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611B1 -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611B1
KR102049611B1 KR1020180013270A KR20180013270A KR102049611B1 KR 102049611 B1 KR102049611 B1 KR 102049611B1 KR 1020180013270 A KR1020180013270 A KR 1020180013270A KR 20180013270 A KR20180013270 A KR 20180013270A KR 102049611 B1 KR102049611 B1 KR 10204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solid
solid paper
container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896A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18001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6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이 뾰족하게 말린 고깔 형태의 종이컵을 회수하기 위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깔형 종이컵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통; 상기 적재통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통풍 겸용 인출구가 형성된 바닥 마감구; 상기 적재통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투입구; 상기 적재통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중앙에 홈통이 형성된 받침구; 및 상기 바닥 마감구와 받침구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고깔형 종이컵을 세운 상태로 버리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흐트러짐 없이 차곡차곡 쌓이는 한편, 상기 고깔형 종이컵을 적재통으로부터 간편하게 부어 버릴 수 있는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Container for con type used-paper cups}
본 발명은 하단이 뾰족하게 말린 고깔 형태의 종이컵을 회수하기 위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바닥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단이 평평한 형태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봉투형 또는 고깔 형태의 종이컵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고깔 형태의 종이컵은 하단이 뾰족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종이컵 회수장치를 사용할 경우 고깔 형태의 종이컵이 똑바로 서지 못하고 기울거나 테두리에 걸리면서 차곡차곡 쌓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깔 형태 종이컵 회수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363호(2011.04.05. 공개)에는 원뿔형태의 일회용 종이컵(100)이 통과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기다란 원통 형상의 적재통(1);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재통(1)의 하단에 결합되며 배수공(5)이 마련되는 받침대(3); 상기 적재통(1)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3) 위에 설치되는 원뿔통 형태의 컵지지구(7); 상기 배수공(5)을 통해 흘러나오는 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3)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침통(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와 같은 종래 고깔 형태 종이컵 회수장치는 차곡차곡 쌓기 용이하도록 뒤집어서 수집하는 한편, 뒤집었을 때 잔량의 음료가 흘러 바닥에 모이도록 물받침통을 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는 고깔형의 종이컵 하단을 감싸 잡은 상태에서 물을 마신 후 버리기 때문에 고깔형 종이컵을 뒤집어 버리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종래 보편적인 종이컵 수거기가 모두 종이컵을 똑바로 세워 버리도록 되어 있어서 일반 소비자는 종이컵을 뒤집어서 버리는 것이 익숙하지 못하고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
둘째, 보편적으로 종이컵을 담기 위한 적재통의 지름은 종이컵의 지름보다 약간 큰 형태로 형성되어야만 종이컵이 흐트러짐 없이 안전하게 쌓일 수 있는데,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경우 적재통의 입구에서 하부에 있는 컵지지구까지 떨어지는 동안 상당한 공기 저항을 받으면서 매우 천천히 떨어질 뿐 아니라, 떨어지는 동안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도 1의 (B)와 같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즉, 종래 바닥이 평평한 종이컵은 바닥의 지름이 좁으면서 홈이 깊지 않기 때문에 쉽게 떨어질 수 있으나, 고깔 형태의 종이컵을 뒤집어서 버릴 경우 공기의 저항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어서 떨어지는 속도가 느리고 떨어지는 동안 어느 한쪽으로 쉽게 기울어져 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세째, 종래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는 회수된 고깔형 종이컵을 비우기 위해서 적재통을 기울일 때 컵지지구가 빠지는 불편함을 막기 위해 컵지지구와 받침대 사이를 끈으로 연결하였는데, 이 경우 상기 끈으로 묶는 과정이 불편할 뿐 아니라, 상기 끈이 풀리거나 끊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네째, 통상적인 종이컵 회수장치는 종이컵이 바닥부터 차곡차곡 쌓이는 형태이므로 잘 쌓이고 있는지 또는 얼마나 쌓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적재통이 투명하게 형성되야 하는데, 이 경우 컵에 묻은 이물질이나 음료 찌꺼기 등이 외부로 쉽게 보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불결한 느낌을 쉽게 받는다. 그렇다고 종래 종이컵 회수장치의 적재통을 불투명으로 형성할 경우 적재량을 쉽게 확인할 수 없어서 관리상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고깔형 종이컵을 세운 상태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을 적재통의 상단으로부터 차곡차곡 쌓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수된 고깔형 종이컵을 적재통으로부터 간편하게 부어 버릴 수 있도록 한 고깔 형태 종이컵 회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통 내부로 회수된 종이컵이 보이지 않도록 하되, 적재통 내부로 적량의 고깔형 종이컵이 채워지면 이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한 고깔형 종이컵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을 쌓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통; 상기 적재통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중앙에 통풍 및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하단이 빠지도록 통풍 겸용 인출구가 형성된 바닥 마감구; 상기 적재통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의 내부 지름은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외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투입구; 상기 적재통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하되, 테두리의 외부 지름은 상기 걸림턱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중앙에는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하단이 끼워져 안착하도록 홈통이 형성된 받침구; 및 상기 바닥 마감구와 받침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구가 적재통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되,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상기 받침구 위에 쌓일 때마다 일정높이씩 내려가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쌓이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 마감구는 내측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요입 홈;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적재통의 상단이 끼워지는 결합부와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투입되는 확관부 및 상기 결합부와 확관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확관부 내측면과 걸림턱 사이는 곡면 또는 사면 처리된다.
상기 투입구는 벽 또는 물체에 설치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구는 상기 상단면과 그로부터 상기 홈통이 연결되는 경계 부분이 곡면 또는 사면 처리된다.
상기 적재통은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측의 불투시부와 내부가 보이는 하측의 투시부로 구분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받침구의 외면에는 상기 투시부를 통해 인식되도록 식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깔형 종이컵을 세운 상태로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는 물론이고, 회수되는 고깔형 종이컵이 흐트러짐 없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회수된 고깔형 종이컵을 적재통으로부터 간편하게 부어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등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에 의하면 적재통 내부로 회수된 종이컵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적재통 내부로 적량의 고깔형 종이컵이 채워지면 투시부를 통해 문자 등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더욱 위생적이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한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를 분해한 설명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는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깔형 종이컵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통(100); 상기 적재통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통풍 겸용 인출구(210)가 형성된 바닥 마감구(200); 상기 적재통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걸림턱(310)이 형성된 투입구(300); 상기 적재통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중앙에 홈통(410)이 형성된 받침구(400); 및 상기 바닥 마감구와 받침구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재통(100)은 고깔형 종이컵(10)을 쌓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적재통(100)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반복되는 호형 홈(110)을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상하로 공기가 소통하는 한편, 오목 거울 형상을 통해 외부에서 보이는 미감이 독특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적재통(100)은 일 실시 예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측의 불투시부(100a)와 내부가 보이는 하측의 투시부(100b)로 구분되게 형성함으로써 불투시부(100a)를 통해서는 내부의 고깔형 종이컵이 보이지 않아 시각적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투시부(100b)를 통해서는 후술하는 받침구(400)의 식별부(420)가 노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불투시부(100a)는 상하로 길고 투시부(100b)는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적재통(100)을 불투시부(100a)와 투시부(100b)로 구분되게 형성하는 수단으로써 일체 형성된 투명한 적재통(100)의 상부에 불투명한 커버 시트를 부착하거나, 상측의 불투시부(100a)와 하측의 투시부(100b)를 별토로 형성한 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구(200)는 상기 적재통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중앙에 통풍 및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하단이 빠지도록 통풍 겸용 인출구(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 마감구(200)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을 받쳐주면서 받침구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통풍 겸용 인출구(21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 마감구(200)에 통풍 겸용 인출구(21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바닥 마감구(200)와 받침구(400) 사이에 공간은 밀폐된 상태가 되고, 이 경우 다수개의 고깔형 종이컵이 동시에 받침구(400) 위에 올려지게 되면 상기 받침구(400)가 공기 저항을 받아 쉽게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투입구(300) 위로 고깔형 종이컵이 높게 쌓이면서 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풍 겸용 인출구(21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구(400)가 공기의 저항 없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쌓여 받침구(400)가 하강한 상태에서 고깔형 종이컵의 하단이 하부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마감구(200)는 일 실시 예로서 내측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요입 홈(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요입 홈(220)은 상기 통풍 겸용 인출구(210)보다 깊게 형성되므로 고깔형 종이컵에서 흘러내린 물이 요입 홈(220)에 가둬지면서 통풍 겸용 인출구(210)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통풍 겸용 인출구(210)는 상기 요입 홈(220)에 가둬진 물이 증발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투입구(300)는 상기 적재통(100)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걸림턱(210)을 형성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10)의 내부 지름(D1)은 상기 고깔형 종이컵(10)의 외부 지름(D2)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310)의 기능은 상기 적재통(100)과 결합시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할 뿐 아니라, 후술하는 받침구(40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깔형 종이컵(10)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투입구(300)는 일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통(100)의 상단이 끼워지는 결합부(300a)와 상기 고깔형 종이컵(10)이 투입되는 확관부(300b) 및 상기 결합부와 확관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3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확관부 내측면과 걸림턱(310) 사이는 곡면(300c) 또는 사면 처리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300)의 상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 형태로 벌어지게 형성한다. 상기 투입구(300)는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깔형 종이컵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투입구(300)는 다른 실시 예로서 벽 또는 정수기 등의 물체 측면에 설치하기 위한 탈부착수단(320)이 형성된다. 상기 탈부착수단(320)은 예를 들어 넓고 평평한 면에 양면 테이프나 자석을 형성함으로써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못이나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400)는 상기 적재통(100)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하되, 테두리의 외부 지름(D3)은 상기 걸림턱(310))의 내부 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중앙에는 상기 고깔형 종이컵(10)의 하단이 끼워져 안착하도록 홈통(4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구(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의 외부 지름(D3)이 걸림턱(310)의 내부 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회수장치를 기울여 적재된 고깔형 종이컵(10)을 부어내더라도 상기 받침구(400)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상기 고깔형 종이컵(10)을 회수할 때는 기울거나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구(400)는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상단면과 그로부터 상기 홈통이 연결되는 경계 부분이 곡면(400a) 또는 사면 처리된다. 이와 같은 곡면(400a) 또는 사면 처리를 통해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홈통(410)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구(400)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상기 적재함의 투시부(100b)를 통해 인식되도록 식별부(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식별부(420)는 "종이컵을 비워 주세요" 또는 "종이컵을 버리지 마세요" 등의 문자를 형성하거나 그런 문자가 인쇄된 종이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이컵이 쌓여 상기 받침구(400)가 투시부(100b)를 통해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문자가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500)은 상기 바닥 마감구(200)와 받침구(4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구(400)가 적재통(1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되, 상기 고깔형 종이컵(10)이 상기 받침구(400) 위에 쌓일 때마다 일정높이씩 내려가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쌓이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깔형 종이컵을 세운 상태로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회수되는 고깔형 종이컵이 흐트러짐 없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회수된 고깔형 종이컵을 적재통으로부터 간편하게 부어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등이 더욱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통 내부로 회수된 종이컵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적재통 내부로 적량의 고깔형 종이컵이 채워지면 투명 창을 통해 문자 등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더욱 위생적이고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10: 고깔형 종이컵
100: 적재통 100a: 불투명부
100b: 투명부 110: 호형 홈
200: 바닥 마감구 210: 통풍 겸용 인출구
220: 요입 홈
300: 투입구 300a: 결합부
300b: 확관부 300c: 곡면
310: 걸림턱 320: 탈부착수단
400: 받침구 400a: 곡면
410: 홈통 420: 식별부
500: 코일 스프링

Claims (6)

  1. 사용한 고깔형 종이컵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을 쌓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반복되는 호형 홈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적재통;
    상기 적재통의 하단에 결합하되, 중앙에 통풍구가 형성된 바닥 마감구;
    상기 적재통의 상단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결합부와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투입되는 확관부 및 상기 결합부와 확관부 사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적재통이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하는 환형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턱은 고깔형 종이컵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단면이 반구 형태로 형성된 투입구;
    상기 적재통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하되, 테두리의 외부 지름은 상기 걸림턱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중앙에는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하단이 끼워져 안착하도록 상광하협 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홈통이 형성된 받침구; 및
    상기 바닥 마감구와 받침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구가 적재통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되, 상기 고깔형 종이컵이 상기 받침구 위에 쌓일 때마다 일정높이씩 내려가면서 상기 고깔형 종이컵의 쌓이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탄성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마감구는,
    내측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요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확관부 내측면과 걸림턱 사이에 곡면 또는 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벽 또는 물체에 설치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는,
    상단면과 그로부터 상기 홈통이 연결되는 경계 부분이 곡면 또는 사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6. 삭제
KR1020180013270A 2018-02-02 2018-02-02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KR10204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70A KR102049611B1 (ko) 2018-02-02 2018-02-02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70A KR102049611B1 (ko) 2018-02-02 2018-02-02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96A KR20190093896A (ko) 2019-08-12
KR102049611B1 true KR102049611B1 (ko) 2019-11-27

Family

ID=6762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270A KR102049611B1 (ko) 2018-02-02 2018-02-02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6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739Y1 (ko) 1997-06-13 1999-11-01 이창우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KR200328345Y1 (ko) 2003-06-03 2003-09-29 강석운 종이컵 위생보관 홀더
KR101056569B1 (ko) 2011-02-23 2011-08-11 주춘발 컵 수거함
KR101639303B1 (ko) 2014-02-21 2016-07-14 이기태 컵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254Y1 (ko) * 1991-07-25 1993-09-17 이창우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KR950007601Y1 (ko) * 1993-05-26 1995-09-15 심종성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20070016386A (ko) *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대성주방 소음이 감소되는 컵 회수차
KR20110003363U (ko) * 2009-09-28 2011-04-05 지학구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KR20120002777U (ko) * 2010-10-14 2012-04-24 심재영 원추형 종이컵 홀더
KR20170025749A (ko) * 2015-08-31 2017-03-08 정동근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739Y1 (ko) 1997-06-13 1999-11-01 이창우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KR200328345Y1 (ko) 2003-06-03 2003-09-29 강석운 종이컵 위생보관 홀더
KR101056569B1 (ko) 2011-02-23 2011-08-11 주춘발 컵 수거함
KR101639303B1 (ko) 2014-02-21 2016-07-14 이기태 컵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96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6736A1 (en) Refuse receptacle with integrated replacement liner retaining and dispensing means
EP3166448B1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US5131532A (en) Contact lens case
KR102049611B1 (ko)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US7530468B1 (en) Drinking apparatus
EP1250874A1 (en)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US5938060A (en) Holder for stackable drinking cups
KR102081097B1 (ko)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US6355168B1 (en) Cooking oil storage and filtering system
CA2240699C (en) Wastebasket
US4878867A (en) Coin bank
US4169542A (en) Dispenser for cup holders
US4323172A (en) Liquid container with cup holder
US6813785B1 (en) Plunger container
KR20110003363U (ko)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US3805445A (en) Shaft-structure for use in hydroponics plant cultivation receptacles
CN207949647U (zh) 便利式手冲滤泡组结构
US20200047989A1 (en) Cup lid and cup lid attached with tea bag
KR200403935Y1 (ko) 분필 디스펜서
JP2007308268A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CN214711900U (zh) 一种具有茶水分离功能的水杯
KR200379344Y1 (ko) 원뿔형 종이컵 전용 인출기
JPH0138061Y2 (ko)
KR200413544Y1 (ko) 분필 디스펜서
EP1790268A1 (en) Mop bucket with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