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218B1 -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 Google Patents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218B1
KR102049218B1 KR1020147028307A KR20147028307A KR102049218B1 KR 102049218 B1 KR102049218 B1 KR 102049218B1 KR 1020147028307 A KR1020147028307 A KR 1020147028307A KR 20147028307 A KR20147028307 A KR 20147028307A KR 102049218 B1 KR102049218 B1 KR 10204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injector
perfusion
holding body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100A (ko
Inventor
마르틴 베른하우프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4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56Throttling valves, e.g. having variable opening positions throttling the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8Details of throttles in fuel-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4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fuel accumulators, e.g. a fuel injector having an integrated fuel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3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using clamp elements and fastening means; e.g. bolts or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76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threaded members

Abstract

분사기 바디 내에 통합된 고압 어큐뮬레이터(6)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1)에서, 분사기(1)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노즐 챔버(19)에 의해 둘러싸인 노즐 니들(15)을 구비한 분사 노즐(2), 고압 어큐뮬레이터(6)를 상기 노즐 챔버(19)와 연결하는 고압 라인(8),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6)를 형성하는 부품, 특히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와 정면에서 나사 결합된 홀딩 바디(5)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바디(5)를 통해 고압 라인(8)이 연장하며, 유동 면에서 볼 때 고압 어큐뮬레이터(6)의 후방에, 고압 어큐뮬레이터(6)로부터 분사 노즐(2)로 송출되는 연료량을 제한하기 위한 관류 제한기(26)가 배치된다. 관류 제한기(26)는 홀딩 바디(5)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 사이에 배치되며 홀딩 바디(5)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 사이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INJECTOR OF A MODULAR COMMON-RAIL FUEL INJECTION SYSTEM WITH THROUGHFLOW LIMITER}
본 발명은 분사기 바디 내에 통합된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에 관한 것이며, 분사기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노즐 챔버에 의해 둘러싸인 노즐 니들을 구비한 분사 노즐,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상기 노즐 챔버와 연결하는 고압 라인,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형성하는 부품, 특히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와 정면에서 나사 결합된 홀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바디를 통해 고압 라인이 연장하며, 유동 면에서 볼 때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후방에,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분사 노즐로 송출되는 연료량을 제한하기 위한 관류 제한기가 배치된다.
이러한 분사기는 DE 10210282 A1에 개시되어 있다.
모듈식 커먼 레일 시스템들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어큐뮬레이터 체적의 일부가 분사기 자체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식 커먼 레일 시스템들은 개별 분사기들이 경우에 따라 서로 큰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대형 엔진에 사용된다. 모든 분사기에 대해 공통인 레일의 단독 사용은 상기 엔진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긴 라인으로 인해 분사 동안 분사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더 오랜 분사 지속 시간의 경우 분사 레이트도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엔진에서는 각각의 분사기의 내부에 고압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각각의 개별 분사기가 고유의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식 구성이라 한다. 이 경우, 고압 어큐뮬레이터는 통상의 라인이 아니라 공급 라인 또는 배출 라인을 구비한 내압 용기이다. 상기 내압 용기의 직경은 고압 라인에 비해 훨씬 커지므로, 즉각적인 압력 강하가 생기지 않으면서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특정 분사량이 방출될 수 있다.
커먼 레일 시스템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에서 라인 시스템 내에 또는 결함을 가진 분사 밸브에 의해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연소실 내로 연속 분사를 일으키는 노즐 니들을 구비한 분사 밸브들은 많은 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손상들은 차량의 화재 또는 엔진의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폐쇄 기능을 가진 관류량 제한기들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관류량 제한기들은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최대 인출량의 초과시 관련 분사기에 대한 공급부를 폐쇄함으로써 분사 펌프 측 고압을 분사 밸브로부터 분리한다.
고압 어큐뮬레이터가 통합된 분사기의 경우, 관류 제한기들은 유동 면에서 볼 때 대개 어큐뮬레이터 체적 전방에 배치된다. 소위 탑-피드(top-feed) 분사기(연료의 공급이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상부 면에 있는 분사기의 고압 접속부를 통해 이루어진다)에서, 관류 제한기는 대개 분사기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소위 사이드-피드(side-feed) 분사기(연료의 공급이 분사기와 측면으로 접촉하는 랜스를 통해 이루어진다)에서, 관류 제한기는 대개 T-부품 내의 파이프 연결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관류 제한기가 유동 면에서 볼 때 어큐뮬레이터 체적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도 주어진다. 여기서는, 관류 제한기 하우징이 분사기 홀딩 바디 내로 압입되거나 또는 리테이닝 링에 의해 홀딩 바디 내에 장착된다.
유동 면에서 볼 때 어큐뮬레이터 체적의 전방에 배치된 관류 제한기는 훨씬 더 부정확하게 설정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 이유는 데드 타임 및 어큐뮬레이터 체적의 댐핑 효과 및 상이한 연료 파라미터, 예컨대 온도 및 점성 또는 연료 타입(디젤 또는 중유)의 영향에 있다. 유동 면에서 볼 때 어큐뮬레이터 체적의 전방에 배치된 관류 제한기의 다른 단점은 관류 제한기의 폐쇄시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팽창 체적으로 인해 훨씬 더 많은 양이 분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대형 선박 엔진의 매우 보수적인 사업에서 매우 임계적인 것으로 분류된다. 또한, 탑-피드 분사기의 상단부에 관류 제한기의 장착은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분사기의 진동 부하 용량을 떨어뜨린다. 사이드-피드 분사기의 경우, 복잡한 T-부품이 필요하다. 2개의 분사기 컨셉에 대해 2개의 상이한 해결책이 필요하고, 이는 부품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유동 면에서 볼 때 어큐뮬레이터 체적의 후방에 설치된 관류 제한기는, 압입된 구성 방식에서 홀딩 바디 내에 압력 끼워맞춤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리테이닝 링에 의한 장착시 복잡한 보어 교차점을 필요로 한다. 2가지 구성은 커먼 레일 시스템에서 주어지는 극단의 압축 하중에서 내구성과 관련해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2200 바아의 시스템 압력을 가진 시스템에서, 2500 바아까지의 압축 하중이 관찰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며, 홀딩 바디 내에 특히 압력 끼워맞춤 및 리테이닝 링용 리세스 또는 추가의 임계적인 보어 교차점이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탑-피드 분사기 및 사이드 피드 분사기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구성 컨셉이 사용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선행 기술과 동일한 부품 비용일 때, 홀딩 바디 또는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고압 부하 용량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기능적으로 최적인 관류 제한기를 가진 구성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방식의 분사기에 있어서, 관류 제한기가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며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관류 제한기가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유동 면에서 볼 때 어큐뮬레이터 체적의 후방에 장착된 관류 제한기의 장점이 이용된다. 관류 제한기가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고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리테이닝 링에 의한 압입 또는 고정이 필요 없고, 높은 내구성을 갖는 간단한 구성이 주어진다. 관류 제한기 부품은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의 나사 결합 시에 생기는 축 방향 힘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상기 두 부품들 사이에 추가의 고정 수단 없이 고정된다.
따라서,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의 나사 결합 시에 관류 제한기 부품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가 관류 제한기 부품의 비틀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는 홀딩 바디와 관류 제한기 부품이 축 방향 고정 핀에 의해 비틀림 방지된다.
한편으로는 관류 제한기 부품의 확실한 지지 및 다른 한편으로는 고압 밀봉 방식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관류 제한기 부품이 원추형의 제 1 밀봉 면을 구비한 숄더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면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의 힐(heel)에 형성된 원추형 밀봉 면과 상호 작용한다.
추가의 고압 밀봉 방식 결합은 바람직하게 관류 제한기 부품이 홀딩 바디를 향한 정면에 원추형의 제 2 밀봉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밀봉 면이 홀딩 바디의 정면에 형성된 원추형의 밀봉 면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안전 핀의 형태의 비틀림 방지 수단의 배치가 생략될 수 있다.
관류 제한기 부품과 홀딩 바디 사이에 원추형 밀봉 면이 주어지는 경우, 탑-피드 분사기에서 관류 제한기와 홀딩 바디의 고압 보어의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관류 제한기 부품의 원추형의 제 2 밀봉 면이 홀딩 바디와 관류 제한기 부품 사이에 형성된 중공 챔버를 제한하는 디자인이 주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상기 중공 챔버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는 고압 라인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된 추가의 고압 라인이 홀딩 바디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추가의 고압 라인이 한편으로는 노즐 챔버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압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압 라인 및 추가의 고압 라인이 상기 중공 챔버 내로 통하므로, 2개의 라인에 관류 제한기를 통해 흐르는 연료가 공급된다.
이 경우, 추가의 고압 라인은 공진기 초크를 통해 고압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되는 공진기 라인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관류 제한기와 2개의 고압 라인의 유동 연결은 대안으로서, 고압 라인과 추가의 고압 라인이 관류 제한기 부품 내에 형성된 보어 교차점을 통해 관류 제한기와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는, 관류 제한기의 폐쇄시 연료량이 직접 측면 연료 공급부로부터 분사 노즐(관류 제한기의 바이패스)로 흐를 수 없어야 하는 사이드-피드 분사기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다.
사이드-피드 분사기의 경우, 연료 공급부와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연결은, 분사기가 연료 공급용 측면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가 공급 보어와 연결되며 상기 공급 보어의 제 1 섹션은 홀딩 바디 내에 형성되고 그 제 2 섹션은 관류 제한기 부분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관류 제한기의 바이패스는 바람직하게, 관류 제한기 부품이 홀딩 바디를 향한 정면에 평평한 제 2 밀봉 면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면이 홀딩 바디의 평평한 정면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방지된다.
별도의 부품으로서 관류 제한기의 형성은 그 구조적 디자인의 유연성을 높인다. 이와 관련해서, 바람직하게는 관류 제한기 부품이 고압 어큐뮬레이터 측 하우징 유입부 및 홀딩 바디 측 하우징 배출부를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챔버 내에서 출발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그리고 유동 방향과 반대로 스프링 예비 응력을 받는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부재는 초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하우징 유입부 및 하우징 배출부를 서로 유압식으로 연결하며 하우징 유입부와 하우징 배출부 사이의 유동 연결을 제어한다. 특히, 관류 제한기 부품 내에 고정된 리테이닝 링이 폐쇄 부재의 출발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에 사용하기 위한 관류 제한기 부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관류 제한기 부품은 관류 제한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류 제한기는 고압 어큐뮬레이터 측 유입부, 홀딩 바디 측 배출부, 및 챔버 내에서 출발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로 길이 방향 이동 가능한 그리고 유동 방향과 반대로 스프링 예비 응력을 받는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부재는 초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서로 유압식으로 연결하고,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유동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관류 제한기 부품은 제 1의, 유입부 측 축 방향 섹션과 제 2의, 배출부 측 축 방향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 2 섹션은 숄더에 원추형의 제 1 밀봉 면을 그리고 마주 놓인 정면에 제 2 밀봉 면을 포함하고, 제 2 밀봉 면은 각각 대응 면에 압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제 2 섹션에 밀봉 면의 배치는,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 사이에 부품이 배치되며 홀딩 바디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제 1 섹션은 이 경우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챔버 내로 돌출하고 연료압에 의해 작동된다.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제 1 밀봉 면의 내경은 제 1 섹션의 외주로부터 방사 방향 간격을 두고 놓인다. 이로 인해, 관류 제한기 부품의 조립시 제 1 축 방향 섹션과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면 사이에 링 갭이 생기므로, 연료압이 내부에서, 즉 관류 제한기 내에서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도 작용하며, 그 결과 압력 보상 영역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내구성이 높아진 분사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서 도 1의 부분 Ⅱ 내의 분사기의 확대도.
도 3은 제 2 실시예의 분사기의 확대도.
도 4는 제 3 실시예의 분사기의 확대도.
도 5는 제 4 실시예의 분사기의 확대도.
도 1에는 분사 노즐(2), 초크 플레이트(3), 밸브 플레이트(4), 홀딩 바디(5)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6)를 포함하는 분사기(1)가 도시된다. 이 경우, 홀딩 바디(5)와 나사 결합된 노즐 고정 너트(7)는 분사 노즐(2), 초크 플레이트(3) 및 밸브 플레이트(4)를 결속한다. 휴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3)가 폐쇄됨으로써, 고압 연료가 고압 어큐뮬레이터(6)로부터 고압 라인(8), 횡 방향 연결부(9) 및 공급 초크(10)를 통해 분사 노즐(2)의 제어 챔버(11) 내로 흐르고, 제어 챔버(11)로부터의 배출은 솔레노이드 밸브(13)의 밸브 시트에 있는 배출 초크(12)에 의해 차단된다. 제어 챔버(11) 내에 가해지는 시스템 압력은 노즐 스프링(14)의 힘과 함께 노즐 니들(15)을 노즐 니들 시트(16) 내로 가압함으로써, 분사 홀들(17)이 폐쇄된다. 솔레노이드 밸브(13)의 전자석이 작동되면, 솔레노이드 밸브 시트를 통한 관류를 해제하고, 연료는 제어 챔버(11)로부터 나와 배출 초크(12), 솔레노이드 밸브 아마추어 챔버 및 저압 보어(18)를 통해 다시 도시되지 않은 연료 탱크 내로 흐른다. 공급 초크(10) 및 배출 초크(12)의 유동 횡단면에 의해 규정된 평형 압력이 제어 챔버(11) 내에 설정된다. 상기 평형 압력은 노즐 챔버(19) 내에 가해지는 시스템 압력이 노즐 바디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노즐 니들(15)을 개방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서, 분사 홀들(17)이 개방되고 분사가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13)가 폐쇄되면, 배출 초크(12)를 통한 연료의 배출 경로가 차단된다. 공급 초크(10)를 통해 제어 챔버(1) 내에 다시 연료압이 형성되고, 이는 추가의 폐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추가의 폐쇄력은 노즐 니들(15)의 압력 숄더에 대한 유압을 줄이고, 노즐 스프링(14)의 힘을 초과한다. 노즐 니들(15)이 분사 홀들(17)에 대한 경로 폐쇄함으로써, 분사 과정이 종료된다.
고압 보어(8)에 대해 평행하게, 고압 어큐뮬레이터 측 공진기 초크(21)를 구비한 공진기 라인(2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공진기 초크에 의해, 발생한 압력 피크가 신속히 강하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고압 펌프에 의해 분사기(1) 내로 고압 연료의 공급은 분사기(1)의 상부 면에 배치된 고압 접속부(2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탑-피드 분사기). 대안으로서, 연료 공급은 분사기(1)에, 특히 홀딩 바디(5)에 측면으로 배치된 고압 접속부(23),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6)로 연장하는 공급 보어(2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사이드-피드 분사기).
도 2 내지 도 5는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 고압 어큐뮬레이터(6) 및 홀딩 바디(5) 사이에 배치된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도 1의 부분 X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공통점은 관류 제한기가 별도의 관류 제한기 부품(26) 내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관류 제한기 부품(26)은 제 1 축 방향 섹션(27) 및 제 2 축 방향 섹션(28)을 포함하고, 제 2 축 방향 섹션(28)은 제 1 축 방향 섹션(27)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제 2 축 방향 섹션(28)에서 관류 제한기 부품(26)은 원추형의 제 1 밀봉 면(29)을 가진 숄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밀봉 면(29)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의 힐(30)에 형성된 원추형의 대응 밀봉 면과 상호 작용한다. 어큐뮬레이터(25)의 힐(30)은 링 홈 형태의 리세스(31)를 통해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의, 암나사(33)를 구비한 얇은 벽의 섹션(32)에 연결된다. 관류 제한기 부품(26)은 홀딩 바디(5)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 사이에 삽입되고, 이들 두 부품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관류 제한기 부품(26)은 핀(34)에 의해 비틀림으로부터 보호된다. 홀딩 바디(5)에 대한 밀봉은 도 2, 도 3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홀딩 바디(5)를 향한 정면에 형성된 평평한 밀봉 면으로 형성된 플랫 밀봉 지점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평평한 밀봉 면은 홀딩 바디(5)의 평평한 정면과 상호 작용한다.
관류 제한기 부품(26)은 유입부(36) 및 배출부(37)를 포함한다. 챔버(38)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피스톤(39)이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39)은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리테이닝 링(41)에 대해 가압된다. 피스톤(39)은 블라인드 홀(42)을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 홀은 한편으로는 유입부(36)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초크 보어(43)를 통해 배출부(37)에 연결된다. 작동 중에, 챔버(38)로부터 분사량이 빼내진다. 이로 인해, 피스톤(39)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서 하부 밀봉 시트(44)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상기 밀봉 시트(44)에 도달하지 않는다. 비-분사 시간 동안 압축 스프링(40)이 피스톤(39)을 출발 위치로 다시 가압한다. 이 경우, 챔버(38)는 초크(43)를 통해 다시 채워진다. 분사량이 규정된 최대치를 초과하면, 피스톤(39)은 밀봉 시트(44)에 도달되고 분사가 종료될 정도로 이동된다. 초크(43)에 의해, 블라인드 홀(42) 내에 존재하는 연료와 챔버(38) 사이에 압력 손실이 생긴다. 규정된 초크 관류의 초과 시에, 피스톤(39)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서 하부 밀봉 시트(44)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분사가 종료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일 고압 라인(8)이 제공되고, 상기 고압 라인(8)은 홀딩 바디(5)를 통해 연장된다. 관류 제한기(26)를 통과하는 연료는 보어 섹션(48)을 통해 직접 고압 라인(8) 내로 이른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홀딩 바디(5) 내에는 고압 라인(8)에 대해 평행하게 추가의 고압 라인(20)이 배치되고, 상기 추가의 고압 라인(20)은 공진기 라인으로서 형성되며 공진기 초크(21)를 통해 연료 공급부와 연결된다. 2개의 고압 라인(8 및 20)은 관류 제한기 부품(26) 내에 형성된 보어 교차점(45)을 통해 연료를 공급받는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탑-피드 분사기의 경우 홀딩 바디(5)에 대한 관류 제한기 부품(26)의 밀봉은 원추 밀봉부(4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비틀림 방지용 핀(34)은 생략된다. 원추 밀봉부(46)를 형성하는 원추형 밀봉 면은 한편으로는 배출부(37) 및 다른 한편으로는 고압 라인들(8 및 20)이 통하는 중공 챔버(47)를 제한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사이드-피드 분사기이며, 상기 분사기의 경우 연료는 홀딩 바디(5)의 공급 보어(24) 및 관류 제한기 부품(26)을 통해 고압 어큐뮬레이터(6) 내로 안내된다. 이 경우, 공급 보어(24)는 어큐뮬레이터 초크(49)를 통해 고압 어큐뮬레이터(6) 내로 통한다.
1 분사기
5 홀딩 바디
6 고압 어큐뮬레이터
19 노즐 챔버
20 고압 라인
21 공진기 초크
23 접속부
24 공급 보어
25 어큐뮬레이터 파이프
26 관류 제한기
29, 35, 46 밀봉면
36 유입부
37 배출부
38 챔버
39 폐쇄 부재
43 초크
45 보어 교차점
47 중공 챔버

Claims (19)

  1. 분사기 바디 내에 통합된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로서, 상기 분사기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노즐 챔버에 의해 둘러싸인 노즐 니들을 구비한 분사 노즐,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상기 노즐 챔버와 연결하는 고압 라인, 및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를 형성하는 부품과 정면에서 나사 결합된 홀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바디를 통해 상기 고압 라인이 연장하며, 유동 면에서 볼 때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의 후방에,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분사 노즐로 송출되는 연료량을 제한하기 위한 관류 제한기가 배치되는, 상기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는, 상기 홀딩 바디(5)와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딩 바디(5)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관류 제한기(26)은 고압 어큐뮬레이터 측 하우징 유입부(36) 및 홀딩 바디 측 하우징 배출부(37)를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챔버(38) 내에서 출발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그리고 유동 방향과 반대로 스프링 예비 응력을 받는 폐쇄 부재(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바디(5) 및 상기 관류 제한기(26)이 축 방향 핀(34)에 의해 비틀림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은 원추형의 제 1 밀봉 면(29)을 구비한 숄더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면(29)은 상기 어큐뮬레이터 파이프(25)의 힐(30)에 형성된 원추형의 밀봉 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은 상기 홀딩 바디(5)를 향한 정면에 원추형의 제 2 밀봉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밀봉 면은 상기 홀딩 바디(5)의 정면에 형성된 원추형의 밀봉 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의 상기 원추형의 제 2 밀봉면은 상기 홀딩 바디(5)와 상기 관류 제한기(26) 사이에 형성된 중공 챔버(47)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라인(8)에 대해 평행하게 접속된 추가의 고압 라인(20)이 상기 홀딩 바디(5)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추가의 고압 라인(20)은 한편으로는 상기 노즐 챔버(19)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고압 라인(20)은 공진기 초크(21)를 통해 상기 고압 어큐뮬레이터(6)에 연결되는 공진기 라인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라인(8) 및 상기 추가의 고압 라인(20)은 상기 중공 챔버(47)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라인(8) 및 상기 추가의 고압 라인(20)은 상기 관류 제한기(26) 내에 형성된 보어 교차점(45)을 통해 상기 관류 제한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7)는 상기 보어 교차점(45)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1)는 연료 공급용 측면 접속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공급 보어(24)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 보어의 제 1 섹션은 상기 홀딩 바디(5) 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 보어의 제 2 섹션은 상기 관류 제한기(26)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은 상기 홀딩 바디(5)를 향한 정면에 평평한 제 2 밀봉 면(35)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밀봉 면(35)은 상기 홀딩 바디(5)의 평평한 정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39)는 초크(4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하우징 유입부(36)를 상기 하우징 배출부(37)와 서로 유압식으로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유입부(36)와 상기 하우징 배출부(37) 사이의 유동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 내에 고정된 리테이닝 링(41)이 상기 폐쇄 부재(39)의 출발 위치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 제한기(26)은 제 1의, 유입부 측 축 방향 섹션(27)과 제 2의, 배출부 측 축 방향 섹션(28)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션(28)은 상기 제 1 섹션(27)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7028307A 2012-04-10 2013-04-08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KR102049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424/2012A AT512277B1 (de) 2012-04-10 2012-04-10 Injektor eines modularen Common-Rail-Kraftstoffeinspritzsystems mit Durchflussbegrenzer
ATA424/2012 2012-04-10
PCT/EP2013/057268 WO2013153010A1 (de) 2012-04-10 2013-04-08 Injektor eines modularen common-rail-kraftstoffeinspritzsystems mit durchflussbegren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100A KR20140147100A (ko) 2014-12-29
KR102049218B1 true KR102049218B1 (ko) 2020-01-08

Family

ID=4808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307A KR102049218B1 (ko) 2012-04-10 2013-04-08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36696B1 (ko)
JP (1) JP5936764B2 (ko)
KR (1) KR102049218B1 (ko)
AT (1) AT512277B1 (ko)
WO (1) WO2013153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3234A1 (de) * 2013-08-08 2015-02-12 Man Diesel & Turbo Se Injektor für ein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CN112761837A (zh) * 2021-01-25 2021-05-07 哈尔滨工程大学 模块化增压式可变喷油的超高压柴油机共轨燃油系统
CN114151248B (zh) * 2021-11-19 2023-10-13 哈尔滨工程大学 液氨直冷-柴油双燃料一体化混合动力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614A (ja) 1998-12-28 2002-10-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装置
JP2005519233A (ja) 2002-03-08 2005-06-3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定置の燃焼機関において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装置
WO2007059906A1 (de) 2005-11-23 2007-05-31 L'orange Gmbh Einspritzinjektor
WO2008145330A1 (de) 2007-05-29 2008-12-04 L'orange Gmbh Hochdruck-einspritzinjektor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einer knicklaststeigernden steuerstangenabstützung über unter hochdruck stehendem kraftstof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8665D0 (en) * 2005-04-28 2005-06-08 Man B & W Diesel Ltd Fuel injector
BRPI0816923A2 (pt) * 2007-09-13 2015-03-17 Ganser Hydromag Dispositivo de injeção de combustív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614A (ja) 1998-12-28 2002-10-0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装置
JP2005519233A (ja) 2002-03-08 2005-06-30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定置の燃焼機関において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装置
WO2007059906A1 (de) 2005-11-23 2007-05-31 L'orange Gmbh Einspritzinjektor
WO2008145330A1 (de) 2007-05-29 2008-12-04 L'orange Gmbh Hochdruck-einspritzinjektor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einer knicklaststeigernden steuerstangenabstützung über unter hochdruck stehendem kraftst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2493A (ja) 2015-04-27
EP2836696B1 (de) 2016-10-19
EP2836696A1 (de) 2015-02-18
JP5936764B2 (ja) 2016-06-22
WO2013153010A1 (de) 2013-10-17
AT512277B1 (de) 2013-07-15
KR20140147100A (ko) 2014-12-29
AT512277A4 (de)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720B2 (en) Device for inject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04640B2 (ja) 定置の燃焼機関において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装置
JP5284277B2 (ja) 内燃機関の燃焼室内に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インジェクタ
US8622046B2 (en) Fuel system having accumulators and flow limiters
US8100110B2 (en) Fuel injector with selectable intensification
US7866300B2 (en) Device for inject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90072063A1 (en) Flow restrictor for an injector
US20150292462A1 (en) Piezo Injector
KR102049218B1 (ko) 관류 제한기를 구비한 모듈식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사기
DE102017201580A1 (de) Rückschlag-Drossel-Ventil für einen Hochdruckspeicher
US8348176B2 (en) Fuel injector with an integrated pressure booster
US20150101688A1 (en) Flow Restrictor with Ball and Throttle
US9670890B2 (en) Fuel injector
US20160230728A1 (en) Plunger And Fluid-Line System
US9297343B2 (en) Needle for needle valve
DE102007029969A1 (de) Schnellschaltender Kraftstoffinjektor für hohe Einspritzdrücke
JP5152005B2 (ja) フィルタ装置および燃料噴射装置
KR102009766B1 (ko)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장치
CN105658946B (zh) 燃料喷射器
US20120043393A1 (en) Fuel Injector with Damper Volu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Overshoot
EP3265668B1 (en) A fuel injection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60272617A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a fuel injection system provided with an accumulator
DE102005037548A1 (de) Kraftstoffinjek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