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78B1 -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78B1
KR102051078B1 KR1020190034364A KR20190034364A KR102051078B1 KR 102051078 B1 KR102051078 B1 KR 102051078B1 KR 1020190034364 A KR1020190034364 A KR 1020190034364A KR 20190034364 A KR20190034364 A KR 20190034364A KR 102051078 B1 KR102051078 B1 KR 10205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hat
chat room
private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933A (ko
Inventor
옥철식
Original Assignee
옥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철식 filed Critical 옥철식
Publication of KR2019012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상대방에 따라 블라인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권한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공개 설정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공개속성이 설정된 메시지 및 대화방을 공개하고, 비공개 설정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적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 및 대화방의 의도하지 않은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MESSENGER PROGRAM HAVING PRIVATE INFORMATION PROTECT FUNCTION AND MESSENGER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상대방에 따라 블라인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user device)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개발 취지에 따른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포괄하는, 이른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경우 전통적인 전화 단말의 기능인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전송 기능뿐만 아니라, 이메일(e-mail)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촬영 기능, 방송 재생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스마트폰의 기능 중,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신저 기능은 현재 실생활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기능으로서, 실시간 응답이 가능하고 다양한 이모티콘을 쉽게 활용할 수 있어 많은 이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에서 메신저의 사용비중이 높아져 감에 따라,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아야 하는 사적인 대화가 포함되는 경우도 상당수 되고, 이러한 사적인 대화가 가족, 친구 등에 의해 노출되어 낭패를 겪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물론, 기존의 사용자 단말기용 메신저는 잠금기능을 탑재함에 따라,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러한 잠금기능 만으로 사적대화의 노출은 완벽하게 차단하기는 어려우며, 메신저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적대화와 일반대화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96199호(공고일자: 2018.09.0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일반대화와는 별도로 사적대화를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비공개 설정된 메시지들의 활성화를 보다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메신저 프로그램으로서, 하나 이상의 상대방을 지정하여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대화방 개설부, 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1 패스워드 및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패스워드 관리부, 개설된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대화 처리부 및 송수신한 모든 메시지 및 대화방을 저장하는 대화목록DB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1 패스워드 입력시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되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고, 제2 패스워드 입력시 비공개속성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메시지 및 대화방에 대하여 각각 속성을 별도로 설정하는 속성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턴이 입력되면 상기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숨기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축키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축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하나의 물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정기간 동안의 입력 또는 둘 이상의 물리 인터페이스의 동시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대화방은, 복수의 사용자간 일대일 또는 일대다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공개속성이 설정된 일반방, 두 사용자간 일대일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비공개속성이 설정된 비밀방, 복수의 사용자가 그룹을 이루고, 동일 그룹 내 복수의 사용자간 일대일 또는 일대다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공개 속성이 설정된 그룹방 및 복수의 사용자간 일대일 또는 일대다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타 사용자 또는 그룹의 사용자의 추가 또는 제외가 가능한 공개속성이 설정된 오픈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스워드는 각각 숫자, 문자 및 기호의 조합방식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방식을 통해 입력되되, 서로 다른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스워드는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더 활성화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설정된 패스워드에 따라 일부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서로 연결하고,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원등록 여부를 인증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시, 상기 회원 관리부의 인증을 통해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 및 회원 등록된 사용자 단말간 메시지 전송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서로 연결하는 메시지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상대방을 지정하여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대화방 개설부, 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1 패스워드 및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패스워드 관리부, 송수신한 모든 메시지 및 대화방을 저장하는 대화목록DB 및 개설된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1 패스워드 입력시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되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고, 제2 패스워드 입력시, 모든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는 대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권한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공개 설정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공개속성이 설정된 메시지 및 대화방을 공개하고, 비공개 설정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적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 및 대화방의 의도하지 않은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숫자 및 문자 등의 전통적인 패스워드 입력방식과 더불어 사용자 터치에 따른 패턴, 제스처 등의 다른 형태의 입력방식으로 공개속성과 구분되는 비공개속성을 위한 패스워드를 설정 및 입력할 수 있어 개인이 보다 안전하고 직관적으로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패스워드 입력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메시지 관리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설정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대화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그 사용자 단말(100)과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으면, 수신측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고 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신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인들이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통신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그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신저 서버(300)에 접속 및 연락처에 저장된 회원, 즉 수신자 중 하나 이상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송신자가 송부하는 메시지는 수신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의 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단말뿐만 아니라, 탑재된 통신수단을 통해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고 메시지 송수신을 메신저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신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탑재한 거치형P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메신저 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그의 요청에 따라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을 서로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생성되는 대화방에 요청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메신저 서버(300)로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다수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즉시 전송할 수 있도록 고성능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대용량 메모리 및 저장소를 탑재한 서버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메신저 프로그램은 정보보호를 위한 패스워드의 설정이 가능하고, 저장된 메시지 및 대화방으로의 접속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에 저장되는 메시지 및 대화방은 공개속성과 비공개속성을 가질 수 있고, 공개속성의 경우 일반 패스워드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나, 비공개속성을 갖는 메시지 및 대화방의 경우에는 별도의 패스워드를 더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해야만 확인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일례로서, 제1 사용자 단말(101)이 제2 사용자 단말(102) 및 제3 사용자 단말(103)과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대화방을 개설하고 채팅을 수행한다고 할 때,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01)에는 대화방 단위로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고, 제1 사용자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저장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일반 패스워드를 메신저 프로그램에 입력해야만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이전 대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패스워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메시지 또는 대화방은 최초 공개속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 제1 사용자가 제3 사용자 및 그와의 대화내용을 비밀대화 대상으로 관리하고자 하면, 그 대화방 또는 개별 메시지의 속성을 비공개속성으로 설정할 수 있고, 비공개속성의 개별 메시지 또는 대화방은 상기의 일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는 비활성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후 제1 사용자가 제3 사용자와의 대화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설정된 비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메신저 프로그램에 접속하기 위한 일반 패스워드뿐만 아니라, 비공개속성을 갖는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기 위한 비밀 패스워드를 더 설정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관리가 필요한 대화상대 및 메시지를 별도로 관리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는 공지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구현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200)은, 하나 이상의 상대방을 지정하여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대화방 개설부(210), 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1 패스워드 및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패스워드 관리부(220), 개설된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대화 처리부(230), 송수신한 모든 메시지 및 대화방을 저장하는 대화목록DB(240), 대화목록DB(240)에 저장된 메시지 및 대화방에 대하여 각각 속성을 별도로 설정하는 속성 설정부(250) 및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턴이 입력되면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숨기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축키 설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대화 처리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패스워드 입력시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되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고, 제2 패스워드 입력시 비공개속성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화방 개설부(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대화상대를 선택하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대화상대는 사용자 단말의 주소록에 전화번호와 같은 연락처가 등록된 타 사용자 또는 메신저 프로그램에 계정이 등록된 타 사용자 일 수 있고, 대화방 개설부(210)는 그 사용자들의 전화번호, 계정명 또는 닉네임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에서 대화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대화상태를 선택하여 대화방을 개설하고 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패스워드 관리부(220)는 대화목록DB(240)에 저장된 다수의 메시지 및 대화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공개범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패스워드(pw1, (pw2)를 설정할 수 있고, 패스워드의 입력시 메신저 프로그램(200)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패스워드 관리부(220)는 메신저 프로그램(200)의 실행에 따라 일반 패스워드 즉, 제1 패스워드(pw1)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설정된 제1 패스워드(pw1)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메신저 프로그램(200)으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이 표시되도록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200)으로의 접속 전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설정된 제2 패스워드(pw2)와 일치하는 경우, 메신저 프로그램(200)으로의 접속 및/또는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고, 특히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이 표시되도록 승인할 수 있다.
대화 처리부(230)는 개설된 대화방에서 사용자 및 대화상대간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송수신한 메시지를 대화방에 표시할 수 있다. 대화방이 개설되면, 대화 처리부(230)의 메시지 전송부(231)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메시지를 해당 대화상대에게 전송하고, 메시지 수신부(232)는 대화상대로부터 메시지 수신시 대화창을 통해 그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
만약, 수신한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상대가 이전 대화방이 존재하지 않는 최초 대화상대라면, 메시지 수신부(232)는 대화방 개설부(210)에 그 메시지를 저장 및 표시하기 위한 대화방을 개설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대화 처리부(230)의 메시지 수신부(232)는 수신한 메시지가 비공개 속성으로 설정된 대화상대이고, 현재 사용자가 제1 패스워드(pw1)로 접속한 경우, 비활성화되어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해당 대화상대와의 대화방에 포함되어 저장되게 된다.
대화목록DB(240)는 현재까지 메신저 프로그램(200)에 개설된 모든 대화방 및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신저 프로그램(200)은 실행시 대화목록DB(240)에 기저장된 현재까지의 모든 대화방 및 메시지를 추출하고, 사용자에 대화방이 선택되면 해당 대화방에 저장된 모든 메시지를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목록DB(240)에 저장되는 대화방 및 메시지는 속성이 정의되어 있고, 이는 패스워드(pw1, pw2)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대화목록DB(240)에는 대화상대로 등록된 상대방에 대한 닉네임, 계정명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속성 설정부(2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목록DB(240)에 저장되거나 현재 개설된 대화방 또는 개별 메시지에 대하여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대화방 및 그에 포함되는 송수신 메시지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초기 공개속성을 비공개속성으로 전환하거나, 비공개속성을 갖는 대화방 및 메시지를 공개속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속성 설정부(2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방 및 메시지가 아닌, 대화상대에 대해서도 속성을 설정할 수 있고, 비공개속성으로 설정된 대화상대의 경우, 그 대화상대와의 모든 송수신 메시지 및 개설된 대화방은 종속적인 속성을 가짐에 따라, 자동으로 비공개속성으로 설정되게 된다.
단축키 설정부(260)는 메신저 프로그램(200)이 사용자 편의를 의해 제공하는 유용한 기능으로서, 메신저 프로그램(200)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제스처를 실행하면, 설정된 액션이 즉시 실행되는 복수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축키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는 비공개 메시지 모두 삭제, 비공개 메시지 모두 비활성화, 비공개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숨기기 및 비공개 메시지에 포함된 이미지 숨기기 등이 있다.
사용자는 패스워드 입력과는 별개로 단축키를 설정하여 비공개 메시지의 표시 또는 비표시 상태를 즉시 전환할 수 있어 개인적인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보호 및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은 메신저 프로그램에 접속하고 공개속성의 일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패스워드 이외에도, 비공개속성의 비밀 메시지 및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는 제2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의 비밀유지정도에 따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어, 보다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버의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101) 내지 제n 사용자 단말(n, n은 자연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회원등록 여부를 인증하는 회원 관리부(310), 메시지 전송 요청시, 회원 관리부(310)의 인증을 통해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320) 및 회원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간 메시지 전송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을 서로 연결하는 메시지 전달부(330) 및 등록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서버DB(3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회원 등록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하고,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명, 연락처 및 단말 식별 정보 등이 회원정보로서 서버DB(340)에 저장되어야 한다.
또한, 회원 관리부(31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을 로그인 처리하고, 로그인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이후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단말 식별부(320)는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100) 메시지 송신 요청시 회원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을 식별하고 송신측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송신 요청에는 수신측 연락처, 계정명 또는 닉네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단말 식별부(320)는 수신측 사용자의 회원 등록 여부를 회원 관리부(310)에 질의하고, 회원 관리부(310)가 이를 확인하면 수신측 사용자 단말(100)에 메시지를 전송할 준비를 완료한다.
메시지 전달부(330)는 확인된 메시지를 수신측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은 수신측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메신저 프로그램과 동기화되어 실행되며, 만약 수신측에서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중이 아니거나, 기타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종료되지 않는 전송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수신측 사용자 단말(100)이 정보통신망에 접속하면 메시지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사용자 단말(101)이 제2 사용자 단말(102)에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메시지 전달부(330)는 메시지 전송 요청에 포함된 수신측 정보를 단말 식별부(320)에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02)을 식별하도록 하고, 제2 사용자 단말(102)에 메시지를 전송하되, 제2 사용자 단말(102)상에서 현재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실행시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신저 서버(300)에 접속하면, 메신저 전송을 재개하게 된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일대일 대화가 아닌, 일대다 대화를 수행할 수 있고, 메시지 전달부(330)는 수신측으로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102) 및 제n 사용자 단말(n)에 동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DB(340)는 회원 등록된 회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회원정보에는 등록시 입력된 사용자 이름과 같은 개인적인 정보 및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전화번호 등) 및 단말 식별번호, 계정명 및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시스템이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고 송수신자를 식별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DB(340)에는 메신저 서버(30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설정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메신저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 송수신자를 식별하고 대화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 단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메신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 및 이에 탑재된 메신저 프로그램과 그 구성부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신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S100),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패스워드 인증에 따라(S110), 저장된 대화창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일반 패스워드인 제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공개속성으로 설정된 메시지 및 대화방만을 활성화하여(S120) 화면상에 표시하며, 비밀 패스워드인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비공개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여(S200)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제2 패스워드의 입력에 따라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뿐만 아니라, 공개속성의 메시지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잘못 입력된 경우 패스워드 입력 단계(S110)를 소정횟수 반복할 수 있다.
S120 단계에 따라, 화면상에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의도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송부하거나 등록된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S130).
또한, 공개속성으로의 대화도중 사용자는 제2 패스워드를 더 입력하거나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고, 메신저 프로그램은 이러한 행동이 입력되면 비공개속성 메시지 표시단계(S200)로서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대화가 마무리되고 메신저 프로그램이 종료(S300)된다.
그리고, 제2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메신저 프로그램은 비공개속성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여 표시하게 되며(S200), 사용자는 비공개속성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S210).
이후, 대화가 마무리되면, 사용자에 의해 메신저 프로그램이 종료되게 된다(S300).
이하,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을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패스워드 입력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하며 대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 및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초기화면(W100)에서는 현재 활성화된 메시지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초기화면(W100)에는 입력된 패스워드에 따라 모든 메시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전체', 공개속성의 메시지만 표시하는 '일반', 등록된 대화상대방의 연락처 또는 닉네임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인맥' 및 기타 이모티콘 또는 기프티콘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샵' 등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창(W110)은 각 대화방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상대방으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한 메시지 및 그 수신일자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리스트창(W110)에서 어느 하나의 대화방을 선택하면 그 대화방에 속한 하나 이상의 대화상대와 대화를 재기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창(W110)에는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전까지 비공개 대화방은 표시되지 않으며, 이후 도 5b에 도시된 형태의 패스워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이 리스트창(W110)에 포함 및 표시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대화방 또는 메시지를 선택하고, 속성변경을 통해 숨김상태로 전환하여 화면상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5b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패스워드 인터페이스(W130)로서, 숫자, 문자 및 기호의 4자리 또는 6자리 이상의 조합, 또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소정개의 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패턴을 그리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두 개의 패스워드를 미리 설정하고 대화상대, 메시지 또는 대화방에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설정함으로써 대화를 관리할 수 있다.
도 5a에서 어느 하나의 대화방(W120)을 선택하면 도 6a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메시지 관리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대화방이 선택되면, 해당 대화상대와 지금까지 송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 화면(W200)이 표시된다.
대화방 화면(W200)은 대화상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및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W210)가 표시되며, 스크롤 기능을 통해 송수신한 모든 메시지를 대화방 화면(W200)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각 대화방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메신저 프로그램은 각 대화방에 대하여 그 표시여부 등을 지정받을 수 있고, 이러한 속성 설정창(W220)에 의한 설정기능으로는 대화내용 미저장 기능, 대화내용 삭제기능 및 패스워드를 통한 비공개 속성 설정기능 등이 있고, 이중, '비공개 속성 설정' 기능의 하위 설정 내용으로는 '전체글보이기', '이미지만 보이기', '텍스트(TEXT)만 보이기' 및 '이 대화의 VIEW 영역 지정' 등이 있다.
상기의 '전체글보이기'는 패스워드 입력시 해당 대화방의 모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고, '이미지만 보이기'는 대화방에서 텍스트를 제외한 이미지만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며, '텍스트(TEXT)만 보이기'는 대화방에서 텍스트만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대화의 VIEW 영역 지정'은 해당 대화방에서 영화면상에 영역단위로 표시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속성 설정 기능들은 대화방 단위가 아닌, 개별 메시지 단위로 일일히 지정할 수 있으며, 도 6c는 개별 메시지 설정창(W2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은 메시지 또는 대화방 단위로 속성을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화상대별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방 화면(W300)은 하단 일측에 대화상대에 대하여 일반, 비밀, 그룹 및 오픈 등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아이콘(W3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속성은 선택된 대화상대의 모든 메시지를 공개속성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비밀속성은 선택된 대화상대의 모든 메시지를 비공개속성을 설정하게 것이다. 또한, 그룹속성은 선택된 대화상대의 타 대화상대와 그룹화하여 일대다 대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오픈속성은 타 대화상대의 대화방에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아이콘(W310)이 선택되면 대화상대 선택화면(W320)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각 대화상대별로 체크박스(W330)를 선택 또는 취소하여 개별적으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설정화면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설정화면(W400)에서는 각 대화상대별로 다양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고, 그 하위창으로서 설정창(W420)에는 '패스워드 입력후 방 들어가기', '대화목록 보여주기', '비밀대화 표시하기' 및 '단축키 사용' 등이 있다. '패스워드 입력후 방 들어가기' 기능은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에 대하여, 제1 패스워드 입력시에도 리스트에 표시하나, 제2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전까지는 해당 대화방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고, '대화목록 보여주기'는 선택된 대화상대를 대화 리스트에 표시하는 것으로 공개속성으로 설정된다. 또한, '비밀대화 표시하기'는 해당 대화상대와의 메시지를 공개속성으로 전환하는 것이고, '단축키 사용'은 비공개속성의 대화상대, 메시지 및 대화방에 대하여, 표시 또는 비표시 등의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터치 인터페이스가 아닌, 물리 인터페이스 및 이의 조합을 통해 실행시키는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이다.
단축키 설정창(W430)은 사용자 단말(100)의 물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지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축키 설정창(W430)을 통해 단축키가 지정 가능한 기능으로는 '비밀대화 모두삭제', '비밀대화 모두 숨기기', '비밀대화 텍스트(TEXT)숨기기' 및 '비밀대화 이미지숨기기'가 있다.
또한, 단축키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물리 인터페이스, 일례로서, 볼륨업키, 불륨다운키, 종료키 및 홈버튼 등을 둘 이상 동시에 누르거나, 하나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하는 등의 사용자 행동에 매칭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행동은 설정박스(W44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메신저 프로그램
210 : 대화방 개설부 220 : 패스워드 관리부
230 : 대화 처리부 240 : 대화목록DB
250 : 속성 설정부 260 : 단축키 설정부
300 : 메신저 서버 310 : 회원 관리부
320 : 단말 식별부 330 : 메시지 전달부
340 : 서버DB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메신저 프로그램으로서,
    하나 이상의 상대방을 지정하여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대화방 개설부;
    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1 패스워드 및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패스워드 관리부;
    개설된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대화 처리부;
    송수신한 모든 메시지 및 대화방을 저장하는 대화목록DB;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메시지 및 대화방에 대하여 각각 속성을 별도로 설정하는 속성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턴이 입력되면 상기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모두 삭제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축키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1 패스워드 입력시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되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고, 제2 패스워드 입력시 비공개속성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속성 설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상대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속성을 설정하고,
    비공개 속성이 설정된 대화상대와의 송수신 메시지 및 개설된 대화방은 대화상대의 속성에 종속적인 속성을 가짐에 따라 자동으로 비공개 속성으로 설정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턴이 입력되면 상기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숨기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하나의 물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정기간 동안의 입력 또는 둘 이상의 물리 인터페이스의 동시 입력에 대응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은,
    복수의 사용자간 일대일 또는 일대다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공개속성이 설정된 일반방;
    두 사용자간 일대일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비공개속성이 설정된 비밀방;
    복수의 사용자가 그룹을 이루고, 동일 그룹 내 복수의 사용자간 일대일 또는 일대다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공개 속성이 설정된 그룹방; 및
    복수의 사용자간 일대일 또는 일대다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타 사용자 또는 그룹의 사용자의 추가 또는 제외가 가능한 공개속성이 설정된 오픈방
    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스워드는
    각각 숫자, 문자 및 기호의 조합방식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방식을 통해 입력되되, 서로 다른 형태가 적용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스워드는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더 활성화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메신저 프로그램.
  8.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설정된 패스워드에 따라 일부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서로 연결하고,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상대방을 지정하여 공개속성 또는 비공개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대화방 개설부;
    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1 패스워드 및 비공개속성의 대화방의 접근을 허가하는 제2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패스워드 관리부;
    개설된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대화 처리부;
    송수신한 모든 메시지 및 대화방을 저장하는 대화목록DB;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메시지 및 대화방에 대하여 각각 속성을 별도로 설정하는 속성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턴이 입력되면 상기 비공개속성의 메시지를 모두 삭제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축키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1 패스워드 입력시 상기 대화목록DB에 저장된 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되 비공개속성의 메시지 및 대화방을 비활성화하고, 제2 패스워드 입력시 비공개속성 메시지 및 대화방을 활성화하는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속성 설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화상대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속성을 설정하고,
    비공개 속성이 설정된 대화상대와의 송수신 메시지 및 개설된 대화방은 대화상대의 속성에 종속적인 속성을 가짐에 따라 자동으로 비공개 속성으로 설정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회원등록 여부를 인증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시지의 전송 요청시, 상기 회원 관리부의 인증을 통해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 및
    회원 등록된 사용자 단말간 메시지 전송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서로 연결하는 메시지 전달부
    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KR1020190034364A 2018-04-30 2019-03-26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KR102051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05 2018-04-30
KR20180049905 2018-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933A KR20190125933A (ko) 2019-11-07
KR102051078B1 true KR102051078B1 (ko) 2020-01-08

Family

ID=6857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364A KR102051078B1 (ko) 2018-04-30 2019-03-26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792B1 (ko) * 2021-03-03 2023-01-26 주식회사 라이노 다양한 참여 모드 선택이 가능한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US20230127356A1 (en) * 2021-10-22 2023-04-27 Slack Technologies, Llc Converting private channels to public chann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638B1 (ko) * 2003-12-22 2006-02-22 김학수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KR101656956B1 (ko) * 2014-12-24 2016-09-2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채팅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199B1 (ko) 2017-12-05 2018-09-06 성재호 대화창에서의 메시지 숨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638B1 (ko) * 2003-12-22 2006-02-22 김학수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KR101656956B1 (ko) * 2014-12-24 2016-09-2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채팅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933A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404B2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967245B2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unique hidden identifiers
US9772985B2 (en) Communications control for resource constrained devices
US10719535B2 (en) Single device with multiple personas
US20080280644A1 (en) Sim Messaging Client
US7991128B2 (en) Mirroring of conversation stubs
US201602415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ccess to message content
WO2021115359A1 (zh) 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491360B1 (ko)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0233218A1 (zh) 信息加密方法、信息解密方法及终端
US20200089910A1 (en) Message privacy
KR102051078B1 (ko)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WO2019184631A1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CN117957827A (zh) 在通信平台中建立新连接
KR101716874B1 (ko) 라이브 채팅 가능한 통신 단말 및 채팅 애플리케이션
US10754986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ly shared access modes and incoming communication
CN111600847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18316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management for a virtual meeting
KR20210063579A (ko) 대화창에서의 상대방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068445A (ja) 端末、端末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