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903B1 -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903B1
KR102049903B1 KR1020170156430A KR20170156430A KR102049903B1 KR 102049903 B1 KR102049903 B1 KR 102049903B1 KR 1020170156430 A KR1020170156430 A KR 1020170156430A KR 20170156430 A KR20170156430 A KR 20170156430A KR 102049903 B1 KR102049903 B1 KR 10204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sition
herbal
medicinal her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966A (ko
Inventor
한상덕
한대희
한준희
Original Assignee
한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덕 filed Critical 한상덕
Priority to KR102017015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9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주름개선 및 검버섯이 개선되는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0); 한약재 조성물이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S120); 및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COSMETICS COMPRISING MEDICINAL HERB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백, 주름개선 및 검버섯 등이 개선되는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皮膚)는 체내의 근육들과 기관을 보호하는 다수의 상피 조직으로 이루어진 외피 체계에서 가장 큰 조직으로 살갗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피부는 인종에 따라 멜라닌 세포가 활동 여부에 따라 흑갈색의 색소를 형성하며,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에 따라 피부 유형이 건성, 중성, 지성, 복합성 및 민감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었다.
특히 피부는 외부 환경에 노출 되었을 때, 병원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열과 체온 조절, 감각 그리고 비타민D 합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환경의 변화,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 공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 화장 습관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으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자주 발생하면서 피부 건강에 관한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주의를 중요시 생각하여 자연친화적이며, 체질자체를 치유한다는 동양적 식생활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눈길을 돌리기 시작하여 한방화장품에 관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231호(이하 ‘선행문헌 1’),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864252호(이하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692호(이하 ‘선행문헌 3’)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46722호(이하 ‘선행문헌 4’)가 있다.
선행문헌 1은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천연물을 약용 잎으로 싸거나 덮어서 발효시킨 후 추출하여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 1의 발명은 쥐눈이콩을 뽕잎에 싸거나 산수유를 연꽃잎으로 감싸 발효하여 추출물을 화장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천연물 추출물의 혼합하여 제조된 화장료의 효능을 알 수 없다.
선행문헌 2는 포제를 활용한 약용 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약용 식물을 가공 후,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4는 미백 화장료로 야생고구마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 2 및 4의 발명은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서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있으나 이러한 추출 방법은 화장료에 잔류하여 피부질환자나 민감성 피부를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
선행문헌 3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으로 피부 미용에 효능이 있는 여러 가지 씨 등의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 3의 발명은 피부를 자극 시키는 박하와 피부를 썩게 만드는 석회가 함유되어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물질로 제조되어 실용하기 불가능하다.
<선행기술문헌>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231호
(선행문헌 2)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864252호
(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692호
(선행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4672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약재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거부감과 사용에 따른 과민 반응 현상, 피부 트러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들이 사용가능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의 제형을 달리하여, 화장수, 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또는 분무제 등의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켜 미백, 주름개선 및 검버섯이 개선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이 부피부로 흑축 3~8부, 인진쑥 4~10부, 토사자 9~15부, 삼백초 10~16부, 율무 5~11부, 녹두 7~13부, 녹차잎 7~13부, 누에 2~8부, 복분자 7~13부, 녹용 1~6부 및 인삼 7~13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은 입자 크기가 100~200mesh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이 0~7℃에서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은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0); 한약재 조성물이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S120); 및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0)는 한약재 조성물이 부피부로 흑축 3~8부, 인진쑥 4~10부, 토사자 9~15부, 삼백초 10~16부, 율무 5~11부, 녹두 7~13부, 녹차잎 7~13부, 누에 2~8부, 복분자 7~13부, 녹용 1~6부 및 인삼 7~13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이 입자 크기가 100~200mesh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이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S120)는 한약재 조성물 1부피부에 대하여 물이 3~7부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키는 단계(S130)는 한약재 조성물이 0~7℃에서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없으며, 사용에 따른 과민 반응 현상, 피부 트러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들이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의 제형을 달리하여, 화장수, 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또는 분무제 등의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켜 미백, 주름개선 및 검버섯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한약재 조성물이 발효된 것이다.
도 4는 발효된 한약재 조성물이 여과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발효된 화장료가 여과되기 전·후를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사용 전·후를 통해 미백을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사용 전·후를 통해 주름 개선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사용 전·후를 통해 검버섯 개선을 비교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S100: 한약재 조성물이 분쇄되는 단계
S110: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
S115: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
S120: 한약재 조성물이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
S130: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성물의 함량 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부피부”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0)
한약재 조성물은 입자 크기가 100~200mesh의 분말인 것을 준비하며, 바람직하게는 120~180mesh, 더 바람직하게는 140~160mesh,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mesh로 준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약재 조성물이 과 발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자 크기가 100mesh 이상이어야 하며, 발효가 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자 크기가 200mesh 이하이어야 한다.
분말 형태의 한약재 조성물은 일정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약재 조성물은 부피부로 흑축 3~8부, 인진쑥 4~10부, 토사자 9~15부, 삼백초 10~16부, 율무 5~11부, 녹두 7~13부, 녹차잎 7~13부, 누에 2~8부, 복분자 7~13부, 녹용 1~6부 및 인삼 7~13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약재 조성물이 흑축 4~7부, 인진쑥 5~9부, 토사자 10~14부, 삼백초 11~15부, 율무 6~10부, 녹두 8~12부, 녹차잎 8~12부, 누에 3~7부, 복분자 8~12부, 녹용 2~5부 및 인삼 8~12부가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한약재 조성물이 흑축 5부, 인진쑥 7부, 토사자 12부, 삼백초 13부, 율무 8부, 녹두 10부, 녹차잎 10부, 누에 5부, 복분자 10부, 녹용 3부 및 인삼 10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흑축은 나팔꽃 씨를 말린 것으로 기미 제거, 미백, 모공 축소에 효과적이다.
상기 인진쑥은 비타민 A가 풍부하여 피부에 탄력을 주고, 윤기가 흐르게 해준다.
상기 토사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상기 삼백초는 피부가 진정되는 효과가 있어 피부트러블과 여드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율무는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여 미백에 효과가 있다.
상기 녹두는 해독 작용이 있어 피지와 피부 노폐물이 제거되며, 찬 성질로 피부 온도를 내려준다.
상기 녹차잎은 피부 진정 효과가 있으며, 피부의 피지 분비를 줄이고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미백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누에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복분자는 각종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
상기 녹용은 영양을 피부에 공급해주어 피부 탄력감이 좋아지고, 피부가 맑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인삼은 사포닌 성분으로 인해 새로운 피부 세포가 생성되어 피부에 탄력을 주고, 각질이 제거되어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삼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홍삼으로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2) 한약재 조성물이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S120)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0)에서 혼합된 한약재 조성물은 한약재의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탕으로 제조되기 위해서는 부피부로 용구에 혼합된 한약재 조성물 1부에 대하여 물 3~7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4~6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물은 탕 제조 시에 한약재 조성물이 타지 않기 위해서 3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며, 한약재 조성물이 너무 불어나지 않기 위해서 7부 이하가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한약재 조성물이 최적의 조건으로 발효되기 위해서는 혼합된 한약재 조성물 1부에 대하여 물 5부가 포함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용구는 냄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구의 재질은 무쇠, 알루미늄, 구리 및 스테인리스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열 보존 율이 높은 무쇠 또는 가장 위생적이며 안전한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물이 포함된 한약재 조성물을 탕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 조건은 저온에서 8시간 이하로 끓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조건은 10~60℃에서 2~8시간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50℃에서 3~7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30~40℃에서 4~6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에서 5시간 가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60℃가 넘는 조건에서 한약재 조성물을 가열할 경우 한약재의 고유한 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며, 10℃ 미만 조건에서는 한약재 조성물의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기 어렵다.
또한, 8시간 초과 조건에서 가열될 경우 한약재 고유 성분이 변성될 수 있으며, 2시간미만 조건에서 가열될 경우 한약재 고유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아 주름 제거 효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3)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키는 단계(S130)
한약재 조성물이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S120)에서 탕으로 제조된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탕으로 제조된 한약재 조성물을 발효시키기 위해서 실온에서 식힌 후에 용기에 담아 밀폐시켜 저온에서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소독 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발효과정 중에 발생되는 곰팡이, 발효 저해균 등의 생장으로 인해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용기 밀폐 시에 용기 입구에 소독된 천을 이용하여 낙하되는 미생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천은 삼베, 린넨, 무명 또는 광목 등 다양한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베 또는 광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발효 조건은 0~7℃에서 4~8개월 숙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에서 5~7개월, 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6개월 숙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0℃ 미만 조건에서 숙성될 경우 미생물의 생장 속도가 저하되어 발효가 어렵고, 7℃ 초과 조건에서 숙성될 경우 발효 저해균 생장으로 과 발효될 수 있다.
또한, 4개월 미만 조건에서 숙성될 경우 발효가 충분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8개월 초과 조건에서 숙성될 경우 과 발효 될 수 있다.
발효가 완료된 한약재 조성물은 위에는 맑은 물로 아래는 한약재가 침전되어 2개의 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는 도 3과 같이 분리된 2개의 층을 다시 혼합한 한약재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피부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도 4와 같이 위에 뜬 맑은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장료는 피부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또는 분무제 등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과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발효된 화장료가 여과되기 전·후를 비교한 것이다.
상기 위에 뜬 맑은 물만을 사용하기 위해서 여과될 수 있으며, 여과에 사용되는 도구는 천, 거름종이, 거름망, 거름채 등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과 시 사용되는 도구의 소재는 섬유, 플라스틱, 금속 등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섬유가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천은 삼베, 린넨, 무명 또는 광목 등 다양한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베 또는 광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효가 완료된 한약재 조성물의 맑은 물과 침전물을 여과하기 위해서 천의 조직 단위 크기는 210~250mesh, 바람직하게는 230mesh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천의 조직 단위 크기가 210mesh 미만일 경우 한약재 조성물의 입자 크기가 최대 200mesh로 여과 시에 물과 침전물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S110) 전에 한약재 조성물이 분쇄되는 단계(S1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한약재 조성물이 분쇄되는 단계(S100)
한약재 조성물은 건조된 것을 사용하며, 발효 시에 약재 각각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위해서 분쇄 될 수 있다.
한약재 조성물로 사용되는 흑축, 인진쑥, 토사자, 삼백초, 율무, 녹주, 녹차잎, 누에, 복분자, 녹용 및 인삼을 각각 분쇄 도구에 넣고 분쇄될 수 있다.
상기 분쇄 도구는 한약분쇄기, 믹서기, 절구 또는 미분쇄기 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약분쇄기 또는 미분쇄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 각각의 입자 크기가 100~200mesh의 분말로 분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0~180mesh, 더 바람직하게는 140~160mesh,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mesh로 분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약재 조성물이 과 발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자 크기가 100mesh 이상이어야 하며, 발효가 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자 크기가 200mesh 이하이어야 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1단계(S110) 후에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은 해초, 맥반석, 백복령, 율피, 감초, 당귀, 느릅나무껍질, 사시, 백지, 치자, 다시마, 어성초 또는 솔잎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입자 크기와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1)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5)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혼합된 한약재 조성물 1부피부에 대하여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0.1~2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0.5~1부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7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0.5부 미만 포함될 경우 충분한 약재 효능이 나타나기 어려우며,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1부 초과 포함될 경우 <실시예 1>의 한약재 조성물의 효능이 떨어질 수 있다.
추후 제조방법은 <실시예 1>의 2)단계(S120) 내지 3단계(S130)와 동일하게 진행되어 기타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더 포함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사용하여 미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왼손에만 도포하여 가볍게 문지른 후 두드리듯 흡수시켰으며, 오른손은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사용 전·후를 통해 미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6을 살펴보면, 화장료 사용 전인 오른손 보다 화장료를 사용한 왼손이 더 밝아진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미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사용하여 주름개선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왼손에만 도포하여 가볍게 문지른 후 두드리듯 흡수시켰으며, 오른손은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사용 전·후를 통해 주름 개선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주름은 화장료 사용 전인 오른손에 비하여 화장료를 사용한 왼손이 주름이 제거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사용하여 검버섯 개선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얼굴에 도포하여 가볍게 문지른 후 두드리듯 흡수시켰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사용 전·후를 통해 검버섯 개선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8을 살펴보면, 검버섯은 화장료 사용 후에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 전보다 얼굴 톤이 밝아진 것을 통해 미백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화장료의 보습력 유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험자들에게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끈적임, 발림성, 흡수성 등을 관능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은 20~50세의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5점: 아주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아주 나쁨).
<비교예 1>은 한약재 조성물의 입자크기가 50mesh의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탕 제조 후에 실온에서 식히지 않고 발효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관능 평가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7116385411-pat00001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조된 화장료는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실시예 1의 여과 된 화장료는 7개의 항목에서 모두 우수한 성적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화장료가 2순위로 우수하고, 실시예 1의 화장료가 3순위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으로 미백, 주름개선 및 검버섯이 개선되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8)

  1. 입자 크기가 100 내지 200mesh의 분말인 한약재 조성물이 부피부로 흑축 3 내지 8부, 인진쑥 4 내지 10부, 토사자 9 내지 15부, 삼백초 10 내지 16부, 율무 5 내지 11부, 녹두 7 내지 13부, 녹차잎 7 내지 13부, 누에 2 내지 8부, 복분자 7 내지 13부, 녹용 1 내지 6부 및 인삼 7 내지 13부가 포함되는 한약재 조성물 1부피부에 대하여,
    해초, 맥반석, 백복령, 율피, 감초, 당귀, 느릅나무껍질, 사시, 백지, 치자, 다시마, 어성초 또는 솔잎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되는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0.1 내지 2부피부가 혼합되고,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된 한약재 조성물 1부피부에 대하여 물 3 내지 7부피부가 포함되어 10 내지 60℃에서 2 내지 8시간 가열하여 탕으로 제조된 후, 0 내지 7℃에서 4 내지 8개월 숙성되어 발효되고,
    위에 뜨는 맑은 물을 사용하기 위해 발효된 한약재 조성물이 210 내지 250mesh로 여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2. 삭제
  3. 삭제
  4. 흑축, 인진쑥, 토사자, 삼백초, 율무, 녹주, 녹차잎, 누에, 복분자, 녹용 및 인삼을 포함하는 한약재 조성물이 100 내지 200mesh 입자 크기로 분쇄되는 단계(S100);
    부피부로 흑축 3 내지 8부, 인진쑥 4 내지 10부, 토사자 9 내지 15부, 삼백초 10 내지 16부, 율무 5 내지 11부, 녹두 7 내지 13부, 녹차잎 7 내지 13부, 누에 2 내지 8부, 복분자 7 내지 13부, 녹용 1 내지 6부 및 인삼 7 내지 13부가 포함되는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되는 단계(S110);
    한약재 조성물 1부피부에 대하여,
    해초, 맥반석, 백복령, 율피, 감초, 당귀, 느릅나무껍질, 사시, 백지, 치자, 다시마, 어성초 또는 솔잎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되는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0.1 내지 2부피부가 혼합되는 단계(S115);
    분말된 한약재 조성물이 혼합된 한약재 조성물 1부피부에 대하여 물이 3 내지 7부피부가 포함되어 10 내지 60℃에서 2 내지 8시간 가열하여 탕으로 제조되는 단계(S120);
    탕으로 제조된 한약재 조성물이 0 내지 7℃에서 4 내지 8개월 숙성되어 발효되는 단계(S130); 및
    위에 뜨는 맑은 물을 사용하기 위해 발효된 한약재 조성물이 210 내지 250mesh로 여과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56430A 2017-11-22 2017-11-22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30A KR102049903B1 (ko) 2017-11-22 2017-11-22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30A KR102049903B1 (ko) 2017-11-22 2017-11-22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66A KR20190058966A (ko) 2019-05-30
KR102049903B1 true KR102049903B1 (ko) 2019-11-28

Family

ID=6667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30A KR102049903B1 (ko) 2017-11-22 2017-11-22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9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307A (ko) * 2004-04-13 2005-10-18 이명엽 한방 맛사지 팩의 제조방법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229927B1 (ko) * 2009-12-15 2013-02-05 이정호 잠사 추출물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66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1228B (zh) 一种具有嫩白抗皱功效的大花红景天眼霜
CN102641233B (zh) 一种具有嫩白保湿功效的大花红景天面膜
CN102670447B (zh) 一种用于头发护理的天然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CN104784507A (zh) 一种具有多重美容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64414B1 (ko) 홍삼 및 한방재 추출물이 함유된 미용팩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3550101B (zh) 具有嫩白补水功效的植物提取液及其应用
CN102209527A (zh) 含有经加工的牡丹、黄精或百合的提取物的抗氧化化妆品组合物
CN106727269A (zh) 纯天然纳米植物酵素面膜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393693A (zh) 一种植物提取物提取的祛斑净肤美白养颜面膜及制备方法
CN106727247A (zh) 一种祛痘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CN102657589A (zh) 一种大花红景天防晒霜
CN104887602A (zh) 茉莉洗头洗面液
KR102215254B1 (ko)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049903B1 (ko) 한약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39373B1 (ko) 미백용 피부 미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마스크 팩
CN105816663A (zh) 一种具有营养抗衰作用的中药组合物、面霜及其制备方法
CN109157468A (zh) 天然草本面膜
CN107375154A (zh) 一种祛斑净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91929B1 (ko)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494862A (zh) 一种含美洲大蠊活性成分的美容咖啡
CN106389286A (zh) 一种具有美容和抗菌作用的超临界蜂胶酊剂配方及工艺
KR100760649B1 (ko)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