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744B1 -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744B1
KR102050744B1 KR1020180010595A KR20180010595A KR102050744B1 KR 102050744 B1 KR102050744 B1 KR 102050744B1 KR 1020180010595 A KR1020180010595 A KR 1020180010595A KR 20180010595 A KR20180010595 A KR 20180010595A KR 102050744 B1 KR102050744 B1 KR 10205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ing
pulse width
input
width 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707A (ko
Inventor
이동준
윤한신
김지헌
이호중
김혜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7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 H02M3/3354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2001/00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실시 예의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가 교호적으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고, 변환된 레벨을 갖는 출력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및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에 따라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달리 조정하고, 조정된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DC-DC converting apparatus for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전압 직류/직류 변환기(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는 차량 내부의 엔진 룸에 탑재되기 때문에 높은 전력 밀도를 요구하며, LDC의 효율이 차량이 연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LDC의 높은 효율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높은 전력 밀도와 효율을 만족하기 위해 다양한 토폴로지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ACFC: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를 이용하여 LDC를 구현하고 있다. 왜냐하면, ACFC는 적은 소자 수와 제로 볼트 스위칭(ZVS:Zero volt switching) 특성과 낮은 도통 손실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ACFC는 스위칭 소자와 클램프 커패시터를 갖는 액티브 클램프(Active clamp) 구조를 가지므로, 입력 직류 전압과 클램프 커패시시터의 전압이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어, 스위칭 소자와 클램프 커패시터는 높은 전압 스트레스를 갖는다. 더욱이 왜란에 의한 제어 이상으로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이 증가할 때, 클램프 커패시시터의 전압이 증가하게 되며, 클램프 커패시시터와 스위칭 소자에 인가된 전압이 내압을 초과하여 LDC를 소손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교호적으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고, 변환된 레벨을 갖는 출력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및 상기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달리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갖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상기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갖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2차 코일과 연결된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 코일과 직렬 연결되며,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메인 스위치; 및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되며,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 코일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입력 직류 전압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입력 직류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결과의 오프셋 및 스케일을 조정하는 신호 조정부; 및 상기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의 증가를 제한하는 클램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감지된 결과와 제1 기준 전압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내지 제3 저항들; 및 상기 제2 및 제3 저항 사이의 접점과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된 결과는 상기 제1 및 제2 저항 사이의 접점 전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점 전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1
여기서, UVLO는 상기 접점 전압을 나타내고, VINSEN은 상기 감지된 결과를 나타내고, VREF1은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나타내고, R1, R2, R3 및 R4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저항을 각각 나타내고, R1과 R2 각각은 R3 또는 R4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상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2
여기서, Dmax는 상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에 해당하고, k는 계수를 나타내고, fosc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스위칭 주파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접점 전압과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양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6 저항;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2 입력 단자와 제2 기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7 저항;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제2 입력 단자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된 제8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신호 조정부에서 조정된 결과의 저역 성분을 필터링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로 출력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를 인에이블시키거나 디스에이블시키는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환 제어부는 감지된 결과의 저역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및 제2 저역 통과 필터에서 필터링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부품 원가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ACFC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갖는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CFC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칭 제어부 및 변환 제어부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4 (a) 내지 (c)는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5 (a) 내지 (d)는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 (a) 내지 (e)는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ACFC: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110), 스위칭 제어부(120) 및 변환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ACFC(110)는 스위칭 소자(미도시)와 클램프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응답하여 교호적으로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WM 신호가 “고” 논리 레벨(즉, ON 타임)일 때, 스위칭 소자는 턴 온되고, PWM 신호가 “저” 논리 레벨(즉, OFF 타임)일 때, 스위칭 소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 소자의 턴 온 또는 턴 오프에 의해,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이 변환되고, 변환된 레벨을 갖는 출력 직류 전압(VO)이 ACFC(11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FC(110)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레벨을 갖는 전압을 출력 직류 전압(VO)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CFC(110)의 일 실시 예(110A)에 의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ACFC(11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ACFC(110A)는 도 1에 도시된 ACFC(110)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례에 불과하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ACFC(110A)는 제1 커패시터(C1), 스위칭 소자, 변압기(114), 정류부(116) 및 출력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ACFC(1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클램프 커패시터는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ACFC(1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스위칭 소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스위치(112-1)를 포함하고, 보조 스위치(1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위치(112-1)는 변압기(114)의 1차 코일과 직렬 연결되며, 스위칭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C1)(이하, '펄스 폭 변조 신호'라 한다.)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보조 스위치(112-2)는 제1 커패시터(C1)와 직렬 연결되며, 스위칭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C2)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제어 신호(SC1)와 마찬가지로,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C2)도 PWM 형태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조 스위치(112-2)와 제1 커패시터(C1)는 변압기(114)의 1차 코일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치(112-1) 및 보조 스위치(112-2) 각각은 MOSFET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커패시터(C1)와 보조 스위치(112-2)는 입력 직류 전압(VIN)과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변압기(114)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갖는다. 정류부(116)는 변압기(114)의 2차 코일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및 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변압기(114)의 2차 코일과 연결된 양극 및 출력부(118)와 연결된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변압기(114)의 2차 코일과 연결되는 양극 및 출력부(118)와 연결되는 음극을 가질 수 있다.
출력부(118)는 정류부(116)와 연결되며, 출력 직류 전압(VO)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18)는 정류부(116)에서 정류된 결과를 스무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18)는 인덕터(L)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PWM 신호(SC1)에 응답하여 메인 스위치(112-1)가 턴 온될 때, 입력 직류 전압원(10)으로부터의 변압기(114)의 1차 코일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변압기(114)의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에 의해 정류부(116)의 제1 다이오드(D1)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PWM 신호(SC1)에 응답하여 메인 스위치(112-1)가 턴 오프될 때, 인덕터(L)의 기전력에 의해 정류부(116)의 제2 다이오드(D2)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WM 신호(SC1)에 응답하여 메인 스위치(112-1)가 교호적으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일정한 출력 직류 전압(VO)이 변압기(114)를 통해 입력 전압원(10)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스위치(112-2)가 턴 온될 때,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에너지 즉, 전압이 충분히 클 경우, 변압기(114)의 2차 코일의 제2 다이오드(D2)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20)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에 따라 PWM 신호(SC1)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을 달리 조정하고, 조정된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을 갖는 PWM 신호(SC1)를 ACFC(110, 110A)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SC1)는 ACFC(110, 110A)의 스위칭 소자인 메인 스위치(112-1)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칭 제어부(120) 및 변환 제어부(130)의 일 실시 예(120A, 130A)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스위칭 제어부(120A)는 입력 전압 감지부(121) 및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감지부(121)는 입력 직류 전압(VIN)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변환 제어부(130) 및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스위칭 제어부(120A)는 전압 폴로워(voltage follower)(122)를 더 포함할 수 다. 전압 폴로워(122)는 제1 연산 증폭기(OP1) 및 폴로워 저항(R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OP1)의 제1 입력단자는 입력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결과와 연결되며, 폴로워 저항(RF)은 제1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자와 제2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스위칭 제어부(120A)는 신호 조정부(123) 및 클램핑(clamping)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조정부(123)는 입력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되어 전압 폴로워(122)를 경유한 감지된 결과(VINSEN)의 오프셋(offset) 및 스케일(scale)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조정부(123)는 복수의 저항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조정부(123)는 제1 내지 제4 저항(R1 내지 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저항(R1 내지 R3)은 감지된 결과(VINSEN)와 제1 기준 전압(VREF1)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된다. 즉, 제1 저항(R1)은 감지된 결과(VINSEN)와 연결되는 일측을 갖고, 제2 저항(R2)은 제1 저항(R1)의 타측과 연결되는 일측을 갖고, 제3 저항(R3)은 제2 저항(R2)의 타측과 제1 기준 전압(VREF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2 및 제3 저항(R2 및 R3) 사이의 제1 접점(CP1)과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조정부(123)에서 조정된 결과는 제1 및 제2 저항(R1 및 R2) 사이의 제2 접점(CP2)의 전압(이하, '접점 전압'이라 함)에 해당할 수 있다. 접점 전압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3
여기서, UVLO는 접점 전압을 나타내고, R1과 R2 각각은 R3 또는 R4보다 클 수 있다.
클램핑부(125)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에 따라 PWM 신호(SC1)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의 증가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클램핑부(125)는 입력 직류 전압(VIN)이 낮을 때, PWM 신호(SC1)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의 제한값의 증가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핑부(125)는 제3 다이오드(D3), 제2 연산 증폭기(OP2) 및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다이오드(D3)는 접점 전압과 연결되는 음극을 갖고, 제2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양극을 갖는다.
제2 연산 증폭기(OP2)는 제3 다이오드(D3)의 양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갖는다. 예를 들어, 클램핑부(125)는 복수의 저항으로서 제6 내지 제8 저항(R6 내지 R8)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저항(R6)은 제2 연산 증폭기(OP2)의 제1 입력 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제7 저항(R6)은 제2 연산 증폭기(OP2)의 제2 입력 단자와 제2 기준 전압(VREF2) 사이에 연결되고, 제8 저항(R8)은 제2 연산 증폭기(OP2)의 제2 입력 단자와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준 전압(VREF1, VREF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5볼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스위칭 제어부(120)는 제1 저역 통과 필터(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역 통과 필터(129)는 접점 전압과 펄스 폭 신호 생성부(127) 사이에 연결되며, 신호 조정부(123)에서 조정된 결과인 접점 전압의 저역 성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1 저역 통과 필터(129)는 제9 저항(R9) 및 제3 커패시터(C3)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저항(R9)은 접점 전압과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커패시터(C3)는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와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저역 통과 필터(129)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칭 제어부(120A)에서 신호 조정부(123), 클램핑부(125) 및 제1 저역 통과 필터(129)가 생략될 경우,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는 입력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결과(VINSEN)를 이용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SC1)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C2)를 생성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SC1)를 도 2에 도시된 메인 스위치(112-1)로 출력하고,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C2)를 보조 스위치(112-2)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 제어부(120A)가 신호 조정부(123), 클램핑부(125) 및 제1 저역 통과 필터(129)를 포함할 경우,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는 제1 저역 통과 필터(129)에서 필터링된 결과를 이용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SC1)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C2)를 생성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SC1)를 도 2에 도시된 메인 스위치(112-1)로 출력하고, 제2 스위칭 제어 신호(SC2)를 보조 스위치(112-2)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을 위해,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는 아날로그 IC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특정한 IC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SC1)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4
여기서, k는 계수를 나타내고, fosc는 펄스 폭 변조 신호(SC1)의 스위칭 주파수를 나타낸다.
전술한 수학식 1 및 2를 참조하면,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 2의 k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5
여기서, 제5 저항(R5)은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에 연결되는 저항이다. 그러나, 실시 예는 k의 특정한 값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변환 제어부(130)는 감지된 결과(VINSEN)에 응답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를 인에이블(enable)시키거나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변환 제어부(130A)는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134)는 감지된 결과(VINSEN)에 응답하여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환 제어 신호를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인에이블 단자(EN)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변환 제어부(130A)는 제2 저역 통과 필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역 통과 필터(132)는 감지된 결과(VINSEN)의 저역 성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134)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2 저역 통과 필터(132)는 제10 저항(R10) 및 제4 커패시터(C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 저항(R10)은 감지된 결과(VINSEN)와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134)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커패시터(C4)는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134)와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134)는 제2 저역 통과 필터(132)에서 필터링된 결과에 응답하여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환 제어 신호를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인에이블 단자(EN)로 출력한다.
그러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100)는 변환 제어부(130, 130A)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저역 통과 필터(132)도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100, 100A)는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및 전장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저전압 직류/직류 변환기(LDC:Low voltage DC-DC converter)에 해당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100, 100A)는 차량의 다른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와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비교하여 살펴본다.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를 통해 입력 직류 전압(VIN)과 무관한 일정한 전압이 들어온다. 이를 제외하면,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실시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와 동일하다.
먼저,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를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4 (a) 내지 (c)는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 (a)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4 (b)는 도 2에 도시된 제1 커패시터(C1)의 양단에 전압(Vcc)(이하, '클램프 전압'이라 함)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4 (c)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스위치(112-1)에 인가되는 전압(Vs)(이하, '스위칭 전압'이라 함)을 나타낸다. 도 4 (a) 내지 (c) 각각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ACFC(110, 110A)는 고밀도를 위해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는 전류 제어기로서 동작하여 ACFC(110, 110A)에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ACFC(110, 11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클램프(Active clamp) 회로를 갖기 때문에, 다음 수학식 4와 같은 클램프 전압(Vcc)과 입력 직류 전압(VIN)이 메인 스위치(112-1)에 스위칭 전압(Vs)으로서 인가되어 높은 전압 스트레스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6
여기서, D는 펄스 폭 변조 신호(SC1)의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7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로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과 무관한 전압이 들어오고, 이러한 전압을 이용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SC1)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을 결정한다. 즉,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127)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의 변동에 무관하게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이 일정한 펄스 폭 변조 신호(SC1)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높은 레벨을 갖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왜란에 의해 제어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도 4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이 커져서, 도 2에 도시된 제1 커패시터(C1) 및 메인 스위치(112-1)에서 전압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제1 커패시터(C1)와 메인 스위치(112-1) 각각의 내압을 초과할 때 ACFC(110, 110A)가 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내전압을 가지는 소자로 ACFC(110, 110A)를 구현할 경우, ACFC(110, 110A)의 제품 원가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비교 례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경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이 특정값으로서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 변동과 무관하게 일정하므로, 입력 직류 전압(VIN)의 범위가 넓은 LDC와 같은 장치에 적합하지 않다.
도 5 (a) 내지 (d)는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 (a)는 입력 직류 전압(VIN)과 PWM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로 들어오는 신호(UVLO)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5 (b)는 PWM 신호 생성부(127)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SC1)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5 (c)는 도 5 (a)에 도시된 입력 직류 신호(VIN)와 신호(UCLO)를 확대한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5 (d)는 도 5 (b)에 도시된 PWM 신호(SC1)를 확대한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5 (d)에 도시된 숫자들은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을 나타낸다.
전술한 수학식 1 및 2에서와 같이, 도 5 (a) 내지 (d)를 참조하면, 입력 직류 전압(VIN)과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서로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즉,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이 증가할수록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감소한다. 예를 들어, 입력 직류 전압(VIN)이 0볼트일 때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66%인 반면, 입력 직류 전압(VIN)이 470볼트일 때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33%로서, 입력 직류 전압(VIN)과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100)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을 갖는 PWM 신호(SC1)를 생성하여 메인 스위치(112-1)를 스위칭하므로, ACFC(110, 110A)의 제1 커패시터(C1)의 내압이 초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특징을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 (a) 내지 (e)는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에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 (a)는 입력 직류 전압(VIN)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6 (b)는 PWM 신호 생성부(127)의 입력단자(IN)로 들어오는 신호(UVLO)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6 (c)는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의 제한값을 나타내고, 도 6 (d)는 제1 커패시터(C1)에 걸리는 클램프 전압(Vcc)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6 (e)는 메인 스위치(112-1)로 인가되는 스위칭 전압(Vs)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 (a) 내지 (e) 각각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레벨을 나타낸다.
도 6 (a)에 도시된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이 100V 내지 240V로서 낮은 영역에서, 클램핑부(125)에 의해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의 제한값이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68%로 고정되며, 도 6 (a)에 도시된 입력 직류 전압(VIN)에 비례하여 도 6 (d)에 도시된 클램프 전압(Vcc)와 도 6 (e)에 도시된 스위칭 전압(Vs)이 변동한다.
그러나, 도 6 (a)에 도시된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이 240V 내지 500V로서 높은 영역에서, 입력 직류 전압(VIN)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의 제한값이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한다. 따라서, 입력 직류 전압(VIN)에 비례하여 도 6 (d)에 도시된 클램프 전압(Vcc)과 도 6 (e)에 도시된 스위칭 전압(Vs)이 변동되지 않으며, 특정값으로 제한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 례 대비, 실시 예에 의할 경우, 도 6 (d)에 도시된 클램프 전압(Vcc)과 도 6 (e)에 도시된 스위칭 전압(Vs)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d)에 도시된 클램프 전압(Vcc)은 비교 례의 경우 약 650볼트이고 실시 예의 경우 약 500볼트로서 150볼트 감소하고, 도 6 (e)에 도시된 스위칭 전압(Vs)은 비교 례의 경우 약 1100볼트이고 실시 예의 경우 약 850볼트로서 250볼트 감소한다.
결국,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100)가 예를 들어 LDC에 사용될 때, 입력 직류 전압(VIN)의 레벨에 따라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Dmax)이 제한되므로, 입력 직류 전압(VIN)과 출력 직류 전압(VO)의 급격한 변동이나 왜란 및 신호 잡음 등에 의한 제어 이상 발생 시에도, 클램프 전압(Vcc) 및 스위칭 전압(Vs)의 스트레스를 제한하여 ACFC(110, 110A)가 소손됨을 방지함으로써 LDC가 입력 직류 전압(VIN)과 출력 직류 전압(VO)의 왜란 및 신호 잡음에 강건하여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ACFC(110, 110A)에 포함된 소자들이 낮은 내전압을 가져도 되므로, 부품 원가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는 액티브 클램프를 적용한 모든 토폴로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왜란 및 제어 이상에 대한 고장 진단이 가능하고 재기동이 가능하며,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LDC 고장에 의한 차량 정지 등을 예방하여 운전자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110, 110A: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ACFC)
114: 변압기 116: 정류부
118: 출력부 120, 120A: 스위칭 제어부
121: 입력 전압 감지부 122: 전압 폴로워
123: 신호 조정부 125: 클램핑부
127: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 129: 제1 저역 통과 필터
130, 130A: 변환 제어부 132: 제2 저역 통과 필터

Claims (11)

  1.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가 교호적으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고, 변환된 레벨을 갖는 출력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및
    상기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달리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갖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상기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입력 직류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
    상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
    상기 감지된 결과의 오프셋 및 스케일을 조정하는 신호 조정부; 및
    상기 입력 직류 전압의 레벨에 따라 상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의 증가를 제한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갖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2차 코일과 연결된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 코일과 직렬 연결되며,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메인 스위치; 및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 연결되며,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 코일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입력 직류 전압과 병렬 연결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정부는
    상기 감지된 결과와 제1 기준 전압 사이에서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내지 제3 저항들; 및
    상기 제2 및 제3 저항 사이의 접점과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된 결과는 상기 제1 및 제2 저항 사이의 접점 전압에 해당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전압은 아래와 같은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8

    (여기서, UVLO는 상기 접점 전압을 나타내고, VINSEN은 상기 감지된 결과를 나타내고, VREF1은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나타내고, R1, R2, R3 및 R4는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저항을 각각 나타내고, R1과 R2 각각은 R3 또는 R4보다 크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상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은 아래와 같은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Figure 112018009875114-pat00009

    (여기서, Dmax는 상기 최대 스위칭 듀티 사이클에 해당하고, k는 계수를 나타내고, fosc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스위칭 주파수를 나타낸다.)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접점 전압과 연결되는 음극을 갖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양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6 저항;
    상기 연산 증폭기의 제2 입력 단자와 제2 기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7 저항;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제2 입력 단자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된 제8 저항을 포함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신호 조정부에서 조정된 결과의 저역 성분을 필터링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로 출력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부를 인에이블시키거나 디스에이블시키는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제어부는
    감지된 결과의 저역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및
    제2 저역 통과 필터에서 필터링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 제어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KR1020180010595A 2018-01-29 2018-01-29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KR10205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95A KR102050744B1 (ko) 2018-01-29 2018-01-29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95A KR102050744B1 (ko) 2018-01-29 2018-01-29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07A KR20190091707A (ko) 2019-08-07
KR102050744B1 true KR102050744B1 (ko) 2019-12-02

Family

ID=6762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95A KR102050744B1 (ko) 2018-01-29 2018-01-29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7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390B2 (en) 2010-08-03 2014-04-01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ctive clamp DC-DC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474B1 (ko) * 2009-03-05 2016-03-10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보호 회로, 이를 포함하는 공진형 컨버터 및 그 보호 방법
KR20130083536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390B2 (en) 2010-08-03 2014-04-01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ctive clamp DC-DC conver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8273/D DATASHEET. ON Semiconductor.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07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0181B2 (ja)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伝達制御用半導体装置
US8106640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150180325A1 (en) Electrolytic capacitor-less ac/dc conver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I516007B (zh) DC power supply unit
US20140347767A1 (en) Power converter with switching element
JP677826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TW201005461A (en) Voltage reg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687702B (zh) Dc-dc转换器
CN111654189B (zh) 谐振式电源转换装置
US8854021B2 (en) DC-DC converter and DC-DC conversion method
KR101183493B1 (ko) 직류전원장치
US9407140B2 (en) Voltage detection method and circuit and associated switching power supply
US9343973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6414861B1 (en) DC-DC converter
US20110051462A1 (en) Power factor improvement circuit
CN116131639A (zh) 短路保护电路及开关电源
US9444352B2 (en) Current resonance type power supply device
KR101350323B1 (ko)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
US8335094B2 (en) Power frequency converter
JP2015053225A (ja) Led駆動回路
US9577535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102050744B1 (ko) 차량용 직류/직류 변환 장치
KR101301879B1 (ko) 평활필터 기능을 갖는 직류용 고장전류제한기
JP4836980B2 (ja) Dc/dc電力変換装置
US20220077789A1 (en) Hv/mv/lv dc/dc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