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638B1 -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638B1
KR100554638B1 KR1020030094538A KR20030094538A KR100554638B1 KR 100554638 B1 KR100554638 B1 KR 100554638B1 KR 1020030094538 A KR1020030094538 A KR 1020030094538A KR 20030094538 A KR20030094538 A KR 20030094538A KR 100554638 B1 KR100554638 B1 KR 10055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formation
security
client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175A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102003009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6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비밀번호에 따라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로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망접속부, 망접속부를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선별적으로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다중비밀번호 모듈을 구비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비밀번호에 따라 원격지의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인터넷 서버 이용시의 정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Internet Server with Multiple Passwor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버의 인터넷 접속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전자메일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프로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의 다중비밀번호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의 수신메일의 보안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의 다중비밀번호 체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50:다중 비밀번호 모듈 151:로그 아이디 관리부
152:비밀번호 생성부 153:비밀번호 판단부
154:보안파라미터 설정부 155:보안파라미터 필터링부
본 발명은 다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정보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이동통신단말 등의 개인단말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메일 서버, 인터넷 포털서버 또는 메신저 서버들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개인단말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고 서버에 로그인 하기 위해 통상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터넷 서버는 하나의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비밀번호 체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서버내의 사용자 로그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체 정보를 열람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타인이 비밀번호를 알 경우 모든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었다.
이는 사용자의 허락하에 보안이 필요치 않은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타인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에도 비밀번호 입력 후에는 모든 정보가 열람 가능한 상태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람을 허락하지 않은 보안이 필요한 정보까지도 타인이 열람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서버에 접속한다 하더라도 비밀번호 입력 후 로그인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체 정보를 액세스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개적인 장소에서 이용하거나 타인이 지켜볼 경우 공개를 원치 않는 정보까지 노출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비밀번호에 따라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로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망접속부, 상기 망접속부를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 스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선별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다중비밀번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정보를 선별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다중비밀번호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중 비밀번호를 초기 설정하는 1단계, 상기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2단계, 상기 인식된 비밀번호의 종류의 판단하는 3단계, 상기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보를 선별적으로 상기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버의 인터넷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인단말(10)은 인터넷(20)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인터넷(20)에는 전자메일, 메신저, 포털 사이트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100)가 접속되는데, 상기 인터넷 서버(100)는 전자메일 서버, 메신저 서버, 인터넷 포털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개인단말(10)은 이하에서는 클라이언트로 칭하도록 하며 이동통신단말(31)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들은 인터넷(20)과 접속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를 통해 사용자별로 다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해당 비밀번호 별로 미리 정해진 정보만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에 저장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에 개별적으로 보안파라미터(P)를 설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다중 비밀번호 체계는 상기 데이터들 중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데이터를 필터링 한 후 나머지 데이터들만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안이 필요치 않은 일반적인 정보를 보여주도록 할 수 있어, 보안이 필요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보안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다중비밀번호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들을 보안 파라미터의 설정에 관계없이 전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이동통신단말, PDA,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는 전자메일서버, 포털 서버, 메신저 서버등 인터넷 상에 마련되어 원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서버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전자메일 서버 및 메신저 서버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서버(100)는 전자메일 서버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1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망접속부(120)와, 망접속부(120)를 통해 전자메일을 위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부(130)와, 전자메일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41)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와, 다중비밀번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 및 비밀번호에 따른 프로필을 저장/관리하기 위한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 및 전자메일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와, 전자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메일 송수신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상기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는 각 전자메일 정보에 대하여 보안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정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사용자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로그 아이디 관리부(151)와, 상기 로그 아이디마 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보안 비밀번호 또는 일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152)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151)에 의해 생성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밀번호 판단부(153)와, 전자메일 데이터의 보안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보안파라미터 설정부(154)와,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153)의 판단결과에 따라 전자메일 데이터마다 설정된 보안파라미터를 필터링하여 해당 데이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부(155), 상기 로그 아이디마다 설정되는 비밀번호에 따른 프로필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필 관리부(156)를 포함한다.
상기한 로그 아이디 관리부(151)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송되는 로그 아이디를 관리하는 것이며,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152)는 상기 로그 아이디 관리부(151)에 의해 생성/관리되는 로그 아이디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보안 비밀번호와 일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2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는 일반적인, 숫자, 문자, 기호등의 조합에 의해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생체인식 즉, 지문등을 통해서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체인식 예를 들어 지문을 이용할 경우, 엄지손가락의 지문은 보안비밀번호로 설정하고, 검지 손가락의 지문은 일반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보안파라미터 설정부(154)는 상기 로그 아이디별 비밀번호에 따라 데이터 표시의 활성화 /비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상기 보 안 파라미터 정보는 프로필 관리부(156)에 의해 관리된다.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153)는 해당 로그 아이디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인증하며, 상기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부(155)는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153)의 결과에 따라 전자메일 데이터의 보안 파라미터를 필터링하여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비활성화(숨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로그 아이디 관리부(151)에 의해 관리되는 로그 아이디와,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152)에서 생성되는 보안비밀번호 및 일반비밀번호와, 상기 프로필 관리부(156)에 의해 관리되는 프로필정보(보안 파라미터 설정정보)는 개별적으로 저장/관리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관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필 관리부(156)가 비밀번호별 프로필을 관리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비밀번호 생성부(152)를 포함하는 각 구성이 직접 프로필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메일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체계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체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메일을 열람하기 위해 클라이언트(10)를 이 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전자메일 서버(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해 로그인 아이디 및 미리 설정된 보안 비밀번호 혹은 일반비밀번호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보안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가 전송되면(1-1), 다중 비밀번호모듈의 비밀번호 판단부(153)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되는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판단하고, 보안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로 보안프로필을 요청한다(1-2).
그리고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상기 보안 프로필에 따라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전자메일 정보를 표시설정을 활성화한다.(1-3)
이에 따라 전자메일 서버(100)는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전체 전자메일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1-4),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 해 자신의 로그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체 전자메일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가 전송되면(2-1), 다중 비밀번호모듈(150)의 비밀번호 판단부(153)는 상기 전송되는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판단하고, 일반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로 일반프로필을 요청한다(2-2).
그리고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상기 일반 프로필에 따라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전체 전자메일 정보에서 보안 파라미터 정보에 따른 필터링을 수행한다(2-3). 이에 따라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 정보는 비활 성화된다. 이때 보안파라미터는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메일 발신인, 전자메일 제목, 또는 전자메일에 포함된 특정 내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전자메일 수신시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 후 비밀번호에 따라 보안파라미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메일 서버(100)는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전체 전자메일 정보 중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되지 않은 일반 전자메일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2-4),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자신의 로그 아이디에 해당하는 일반 전자메일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메일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의 설정은 전자메일 수신시마다 보안대상을 판단한 후 전자메일 데이터에 직접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또는 전자메일 수신후 사용자 열람시에 일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전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메일 수신시의 보안파라미터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메일 서버(100)의 전자메일 송수신부(180)는 전자메일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1), 전자메일이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전자메일의 보안파라미터 설정여부를 다중비밀번호 모듈(150)로 요청한다(S2).
이에 따라서 다중비밀번호모듈(150)의 보안파라미터 설정부(154)는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사용자 프로필을 조회하고(S3), 조회된 정보에 따 라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이 보안대상인지를 판단한다(S4). 이때 보안대상의 판단은 전자메일 발신인, 전자메일 제목 또는 내용에 포함된 특정단어를 포함하는 키워드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에서 보안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중비밀번호모듈(150)은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을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로 전송하고(S5),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는 상기 전자메일을 저장한다(S6)
그러나, 단계 S4에서 보안대상이라고 판단되면 보안파라미터 설정부(154)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에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한다(S7). 그리고 다중비밀번호모듈(150)은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을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로 전송하고(S8),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는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을 저장한다(S9).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메일 서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전자메일을 열람하기 위해 클라이언트(10)를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전자메일 서버(100)로 접속요청을 한다(S10). 이에 따라서 전자메일 서버의 웹서비스부(130)는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고(S21), 사용자는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하 로그인 아이디 및 미리 설정된 보안 비밀번호 혹은 일반비밀번호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자메일 서버로 전송한다(S22).
웹서비스부(130)는 상기 비밀번호를 다중 비밀번호모듈(150)로 전송하여 비 밀번호 판단을 요청한다(S30).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의 비밀번호판단부(153)은 상기 비밀번호가 일반비밀번호인지 보안비밀번호인지를 판단한다(S40).
단계 S40에서 보안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판단부(153)는 프로필 관리부(156)를 통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로 프로필을 요청하고(S51),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는 보안프로필을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로 전송한다(S52). 이때 보안 프로필은 해당 아이디에 대한 모든 전자메일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프로필이다.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체 전자메일 정보를 활성화하고(S60),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전체 전자메일 정보를 웹서비스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70).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단계 S70에서 수신한 전체 전자메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체 전자메일을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에서 일반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판단부(153)는 프로필 관리부(156)를 통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로 일반 프로필을 요청하고(S91),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60)는 일반프로필을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로 전송한다(S92). 이때 일반 프로필은 해당 아이디에 대한 모든 전자메일 정보에서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프로필이다.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보안파라미터 필터링부(155)를 통해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 정보를 필터링하는데,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체 전자메일 정보중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는 비활성화하고 나머지 일반 정보들을 활성화한다(S100).
그리고 전자메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전체 전자메일 정보중 일반 전자메일 정보만을 웹서비스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110).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단계 S110에서 수신한 일반 전자메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일반 전자메일을 열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로서 메신저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2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망접속부(220)와, 망접속부를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30)와,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를 관리하는 메신저 사용자 관리부(241)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2)와, 로그온 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로그온 관리부(251) 및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와, 다중비밀번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 및 비밀 번호에 따른 프로필을 저장/관리하기 위한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온 관리부(251)는 사용자가 설정한 대화상대의 로그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대화상대의 로그여부에 따라 로그온/로그오프에 대한 정보를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관리하고 실시간 갱신한다.
상기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는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른 보안 파라미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으로,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의 제어에 따라서 대화상대에 따른 아이디별로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 정보를 보안프로필 및 일반프로필정보로 하여 저장/관리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은 사용자의 메신저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로그 아이디 관리부(261)와, 상기 로그 아이디마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보안 비밀번호 또는 일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262)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261)에 의해 생성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밀번호 판단부(263)와, 메신저 정보 데이터의 보안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보안파라미터 설정부(264)와,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263)의 판단결과에 따라 메신저 정보 데이터마다 설정된 보안파라미터를 필터링하여 해당 데이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부(265), 상기 로그 아이디마다 설정되는 비밀번호에 따른 프로필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필 관리부(266)를 포함한다.
상기한 로그 아이디 관리부(261)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전송되는 메신저 로그 아이디를 관리하는 것이며,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262)는 상기 로그 아이디 관리부(261)에 의해 생성/관리되는 로그 아이디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보안 비밀번호와 일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2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안파라미터 설정부(264)는 상기 로그 아이디별 비밀번호에 따라전술한 대화상태의 아이디별로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상기 보안 파라미터 정보는 프로필 관리부(266)에 의해 관리된다.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263)는 해당 로그 아이디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의 종류를 판단하고 인증하며, 상기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부(265)는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263)의 결과에 따라 메신저 대화상대 아이디의 보안 파라미터를 필터링하여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비활성화(숨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로그 아이디 관리부(261)에 의해 관리되는 로그 아이디와,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262)에서 생성되는 보안비밀번호 및 일반비밀번호와, 상기 프로필 관리부(266)에 의해 관리되는 프로필정보(보안 파라미터 설정정보)는 개별적으로 저장/관리되거나 또는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관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필 관리부(266)가 비밀번호별 프로필을 관리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비밀번호 생성부(262)를 포함하는 각 구성이 직접 프로필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이 적용된 메신저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체계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체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클라이언트(10)를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메신저 서버(2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로그인 아이디 및 미리 설정된 보안 비밀번호 혹은 일반비밀번호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보안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가 전송되면(1-1), 다중 비밀번호모듈(260)의 비밀번호 판단부(263)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되는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판단하고, 보안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로 보안프로필을 요청한다(1-2).
그리고 다중 비밀번호 모듈(150)은 상기 보안 프로필에 따라 로그온 관리부(251)로 전체 데이터를 요청한다(1-3). 로그온 관리부(241)는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모든 대화상대의 정보의 표시설정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메신저 서버(200)는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전체 대화상 대 아이디의 로그온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1-4),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자신의 로그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체 대화상대에 대한 로그온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가 전송되면(2-1), 다중 비밀번호모듈(260)의 비밀번호 판단부(263)는 상기 전송되는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판단하고, 일반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로 일반프로필을 요청한다(2-2).
이에 따라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은 상기 보안 프로필에 따라 로그온 관리부(251)로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을 요청한다(2-3). 로그온 관리부(241)는 상기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 요청에 따라서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모든 대화상대의 정보에서 상기 보안 프로필에 따른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아이디의 정보(보안 메신저 정보)를 비활성화하고 나머지 정보(일반 메신저 정보)만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메신저 서버(200)는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전체 대화상대 아이디의 로그온 정보에서 상기 일반 메신저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2-4),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자신의 로그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체 대화상대에서 일반 메신저 정보에 해당하는 대화상대의 로그온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화상대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의 설정은 사용자의 로그온에 관계없이 대화상대 로그온 시마다 보안대상을 판단한 후 직접 보안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로그 온시 접속하고 있는 대화상대를 일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전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서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클라이언트(10)를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메신저 서버(200)로 전송하여 접속요청을 한다(S210). 이에 따라서 메신저 서버(200)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30)는 상기 비밀번호를 다중 비밀번호모듈(260)로 전송하여 비밀번호 판단을 요청한다(S220).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의 비밀번호판단부(263)은 상기 비밀번호가 일반비밀번호인지 보안비밀번호인지를 판단한다(S230).
단계 S230에서 보안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판단부(263)는 프로필 관리부(266)를 통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로 프로필을 요청하고(S241),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는 보안프로필을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로 전송한다(S242). 이때 보안 프로필은 해당 아이디에 대한 모든 대화상대 아이디의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프로필이다.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은 로그온 관리부(251)를 통해 대화상대 전체 아이디에 대한 로그온 정보를 활성화하고(S250), 활성화된 전체 대화상대의 로그온 정 보를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260).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단계 S260에서 수신한 전체 대화상대를 표시(S270)함으로써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30에서 일반 비밀번호라고 판단되면 비밀번호판단부(263)는 프로필 관리부(266)를 통해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70)로 일반 프로필을 요청하고(S281),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80)는 일반프로필을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로 전송한다(S282). 이때 일반 프로필은 해당 아이디에 대한 모든 대화상대 정보에서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대화상대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프로필이다.
다중 비밀번호 모듈(260)의 보안파라미터 필터링부(265)는 로그온 관리부(251)를 통해 로그온 데이터베이스(252)에 저장된 대화상대의 정보에서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를 필터링하는데, 전체 대화상대 정보 중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는 비활성화하고 나머지 일반 대화상대 정보는 활성화한다(S290).
그리고 활성화된 일반 대화상대의 정보만을 메신저 서비스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300).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단계 S300에서 수신한 일반 대화상대 정보를 표시(S310)함으로써 사용자는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일반 대화상대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비밀번호에 따라 원격지의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자메일을 서비스하는 전자메일 서버이며,
    상기 전자메일 서버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망접속부;
    상기 망접속부를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웹 서비스부;
    인터넷을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메일 송수신부;
    상기 전자메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보안 비밀번호 또는 일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밀번호 판단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메일 정보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보안파라미터 설정부와,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메일 정보에 설정된 상기 보안파라미터를 필터링하여 해당 데이터의 표시설정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다중 비밀번호 모듈;
    을 포함하여 상기 전자메일 서버는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에 의해 활성화된 정보만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은 비밀번호에 따른 보안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메일 송수신부는 전자메일이 수신되면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로 보안 대상여부의 판단을 요청하고,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은 상기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메일이 보안대상인지를 판단한 후 보안대상일 경우 보안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메일 송수신부는 전자메일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은 클라이언트의 로그인시 비밀번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전자메일 정보를 일괄 필터링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파라미터의 설정 대상은 미리 설정된 발신자의 전자메일 주소, 수신된 전자메일의 제목 또는 내용에 포함되는 특정내용에 매칭되는 키워드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설정부는 모든 전자메일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보안비밀번호와, 상기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전자메일 정보만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일반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보안파라미터 설정부는 상기 보안비밀번호 입력시에만 표시될 수 있는 보안파라미터를 전자메일 정보에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보안파라미터 필터링부는 상기 보안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 정보가 클라이언트로 제공될 수 있도록 활성화하며, 상기 일반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전자메일 정보가 클라이언트로 제공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9.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이며,
    상기 메신저 서버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망접속부;
    상기 망접속부를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를 관리하는 메신저 사용자 관리부;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설정한 대화상대 정보 및 로그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로그온 관리부;
    로그온 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로그온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보안 비밀번호 또는 일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을 위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밀번호 판단부, 상기 로그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보안파라미터 설정부 및 상기 비밀번호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로그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설정된 상기 보안파라미터를 필터링하여 해당 데이터의 표시설정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보안 파라미터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다중 비밀번호 모듈;
    을 포함하여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에 의해 활성화된 대화상대의 정보만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버는 비밀번호에 따른 보안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비밀번호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설정부는 모든 대화상대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보안비밀번호와, 상기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대화상대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대화상대 정보만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일반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보안파라미터 설정부는 상기 보안비밀번호 입력시에만 표시될 수 있는 보안파라미터를 대화상대 정보에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보안파라미터 필터링부는 상기 보안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대화상대 정보가 클라이언트로 제공될 수 있도록 활성화하며, 상기 일반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대화상대 정보가 클라이언트로 제공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숫자, 문자, 기호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생체인식을 통해 생성되며, 인식되는 생체의 부위에 따라 보안비밀번호 및 일반비밀번호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
  15.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다중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정보를 선별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다중비밀번호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의 다중 비밀번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모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보안비밀번호와, 일부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일반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일반비밀번호 입력시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를 설정하는 1단계;
    상기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2단계;
    상기 인식된 비밀번호의 종류의 판단하는 3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보를 선별적으로 상기 원격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비밀번호 입력시에만 제공되며, 일반비밀번호 입력시에는 제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식별자인 보안파라미터를 상기 정보마다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비밀번호는 1개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되는 일반비밀번호별로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의 판단결과 일반비밀번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의 표시설정을 비활성화하고 나머지 정보들을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의 판단결과 보안비밀번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보안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의 표시설정을 활성화하고 상기 보안 파라미터가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전자메일을 상기 클라이언트로 서비스 하는 전자메일 서버이며,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메일 서버는 전자메일이 수신되면 상기 다중 비밀번호 모듈을 통해 보안대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보안대상일 경우 상기 보안 파라미터를 상기 전자메일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버이며,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대화대상의 아이디 및 로그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숫자, 문자, 기호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생체인식을 통해 생성되며, 인식되는 생체의 부위에 따라 보안비밀번호 및 일반비밀번호가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의 제어방법.
KR1020030094538A 2003-12-22 2003-12-22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KR10055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538A KR100554638B1 (ko) 2003-12-22 2003-12-22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538A KR100554638B1 (ko) 2003-12-22 2003-12-22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175A KR20050063175A (ko) 2005-06-28
KR100554638B1 true KR100554638B1 (ko) 2006-02-22

Family

ID=3725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538A KR100554638B1 (ko) 2003-12-22 2003-12-22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23B1 (ko) * 2012-06-21 2014-03-1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기기 상에서의 다중 암호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관리방법
KR20160082174A (ko) 2014-12-31 2016-07-08 서준수 다중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125933A (ko) * 2018-04-30 2019-11-07 옥철식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546A (ko) * 2004-11-25 2006-05-30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및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67930B1 (ko) * 2014-02-06 2014-12-02 (주) 시큐어가드 테크놀러지 패스워드 변경 방법, 이를 적용한 패스워드 관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23B1 (ko) * 2012-06-21 2014-03-1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기기 상에서의 다중 암호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 관리방법
KR20160082174A (ko) 2014-12-31 2016-07-08 서준수 다중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125933A (ko) * 2018-04-30 2019-11-07 옥철식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KR102051078B1 (ko) * 2018-04-30 2020-01-08 옥철식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175A (ko) 200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777B2 (en)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based on an individual&#39;s social network
US8353002B2 (en) Chaining information card selectors
US6189032B1 (en) Client-server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rights to certain services by a user of a client terminal
US84847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egation and notification of administration of internet access
EP2936378B1 (en) Orchestrated interaction in access control evaluation
EP1296250A1 (en) User information control device
US20090249430A1 (en) Claim category handling
US20070055666A1 (en) Personalisation
KR100554638B1 (ko) 다중 비밀번호 체계가 적용된 인터넷 서버와 그 제어방법
KR20020044296A (ko) 개인 정보 통합 관리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4240806A (ja) インターネットに接続可能な携帯電話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A2989924A1 (en) Message providing and assessment system
KR20190101804A (ko) 로그인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US81084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of access to global computer networks
CN115834103A (zh) 微服务访问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2227892B1 (en) System and method of retrieving a service contact ident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