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20B1 -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9720B1 KR102049720B1 KR1020180132695A KR20180132695A KR102049720B1 KR 102049720 B1 KR102049720 B1 KR 102049720B1 KR 1020180132695 A KR1020180132695 A KR 1020180132695A KR 20180132695 A KR20180132695 A KR 20180132695A KR 102049720 B1 KR102049720 B1 KR 102049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stacle
- robot fish
- swimming
- buoyancy
- ti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6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25J9/167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2—Adjustment of buoyancy by water ballasting; Emptying equipment for ballast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물고기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물고기의 유영 제어장치 콘트롤러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부력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부력 조절기의 부력조절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부력조절기의 다른 설치 형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잠수 또는 상승 유영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나선 회전 잠수 유영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설정 수심 유영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 흐름도이다.
13 : 어미부 14 : 꼬리부
34, 36, 37 : 장애물 감지센서
51, 52, 53 : 관절부
100 : 콘트롤러
110 : 제어부 120 : 장애물 감지부
130 : 관절 구동부 140 : 수압 감지부
150 : 바닥면 거리감지구 160 : 부력조절부
161, 162, 160a : 공압 실린더 부력조절기
170 : 기울기 감지부 180 : 통신부
DF, PF, AF : 지느러미
Claims (11)
-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에 있어서,
로봇 물고기의 좌우 센서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하는 단계(S31)와;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되면, 추진력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기울기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기울기를 로봇물고기의 앞과 뒤로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가변시켜 반복하여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 단계(S32);
를 수행하여 장애물 걸림 상태에서 탈출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 단계(S32)를 수행하면서 좌우 센서 중 어느 한쪽이라도 일정시간 이상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장애물 탈출로 판단하고,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 추진력을 발생시켜 장애물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걸림 판단단계(S31)는,
좌측 센서와 우측 센서에서 각각 장애물을 감지하는 신호가 일정시간 이내에 반복적으로 감지되고,
좌측 센서와 우측 센서의 일정시간 이내에 반복적으로 장애물을 감지하는 시간이 설정된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단계(S32)는, 기울기 조절수단으로 부력조절기를 설치하고, 부력조절기를 제어하여 기울기 조정단계를 수행하되,
부력조절기를 제어하여 로봇 물고기의 부력을 최대부력과 최소부력을 반복하여 제어하는 부력조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에 있어서,
로봇 물고기의 좌우 센서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하는 단계(S31)와;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되면, 추진력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기울기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기울기를 로봇물고기의 앞과 뒤로 가변시켜 반복조정하는 기울기 조정 단계(S32)와;
상기 기울기 조정 단계(S32)를 수행하면서 장애물 걸림을 판단하고, 장애물 걸림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기울기 조종과 함께 추진력을 발생하였다가 일정시간 추진력을 정지시키는 추진력 발생과 정지를 소정 횟수 반복하는 추진력 발생 반복단계(S33)와;
상기 기울기 조정 단계(S32) 및 상기 추진력 발생반복단계(S33)를 수행하면서 좌우 센서 중 어느 한쪽이라도 일정시간 이상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장애물 탈출로 판단하고, 장애물 회피 유영으로 장애물 걸림상태에서 탈출 유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단계(S32)와, 상기 추진력 발생 반복단계(S33)를 설정된 횟수로 반복 수행한 후에도 장애물 걸림이 지속되는 경우, 장애물 걸림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34)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단계(S32)는,
로봇 물고기의 기울기 조절수단을 제어하여 어수부가 최대 기울기로 아래로 내려가는 앞쪽으로 기울이기와, 어미부가 최대 기울기로 아래로 내려가는 뒤쪽 기울이기를 각각 일정시간씩 유지시켜 반복하되, 미리 정해진 횟수의 앞뒤 기울기 조정후에도 장애물 걸림이 지속되면, 앞뒤 기울이기의 유지 시간을 가변시켜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단계(S32)는,
앞으로 최대 기울기로 기울기를 조정한후 연속동작으로 수평상태로 복귀시킨후 일정정시간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고, 다시 뒤로 최대 기울기로 기울인후 연속동작으로 수평상태로 복귀시킨후 일정시간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방법.
- 물고기 형상의 몸체부가 관절부에 의해 좌우 회전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개로 분절되고, 콘트롤러가 상기 관절부를 제어하여 직진 또는 회전 추진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장애물 감지센서들의 감지되는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유영하는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좌우 센서, 전면센서, 하면센서를 포함하는 장애물 감지센서들로부터 장애물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장애물 감지부(120)와;
각각의 관절부의 서보모터를 구동시켜 회전 또는 직진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관절구동부(130)와;
수압센서(141)로부터 수압을 측정하여 로봇 물고기의 유영 깊이를 제어하기 위한 수압 감지부(140)와;
바닥면 거리센서(151)로부터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바닥면 거리 감지부(150)와;
부력 조절기를 제어하여 로봇 물고기의 부력과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한 부력 조절기(160)와;
로봇 물고기의 어수부와 어미부(앞뒤)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171)를 통해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170)와;
외부 원격 조정기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180) 및
상기 통신부(180)를 통한 외부 원격 조정기의 수동조정과, 미리 설정된 자율 유영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장애물 감지부(120)의 장애물 감지신호에 따라 회피동작으로 상기 관절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회전 또는 직진 추진력을 발생시켜 로봇 물고기의 유영을 제어하되,
로봇 물고기의 좌우 센서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하고, 장애물 걸림으로 판단되면, 부력조절기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앞과 뒤로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소정횟수 반복하여 조정하여 장애물 걸림상태에서 탈출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기는, 로봇 물고기의 무게 중심선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에 각각 하나씩의 공압 실린더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상단에 상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 물 흡입 및 토출이 가능하고, 피스톤 상측의 물 흡입량과, 피스톤 하측의 공기량의 대비에 의해 부력을 조절하며, 좌우 공압실린더의 부력 차이에 의해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조정과 함께 또는 기울기 조정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부력조절기의 부력을 최대 부력과 최소부력으로 반복 전환하여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유영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2695A KR102049720B1 (ko) | 2018-11-01 | 2018-11-01 |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제어방법 |
US16/191,118 US11169523B2 (en) | 2018-11-01 | 2018-11-14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wimming of robot fi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2695A KR102049720B1 (ko) | 2018-11-01 | 2018-11-01 |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9720B1 true KR102049720B1 (ko) | 2019-11-28 |
Family
ID=6873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2695A Active KR102049720B1 (ko) | 2018-11-01 | 2018-11-01 |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972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94771A (zh) * | 2022-03-07 | 2022-06-07 | 陕西欧卡电子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水面机器人的卡位检测和脱困方法及其装置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1953A (ko) * | 2004-08-19 | 2004-12-03 | 주식회사 에스피레저 |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 |
KR20120096740A (ko) * | 2011-02-23 | 2012-08-31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중운동체용 자세 및 깊이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수중운동체 및 그의 제어방법 |
KR20120109956A (ko) * | 2011-03-25 | 2012-10-09 | 한국과학기술원 | 수중로봇의 인공부레 시스템 및 구동 방법 |
KR20120129002A (ko) * | 2011-05-18 | 2012-11-2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중로봇과 그 제어방법 |
KR101268239B1 (ko) | 2011-05-09 | 2013-05-31 | 정완엽 | 물고기 로봇 및 물고기 로봇 충전기 |
KR101329064B1 (ko) | 2011-12-22 | 2013-11-14 | 정완엽 | 가스 충전 물고기 로봇 |
KR20150009299A (ko) * | 2013-07-16 | 2015-01-26 | 주식회사 로시 | 구동제어가 용이한 로봇 물고기 |
KR20150028549A (ko) * | 2013-09-06 | 2015-03-16 | 주식회사 로시 | 부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물고기 로봇 |
KR20160099965A (ko) * | 2015-02-13 | 2016-08-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수중작업로봇의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KR101744642B1 (ko) | 2015-06-09 | 2017-06-09 | (주)아이로 | 물고기 로봇 |
-
2018
- 2018-11-01 KR KR1020180132695A patent/KR10204972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1953A (ko) * | 2004-08-19 | 2004-12-03 | 주식회사 에스피레저 |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 |
KR20120096740A (ko) * | 2011-02-23 | 2012-08-31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중운동체용 자세 및 깊이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수중운동체 및 그의 제어방법 |
KR20120109956A (ko) * | 2011-03-25 | 2012-10-09 | 한국과학기술원 | 수중로봇의 인공부레 시스템 및 구동 방법 |
KR101268239B1 (ko) | 2011-05-09 | 2013-05-31 | 정완엽 | 물고기 로봇 및 물고기 로봇 충전기 |
KR20120129002A (ko) * | 2011-05-18 | 2012-11-2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중로봇과 그 제어방법 |
KR101329064B1 (ko) | 2011-12-22 | 2013-11-14 | 정완엽 | 가스 충전 물고기 로봇 |
KR20150009299A (ko) * | 2013-07-16 | 2015-01-26 | 주식회사 로시 | 구동제어가 용이한 로봇 물고기 |
KR20150028549A (ko) * | 2013-09-06 | 2015-03-16 | 주식회사 로시 | 부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물고기 로봇 |
KR20160099965A (ko) * | 2015-02-13 | 2016-08-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수중작업로봇의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KR101744642B1 (ko) | 2015-06-09 | 2017-06-09 | (주)아이로 | 물고기 로봇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94771A (zh) * | 2022-03-07 | 2022-06-07 | 陕西欧卡电子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水面机器人的卡位检测和脱困方法及其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69523B2 (en)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wimming of robot fish | |
CN112292314B (zh) | 可再充电机器人池清洁设备 | |
CN109074720B (zh) | 用于游泳池的救生系统和方法 | |
KR20200050123A (ko) | 로봇 물고기의 기울기 및 부력조절장치 | |
US20170280707A1 (en) | Waterfowl decoy | |
KR101003834B1 (ko) | 로봇물고기 | |
KR20120109956A (ko) | 수중로봇의 인공부레 시스템 및 구동 방법 | |
KR102087718B1 (ko) | 로봇 물고기 | |
JP6449652B2 (ja) | 水域用の昇降床 | |
JP6523568B2 (ja) | 水中ドローン | |
KR102049720B1 (ko) | 로봇 물고기의 장애물 탈출 제어방법 | |
US11224214B2 (en) | Waterfowl decoy | |
JP5253914B2 (ja) | ペット用リハビリ装置 | |
EP3249137A1 (en) | Pool cleaner with drive motor navigation capabilities | |
KR20200050122A (ko) | 로봇물고기 | |
KR102049719B1 (ko) | 로봇 물고기의 일정수심 유영제어장치 및 방법 | |
CN116752817A (zh) | 水线的清扫方法及水池清洁机器人 | |
KR100576315B1 (ko) |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 | |
US7273444B2 (en) | Swim training apparatus | |
JP5403602B2 (ja) | 水中走行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102087716B1 (ko) | 로봇물고기 | |
KR101178278B1 (ko) | 상하높이 및 자세제어가 가능한 물고기 로봇 | |
KR102508838B1 (ko) | 밸러스트 탱크를 이용한 물고기 로봇 및 그의 유영 제어 방법 | |
KR20190072223A (ko) | 물고기 로봇 | |
KR200325878Y1 (ko) | 수류에 따른 장애물 감지구조를 갖는 수영장 청소로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