)로부터 분기되어 메인보드(120)와 긴급구조버튼(150)을 연결시킨다. 이때, 제4 서브 케이블(650)은 메인 케이블(6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신호선 중 하나의 신호선의 타단이 분기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서브 케이블(650)은 메인보드(120)에 의해 긴급구조버튼(150)으로 전력이 공급되게하고, 메인보드(120)와 긴급구조버튼(150)간에 데이터 교환이 되게 할 수 있다.The fourth sub-cable 650 is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610 to connect the main board 120 and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 In this case, the fourth sub-cable 650 may be configured by branching the oth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included in the main cable 610 . Accordingly, the fourth sub-cable 650 enable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by the main board 120 and data exchange between the main board 120 and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170)는 의류(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멀티 케이블(160)을 의류(10)에 고정시킨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fixing unit 1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othing 10 to fix the multi-cable 160 to the clothing 10 .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70)가 멀티 케이블(160)을 의류(10)에 고정시키는 이유는, 멀티케이블(160)이 의류(10)에 결합된 각 모듈(100-150)과 연결되면 멀티케이블이 꼬이거나 지면에 끌릴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fix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multi-cable 160 to the clothing 10 is that when the multi-cable 160 is connected to each module 100-150 coupled to the clothing 10, the multi-cable 160 This is because the cables can become kinked or drag on the ground, which can interfere with the operator's work.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70)는 멀티케이블(160)을 의류(10)에 고정시켜 멀티케이블(160)이 꼬이지 않게 하고, 작업자의 거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multi-cable 160 to the clothing 10 to prevent the multi-cable 160 from being twisted, an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worker,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ha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70)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70)는 제1 결합부(710), 제2 결합부(720), 및 접착부재(730)를 포함한다.7A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17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 the fixing part 17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710 , a second coupling part 720 , and an adhesive member 730 .

제1 결합부(710)는 멀티케이블(160)이 통과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7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멀티케이블(160)에 포함된 메인케이블(610)이 통과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1 결합부(710)의 일단은 긴급구조버튼(150)과 연결되는 제4 서브케이블(170)이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710 is fixed through the multi-cable 160 .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ain cable 610 included in the multi-cable 160 passes through and is fix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710 may be fixed through the fourth sub-cable 170 connected to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

이때, 제1 결합부(710)는 고정부(17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art 7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70 .

제2 결합부(720)는 제1 결합부로(710)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멀티케이블(160)이 통과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720)는 제1 결합부(710)로부터 분기되어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형성되고, 멀티케이블(160)에 포함된 제1 서브 케이블(720), 제2 서브 케이블(730), 및 제3 서브 케이블(740)이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720)는 고정부(17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720 is formed branching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710 and the multi-cable 160 passes through and is fixed. 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0 is branched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0 and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sub-cable 720 included in the multi-cable 160, the first The second sub-cable 730 and the third sub-cable 740 may pass through and be fixed.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part 7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70 .

접착부재(730)는 고정부(7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의류(10)에 고정부(170)를 결합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부재(730)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의류(10)에는 접착부재(730)와 결합되기 위한 밸크로 테이프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730 is formed below the fixing part 730 to couple the fixing part 170 to the clothing 10 .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730 may be formed of a Velcro tap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lothing 10 may be formed with a Velcro tape to be coupled to the adhesive member (730).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170)는 멀티케이블(160)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70)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xing part 170 may be formed so that the multi-cable 160 is fitted.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x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B .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B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17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70)는 제1 결합부(710), 제2 결합부(720), 및 접착부재(7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 결합부(710), 제2 결합부(720), 및 접착부재(730)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B , the fixing part 17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710 , a second coupling part 720 , and an adhesive member 730 .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0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0 , and the adhesive member 730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결합부(710) 및 제2 결합부(720)에는 멀티케이블(160)이 끼움 결합되도록 각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구부(80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710)는 제1 방향으로 절개된 개구부(80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72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절개된 개구부(8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802)는 멀티케이블(160)의 단면보다 좁게 형성되어 개구부(802)의 양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개구부(802)의 양단이 벌어져 멀티케이블(160)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802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multi-cable 160 is fitted.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part 710 may have an opening 802 cu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720 may have an opening 802 cu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opening 802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multi-cable 16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opening 802, both ends of the opening 802 are spread apart so that the multi-cable 160 can be fitted.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170)는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어 멀티케이블(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60)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another third embodiment, the fixing unit 170 may fix the multi-cable 160 by winding the multi-cable 160 .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fix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C .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6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60)는 제1 결합부(710), 제2 결합부(720), 및 접착부재(730)를 포함하고, 지지부재(740)를 더 포함한다.7C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16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C , the fixing part 16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710 , a second coupling part 720 , and an adhesive member 730 ,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740 .

이하에서는 제1 결합부(710), 제2 결합부(720), 및 접착부재(730)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0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0 , and the adhesive member 730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1 결합부(710)는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게 하는 제1 권취부재(810) 및 제2 권취부재(820)를 포함한다.The first coupling part 710 includes a first winding member 810 and a second winding member 820 that allow the multi-cable 160 to be wound.

제1 권취부재(810)는 멀티케이블(160)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 권취부재(810)는 지지부재(740)에 결합되어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어 통과할 수 있다.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allows the multi-cable 160 to be wound one or more times. Specifically,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740 so that the multi-cable 160 can be wound and passed through.

제2 권취부재(820)는 제1 권취부재(8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멀티케이블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2 권취부재(820)는 제1 권취부재(8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지부재(740)에 결합되어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어 통과할 수 있다.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multi-cable is wound one or more times. Specifically,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740 so that the multi-cable 160 can be wound and passed through.

제1 권취부재(810) 및 제2 권취부재(820)에는 메인케이블(610)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1 방향으로 절개된 제1 연결개구부(82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개구부(822)를 통해 제4 서브케이블(650)도 끼움결합 될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opening 822 cut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in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and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so that the main cable 610 is fitted. At this time, the fourth sub-cable 650 may also be fit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opening 822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개구부(822)의 일측에는 제1 연결홈(824)이 형성되고 제1 연결개구부(822)의 타측에는 제1 연결홈(824)이 삽입되는 제1 연결돌기(826)가 형성되어 메인 케이블(610)이 끼움결합되면 제1 연결홈(824)에 제1 연결돌기(826)를 삽입하여 메인케이블(610)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first connection protrusion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groove 8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opening 822 and the first connection groove 824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opening 822 . When the 826 is formed and the main cable 610 is fitted,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826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824 so that the main cable 610 is fix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권취부재(810) 및 제2 권취부재(820)는 지지부재(740)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권취부재(810)에 제2 권취부재(820)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지부재(740)를 따라 제1 권취부재(810)가 제2 권취부재(820)측으로 이동하고, 제2 권취부재(820)에 제1 권취부재(810)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지부재(740)를 따라 제2 권취부재(820)가 제1 권취부재(810)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and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740 .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toward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moves toward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along the support member 740 , and the seco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nding member 820 toward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may move toward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along the support member 74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권취부재(810) 및 제2 권취부재(820)는 서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and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at which the multi-cable 160 is wound can be adjusted.

제2 결합부(720)는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게 하는 제3 권취부재(830) 및 제4 권취부재(840)를 포함한다.The second coupling unit 720 includes a third winding member 830 and a fourth winding member 840 that allow the multi-cable 160 to be wound.

제3 권취부재(830)는 멀티케이블(160)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3 권취부재(830)는 지지부재(740)에 결합되어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어 통과할 수 있다.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allows the multi-cable 160 to be wound one or more times. Specifically,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740 so that the multi-cable 160 may be wound and passed through.

제4 권취부재(840)는 제3 권취부재(8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멀티케이블(160)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4 권취부재(840)는 제3 권취부재(8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지부재(740)에 결합되어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어 통과할 수 있다.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multi-cable 160 is wound one or more times. Specifically,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740 so that the multi-cable 160 may be wound and passed through.

제3 권취부재(830) 및 제4 권취부재(840)에는 제1 서브케이블(620), 제2 서브 케이블(630), 및 제3 서브케이블(640)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1 방향으로 절개된 제2 연결개구부(842)가 형성된다.The third winding member 830 and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are cut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b-cable 620, the second sub-cable 630, and the third sub-cable 640 are fitted. A second connection opening 842 is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개구부(842)의 일측에는 제2 연결홈(844)이 형성되고 제2 연결개구부(842)의 타측에는 제2 연결홈(844)이 삽입되는 제2 연결돌기(846)가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서브 케이블(620-640)이 끼움결합되면 제2 연결홈(844)에 제2 연결돌기(846)를 삽입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케이블(620-640)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into which a second connection groove 84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opening 842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844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opening 842 . When the 846 is formed and the first to third sub-cables 620-640 are fitte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84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844 to insert the first to third sub-cables 620- 640) can be fix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권취부재(830) 및 제4 권취부재(840)는 지지부재(740)에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3 권취부재(830)에 제4 권취부재(840)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지부재(740)를 따라 제3 권취부재(830)가 제4 권취부재(840)측으로 이동하고, 제4 권취부재(840)에 제3 권취부재(830)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지부재(740)를 따라 제4 권취부재(840)가 제3 권취부재(830)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and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740 .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toward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moves along the support member 740 toward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and the fourth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nding member 840 toward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may move toward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along the support member 74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권취부재(830) 및 제4 권취부재(840)는 서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멀티케이블(160)이 권취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and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at which the multi-cable 160 is wound can be adjusted.

접착부재(730)는 지지부재(740)의 하측에 형성되어 의류에 고정부(170)를 고정시킨다.The adhesive member 730 is formed under the support member 740 to fix the fixing part 170 to the clothes.

지지부재(740)는 제1 결합부(710)와 제2 결합부(720)와 결합되어 제1 결합부(710)와 제2 결합부(720)를 통과한 멀티케이블(16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740)는 제1 결합부(710)에 포함된 제1 권취부재(810) 및 제2 권취부재(820)와 제2 결합부(720)에 포함된 제3 권취부재(830) 및 제4 권취부재(840)와 결합되어 제1 내지 제4 권취부재(810-840)을 통과한 멀티케이블(160)을 지지한다.The support member 74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7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720 to support the multi-cable 160 passing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7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720 . .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740 includes the first winding member 810 and the second winding member 820 includ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710 and the third winding member 830 includ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720 . ) and the fourth winding member 840 is coupled to support the multi-cable 160 passing through the first to fourth winding members 810-8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740)는 제1 내지 제4 권취부재(810-840)가 이동가능 하도록 제1 내지 제4 권취부재(810-840)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7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winding members 810-840 so that the first to fourth winding members 810-840 are movabl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6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160)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fixing par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xing part 16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upling part.

이하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제3 결합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hird coupl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A is a view showing a third coupling p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view showing a third coupl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C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third coupling part according to the.

제3 결합부(750)은 제2 결합부(720)가 형성된 제2 방향에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4 서브 케이블(650)이 통과하여 고정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4 서브 케이블(650)이 제1 결합부(710)를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실시예에서는 제4 서브 케이블(650)이 제3 결합부(750)를 통과하여 고정된다.The third coupling part 750 is formed in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art 720 is formed, and the fourth sub-cable 650 passes through and is fix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ourth sub-cable 650 is fix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710 , but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sub-cable 650 passes through the third coupling part 750 . is fixed by

이에 따라 제4 서브케이블(650)은 긴급구조버튼(150)이 의류(10)의 전면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3 결합부(750)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ourth sub-cable 650 can be easily connected by the third coupling part 750 when the emergency rescue button 150 is located at the lower left front side of the clothing 10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외부서버(20)는 스마트 장치(15)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스마트 장치(1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문가 그룹과 화상회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서버(20)는 스마트 장치(15)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저장하고,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스마트 장치(15)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external server 2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mart device 15 to perform a video conference with an expert group using image data and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15 .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20 determines whether the worker is in the danger area based on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15,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is in the danger area, stores it, and the worker is in the danger area A text message for notifying of the existenc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15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스마트 의류 10: 의류
15: 스마트 장치 20: 외부서버
100: 통합장치 110: 후면장치
120: 메인보드 130: 배터리
140: LED 랜턴 150: 긴급구조버튼
160: 멀티케이블 170: 고정부
1: Smart Clothing 10: Clothing
15: smart device 20: external server
100: integrated unit 110: rear unit
120: main board 130: battery
140: LED lantern 150: emergency rescue button
160: multi-cable 170: fixed part

Claims (13)

복수개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의류;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1 수납부에 배치되고, 제1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장치;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2 수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 함으로써 제1 출력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메인 케이블 및 상기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통합장치를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시키는 제1 서브 케이블을 포함하는 멀티 케이블; 및
상기 의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멀티 케이블을 상기 의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케이블이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통과하여 고정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메인 케이블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하는 제1 권취부재; 및 상기 제1 권취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하는 제2 권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하는 제3 권취부재; 및 상기 제3 권취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1회이상 권취되게 하는 제4 권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권취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권취부재를 통과한 상기 메인 케이블 및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Clothing includ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an integrated device including a first camera module disposed in a first receiv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first working environment;
a main board disposed in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he main board generating first output data by image processing the first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st output data to an external server;
a multi-cable including a main cable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first sub-cable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to connect the integrated device to the main board; and
and a fix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othes and fixes the multi-cable to the clothes,
The fixing part,
a first coupling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fixed through the main cable; and
and a second coupling part branch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rough which the first sub-cable is fixed;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winding member for winding the main cable one or more times; and a second wind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d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main cable is wound one or more times,
The second coupling unit may include: a third winding member that allows the first sub-cable to be wound one or more times; and a fourth wind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third wind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irst sub-cable is wound one or more times,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winding members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main cable and the first sub-cable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winding members. Smart clothing for c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는 상기 의류에 상기 고정부를 결합시키는 접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fixing portion to the clothing is formed under the fix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는 상기 멀티 케이블이 끼움 결합되도록 각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have opening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coupling part so that the multi-cable is fit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권취부재에는 상기 메인 케이블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개된 제1 연결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개구부의 일측에는 제1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개구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이 끼움결합되면 상기 제1 연결홈에 상기 제1 연결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 케이블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 제3 및 제4 권취부재에는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절개된 제2 연결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개구부의 일측에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개구부의 타측에는 제2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2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끼움결합되면 상기 제2 연결홈에 상기 제2 연결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제1 서브 케이블이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nection opening cut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members so that the main cable is fitted,
A first connec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opening, and a first connec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opening. When the main cable is fitted, the first connection groove Inserting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into the main cable is fixed,
A second connection opening cut in the second direction is formed in the third and fourth winding members so that the first sub-cable is fitted,
A second connec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opening, and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opening.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b-cable is fixed by inserting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into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3 수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작업환경에 반대되는 방향의 제2 작업환경을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후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함으로써 제2 출력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출력데이터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A rear device including a second camera module disposed in a third receiving unit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econd working environm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working environment do,
The main board generates second output data by image processing the second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second output data to the external ser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케이블은 상기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후면장치를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시키는 제2 서브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케이블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ulti-cable further includes a second sub-cable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to connect the rear device to the main board,
The second sub-cable is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장치는, 객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여 객체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객체 센싱데이터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객체가 접근하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장치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켜 촬영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ar device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n object approaches and generates object sensing data,
When an objec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object sensing data, the main board generates a warning message and outputs it through a speaker module included in the integrated device, and displays the first camera module or the second camera module.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tivated to start shoo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3 수납부에 배치되어 작업환경을 밝혀주는 LED 랜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 케이블은 상기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LED 랜턴을 상기 배터리에 연결시키는 제3 서브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 케이블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LED lantern disposed in the third receiving part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arts to illuminate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ulti-cable further comprises a third sub-cable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to connect the LED lantern to the battery,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sub-cable pass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납부 중 제4 수납부에 배치되고,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보드로 전송하는 긴급구조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긴급구조버튼을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시키는 제4 서브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서브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4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in the fourth receiv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rescue button that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board when selected by an operator,
and a fourth sub cable branched from the main cable and connecting the emergency rescue button to the main board,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coupling part through which the fourth sub-cable pa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켜 촬영이 개시되도록 하는 제1 활성화 버튼을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동안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 및 음성 데이터 생성을 위한 마이크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영상회의 개설신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보드를 통해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device is
When selected by the operator, the first activation button for activating the first camera module to start shooting is selected by the operator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to activate the first camera module and the microphone module for voice data generation,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a video conference opening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main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장치는,
상기 작업환경의 일산화가스를 센싱하여 제1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가스센서 및 상기 작업환경의 산소를 센싱하여 제2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싱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가 위험한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장치에 부착된 스피커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first gas sensor for generating first sensing data by sensing the monoxide ga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 second gas sensor for generating second sensing data by sensing oxygen in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otherboard is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is located in a dangerous area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data, a warning message is generated and output through a speaker module attached to the integrat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장치는,
상기 작업자의 낙하속도를 센싱하여 제3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속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3 센싱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면 낙상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알림 메시지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speed measuring sensor for generating third sensed data by sensing the falling speed of the worker,
The motherboard is
Smart clothing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hird sensing data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KR1020190119561A 2019-09-27 2019-09-27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KR102313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61A KR102313120B1 (en) 2019-09-27 2019-09-27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61A KR102313120B1 (en) 2019-09-27 2019-09-27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784A KR20210037784A (en) 2021-04-07
KR102313120B1 true KR102313120B1 (en) 2021-10-14

Family

ID=7546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561A KR102313120B1 (en) 2019-09-27 2019-09-27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1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543B1 (en) * 2021-09-13 2024-04-16 큐리시스 주식회사 Smart safety vest for safety management and remote support
KR102415937B1 (en) * 2022-02-21 2022-07-05 한국안전진단연구원 주식회사 safety ves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574A (en) * 2006-11-27 2008-06-12 Asahi Facilities Inc Travelling work-supporting jacket
KR101016610B1 (en) *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ial pressurizing smart-wear system for preparing against fall accid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27B1 (en) * 2009-07-28 2011-12-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surrounding color sensing-type smart wear for camouflage using flexible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574A (en) * 2006-11-27 2008-06-12 Asahi Facilities Inc Travelling work-supporting jacket
KR101016610B1 (en) *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ial pressurizing smart-wear system for preparing against fall accid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784A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679B1 (en) System for Controlling Wireless Type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KR102313120B1 (en)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KR101282669B1 (en) Smart ware for preventing an accident on workshop
KR101050710B1 (en) Smart helmet for fireman
CA253894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resence
KR101103516B1 (en) Smart fire fighting helmet
KR101340008B1 (en)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US20170001048A1 (en) Blower filter device,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operational infrastructure and method
KR102025832B1 (en) Smart cane
JP2010185155A (en) Helmet with index-projecting means
KR20130052420A (en) The spot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helmet
KR101270132B1 (en) Smart helmet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s
KR20170068196A (en) Smart Helmet for a Bicycle Rider
KR200409730Y1 (en) Real time Video/Audio Signal Transmmitting appratus and Emergency control system thereof
KR100898041B1 (en) Attachable and removable wireless camera device
KR20190088846A (en)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KR20130131511A (en) Guide apparatus for blind person
WO2015072695A1 (en) Personal protection image monitoring apparatus and personal protection image system using smart device
JPWO2020202490A1 (en) Wireless endoscope, wireless endoscope device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2081514B1 (en) safety helmet for personal moving unit
WO2017073775A1 (en) Automatic imaging device and wearable imaging device
JP2012177897A (en) Photographic illumination amplification device, photographic illumination amplification system, method for operating photographic illumination system, and case including photographic illumination amplification device
CN218784266U (en) Fire-fighting communication equipment and helmet
JP2009191439A (en) Helmet with multifunctional unit
JP2019068112A (en) Device for connecting mobile phone and headset detacha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