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412B1 -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412B1
KR102050412B1 KR1020170086904A KR20170086904A KR102050412B1 KR 102050412 B1 KR102050412 B1 KR 102050412B1 KR 1020170086904 A KR1020170086904 A KR 1020170086904A KR 20170086904 A KR20170086904 A KR 20170086904A KR 102050412 B1 KR102050412 B1 KR 10205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vement
piezoelectric
carbon
microcurren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213A (ko
Inventor
정원석
이희영
박성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4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2Hollow or porous granular materials
    • C04B20/0036Microsized or nanosiz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2Mixtures or their components, e.g. aggreg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90Electr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탄소나노소재를 포함하며 포장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전극과, 콘크리트 포장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미세전류를 증폭시켜 저장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PIEZOELECTRIC CONCRETE PAVMENT SYSTEM USING CARBON NANOMATERIAL}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에너지는 핵심동력으로 수력, 화석연료, 핵연료 등 다양한 형태에서 얻어지며 배터리등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에너지 원료가 고갈되고 기존 연료 등은 공해물질을 발생시키는 바, 깨끗하고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인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태양광, 진동, 열, 풍력 등과 같이 자연적인 에너지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수확하는 기술을 총칭하는 말이다.
소형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으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발전, 기계적인 에너지를 이용한 압전발전, 기계적인 운동과 전자기적현상을 이용한 발전 및 용량성(capacitive) 발전,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등이 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주어진 자연환경에 적합한 방법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 진동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은 기계적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로 주변에 존재하는 미세 진동 등 미세한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모성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무한히 추출할 수 있는 에너지 개념이다. 이러한 기계적 진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는 정전기 효과, 전자기 효과, 압전 효과 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특히 물질에 힘을 가하였을 때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인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은 상대적으로 변환 효율이 크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가장 많은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분야다.
압전 효과 등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중, 하나의 시도는 자동차 도로와 관련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 도로 등에 압전 발전기를 매설한 후, 상기 자동차 도로 위를 지나가는 차량, 자동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압전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로에 압전 발전기를 매설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도로를 이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6078호 (2017.03.08 공개)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를 포함하여 압전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포장을 통해 압전 에너지하베스팅을 할 수 있는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골재 62.5wt%, 시멘트 25wt%, 물 12.5wt%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소재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가 혼입되어 형성되어 도로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포장과, 상기 콘크리트 포장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전극과, 상기 콘크리트 포장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콘크리트 포장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상부 전극 및/또는 하부 전극으로부터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미세전류증폭기와, 미세전류를 직류로 변화시켜 배터리에 충전하는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포장으로부터 발생하는 미세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재활용 가능한 에너지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탄소양자점, 풀러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카바이드 유도 탄소로 형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콘크리트 포장 내부에 매립되거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미세전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포장의 응력 변화를 산출하는 응력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탄소나노소재를 포함하여 압전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포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 상에 차량 등에 의해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면 미소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고, 공진회로를 통해 이러한 미소 전기에너지를 증폭 및 저장함으로써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포장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탄소나노소재를 혼입시켜 압전 특성을 발휘하게 하는 바, 별도 제작된 압전 발전기(압전소자)를 도로에 매설하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서 콘크리트 포장 및 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MWCNT 함량 0.1wt% 휨강도 시편의 시간-저항 그래프(도 3a)와 시간-하중 그래프(도 3b)이다.
도 4는 MWCNT 함량 1.0wt% 휨강도 시편의 시간-저항 그래프(도 4a)와 시간-하중 그래프(도 4b)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서 콘크리트 포장(110) 및 전극(120,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콘크리트 포장(110)과,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과, 회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포장(110)은 도로나 공항의 활주로 등 하중이 작용하거나 교통량이 많은 구간에 시공되는 것으로, 포장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응력이 변화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110)은 콘크리트 포장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탄소나노소재(112)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탄소나노소재(112)는 탄소양자점(또는 탄소오니언), 풀러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카바이드 유도 탄소로 형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다만, 탄소나노소재(112)는 상기 나열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탄소계이며, 나노크기의 입자를 가진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나열된 탄소나노소재(112)를 간략히 소개하면, 탄소양자점(또는 탄소오니언)은 진공이나 불활성 기체에서 나노다이아몬드를 어닐링하면서 얻어진 수 나노미터의 지름을 가진 나노입자다. 풀러렌은 탄소 분자 60개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으로(C60) 진공이나 불활성 기체에서 흑연을 기화시켜 형성된 기체를 응축시켜 수득할 수 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각 모서리를 차지하는 6각형 벌집 모양이 기본 단위를 무수히 연결하여 평면 상태로 펼쳐 놓은 2차원 결정체이다. 탄소나노리본은 그래핀을 리본 형태로 만든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원기둥 모양의 나노구조를 지니는 탄소 동소체이다.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카바이드 유도 탄소는 카바이드로부터 금속의 추출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112)를 제조하거나 수득하는 방법과는 관련성이 적으므로 탄소나노소재(112)의 각 제조법 내지 수득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서 탄소나노소재(112)들은 통상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상용화 제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탄소나노소재(112)는 나노 크기의 입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콘크리트 조성물(111)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콘크리트 조성물(111)은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두가지 형태로 제작 될 수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 물/시멘트 비 0.45 기준으로 굵은 골재 34.8wt%, 잔골재 43.3wt%, 시멘트 15.1wt% 물 6.8wt%를 포함할 수 있다. 모르타르의 경우 물/시멘트 비 0.5 기준으로 골재 62.5wt%, 시멘트 25wt%, 물 12.5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111)의 상술한 두 가지 형태에 있어서,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탄소나노소재 0.2~2 중량부 및 혼화재(기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 2~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량이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2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압전 특성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량이 2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전체 콘크리트 조성물(111)의 불균일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콘크리트 포장(110)은 상술한 것과 같은 조성을 통상의 믹서기를 통해 혼합시킨 후에 일정 기간의 양생 과정(예컨대 28일)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콘크리트 조성물(111)에 혼입되는 골재의 표면을 탄소나노소재(112)로 코팅한 후에, 코팅된 골재를 혼입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코팅 방법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탄소나노소재(112)를 적절한 용매에 분산시킨 후 골재 상에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분사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조성물(111)에 탄소나노소재(112)를 포함시킴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110)은 포장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 특성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포장면에 작용하는 하중은 포장면을 지나는 차량(10) 또는 항공기 등에 의해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중은 포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다(도 1의 차량(10) 하부 화살표 참고). 나아가 포장면에 하중이 작용하면 콘크리트 포장(110)에는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상술한 것처럼 콘크리트 포장(110)은 탄소나노소재(112)를 포함하는 바, 탄소나노소재(112)로 인해 발현되는 압전 특성에 의해 미세전류(또는 미소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부 전극(120)은 콘크리트 포장(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부 전극(130)은 콘크리트 포장(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은 콘크리트 포장(110)에서 압전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별도의 리드선(미도시)등을 통해 회로부(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은 회로부(140)에 포함되는 배터리(144)의 각 극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은 통상의 전극 소재(예컨대 구리선)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메쉬망(mesh network)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140)는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미세전류를 증폭시키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회로부(140)는 미세전류증폭기(141),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142) 및 배터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전류증폭기(141)는 콘크리트 포장(110)으로부터 발생된 미세전류를 상부 전극(120) 및/또는 하부 전극(130)으로부터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기능을 한다. 콘크리트 포장(110)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미세전류증폭기(14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142)는 상기 미세전류를 직류로 변화시켜 배터리(143)에 충전하는 기능을 한다. 배터리(143)는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142)의 회로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143)는 슈퍼 캐패시터나 2차전지일 수 있다.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142)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통상적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142)는 상기 미세전류가 정류장치(다이오드)를 거쳐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변환하고, 이를 직류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캐패시터(평활화 캐패시터)를 연결하여 평활시키고 정전압회로를 통해 정전압원으로 변환시켜 배터리(부하)에 충전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부(140)는 콘크리트 포장(110) 내부에 매립될 수 있으며, 또는 콘크리트 포장(11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상부 전극(120) 및 하부 전극(130)의 일부가 콘크리트 포장(110)의 외부(예컨대 포장면)로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회로부(140)는 응력산출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력산출부(144)는 회로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미세전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저항값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110)의 응력 변화를 산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회로부(140)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미소전류 데이터를 응력산출부(144)로 전송할 수 있다. 응력산출부(144)는 상기 미소전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소전류 데이터에 따른 저항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저항값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110)의 응력 변화를 분석하여 응력 변화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응력 변화 데이터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11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응력산출부(144)는 데스크탑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폰 등일 수 있다. 응력산출부(144)의 상기 응력 변화 데이터 처리, 하중의 크기 추정 등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크리트 포장(110)은 도로나 공항의 활주로에 시공될 수 있으며,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10)이 활주로의 경우에는 항공기 등이 콘크리트 포장(110)의 포장면 위를 지나갈 수 있다. 이 때, 콘크리트 포장(110)의 포장면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콘크리트 포장(110)이 응력이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포장(110)에 혼입되어 있는 탄소나노소재(112)의 압전 특성에 의해 미세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발생된 미세전류는 상부전극(120), 하부전극(130)을 통해 회로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회로부(140)의 미세전류증폭기(141)를 통해 상기 미세전류가 증폭되며,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142)를 통해 배터리(143)에 충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 의하면 콘크리트 포장(110)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를 증폭 및 저장함으로써 활용 가능한 에너지원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의 사용예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사용예에 있어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고 저장되는 전기에너지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 등에 전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사용예에 있어서, 콘크리트 포장에 혼입되는 탄소나노소재는 전기전도성이 높아 도체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자기발열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포장의 자기발열 기능을 통해 콘크리트 포장도로 등에 폭설이나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콘크리트 포장의 자기발열 기능 구현을 위한 전기 공급원으로써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고 저장되는 전기에너지가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예에 있어서, 상술한 것과 같이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회로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응력산출부(144)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11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포장(110)의 포장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과적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적차량의 단속 내지 과적차량으로 인한 도로 파손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 청구 등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탄소나노소재를 포함하여 압전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포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 상에 차량 등에 의해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면 미소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고, 공진회로를 통해 이러한 미소 전기에너지를 증폭 및 저장함으로써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포장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탄소나노소재를 혼입시켜 압전 특성을 발휘하게 하는 바, 별도 제작된 압전 발전기(압전소자)를 도로에 매설하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시험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시험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서 콘크리트 포장이 압전 특성을 보이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시멘트 모르타르 휨강도 시편의 하중재하에 따른 압전 전기저항 특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물/시멘트비(W/C)는 0.5, 재령일은 7일로 고정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mm×50mm×50mm의 정육면체 사이즈 공시체에 직경 1mm, 간격 10mm의 철망형태의 전극을 양생 시 공시체에 삽입하여 제작하였다. 시멘트 모르타르는 골재 62.5wt%, 시멘트 25wt%, 물 12.5wt%를 포함하였으며, 탄소나노소재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선택하고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실시예 1, 0.1wt%) 및 1 중량부(실시예 2, 1.0 wt%)를 각각 포함하였다. 하중재하는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MTS 815)을 이용하여 재하하였으며, 철망 형태의 전극을 디지털멀티미터(DMM)에 연결하여 하중 재하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즉 하중이 재하 되는 시점에서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여 압전 특성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관련하여, 도 3은 MWCNT 함량 0.1wt% 휨강도 시편의 시간-저항 그래프(도 3a)와 시간-하중 그래프(도 3b)이며, 도 4는 MWCNT 함량 1.0wt% 휨강도 시편의 시간-저항 그래프(도 4a)와 시간-하중 그래프(도 4b)이다. 도 3a 및 도 4a에서 X축은 시간(단위: sec), Y축은 저항(단위: Ω)이다. 또한 도 3b 및 도 4b에서 X축은 시간(단위: sec), Y축은 하중(단위: kN)이다.
도 3, 4를 참조하면, 하중이 재하 되는 시점(도 3b, 도 4b 참고) 휨강도 시편의 전기 저항값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에서 콘크리트 포장이 압전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10: 콘크리트 포장
111: 콘크리트 조성물
112: 탄소나노소재
120: 상부전극
130: 하부전극
140: 회로부

Claims (5)

  1. 골재 62.5wt%, 시멘트 25wt%, 물 12.5wt%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소재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가 혼입되어 형성되어 도로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포장과,
    상기 콘크리트 포장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전극과,
    상기 콘크리트 포장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콘크리트 포장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상부 전극 및/또는 하부 전극으로부터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미세전류증폭기와, 미세전류를 직류로 변화시켜 배터리에 충전하는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포장으로부터 발생하는 미세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재활용 가능한 에너지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탄소양자점, 풀러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카바이드 유도 탄소로 형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콘크리트 포장 내부에 매립되거나, 외부에 설치되는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미세전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포장의 응력 변화를 산출하는 응력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KR1020170086904A 2017-07-10 2017-07-10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KR10205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04A KR102050412B1 (ko) 2017-07-10 2017-07-10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904A KR102050412B1 (ko) 2017-07-10 2017-07-10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213A KR20190006213A (ko) 2019-01-18
KR102050412B1 true KR102050412B1 (ko) 2019-11-29

Family

ID=6532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904A KR102050412B1 (ko) 2017-07-10 2017-07-10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7886A (zh) * 2019-01-23 2019-07-09 山东建筑大学 一种水泥基传感元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446B1 (ko) * 2014-10-30 2015-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전성 섬유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08A (ko) * 2015-04-07 2016-10-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조벤젠 결합 pvdf필름을 이용하는 발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57109B1 (ko) 2015-08-26 2017-07-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용 압전 하베스팅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446B1 (ko) * 2014-10-30 2015-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전성 섬유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213A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A soft magnetoelastic generator for wind‐energy harvesting
Iqbal et al. Vibration‐based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and hybrid energy harvesters for microsystems applications: A contributed review
Han et al. Si@ void@ C nanofibers fabricated using a self-powered electrospinning system for lithium-ion batteries
US6559550B2 (en) Nanoscale piezoelectric generation system using carbon nanotube
Li et al. A droplet-based electricity generator for large-scale raindrop energy harvesting
Song et al. Road energy harvester designed as a macro-power source using the piezoelectric effect
Tian et al. Flexible electrostatic nanogenerator using graphene oxide film
Jeong et al. Large‐area and flexible lead‐free nanocomposite generator using alkaline niobate particles and metal nanorod filler
Yang et al. Semiconductor-based dynamic heterojunctions as an emerging strategy for high direct-current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Jiang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rom traffic-induced pavement vibrations
US10875809B2 (en) Electron conducting carbon-based cement
Ren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based on fluorinated wasted rubber powder for self-powering application
CN1724346A (zh) 碳纳米管微纤维
KR101529814B1 (ko) 하이브리드 발전소자
Farcas et al. Heating and de-icing function in conductive concrete and cement paste with the hybrid addition of carbon nanotubes and graphite products
Wang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erformance of road spring-type piezoelectric transducer for energy harvesting
JP6884814B2 (ja) 発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Liu et al. Hydrocapacitor for harvesting and storing energy from water movement
KR102050412B1 (ko)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압전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
CN106655878B (zh) 一种发电机
CN113708658B (zh) 同时提升复合型发电机压电和摩擦电换能效率的方法
Yang et al. A spring-connected nanogenerator based on ZnO nanoparticles and a multiwall carbon nanotube
Li et al. Rota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a PDMs@ cs composite material
CN102938622A (zh) 一种压电俘能单元
CN109301060A (zh) 一种复合气凝胶热电材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