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02B1 -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 Google Patents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02B1
KR102314402B1 KR1020150187615A KR20150187615A KR102314402B1 KR 102314402 B1 KR102314402 B1 KR 102314402B1 KR 1020150187615 A KR1020150187615 A KR 1020150187615A KR 20150187615 A KR20150187615 A KR 20150187615A KR 102314402 B1 KR102314402 B1 KR 10231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ret call
key
terminal
encrypted
sec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588A (ko
Inventor
이정욱
박정석
우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8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는 키생성부,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발신 단말로 비화 통화키 및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수신부는 발신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한 수신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수신하고, 암호화부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생성하고, 전송부는 수신 단말로 복호화키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 측의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복호화키에 의해 복호화되고,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발신 단말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발신 단말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수신 단말로 전송되고,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수신 단말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SECURE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화 통신 방식은 비화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통해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비화 통신 키를 교환함으로써 상대방과 암호화 통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비화 통신은 데이터 채널만을 통해 비화 통화가 수행되기 때문에 중계 서버에서 도청이 가능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비화 통화에 대한 보안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비화 통신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1790호에는 발신측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화 모드 선택 신호 및 착신측 전화 번호를 전송하고, 비화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발신측 및 수신측 통신 수단을 서버에 연결하고, 발신측 및 수신측 통신 수단에 비화 모드용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비화 모드용 IP 어드레스가 할당된 통신 수단들 간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패싱 처리하여 통화를 실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신 단말에서 암호화된 비화 통신키가 포함된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 발신 단말에서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자 한다. 또한, 수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의 유심칩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수신한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하고, 비화 통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비화 통신키를 복호화하고, 비화 통신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는 키생성부, 상기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비화 통화키 및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시 수신 단말로 상기 복호화키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단말 측의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복호화되고,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수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하는 수신부,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비화 통화를 연결하는 비화 통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화 통화키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암호화되고, 상기 비화 통화키 및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수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비화 통신키가 포함된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전달하고, 데이터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고, 유심칩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함으로써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데이터 채널만을 이용한 방식에서 멀티 채널 방식(즉, SMS 채널, 데이터 채널, 유심 채널)으로의 확장을 통해 통화에 대한 보안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비화 통화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의 멀티 채널을 통한 비화 통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여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에게 비화 통화키 및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10)은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수신 단말(120)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를 생성하고,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120)로 SMS 채널을 통해 안전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안전 문자를 암호화하고, 수신 단말(120)로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SMS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는 비화 통화 앱을 통해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발신 단말(110)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발신 단말(11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하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암호화된 비화 통신키와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전송했던 종래 기술과 달리,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비화 통신키와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각각 전송함으로써 비화 통화의 보안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수신 단말(120)은 수신 단말(120)의 유심칩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안전 문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추출할 수 있다.
수신 단말(120)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하고, 비화 통신 제공 서버(100)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수신하고, 복호화키에 의해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수신 단말(120)은 비화 통화키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발신 단말(110)과 안전한 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은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5G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200), 키생성부(210), 암호화부(220), 전송부(230), 안전 문자 생성부(240), 관리부(250) 및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200)는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각각으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정보는 예를 들어,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 단말의 모델명 및 단말의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250)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의 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110)에게 수신 단말(120)의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2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키생성부(21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생성부(210)는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부(220)는 생성된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호화부(220)는 수신 단말(12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발신 단말(110)에게 비화 통화키 및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할 수 있다.
안전 문자 생성부(24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의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포함한 안전 문자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20)의 단말 정보를 통해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수신 단말(120)로의 안전 문자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안전 문자를 생성하지 않고, 종래의 비화 통화 방식으로 발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20) 간 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120)에게 SMS 채널을 통해 안전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안전 문자를 수신한 수신 단말(120)은 안전 문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추출하고,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부(220)는 안전 문자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안전 문자를 암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암호화부(220)는 안전 문자를 수신 단말(120)의 전화 번호로 암호화할 수 있다. 이후, 전송부(230)는 수신 단말(120)에게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120)은 수신 단말(120)의 유심칩(121)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안전 문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수신 단말(120)에 설치된 안전 문자 앱으로부터 구동 중인 비화 통화 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비화 통화 앱은 발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20) 각각에 설치되어, 발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암호화된 비화 통신키와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과 별개로 유심 채널을 이용하여 복호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비화 통화의 보안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수신부(2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한 수신 단말(120)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에게로 전송된 키일 수 있다.
암호화부(220)는 수신 단말(120)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수신하면,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수신 단말(120)에게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호화키를 수신한 수신 단말(120)은 복호화키를 통해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하여 비화 통화키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화 통화 앱을 통해 발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발신 단말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발신 단말(11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수신 단말(120)은 수신한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단말(12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하여 발신 단말(110)과 안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DB(미도시)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와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미도시)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단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미도시)의 일 예에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200), 키생성부(210), 암호화부(220), 전송부(230), 안전 문자 생성부(240), 관리부(250) 및 DB(미도시)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수신 단말(12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120)은 수신부(300), 전송부(310), 복호화부(320) 및 비화 통화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수신 단말(1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300)는 발신 단말(110)이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수신 단말(120)로의 비화 통화를 요청하여,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비화 통화키 및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한 경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SMS 채널을 통해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00)는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에 기초하여 SMS 채널을 통해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이 설치된 경우, 수신 단말(120)는 안전 문자 앱을 통해,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 의해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이 미설치된 경우, 수신 단말(120)는 종래의 비화 통신 방식의 비화 통화 요청을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복호화부(320)는 수신 단말(120)의 유심칩(121)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안전 문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추출할 수 있다.
전송부(310)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복호화부(320)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수신한 경우,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전송부(310)는 비화 통화키를 안전 문자 앱으로부터 비화 통화 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화 통화 앱을 통해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전송부(310)는 안전 문자 앱을 통해 비화 통화키를 비화 통화 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비화 통화 연결부(330)는 비화 통화 앱을 통해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수신부(300)는 발신 단말(11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복호화부(320)는 수신 단말(12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300), 전송부(310), 복호화부(320) 및 비화 통화 연결부(3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발신 단말(11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단말(120)로부터 수신 단말(12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 및 단말의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에게 수신 단말(120)의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의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에게 비화 통화키와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포함하는 안심문자 전송을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를 생성하고 안전 문자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120)로 SMS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수신 단말(120)로 SMS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수신 단말(120)은 수신 단말(120)의 유심칩(121)에 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수신 단말(120)은 안전 문자에 포함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12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수신 단말(120)은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414에서 비화 통화 앱을 통해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단계 S415에서 발신 단말(110)은 발신 단말(110)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발신 단말(11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단계 S416에서 발신 단말(110)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7에서 수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단말(12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신 단말(110)은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안전문자만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10)은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화 통화키를 안전 문자 서버(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단말(120)로 전송될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에 대해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단말(120)은, 안전 문자 서버로부터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를 수신한 경우, 수신 단말(120)의 유심칩(121)에 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안전 문자에 포함된 비화 통화키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과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비화 통신키는 비화 통신이 종료된 후 폐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의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비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발신 단말(11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단말(120)로부터 수신 단말(12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 및 단말의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 단말(120)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에게 수신 단말(120)의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의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발신 단말(110)에게 비화 통화키와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발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20)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와 별개로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SMS 채널을 통해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는 비화 통화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511에서 비화 통화 앱을 통해 발신 단말(110) 및 수신 단말(120)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단계 S512에서 발신 단말(110)은 발신 단말(110)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발신 단말(11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발신 단말(110)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4에서 수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단말(1120) 측의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비화 통화 제공 서버
110: 발신 단말
120: 수신 단말

Claims (11)

  1.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비화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비화 통화키를 생성하는 키생성부;
    상기 비화 통화키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비화 통화키 및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시 수신 단말로 상기 복호화키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단말 측의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복호화되고,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되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수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비화 통화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로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비화 통화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가 포함된 안전 문자를 생성하는 안전 문자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수신 단말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SMS 채널을 통해 상기 안전 문자를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비화 통화 제공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안전 문자를 암호화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비화 통화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안전 문자는 상기 수신 단말의 유심칩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복호화되고,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상기 수신 단말에 의해 상기 복호화된 안전 문자로부터 추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비화 통화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로의 비화 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정보는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비화 통화 제공 서버.
  7.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하는 수신부;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비화 통화를 연결하는 비화 통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비화 통화키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비화 통화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암호화되고,
    상기 비화 통화키 및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는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간의 비화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수신 단말 측의 상기 비화 통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안전 문자 앱의 설치 여부에 기초하여 SMS 채널을 통해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안전 문자를 수신하고
    상기 안전 문자는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비화 통화 제공 서버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안전 문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심칩에 기저장된 안전 문자 복호화키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안전 문자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안전 문자로부터 추출된 상기 암호화된 비화 통화키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50187615A 2015-12-28 2015-12-28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10231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15A KR102314402B1 (ko) 2015-12-28 2015-12-28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15A KR102314402B1 (ko) 2015-12-28 2015-12-28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88A KR20170077588A (ko) 2017-07-06
KR102314402B1 true KR102314402B1 (ko) 2021-10-19

Family

ID=5935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615A KR102314402B1 (ko) 2015-12-28 2015-12-28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4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755A (ja) 2003-02-12 2004-10-21 Pumpkin House:Kk 暗号システムにおける鍵管理サーバおよび復号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署名/検証システムにおける鍵管理サーバおよび検証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WO2012024906A1 (zh) 2010-08-25 201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及其语音通话加密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204A (ko) * 2008-07-15 2010-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보안 통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121230B1 (ko) * 2010-04-28 2012-06-12 한국인터넷진흥원 Sip 기반 인터넷 전화 서비스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755A (ja) 2003-02-12 2004-10-21 Pumpkin House:Kk 暗号システムにおける鍵管理サーバおよび復号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署名/検証システムにおける鍵管理サーバおよび検証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WO2012024906A1 (zh) 2010-08-25 201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及其语音通话加密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88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716B2 (en) Key exchange method and apparatus
US10321309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0830991B (zh) 安全会话方法和装置
US8948391B2 (en) Secure communication method
US102915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JP2018527837A (ja) モビリティ管理エンティティ再配置を伴うモビリティ手順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WO2019034014A1 (zh) 接入认证的方法和装置
WO2018219181A1 (zh) 确定终端设备的标识的方法和装置
US10237731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PKI key pair for mobile terminal
WO2017166840A1 (zh) 一种语音加密通信方法、主叫端、被叫端及系统
KR102425273B1 (ko) 크기 제약된 인증 프로토콜들에서의 보안 연결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KR20180015667A (ko) 보안 sms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1355575A (zh) 通信加密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9129358A1 (en) Methods providing transmission and/or searching of encrypted data and related devices
KR102121468B1 (ko)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8972729B2 (en) Secure information delivery
KR101500118B1 (ko)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2314402B1 (ko) 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101691109B1 (ko) 보안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서버
CN104243291A (zh) 一种可保障用户通讯内容安全的即时通讯方法及其系统
KR101293260B1 (ko) 이동 통신 단말 및 방법
KR101588662B1 (ko) 문자 메시지 암호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EP3984267A1 (en) Handling of nas container in registration request at amf re-allocation
KR101527053B1 (ko) 사생활 보호 통신 모드가 가능한 통신 시스템
US20160366110A1 (en) Secured cell phon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