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998B1 -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98B1
KR102048998B1 KR1020180101350A KR20180101350A KR102048998B1 KR 102048998 B1 KR102048998 B1 KR 102048998B1 KR 1020180101350 A KR1020180101350 A KR 1020180101350A KR 20180101350 A KR20180101350 A KR 20180101350A KR 102048998 B1 KR102048998 B1 KR 10204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separator
separated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이콥부희
Original Assignee
이제이콥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이콥부희 filed Critical 이제이콥부희
Priority to KR102018010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회수 및 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성 슬러지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메인 혼합탱크; 상기 메인 혼합탱크에서 혼합되어 공급되는 유성 슬러지를 비중 분리에 의해 오일과, 더스트로 분리하는 이송 분리기; 상기 이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더스트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서브 혼합탱크; 상기 서브 혼합탱크로부터 더스트를 공급받아 원심 분리에 의해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액상 더스트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와, 이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액상 더스트를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 작용으로 정화하여 균질화된 미세입자 형태의 슬러지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로부터 처리된 액상 더스트를 공급받아 3상 분리에 의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 다시 한 번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 상기 이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공급받아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로 공급하는 오일 서지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오일 회수 탱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깨끗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물 회수 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System for oil recovery and soil restoration}
본 발명은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성 슬러지를 처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오일과 깨끗한 흙으로 분리함으로써, 경제적인 실익을 추구하는 한편 토양 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는 다양한 형태의 원유 정제 시스템에 의한 정제 과정을 거쳐 정제 대상 원료인 원유(Crude Oil)로부터 나프타(Naphtha), 등유(Kerosene), 디젤유(Diesel), 중유(AGO, Automobile Gas Oil), 잔사유(Residue)에 의한 5가지의 증류 제품으로 분류 증류된다.
이와 같은 원유의 정제 과정은, 원유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공급된 원유를 1차 가열을 통하여 원유량에 대해 25~28중량%의 증기가 함유된 원유(Raw Crude)를 분배기에서 원유(Crude)와 증기(Vaper)로 분리시키고, 원유만을 예열기에서 가열한 후 액상 혼합물인 원유와 분배기에서 분리시킨 증기를 혼합시킨 혼합물을 증류탑의 하단으로 공급하고, 분별 증류를 통해 사용 목적에 따라 비점별로 구분하여 나프타, 등유, 디젤유, 중유, 잔사유로 분리하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원유의 정제 과정을 거치는 동안 정유 증류탑 및 원유 저장탱크 등의 바닥에는 증류과정에서 분해되지 못하는 슬러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슬러지는 주기적으로 회수하여 이를 폐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러지는 많은 양의 오일과 흙 및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중량이 무겁고, 부피 또한 커서 외부로 반출하기가 쉽지 않음으로써, 그 처리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유성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매립하거나 또는 해양에 투기하는 경우, 유성 슬러지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석유탄화수소 등에 의해 토양과 해양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이를 재처리하여 유성 슬러지에 함유된 오일을 회수하여 경제적 실익을 추구하는 한편, 토양 등의 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68932호(2014.11.28.) 한국특허등록 제10-1616503호(2016.04.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성 슬러지를 처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오일과 깨끗한 흙으로 분리함으로써, 경제적인 실익을 추구하는 한편 토양 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은, 유성 슬러지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메인 혼합탱크; 상기 메인 혼합탱크에서 혼합되어 공급되는 유성 슬러지를 비중 분리에 의해 오일과, 더스트로 분리하는 이송 분리기; 상기 이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더스트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서브 혼합탱크; 상기 서브 혼합탱크로부터 더스트를 공급받아 원심 분리에 의해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액상 더스트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와, 이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액상 더스트를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 작용으로 정화하여 균질화된 미세입자 형태의 슬러지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로부터 처리된 액상 더스트를 공급받아 3상 분리에 의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 다시 한 번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 상기 이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공급받아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로 공급하는 오일 서지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오일 회수 탱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깨끗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물 회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는, 제1 원심 분리기 및 제2 원심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는, 제1 혼합기 및 제2 혼합기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은,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및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서브 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더스트는 상기 제1 원심 분리기에 의해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된 후, 분리된 액상 더스트는 제2 혼합기 및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어 처리되고, 분리된 고형분 더스트는 제1 혼합기 및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어 처리된 후, 상기 제2 원심 분리기에 의해 다시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될 수 있다.
삭제
이 때, 상기 제2 원심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 더스트는, 상기 제2 혼합기로 공급되어 상기 제1 원심 분리기에서 분리되어 공급된 액상 더스트와 함께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는, 제1 3상 분리기 및 제2 3상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혼합기에서 공급된 액상 더스트는 상기 제2 3상 분리기로 공급되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되며, 상기 오일 서지 탱크에 저장된 오일은 상기 제1 3상 분리기로 공급되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3상 분리기 및 상기 제2 3상 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과 물 및 흙 중에서, 오일은 상기 오일 회수 탱크로 회수되고, 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 공급되어 재처리되며, 흙은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는, 제1 오일/물 분리기 및 제2 오일/물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오일/물 분리기 및 제2 오일/물 분리기에 의해 다시 한 번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되되, 분리된 오일은 상기 오일 서지 탱크로 공급되고, 분리된 물은 상기 물 회수 탱크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오일/물 분리기 및 상기 제2 오일/물 분리기에서 분리된 더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를 다시 한 번 순환하여 재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의하면, 원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성 슬러지가 처리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오일과 깨끗한 흙으로 분리됨으로써, 경제적인 실익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한편 토양 오염이 예방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서, 제1 오일/물 분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서, 제2 오일/물 분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들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서, 샤프트에 임펠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샤프트 및 임펠러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4는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서, 샤프트에 임펠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분리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샤프트 및 임펠러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은, 메인 혼합탱크(1), 이송 분리기(2), 서브 혼합탱크(3),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4),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5),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8), 오일 서지 탱크(7),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9a,9b) 오일 회수 탱크(11) 및 물 회수 탱크(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혼합탱크(1)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성 슬러지와, 정제수(물), 화학약품 및 스팀이 공급되어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메인 혼합탱크(1)에서 혼합된 혼합물 즉, 유성 슬러지, 정제수, 화학약품 및 스팀이 혼합된 혼합물은 이송 분리기(2)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송 분리기(2)는 메인 혼합탱크(1)로부터 이송된 혼합물 중, 비중 분리에 의해 오일과 오폐수 등의 더스트로 구분하여 오일은 오일 서지 탱크(7)로 공급하고, 더스트는 서브 혼합탱크(3)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더스트는 혼합물에서 오일을 제외한 나머지인 정제수와 흙 등일 수 있다.
이송 분리기(2)에서 비중 분리에 의해 분리되는 오일은 상측에 위치하고, 더스트는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측에 위치하는 오일은 오일 서지 탱크(7)로 공급이 이루어지고, 하측에 위치하는 더스트는 서브 혼합탱크(3)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오일 서지 탱크(7)로 공급되는 오일의 처리 과정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브 혼합탱크(3)로 공급되는 더스트는 망 또는 체에 의해 걸러져서 입자가 큰 흙을 1차적으로 걸러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의 입자가 망 또는 체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망 또는 체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더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4)로 공급되어 액상과 고형분으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은, 원심 분리기(4)가 2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처리 환경에 따라 그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4)가 제1 원심 분리기(4a) 및 제1 원심 분리기(4b)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은, 혼합기 및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이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처리 환경에 따라 그 개수는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5)가 제1 혼합기(5b)와 제2 혼합기(5a)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도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과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브 혼합탱크(3)의 망 또는 체에서 걸러지지 않은 더스트는 먼저 제1 원심 분리기(4a)로 공급되고, 제1 원심 분리기(4a)에 공급된 더스트는 원심 분리에 의해 더스트를 액상과 고형분으로 분리하게 된다.
이 때, 분리된 액상 더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5) 중, 제2 혼합기(5a)로 공급이 이루어지고, 고형분 더스트는 제1 혼합기(5b)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 혼합기(5b)로 공급되는 고형분 더스트는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공급이 이루어지고, 제1 혼합기(5b)에서 혼합된 고형분 더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중,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1 캐비티에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고형분 더스트는,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 작용으로 정화됨과 동시에 악취와 점성이 없는 균질화된 미세입자 형태의 슬러지로 처리되어 다시 제1 혼합기(5b)를 거쳐 제1 원심 분리기(4b)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대한 구성 및 그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의해 정화된 더스트는 제1 원심 분리기(4b)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제1 원심 분리기(4b)는 1차 정화된 더스트를 다시 한 번 원심 분리에 의해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하게 되는데, 이 때 제1 원심 분리기(4b)에 의해 분리된 고형분 더스트는 깨끗한 흙 상태로 정화가 이루어진 것이므로, 그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에, 제1 원심 분리기(4b)에 의한 원심 분리로 분리가 이루어진 액상 더스트는 제2 혼합기(5a)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2 혼합기(5a)에는 제1 원심 분리기(4a)에 의해 분리된 액상 더스트와, 제1 원심 분리기(4b)에 의해 분리된 액상 더스트가 공급되고, 이와 같이 공급된 액상 더스트는 혼합되어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된다.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액상 더스트는,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다시 한 번 분쇄, 산화, 환원 작용으로 정화됨과 동시에 악취와 점성이 없는 균질화된 미세 입자 형태의 슬러지로 처리되어 다시 제2 혼합기(5a)를 거쳐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8) 중, 일부는 제1 3상 분리기(8b)로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제2 3상 분리기(8a)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은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과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하며, 이에 대해서도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3상 분리기(8b)로 공급된 일부의 액상 더스트는 제1 3상 분리기(8b)에 의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다시 한 번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분리된 오일은 오일 회수 탱크(11)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분리된 물은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 중, 제1 오일/물 분리기(9a)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분리된 흙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2 3상 분리기(8a)로 공급된 다른 일부의 액상 더스트는 제2 3상 분리기(8a)에 의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다시 한 번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분리된 오일은 오일 회수 탱크(11)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분리된 물은 제1 오일/물 분리기(9a)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분리된 흙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송 분리기(2)에 의해 분리된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 서지 탱크(7)는, 공급된 오일을 제2 3상 분리기(8a)로 공급하여,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이송 분리기(2)에 의해 분리된 오일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더스트가 포함되어 있는바, 곧바로 제2 3상 분리기(8a)에 의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 때, 제2 3상 분리기(8a)에 의해 분리되는 오일 중, 순수 오일은 오일 회수 탱크(11)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분리된 물은 제1 오일/물 분리기(9a)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분리된 흙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일 회수 탱크(11)로는 물 및 흙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 오일만 회수되어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 3상 분리기(8b) 및 제2 3상 분리기(8a)로부터 분리된 물이 공급되는 제1 오일/물 분리기(9a)는 공급되는 물을 다시 한 번 정제하여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서, 제1 오일/물 분리기(9a)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오일/물 분리기(9a)는, 제1 3상 분리기(8b) 및 제2 3상 분리기(8a)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1 공급관(90a)과, 가스가 공급되는 제2 공급관(91a)과, 제1 공급관(90a)과 제2 공급관(91a)을 연결하는 제3 공급관(92a) 및, 제1 공급관(90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다시 한 번 정제하여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분리조(95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리조(95a)의 상부 측에는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오일 서지 탱크(7)로 공급하기 위한 제1 회수관(96a)이 형성되고, 중간 측에는 분리된 물을 제2 오일/물 분리기(9b)로 공급하기 위한 제2 회수관(97a)이 형성되며, 하부 측에는 분리된 흙을 배출하기 위한 제3 회수관(98a)이 한쪽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조(95a)의 제2 회수관(97a)과 배출관 사이에는 분리조(95a)로 공급된 물을 다시 한 번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 작용으로 정화됨과 동시에 악취와 점성이 없는 균질화된 미세 입자 형태의 슬러지로 처리하는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유입관과 연결되는 제1 연결관(94a)이 설치되고, 이에 대향되는 반대 쪽에는 분리조(95a)에서 분리된 흙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관(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은 앞선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및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과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하며, 이의 구성 및 작동관계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유출관과 제3 공급관(92a)을 연결하는 제2 연결관(93a)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의해 처리된 슬러지는 제2 공급관(91a)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와 혼합된 상태로 제3 공급관(92a)을 통과하여 제1 공급관(90a)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함께 다시 분리조(95a)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리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오일/물 분리기(9a)에 의해 분리된 물은 제2 오일/물 분리기(9b)로 공급되어 다시 한 번 분리에 따른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서, 제2 오일/물 분리기(9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오일/물 분리기(9b)는, 제1 오일/물 분리기(9a)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공(90b)이 형성된 제1 저장조(A)와, 이 제1 저장조(A)와 제1 댐(91b)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저장조(B)와, 제2 저장조(B)와 차단막(93b) 및 필터부(92b)에 의해 구획되는 제3 저장조(C) 및 제3 저장조(C)와 제2 댐(94b)에 의해 구획되고 정화된 물을 물 회수 탱크(12)로 공급하기 위한 회수공(95b)이 형성된 제4 저장조(D)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조(A)의 하부 쪽에는 비중에 의해 가라앉은 흙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흙이 분리된 물만 제1 댐(91b)을 넘어 제2 저장조(B)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저장조(B)와 제3 저장조(C)의 하부 쪽에는 비중에 의해 물과 오일 및 흙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92b)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필터부(92b)에 의해 오일은 상부쪽으로 이동하고, 물과 흙은 필터부(92b)를 통과하여 제3 저장조(C)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2 저장조(B)와 제3 저장조(C)는 차단막(93b)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바, 제2 저장조(B)의 상부에 포집되는 오일은 제3 저장조(C)로 이동이 제한되며, 오일 스키머(97b)에 의해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저장조(C)로 이동된 물과 흙은 다시 한 번 비중에 의해 분리되어 하부쪽으로 흙이 가라앉게 되는바, 제3 저장조(C)의 하부 쪽에도 분리된 흙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공(96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흙이 분리된 물만 제2 댐(94b)을 넘어 제4 저장조(D)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4 저장조(D)에는 오일 및 흙이 완전히 분리된 깨끗한 물만 저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깨끗한 물은 회수공(95b)을 통해 물 회수 탱크(12)로 회수되어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오일/물 분리기(9b)에 의해 분리된 오일은 오일 서지 탱크(7)로 공급되고, 오일 서지 탱크(7)로 공급된 오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3상 분리기(8b)로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제1 오일/물 분리기(9a)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더스트는 제2 혼합기(5a) 및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재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은, 원유 정제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성 슬러지를 순수 오일과, 깨끗한 물 및 깨끗한 흙으로 완벽히 분리하게 됨으로써, 추가 오일을 취득하여 경제적 실익을 추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깨끗한 흙과 깨끗한 물로 분리하게 되어 토양 등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내지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은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내지 제3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이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이라 통칭함)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은,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0)와, 이 모터(11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유입되는 오폐수 등의 더스트를 분쇄, 산화, 환원시킴으로써, 액체와 슬러지로 분리하여 정화시키는 펌핑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펌핑부(200)의 일 측에는 오폐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유출구(20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펌핑부(200)는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의 용량에 따라 지름 및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그 지름 및 길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구현 예>
도 5는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서, 샤프트에 임펠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샤프트 및 임펠러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는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은,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갖게 되는 모터(110)와, 이 모터(110)의 축과 축설되어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입되는 오폐수 등의 더스트를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펌핑부(200)의 일 측에는 오폐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유입구(202)로 유입되어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된 분말 형태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204)를 포함할 수 있다.
펌핑부(2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0)의 축이 축설되기 위하여 중앙에 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안착 요부(222)가 형성된 샤프트(220)와, 이 샤프트(220)의 안착 요부(222) 둘레에 설치되는 복수의 임펠러(300) 및, 복수의 임펠러(300) 끝단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샤프트(220) 및 임펠러(300)를 감싸는 하우징(2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20)의 외면 둘레에는 복수의 안착 요부(222)들을 구획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단턱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에서, 샤프트(220)의 외면 둘레에 모두 6개의 안착 요부(222)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샤프트(220)의 외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 요부(222) 중, 하나의 안착 요부(222)에는 둘레에 걸쳐 모두 5개의 임펠러(300)가 장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 또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 및 크기는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에 적용되는 임펠러(300)는, 샤프트(220)의 안착 요부(222)의 일부 영역에 안착되어 볼트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310)와, 이 베이스부(310)의 상면(33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300)의 베이스부(310)는, 샤프트(220)의 외면 둘레에 형성되는 안착 요부(222)에 안착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1 구현 예에서와 같이 샤프트(220)의 외면 둘레에 형성되는 하나의 안착 요부(222)에 모두 5개의 임펠러(300)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임펠러(300)는 대략 72도 각도를 갖는 길이로 이루어져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300)의 베이스부(310) 일 단은 하측 일부가 안쪽으로 패인 형태로 제1 단차부(312)를 형성하고, 타 단은 상측 일부가 안쪽으로 패인 형태로 제2 단차부(314)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다른 임펠러(300)와 적층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프트(220)의 안착 요부(222) 원주 둘레에 걸쳐 안정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300)의 베이스부(310) 일 측에는 종 방향으로 결합공(320)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320)을 통해 결합 부재가 삽입되어 임펠러(300)를 샤프트(220)에 대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20)의 안착 요부(222)에는 임펠러(3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체결공(22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터부(330)는 베이스부(310)의 상면(33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0a 및 도 10b, 도 11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일 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를 이루면서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커터부(33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면(332)의 일 측면은 직선을 이루는 반면, 타 측면은 높이가 높은 쪽으로부터 높이가 낮아지는 쪽을 향해 일정 길이까지는 직선을 이루다가 계속해서 높이가 낮은 쪽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330)의 상면(332)은 대략 마름모 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이 직선을 이루는 제1 측면(334)은 삼각 형상을 이루고, 타 측면에서 직선을 이루는 부위인 제2 측면(336)은 마름모 꼴 형태의 사각 형상을 이루며, 제2 측면(336)으로부터 높이가 가장 낮은 부위까지 평면 상에서 볼 때 경사를 이루는 부위인 제3 측면(338)은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제3 측면(338)은 제2 측면(336)의 길이에 따라 그 경사 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3 측면(338)의 경사각도는 제한되지 않고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임펠러(300)들을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20)의 안착 요부(222)들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각각 설치하게 되면, 샤프트(220)에 설치된 임펠러(300)들은 그 커터부(330)들이 회전 방향을 향해 한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 때, 임펠러(300)들의 커터부(330) 끝단 즉, 베이스부(310)로부터 가장 높이가 높은 모서리 측 끝단은 하우징(210) 내면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터(1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모터(1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 축(112)이 축설된 샤프트(2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220)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220)의 각 안착 요부(222)들 둘레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임펠러(300)들 또한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하우징(210)은 회전을 하지 않게 됨으로써, 고정된 하우징(210)에 대하여 임펠러(300)들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우징(210) 내면과 임펠러(300)들 사이로 공급되는 점성도 높은 오폐수는 임펠러(300)의 커터부(330)들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하우징(210)의 내면에서 임펠러(300)의 커터부(330)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위치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만큼 패인 제1 캐비테이션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210)의 내면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임펠러(300)의 커터부(330)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캐비테이션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되, 횡 방향으로 인접하는 임펠러(300)들의 커터부(330)들을 구획시키기 위한 구획벽(2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구획벽(214)들은 임펠러(300)들의 커터부(330)들 사이에 배치되되, 그 단부는 샤프트(220)의 단턱부(226)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20)의 단턱부(226)에는 그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만큼 패인 제2 캐비테이션 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유입구(202)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는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구획벽(214)들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유로(216)를 통과하게 되며, 이 유로(216) 상에는 제1 캐비테이션 홈(212) 및 제2 캐비테이션 홈(228)이 위치하게 되는바, 오폐수가 상기 유로(216)를 통과하면서 제1 캐비테이션 홈(212) 및 제2 캐비테이션 홈(228)에 의해 캐비테이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포함한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1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모터(1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 축(112)이 축설된 샤프트(2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220)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220)의 각 안착 요부(222)들 둘레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임펠러(300)들 또한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정화시키고자 하는 높은 점성도의 오폐수는 펌핑부(200)의 유입구(202)를 통해 유입된 후, 하우징(210) 내면과 임펠러(300)들 사이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유입구(202)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는, 하우징(210) 내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구획벽(214)들과 임펠러(300)들의 커터부(330)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유로(216)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구획벽(214)들과 임펠러(300)들의 커터부(330)들 사이의 공간인 유로(216)로 유입된 오폐수, 즉 점성도가 높은 오폐수는 회전되는 임펠러(300)들의 원심력에 의해 믹싱(Mixing)이 이루어지면서 임펠러(300)들의 커터부(330)들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임펠러(300)들의 각 커터부(330)들은 한 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치 커터와 같은 형상을 이룸에 따라 커터부(330)들에 의해 입자가 큰 슬러지들이 분쇄될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300)들의 각 커터부(330)들 끝단과 하우징(210) 내면 사이의 간격은 일정 간격만큼 좁게 형성됨으로써, 이 간격을 통과하는 슬러지들은 커터부(330)들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임펠러(300)들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를 포함한 오폐수는 상기 유로(216)를 통과하면서 샤프트(220)의 단턱부(226)에 형성되는 제2 캐비테이션 홈(228)과, 하우징(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캐비테이션 홈(212)에 순차적으로 인입된 후 다시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산화 및 환원됨에 따라 오폐수에 포함된 수분에서 기포가 발생되면서 슬러지와 수분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임펠러(300)들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오폐수의 농충된 슬러지는 마찰력과 캐비테이션 기포에 의해 온도가 상승(대략 5000K)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부유입자는 물리화학적 산화 및 환원반응에 의하여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고 점성이 분해되어 균질화 된다.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슬러지가 함유하고 있는 고형유기물질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정화 성능을 높이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202)를 통해 유입된 오폐수 즉, 점성도가 높은 오폐수 슬러지는 임펠러(300)의 커터부(330)에 의해 분쇄됨과 아울러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216)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캐비테이션 홈(212) 및 제2 케이테이션 홈(228)에 의한 캐비테이션 반응으로 슬러지의 균질화된 미세입자는 수용성으로 가수분해가 촉진되므로 오폐수 슬러지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질이 정화되면서 감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출구(204)를 통해 배출하게 되는 악취와 점성이 제거된 균질화된 슬러지는 소화효율이 높아 소화조에서의 체류시간을 단축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메탄가스의 수득율을 증대시켜 준다.
특히, 구획벽(214)들에 의해 오폐수가 이동하게 되는 유로(216)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길게 형성되고, 이 유로(216) 상에 순차적으로 제1 캐비테이션 홈(212) 및 제2 캐비테이션 홈(228)이 배치되어 있는바, 그 캐비테이션 반응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균질화된 슬러지는 악취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고액분리 탈수율이 높아 슬러지 감량율을 향상시켜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에 의하면, 점성도가 높은 오폐수를 분쇄, 산화, 환원에 의해 슬러지와 수분으로 고액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탈수율이 향상된 미립자 형태의 균질한 슬러지 상태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점성도가 높은 오폐수의 정화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바, 경제적 실익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의 경우, 펌핑부(200)의 일 측에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타 측에 유출구(204)가 형성되어, 유입구(202)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된 후, 유출구(204)를 통해 악취와 점성이 없는 균질화된 미세입자 형태의 슬러지가 배출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110)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유출구(204)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한 후, 유입구(204)를 통해 악취와 점성이 없는 균질화된 미세입자 형태의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구현 예>
도 12는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14는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서, 샤프트에 임펠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2의 샤프트 및 임펠러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7a 및 도 17b는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은,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과 비교할 때, 임펠러(300)의 커터부(330) 끝단이 플랫(Flat)하게 형성되어 임펠러(300)의 커터부(330) 끝단이 평면부(340)로 형성된 것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의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펠러(300)의 커터부(330) 끝단이 플랫하게 형성되어 평면부(340)를 이루는 경우, 임펠러(300)의 커터부(330)와 유입구(202)를 통해 유입된 오폐수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캐비테이션 효과가 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임펠러(300)의 커터부(330) 끝단이 평면부(340)로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210)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220)의 외면과 하우징(210)의 내면 간격(A-B)이 줄어들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캐비테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임펠러(300)의 커터부(330) 끝단이 플랫한 평면부(340)로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내경을 축소시킴에 따라 오폐수의 이동 경로가 되는 샤프트(220)의 외면과 하우징(210)의 내면 간격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오폐수의 유속이 더 빨라지게 되는바, 캐비테이션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10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펠러(300)의 커터부(330) 끝단이 플랫한 평면부(340)로 형성된 것 외에는, 앞서 설명한 제1 구현 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과 나머지 구성 및 작동 관계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용량이 큰 것이 적용되는 경우, 펌핑부(200)와 모터(11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앞선 구현 예들에 따른 임펠러들이 적용되어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메인 혼합탱크 2 : 이송 분리기
3 : 서브 혼합탱크 4 : 원심 분리기
4a : 제1 원심 분리기 4b : 제2 원심 분리기
5 : 혼합기 5a : 제2 혼합기
5b : 제1 혼합기 7 : 오일 서지 탱크
8 : 3상 분리기 8a : 제2 3상 분리기
8b : 제1 3상 분리기 9a : 제1 오일/물 분리기
9b : 제2 오일/물 분리기 11 : 오일 회수 탱크
12 : 물 회수 탱크 90a : 제1 공급관
91a : 제2 공급관 92a : 제3 공급관
93a : 제2 연결관 94a : 제1 연결관
95a : 분리조 96a : 제1 회수관
97a : 제2 회수관 98a : 제3 회수관
90b : 투입공 91b : 제1 댐
92b : 필터부 93b : 차단막
94b : 제2 댐 95b : 회수공
96b : 제2 배출공 97b : 오일 스키머
A : 제1 저장조 B : 제2 저장조
C : 제3 저장조 D : 제4 저장조
100 :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110 : 모터
112 : 모터 축 200 : 펌핑부
202 : 유입구 204 : 유출구
210 : 하우징 212 : 제1 캐비테이션 홈
214 : 구획벽 216 : 유로
220 : 샤프트 222 : 안착 요부
224 : 체결공 226 : 단턱부
228 : 제2 캐비테이션 홈 300 : 임펠러
310 : 베이스부 320 : 결합공
330 : 커터부 332 : 상면
334 : 제1 측면 336 : 제2 측면
338 : 제3 측면 340 : 평면부

Claims (7)

  1. 유성 슬러지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메인 혼합탱크;
    상기 메인 혼합탱크에서 혼합되어 공급되는 유성 슬러지를 비중 분리에 의해 오일과, 더스트로 분리하는 이송 분리기;
    상기 이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더스트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서브 혼합탱크;
    상기 서브 혼합탱크로부터 더스트를 공급받아 원심 분리에 의해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액상 더스트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와, 이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액상 더스트를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분쇄, 산화, 환원 작용으로 정화하여 균질화된 미세입자 형태의 슬러지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로부터 처리된 액상 더스트를 공급받아 3상 분리에 의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 다시 한 번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
    상기 이송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공급받아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로 공급하는 오일 서지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오일 회수 탱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깨끗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물 회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심 분리기는,
    제1 원심 분리기 및 제2 원심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는,
    제1 혼합기 및 제2 혼합기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은,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및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서브 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더스트는 상기 제1 원심 분리기에 의해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된 후, 분리된 액상 더스트는 제2 혼합기 및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어 처리되고, 분리된 고형분 더스트는 제1 혼합기 및 제1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으로 공급되어 처리된 후, 상기 제2 원심 분리기에 의해 다시 액상 더스트와 고형분 더스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 더스트는, 상기 제2 혼합기로 공급되어 상기 제1 원심 분리기에서 분리되어 공급된 액상 더스트와 함께 제2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는,
    제1 3상 분리기 및 제2 3상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홉합기에서 공급된 액상 더스트는 상기 제2 3상 분리기로 공급되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되며,
    상기 오일 서지 탱크에 저장된 오일은 상기 제1 3상 분리기로 공급되어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상 분리기 및 상기 제2 3상 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과 물 및 흙 중에서, 오일은 상기 오일 회수 탱크로 회수되고, 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로 공급되어 재처리되며, 흙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물 분리기는,
    제1 오일/물 분리기 및 제2 오일/물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오일/물 분리기 및 제2 오일/물 분리기에 의해 다시 한 번 오일과 물 및 흙으로 분리되되, 분리된 오일은 상기 오일 서지 탱크로 공급되고, 분리된 물은 상기 물 회수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물 분리기 및 상기 제2 오일/물 분리기에서 분리된 더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테이션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3상 분리기를 다시 한 번 순환하여 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KR1020180101350A 2018-08-28 2018-08-28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KR10204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50A KR102048998B1 (ko) 2018-08-28 2018-08-28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50A KR102048998B1 (ko) 2018-08-28 2018-08-28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998B1 true KR102048998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50A KR102048998B1 (ko) 2018-08-28 2018-08-28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32B1 (ko) 2013-04-23 2014-12-04 해룡화학(주) 원유 슬러지 분리장치 및 방법
KR20150103553A (ko) *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그린코어 이엔씨 폐원유와 원유 슬러지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7440B1 (ko) * 2017-01-24 2017-07-12 이제이콥부희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32B1 (ko) 2013-04-23 2014-12-04 해룡화학(주) 원유 슬러지 분리장치 및 방법
KR20150103553A (ko) *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그린코어 이엔씨 폐원유와 원유 슬러지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6503B1 (ko) 2014-03-03 2016-05-12 주식회사 그린코어 이엔씨 폐원유와 원유 슬러지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7440B1 (ko) * 2017-01-24 2017-07-12 이제이콥부희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0427B2 (ja) 超微細気泡含有液体を用いる超微細気泡洗浄方法、その装置及び加圧浮上装置
EP2948526B1 (en) Turbulent vacuum thermal separation methods
BG65013B1 (bg) Комбиниран обезгазяващ и флотационен резервоар
CN113121076B (zh) 一种油泥砂的处理方法
CN103159387B (zh) 撬装式油田污油泥净化处理回收装置及方法
WO2014153570A2 (en) New and improved system for processing various chemicals and materials
CA2799739A1 (en) Thicken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bitumen froth treatment
CA2581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ediating drill cuttings
CN102180575A (zh) 含油污泥集中处理和资源化利用的处理方法
CN1304309C (zh) 流动式多级化学热力清洗油泥方法
KR102048998B1 (ko) 오일 회수 및 토양 복원 시스템
CN106145253B (zh) 一种多级高精度油水分离装置
KR102067575B1 (ko) 캐비테이션 유닛
RU269866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его шлама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6318442A (zh) 一种污油净化处理装置及净化处理方法
CN100425316C (zh) 智能化含油污水处理设备
CN206142991U (zh) 一种磁干预快速应急处理装置
KR101780672B1 (ko) 분리형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N105753275B (zh) 含油污泥清洁无害处理系统
CN204779151U (zh) 一种高效组合式油水分离器
CN209721650U (zh) 油水分离器
CN105884069B (zh) 一种提高含油污泥废水中油分回收方法及系统
JP5242739B2 (ja) メタン発酵後処理装置、メタン発酵後処理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方法
CN104129865A (zh) 一种高效油田回注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10937770A (zh) 一种含油污泥减量化处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