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271B1 -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271B1
KR102048271B1 KR1020180029806A KR20180029806A KR102048271B1 KR 102048271 B1 KR102048271 B1 KR 102048271B1 KR 1020180029806 A KR1020180029806 A KR 1020180029806A KR 20180029806 A KR20180029806 A KR 20180029806A KR 102048271 B1 KR102048271 B1 KR 10204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terminal
service
pairing
authentication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370A (ko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2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2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어링 서버는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을 통해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가입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부 및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 및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SERVER, MEMB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NON-MEMBER DEVICE}
본 발명은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유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회원 가입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회원 가입에 기재되는 고객의 개인 정보는 온라인 상에서의 각종 해킹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해킹 공격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경우, 개인 인적 정보가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위험에 처하게 될 뿐 아니라, 스팸 문자메시지, 보이스 피싱 등과 같은 각종 사기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30941호 (2017.03. 2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된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에 가입자 단말 및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게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어링 서버는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을 통해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단말은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페어링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 요청부;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이 상기 페어링 서버로부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페어링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서버에 의해 상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페어링 서버에서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된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에 가입자 단말 및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게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 가입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즉시적 또는 간편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 가입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개인 정보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되며, 개인 정보의 보안 등과 관련한 이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가입자 단말 및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통해 비가입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편한 방식을 제공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추후에 해당 서비스로의 정식 가입을 비가입자 단말로 하여금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입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페어링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과 가입자 단말 간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입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가입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페어링 서버(100),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가입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비가입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페어링 서버(100)는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120)이 해당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가입 절차를 진행하지 않아도 해당 서비스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예를 들면, 유료 채널 패키지 상품을 통해 제공되는 유료 채널 서비스(예컨대, otv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110)은 서비스의 홈포털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UI)에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가입자 단말(110)은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요청 메시지를 페어링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인증 정보(예를 들어,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전송한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 서버(10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블루투스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 간 연결하기와 같은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간의 상호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물리적인 공간의 제약 없이 단말 상호 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의 의미를 갖고 있다.
페어링 서버(10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구동하는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비가입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고,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페어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페어링 서버(100)는 비가입자 단말(120)과 페어링된 가입자 단말(110) 간의 페어링 정보가 확인된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은 셋톱박스(Set-top Box) 노트북, 데스크탑 PC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은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비가입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페어링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페어링 서버(100)는 수신부(200), 전송부(210), 인증부(220), 페어링부(230), 안내부(240) 및 서비스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페어링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200)는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110)을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가 입력된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 단말(110)에 의해 생성된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는 비가입자 단말(120)로의 인증 정보 확인을 위한 요청 메시지이다.
예를 들면,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의 홈포털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UI)로 가입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 경우, 수신부(2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가 포함된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비가입자 단말(120)과의 페어링에 관한 동의 여부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200)는 서비스의 홈포털 화면에 출력된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의 전송 및 비가입자 단말(120)과의 페어링 약관에 대한 동의에 대한 입력을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블루투스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 간 연결하기와 같은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간의 상호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물리적인 공간의 제약 없이 단말 상호 간에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의 의미를 갖고 있다.
전송부(21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부(210)는 인증 서버(미도시)를 통해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인증부(220)는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수신된 경우,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의 홈포털 화면에 출력된 인증 번호 입력창을 통해 가입자 단말(110)이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수신한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번호를 입력한 경우, 인증부(220)는 입력된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부(23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페어링부(23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인증 서버(미도시)에게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을 위한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의 발급을 요청하고, 인증 서버(미도시)로부터 발급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페어링부(230)는 생성된 비가입자(비가입자 단말(120)의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를 가입자 단말(110)의 고유 식별자와 매핑하여 페어링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페어링부(230)는 생성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 및 전화 번호를 가입자 단말(110)의 고유 식별자 및 전화 번호와 매핑하여 페어링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페어링부(230)는 인증 서버(미도시)로부터 발급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와 가입자 단말(110)의 고유 식별자와 매핑한 페어링 정보를 페어링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페어링부(23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안내부(240)는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서비스 이용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메시지는 서비스에 관한 접속 URL 또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페어링부(23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구동하는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비가입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앱스토어에서 직접 다운받은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페어링부(230)는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동하는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 또는 전화 번호를 비가입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에 관한 접속 URL 또는 링크 정보 중 하나를 비가입자 단말(120)이 선택한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페어링부(230)는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동하는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 또는 전화 번호를 비가입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페어링부(230)는 수신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페어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얼이부(230)는 수신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페어링 정보를 조회하여 페어링부(230)는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와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지를 확인하고,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와 매핑된 가입자 단말(110)의 고유 식별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50)는 기저장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과 비가입자 단말(120)의 사용자와 페어링된 가입자 단말(110) 간의 페어링 정보가 확인된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페어링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서의 로그인 프로세스의 구동을 제한하여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200), 전송부(210), 인증부(220), 페어링부(230), 안내부(240) 및 서비스 제공부(2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11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110)은 입력부(300), 인증 요청부(310) 및 인증 정보 전송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가입자 단말(1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입력부(300)는 가입자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00)는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의 홈포털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UI)를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300)는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음에 따라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에 관한 동의 여부에 대해 추가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00)는 서비스의 홈포털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의 전송 및 비가입자 단말(120)과의 페어링 약관에 대한 동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증 요청부(310)는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페어링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요청부(310)는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에 관한 동의 여부를 추가 입력받는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페어링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비가입자 단말(120)이 페어링 서버(100)로부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입력부(300)는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예컨대, 인증 번호)를 가입자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인증 정보 전송부(320)는 가입자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 정보를 페어링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페어링 서버(100)에 의해 전송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페어링 서버(100)에서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입력부(300), 인증 요청부(310) 및 인증 정보 전송부(3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과 가입자 단말 간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에 대한 페어링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서버(100),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페어링 서버(100),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에 대한 페어링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가입자 단말(110)은 가입자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가입자 단말(110)은 페어링 서버(100)에게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가입자 단말(110)은 가입자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비가입자 단말(120)이 수신한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가입자 단말(110)은 페어링 서버(100)에게 입력받은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어링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인증 서버(미도시)에게 전송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서버(미도시)는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번호 및 비가입자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여 페어링 서버(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후, 페어링 서버(100)는 인증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를 가입자 단말(1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서비스(예를 들어,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어링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110)로부터 가입자 단말(110)의 고유 식별자 및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가입자 단말(110)의 고유 식별자 및 비가입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15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가입자 단말(110) 및 비가입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 수행이 완료되면,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서비스 이용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메시지는 서비스에 관한 접속 URL 또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가입자 단말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서버(100) 및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페어링 서버(100) 및 비가입자 단말(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가입자 단말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비가입자 단말(120)은 비가입자 단말(120)이 페어링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안내 메시지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시도하는 경우, 비가입자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프로세서를 통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비가입자 단말(12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메시지는 서비스(예를 들어, 가입자 단말(110)이 가입한 서비스)에 관한 접속 URL 또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비가입자 단말(120)은 비가입자 단말(12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을 인증 서버(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인증 서버(500)는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 및 페어링 확인 요청을 페어링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비가입자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페어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페어링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 단계 S511에서 인증 서버(500)에게 페어링 성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인증 서버(500)는 페어링 성공 메시지에 따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서비스 로그인을 허용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페어링 서버(100)는 비가입자 단말(120)에 대한 페어링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계 S515에서 인증 서버(500)에게 페어링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7에서 인증 서버(500)는 페어링 실패 메시지에 따라 비가입자 단말(120)에게 서비스 로그인 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페어링 서버
110: 가입자 단말
120: 비가입자 단말
200: 수신부
210: 전송부
220: 인증부
230: 페어링부
240: 안내부
250: 서비스 제공부
300: 입력부
310: 인증 요청부
320: 인증 정보 전송부

Claims (16)

  1.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어링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을 통해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부
    를 포함하되,
    상기 페어링부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페어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 페어링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부는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가입자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 단말의 고유 식별자와 매핑하여 페어링 정보로 저장하는 것인, 페어링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상기 서비스 이용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접속 URL 또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프로세스는 상기 비가입자 단말이 상기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페어링 서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과 상기 비가입자 단말과 페어링된 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서버.
  8.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입자 단말에 있어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페어링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 요청부;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이 상기 페어링 서버로부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페어링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서버에 의해 상기 전송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이 수행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에 관한 동의 여부에 대해 추가 입력받는 것인, 가입자 단말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부는 상기 페어링에 관한 동의 여부를 추가 입력받는 경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페어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가입자 단말.
  11. 페어링 서버에서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페어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가입자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 단말의 고유 식별자와 매핑하여 페어링 정보로 저장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비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상기 서비스 이용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접속 URL 또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입자 단말이 상기 안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이용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로그인 프로세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비가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가입자 단말과 상기 비가입자 단말과 페어링된 가입자 단말 간의 페어링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비가입자 단말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29806A 2018-03-14 2018-03-14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KR10204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06A KR102048271B1 (ko) 2018-03-14 2018-03-14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06A KR102048271B1 (ko) 2018-03-14 2018-03-14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70A KR20190108370A (ko) 2019-09-24
KR102048271B1 true KR102048271B1 (ko) 2019-11-25

Family

ID=6806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806A KR102048271B1 (ko) 2018-03-14 2018-03-14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11B1 (ko) * 2021-01-13 2022-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종 단말간의 이종 서비스 호환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551B1 (ko) * 2012-05-24 2014-03-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Opmd 시스템에서의 배타적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 매체
KR101531198B1 (ko) * 2013-10-30 2015-07-06 주식회사 아이페이지온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303984B1 (ko) * 2015-06-22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기기의 가입 방법 및 장치
KR20170030941A (ko) 2015-09-10 2017-03-20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서비스 제공 서버, 로컬 네트워크 제공 서버 및 제공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70A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9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profile of operator
US10601812B2 (en) Facilitating access to protected content by commonly owned devices of a user
CN104602238B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装置和系统
US10769615B2 (en)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683853C1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ключа системы gprs, устройство sgsn,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hlr/hss и система gprs
CN104994504A (zh) 与无线网络的安全和自动连接
US11108773B1 (en) Mobile user authentication over WIFI using IPX networks
KR20170110170A (ko) M2m 부트스트래핑
KR20140024437A (ko) 두 개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한 인증 시스템
CN103139778A (zh) 无线局域网接入系统及方法
KR102600813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533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for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messaging with local and remote applications with e-commerce and data collection
US115583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for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messaging with local and remote applications
CN112165727B (zh) 一种并行配网系统、方法及移动终端
CN103582169B (zh) 多层网络连线通信系统、智能终端装置及其通信方法
CN107211265A (zh) 一种终端间的安全交互方法及装置
KR102048271B1 (ko)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비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가입자 단말 및 방법
KR102095961B1 (ko) 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 하는 서버,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2273726B1 (ko) 개인정보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개인정보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22719B1 (ko) 유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1700868B1 (ko) 전화번호를 통해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972729B2 (en) Secure information delivery
CN113472785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301884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for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information sharing using plural channels
KR20130039615A (ko) 인바운드 로머에 무 SIM 기기를 통한 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