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235B1 -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235B1
KR102049235B1 KR1020180057243A KR20180057243A KR102049235B1 KR 102049235 B1 KR102049235 B1 KR 102049235B1 KR 1020180057243 A KR1020180057243 A KR 1020180057243A KR 20180057243 A KR20180057243 A KR 20180057243A KR 102049235 B1 KR102049235 B1 KR 10204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ser terminal
sharing
specific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050A (ko
Inventor
강병두
경동욱
Original Assignee
(주)씨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소 filed Critical (주)씨소
Priority to KR102018005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2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하는 3D 공간정보 획득부,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공유 공간을 검출하는 공유 공간 검출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영역에 대한 특정 지점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의 해당 특정 지점을 공유하는 공간 지점 공유부를 포함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D 재구성된 현장정보를 기초로 관리자 및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SPACE SHARING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은 공간 공유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재구성된 현장정보를 기초로 관리자 및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건설 현장에서 작업 관리자가 전화통화와 도면을 이용하거나 또는 영상 통화만을 이용하여 현장 작업자와 소통하고 작업 세부 진행사항을 효과적으로 공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문제점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지만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연계한 관리차원에서 접근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이 방법은 IT솔루션에 익숙하지 않은 현장 작업자에게 업무 부담을 부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2659(2011.10.07)호는 가상공간 공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단말기에 표시된 가상공간에 관한 정보를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공받음은 물론이고 각 단말기가 물리적으로 위치한 상관관계를 가상공간 표시에 반영하여 기준이 되는 단말기가 표시하는 가상공간을 연장하여 표시 범위의 제약을 극복하고, 나아가 현실공간에서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가상공간 표시에 반영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가상공간 표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단말기 사용자들 간에 가상공간을 공유하여 일체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394(2010.04.05)호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접속 기반 특성을 가상현실의 현실감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2659(2011.10.0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394(2010.04.0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D 재구성된 현장정보를 기초로 관리자 및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특정 공간 영역을 공유하고 상호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R 기술을 활용하여 3D 공간정보와 360도 영상 정보를 기초로 특정 위치 포인팅, 치수 측정 및 가상 객체 조작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는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하는 3D 공간정보 획득부,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공유 공간을 검출하는 공유 공간 검출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영역에 대한 특정 지점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의 해당 특정 지점을 공유하는 공간 지점 공유부를 포함한다.
상기 3D 공간정보 획득부는 3D 스캐너 및 360도 VR(Virtual Reality)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상기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공유 공간 검출부는 상기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의 사각 경계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간의 3차원 좌표계에서 상기 사각 경계에 대응하는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의 3차원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과 함께 메모 또는 3차원 가상 객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해당 특정 지점에서 상기 메모 또는 상기 3차원 가상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영역에 대한 복수의 특정 지점들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의 해당 특정 지점들 간의 거리, 면적, 부피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3D 가상 모드 및 360도 영상 AR(Augmented Reality)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현된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특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에 맞춰 상기 공유 영역의 탐색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의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특정 공간 영역을 공유하고 상호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는 AR 기술을 활용하여 3D 공간정보와 360도 영상 정보를 기초로 특정 위치 포인팅, 치수 측정 및 가상 객체 조작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공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 에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공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70)과의 의견 교환을 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3D 공간 획득장치(도 1에 미도시함.)로부터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해당 특정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을 연결해주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7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7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3D 공간 획득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3D 공간 획득장치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3D 공간정보 획득장치와 별도로 구현된 경우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3D 공간정보 획득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 간의 공간 공유와 함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통화는 360도 VR 영상을 기반으로 실시간성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 사이에 특정 공간에서의 공간 공유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70)에서의 영상 통화 요청에 따라 양 단말 사이에 공간 공유와 함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와 별도로 구현된 경우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을 서로 연결해주고 특정 공간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획득한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70)로부터 수신한 공유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 간의 특정 공간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70)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공유되는 특정 공간을 확인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0)과의 의견 교환을 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70)은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170)은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3D 공간정보 획득부(210), 공유 공간 검출부(230), 공간 지점 공유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3D 공간정보 획득부(210)는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3D 공간 획득장치는 특정 공간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3D 공간정보 획득부(210)는 특정 공간,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시공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D 공간정보 획득부(210)는 3D 스캐너 및 360도 VR(Virtual Reality)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D 공간 획득장치는 3D 스캐너 및 360도 VR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3D 스캐너(scanner)는 물체에 대한 3차원 형상과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에 해당할 수 있고, 특성에 따라서 물체의 색상 정보까지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360도 VR 카메라는 특정 공간에 대한 360도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비에 해당할 수 있고,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유 공간 검출부(2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있는 카메라를 통해 특정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공유 공간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있는 카메라는 일반적인 카메라에 해당할 수 있고,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은 2차원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공유 공간 검출부(230)는 2차원 영상을 분석하여 공유 영역에 대응하는 특정 공간 상에서의 공유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유 공간 검출부(230)는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획득한 3D 공간 상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역에 대응하는 공간 범위를 공유 공간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공간 검출부(230)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의 사각 경계를 기초로 특정 공간의 3차원 좌표계에서 사각 경계에 대응하는 해당 공유 공간의 3차원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공간 검출부(230)는 2차원 영상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의 사각 경계의 각 꼭지점에서의 3차원좌표를 결정하여 3D 공간 상에서 공유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공유 공간 검출부(230)는 사각 경계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수, 배치 구도 및 색상 정보를 기초로 3D 공간 상에서 공유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 영역에 대한 특정 지점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170)과 해당 공유 공간의 해당 특정 지점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해당 시점에 디스플레이된 공유 영역에서의 특정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지점이 수신되면 공유 영역에 대응하는 공유 공간 상에서 해당 특정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3차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동일한 공유 공간을 공유하는 제2 사용자 단말(17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7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특정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7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 공간 상의 특정 지점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지점과 함께 메모 또는 3차원 가상 객체를 수신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70)과 해당 특정 지점에서 메모 또는 3차원 가상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지점과 함께 메모 또는 3차원 가상 객체를 수신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7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7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특정 지점에서 해당 메모 또는 해당 3차원 가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7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메모 또는 3차원 가상 객체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메모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문자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고, 특정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모의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3차원 가상 객체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고,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이 있는 경우 3차원 가상 객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10)은 3차원 가상 객체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공유 공간 상에서 3차원 가상 객체의 위치, 크기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공유 영역에 대한 복수의 특정 지점들이 수신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70)과 해당 공유 공간의 해당 특정 지점들 간의 거리, 면적, 부피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2개의 특정 지점들을 수신한 경우 특정 지점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2개의 특정 지점들을 대각 방향의 꼭지점으로 하여 구성되는 사각 공간의 면적을 측정할 수 있고, 3개의 특정 지점들을 수신한 경우 3개의 특정 지점들을 꼭지점으로 하여 구성되는 정육면체 공간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복수의 특정 지점들을 기초로 측정된 치수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170)에 제공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170)과 공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70)은 특정 지점들 및 특정 지점들 간의 거리, 면적, 부피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3D 가상 모드 및 360도 영상 AR(Augmented Reality)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현된 해당 공유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획득한 3D 공간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공유 영역에 대한 공유 공간을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공유 공간에 대한 3D 공간 정보는 3D 가상 모드 또는 360도 영상 AR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3D 가상 모드는 3D 스캐너를 통해 획득한 3D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공유 공간을 구현하는 모드로서 3D 메시(Mesh) 데이터로 표현되는 3차원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360도 영상 AR 모드는 360도 VR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입체 영상을 기초로 해당 공유 공간을 구현하는 모드로서 360도 입체 영상으로 표현되는 3차원 공간 내에서 3차원 가상 객체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70)로의 공유 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 단말(17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의 공유도 제공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2 사용자 단말(170)로의 공유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17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의 공유도 제공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 간의 쌍방향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특정 공간 내의 공유 공간이 제2 사용자 단말(170)과 공유될 수 있고, 해당 공유 공간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2 사용자 단말(170)은 특정 지점을 입력하거나 또는 해당 특정 지점에서의 메모 입력, 3차원 가상 객체의 배치 등의 인터랙션을 시도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해당 인터랙션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공유 되는 공유 영역의 크기를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춰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공유 되는 공유 영역의 일부만을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하거나 또는 공유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 영역을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공유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 영역을 제2 사용자 단말(170)을 통해 공유하는 경우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장 영역 중에서 공유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에 맞춰 공유 영역의 탐색 및 제1 사용자 단말(110)과의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기본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방향 전환 및 위치 이동을 기초로 특정 공간에서의 공유 영역을 탐색하지만, 특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아닌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방향 전환이나 위치 이동을 기초로 공유 영역을 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명령은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또는 특정 메뉴를 실행하여 입력할 수 있고, 해당 특정 명령이 입력된 상황에서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또는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공유 공간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방향 전환이나 위치 이동에도 불구하고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입력을 통해서만 공유 공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되고 특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특정 명령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있는 카메라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영역으로 공유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공유 영상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이 서로 공유하고 있는 공유 공간에 대한 영상으로 양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70)의 디스플레이는 공간 지점 공유부(250)에 의해 동시에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되고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이 최초 공유 영역으로부터 특정 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있는 카메라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영역으로 공유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을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이 해당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70)에 의한 공유를 중지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한 공유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초 공유 영역은 제2 사용자 단말(170)에 의해 특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공유되고 있었던 공유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특정 제한 범위는 최초 공유 영역으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영역 범위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최초 공유 영역에 해당하는 사각 경계로부터 상하좌우로 각각 일정 거리만큼의 영역 범위에 해당하거나 또는 최초 공유 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의 회전 영역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에 맞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움직임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단말(170)이 방향을 전환하거나 또는 위치 이동을 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해당 움직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움직임 정보에 맞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지점 공유부(250)는 특정 명령이 입력되면서 제2 사용자 단말(170)이 현재 위치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해당 회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회전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2 사용자 단말(170)의 움직임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3D 공간정보 획득부(210), 공유 공간 검출부(230) 및 공간 지점 공유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공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3D 공간정보 획득부(210)를 통해 3D 공간 획득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310).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공유 공간 검출부(23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카메라를 통해 특정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공유 공간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 S330).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공간 지점 공유부(25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 영역에 대한 특정 지점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과 해당 공유 공간의 해당 특정 지점을 공유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430)은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410)은 건축사무실에서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PC에 해당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사용자 단말(430)에서 실행되는 AR 앱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410)과 연결될 수 있고, 관리자는 제2 사용자 단말(4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430)과 연결될 수 있다. 3D 공간 획득장치(450)는 3D 스캐너와 360도 VR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고, 건설현장의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하여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430)에 있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건설현장의 특정 영역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3D 공간 상에서의 공유 공간을 검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410)과 공유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2 사용자 단말(410)에게 2가지 모드의 3D 공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360도 영상을 기반으로 3차원 가상 객체(415)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360도 영상 AR 모드(411) 및 건설현장을 3D 메시(mesh)로 구현한 가상 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3D 가상 현장 모드(413)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410)은 2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황에 적합한 3D 공간 정보를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도 1 에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간 공유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520) 및 제2 사용자 단말(510) 간의 건설현장 공간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520)이 촬영한 공유 영역에 대응하는 공유 공간을 검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510)에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2 사용자 단말(510)에 건설현장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510)은 3D 공간 상에서 제1 사용자 단말(520)에 의해 촬영되는 공유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130)는 제1 사용자 단말(5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510)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 영역에 대한 특정 지점이 수신된 경우 각각 제2 사용자 단말(510) 또는 제1 사용자 단말(520)에 공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520) 및 제2 사용자 단말(510)은 특정 지점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 작업자 포인팅 도구(560)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52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포인팅 지점(530)이 입력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51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포인팅 지점(530)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포인팅 도구(550)에 의해 제2 사용자 단말(51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2 포인팅 지점(540)이 입력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52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포인팅 지점(54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공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
110: 제1 사용자 단말 130: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제2 사용자 단말
210: 3D 공간정보 획득부 220: 공유 공간 검출부
230: 공간 지점 공유부 270: 제어부
410: 제2 사용자 단말 430: 제1 사용자 단말
411: 360도 영상 AR 모드 413: 3D 가상 현장 모드
415: 3차원 가상 객체 450: 3D 공간 획득장치
510: 제2 사용자 단말 520: 제1 사용자 단말
530: 제1 포인팅 지점 540: 제2 포인팅 지점
550: 관리자 포인팅 도구 560: 작업자 포인팅 도구

Claims (8)

  1. 3D 스캐너 및 360도 VR(Virtual Reality) 카메라를 통해 특정 공간에 대한 3D 공간정보를 획득하는 3D 공간정보 획득부;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정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특정 공간 내에서의 해당 공유 공간을 검출하는 공유 공간 검출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영역에 대한 특정 지점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을 배경으로 해당 특정 지점을 실시간 공유하는 공간 지점 공유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 공간 검출부는 상기 공유 영역에 관한 영상의 사각 경계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간의 3차원 좌표계에서 상기 사각 경계에 대응하는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의 3차원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으로부터 상기 공유 영역에 대한 복수의 특정 지점들이 수신된 경우 상기 특정 공간을 기준으로 해당 특정 지점들 간의 거리, 면적, 부피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를 상기 복수의 특정 지점들 중 적어도 두개에 대한 수신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공유하고,
    특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제어로부터 독립되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에 맞춰 상기 특정 공간 내에서 상기 공유 영역의 탐색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의 공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과 함께 메모 또는 3차원 가상 객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상기 해당 특정 지점에서 상기 메모 또는 상기 3차원 가상 객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3D 가상 모드 및 360도 영상 AR(Augmented Reality)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현된 상기 해당 공유 공간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지점 공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8. 삭제
KR1020180057243A 2018-05-18 2018-05-18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KR10204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43A KR102049235B1 (ko) 2018-05-18 2018-05-18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43A KR102049235B1 (ko) 2018-05-18 2018-05-18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50A KR20190132050A (ko) 2019-11-27
KR102049235B1 true KR102049235B1 (ko) 2019-11-28

Family

ID=6873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243A KR102049235B1 (ko) 2018-05-18 2018-05-18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868A (ko) * 2022-03-15 2023-09-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위한 실내공간 3d 맵핑 지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389A1 (ko)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Ar 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278A (ja) * 2004-09-08 2006-03-23 Fuji Photo Film Co Ltd 工事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エア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94B1 (ko) 2007-12-26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KR20110102659A (ko) 2010-03-11 2011-09-19 인포뱅크 주식회사 빌링 안심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422352B1 (ko) * 2012-11-05 2014-07-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US10297082B2 (en) * 2014-10-07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riving a projector to generate a shared spatial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278A (ja) * 2004-09-08 2006-03-23 Fuji Photo Film Co Ltd 工事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エ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868A (ko) * 2022-03-15 2023-09-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위한 실내공간 3d 맵핑 지원 시스템
KR102622094B1 (ko) * 2022-03-15 2024-01-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위한 실내공간 3d 맵핑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50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2467B2 (en) Method for data collection and model generation of house
AU2019281667B2 (en) Data collection and model generation method for house
US976756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position and orientation of imaging apparatus
US96399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a virtual object
US926841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410421B2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image about object
Bae et al. Image-based localization and content authoring in structure-from-motion point cloud models for real-time field reporting applications
US9633450B2 (en) Image measur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6310149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JP2010217719A (ja) 装着型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62629B1 (ko) 3d bim 가상공간에서 bim 설계 및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뷰의 시각화 방법 및 시각화 시스템
KR102049235B1 (ko)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CN111623782A (zh) 导航路线的展示方法、三维场景模型的生成方法及装置
KR20220085150A (ko)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60193B1 (ko) 3차원 공간에 대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원격 통신방법 및 시스템
Rasmussen et al. SceneCam: Improving multi-camera remote collabo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Liu et al. On the precision of third person perspective augmented reality for target designation tasks
US116700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virtual spaces
US202202846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guidance among viewpoints in a scene
JP201410218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90037091A (ko) 이동단말, 이를 포함하는 견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Noreikis et al. SnapTask: Towards efficient visual crowdsourcing for indoor mapping
CN113836337A (zh) Bim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23230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graphical models and alphanumeric data
Alleaume et al. Introduction to AR-Bot, an AR system for robot 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