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019B1 -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019B1
KR102048019B1 KR1020190006899A KR20190006899A KR102048019B1 KR 102048019 B1 KR102048019 B1 KR 102048019B1 KR 1020190006899 A KR1020190006899 A KR 1020190006899A KR 20190006899 A KR20190006899 A KR 20190006899A KR 102048019 B1 KR102048019 B1 KR 10204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iezoelectric
information
piezoelectric data
data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널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널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널로그
Priority to KR102019000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019B1/ko
Priority to PCT/KR2019/015985 priority patent/WO20201495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에서, 사람의 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발생하는 단계; (b) 제어주체에서,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제어주체에서, 상기 제어명령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대상객체와 제어종류값을 식별하여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제어종류값에 대응하는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촉센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복수의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압전소자 내의 복수의 버튼부에 인가된 힘으로부터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압전데이터는 압전소자 식별정보 또는 버튼부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시간차를 두고 발생되거나 동시에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METHOD FOR CONTROL AND ANALYSIS BASED ON PIEZOELECTRIC DATA PATTERN WITH TIME INTERVAL}
본 발명은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촉센서에서 측정되는 압전데이터의 조합에 따라서 IoT (Internet of Things)기반으로 다양한 제어나 분석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IoT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를 통해서 항온 항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속도 센서를 통해서 전자기기의 기울임을 보정하는 등 다양한 예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중에서 압전소자 또한 주요한 센서로 이용되고 있으며, 압전소자의 경우, 사람이 의자에 앉았다든지 버튼을 눌렀다든지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압전소자의 경우, 누군가가 압전소자 입력부에 힘을 주었다는 기본적인 값만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순한 인식 및 활용을 벗어나, 다양한 사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전소자를 통해 획득하는 시간차가 있는 데이터 패턴 별로 제어나 분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한 접촉센서가 갖는 한계점을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 패턴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어나 분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해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에서, 사람의 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발생하는 단계; (b) 제어주체에서,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주체에서, 상기 제어명령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대상객체 및 제어종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특정한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특정한 동작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촉센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압전소자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복수의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압전소자와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부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압전데이터는 압전소자 식별정보 또는 버튼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한 접촉센서를 기반으로 제어나 분석 기법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전원 연결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데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함에 따라 저전력을 기반으로 시스템이 구동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정확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거나, 여러가지 데이터 분석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한계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분한 전력이 공급된다면 주기적으로 접촉센서를 동작시키거나 제어대상객체와 수시로 인터랙션함으로써 정확한 제어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나,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할 경우, 접촉센서에 특정한 압력이나 동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시스템이 운영되기 때문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만큼 정확한 제어나 분석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접촉센서에서 발생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여러가지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에 따르는 제어값이나 분석값을 별도로 설정해둔 뒤, 어느 하나의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그에 따르는 제어나 분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저전력 기반으로 다양하고 정확한 제어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사업적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센서 및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의 패턴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와 제어주체, 제어대상객체를 포함한다.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에서, 사람의 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발생될 수 있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 센서는 압전소자를 기반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특정 공간에 위치한 의자 또는 발판마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 즉, 압전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센서는 압전소자 및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람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역학적 에너지, 예를 들어, 사람이 접촉센서 위에 앉거나 누르는 힘)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통신모듈을 통해서 사람이 앉았다라는 동작에 대응하는 압전데이터를 제어주체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압전데이터란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신호로서, 특정한 힘이 압전소자에 가해졌을 때 압전소자가 발생시키는 특정한 전압값 또는, 압전소자 내에서 특정한 힘이 인가된 버튼부에 대한 식별값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주체란, 메인제어기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서버에 해당되는 구성요소이거나, 접촉센서의 로컬에 설치되는 허브 단말에 해당되는 구성요소이거나, 제어대상객체와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어주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로 호칭될 수도 있다. 제어주체가 서버이거나 허브 단말에 해당되는 경우, 자신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제어대상객체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거나, 분석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로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주체가 제어대상객체와 동일한 경우, 접촉센서의 데이터들을 제어대상객체가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들이 어떠한 명령값을 갖는지 파악하여 곧바로 제어명령에 따르는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주체는 복수의 제어대상객체 중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대상객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주체는 허브 단말 역할을 수행하면서 제어대상객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종류값과 제어대상객체들을 파악하고, 자신이 특정한 제어동작을 수행하거나, 나머지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제어종류값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센서는 의자와 같은 좌석에서 입력받는 힘이 없는 상태에서, 힘을 입력받으면 사람이 앉았다라는 동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받는 힘이 있는 상태에서 입력받는 힘이 없게 되면 사람이 일어섰다는 동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앉을 때 또는 설 때 등과 같이, 상태의 변경이 일어나는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접촉센서는 발판에 배치된 경우에 사람이 밟을 때마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A라는 공간에 배치된 접촉센서에서 데이터가 발생된 이후 B라는 공간에 배치된 접촉센서에서 데이터가 발생될 경우, 각 접촉센서는 그때마다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제어주체는 누군가가 A라는 공간에서 B라는 공간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분석해낼 수 있다.
접촉센서의 통신모듈은 압전데이터를 제어주체에 전송할 수 있으며, 중간에 라우터가 필요한 경우, 이를 경유하여 제어주체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라우터가 와이파이 단말과 같은 무선 AP(Access Point)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를 통해서 제어주체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접촉센서가 바로 제어대상객체에 압전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촉센서는 블루투스 기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대상객체인 조명기기, 디스플레이 장치, 전력제어장치, 음향기기 등 전자기기에 압전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접촉센서1이 눌러지고 짧은 시간 이내에(예, 3초) 접촉센서2가 눌러지는 경우에 발생되는 데이터 패턴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각 접촉센서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는 사이의 시간 간격(time interval)은 일정 시간 이내로 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집안 내에서 현관을 통해 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나 거실 소파에 앉아 있다가 침실로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일련의 동작에서 발생되는 접촉 센서의 압전데이터를 하나의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로 결정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도 있다.
반대로, 현관에서의 접촉 센서의 압전데이터가 발생된 1시간 이후에 침실에서의 접촉 센서의 압전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일련의 동작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동작 환경에 비추어 일련의 동작으로 볼 수 있는 조합을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제어주체는 이러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어명령정보는 제어대상객체나 제어종류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대상객체는 여러가지 전자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어종류값은 전원의 on/off와 같이 동작에 대한 것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한 on/off뿐만 아니라 스피커의 음량 소리를 50dB로 줄이라는 정보와 같이, 범위나 특정 수준에 관한 제어명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분석 정보는 어느 접촉센서에서 압전데이터를 전송하였는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센서 별로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실시예로, 접촉센서는 접촉센서에서 어느 시각에 압전데이터가 발생하였는지 시간 정보 또한 제어주체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식별하고, 제어대상객체로 전달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주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시간차를 둔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어떤 제어대상객체에 어떠한 제어명령을 내리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제어명령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대상객체와 제어종류값을 식별하여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제어종류값에 대응하는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접촉센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130).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주체는 압전데이터 패턴에 따라서 어느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명령정보가 해당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제어대상객체를 특정할 뿐만 아니라, 특정된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명령정보가 할당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 좌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1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되고, 같은 의자 우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2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의 경우, 제어주체는 거실의 중앙 전등을 켜라(on)는 제어명령으로 특정 지을 수 있다. 제어주체는 이러한 특정을 위해서 각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및 제어명령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매칭하는 과정을 통해서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거실의 중앙 전등의 통신부에 전원을 켜라는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거실의 중앙 전등이 켜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주체는 접촉센서 1 및 접촉센서 2로부터 발생된 각 데이터의 시각 정보를 획득하여, 의자에서 사람(사용자)가 어떠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였는지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고 분석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제어주체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패턴에 기초하여, 이력을 누적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전등을 켜라는 제어명령을 누적 통계 조사하여 명령을 전송하기까지 3초의 시간 내에 완료하다가, 추후 해당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전송하기까지 5초의 시간이 소요되는 횟수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 접촉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 구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렇듯 사용자까지도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 사용자의 사용 환경 및 이력에 따라서 패턴의 생성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센서 및 제어주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 및 제어주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는 다양한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접촉센서에 하나의 압전소자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접촉센서에 복수의 압전소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센서가 하나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미도시)와 어느 버튼부에서 압력이 발생되었는지를 식별하는 센싱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센서에서 발생되는 압전데이터는 압전소자 식별정보 또는 버튼부 식별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식별정보(버튼부 식별정보 또는 압전소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압전데이터가 제어주체(200)에 수신되더라도, 각 압전데이터의 순서, 시간차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어명령값, 서로 다른 제어대상객체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어주체(200)는 센싱 정보 저장부(210), 패턴정보 분석부(220),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 및 통신부(240)(즉, 통신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정보 저장부(210), 패턴정보 분석부(220),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는 기능을 정의하기 위한 편의상 정의된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제어주체(200)에 포함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센싱 정보 저장부(210)는 각 접촉센서에서 발생되어 제어주체(200)로 전송되는 압전데이터를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센싱 정보 저장부(210)는 각 접촉센서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한 시각 정보까지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접촉센서에 대한 압전데이터 발생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패턴정보 분석부(220)는 각 접촉센서에서 발생한 압전데이터 정보를 시간적 흐름에 따라 패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압전데이터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압전데이터의 시간차가 0인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다만, 각 접촉센서가 동시에 압전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기설정된 일정 시간 내에 발생한 압전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패턴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의 좌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1에서 압전데이터압전데이터가 발생하고 3초 후에 같은 의자의 우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 2에서 압전데이터압전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이 2개의 압전데이터를 하나의 패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의자 엉덩이 받이부에 위치한 접촉센서 3에서 압전데이터압전데이터가 발생하고, 의자 밑 발판에 위치한 접촉센서 4에서 압전데이터압전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2개의 압전데이터를 하나의 패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접촉센서가 복수의 버튼부를 구비하며, 다른 전자기기나 주변구성과 물리적으로 독립된 스위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여러가지 버튼부에서 발생된 압전데이터를 하나의 패턴 정보로 결정할 수도 있다.
패턴 정보 분석부(220)는 2 이상의 압전데이터 패턴에 대하여 하나의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결정된 각 패턴 정보 간에는 중복된 압전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 엉덩이 받이부에 위치한 접촉센서 3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고, 의자 밑 발판에 위치한 접촉센서 4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패턴 A로 결정하고, 이와 중복여부에 관계없이, 의자 엉덩이 받이부에 위치한 접촉센서 3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고, 의자 좌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 1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패턴 B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는 기 저장된 제어명령정보와 제어대상객체를 특정하여 수행될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그에 대응되는 제어대상객체와 제어종류값을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제어주체가 제어대상객체와 동일하며 별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어주체는 제어대상객체를 식별할 필요없이 제어종류값만을 식별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는 생성된 제어명령정보가 제대로 된 제어명령정보인지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의 좌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1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하고 3초 후에 같은 의자의 우측 팔걸이에 위치한 접촉센서 2에서 압전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이 2개의 압전데이터를 하나의 패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는 이러한 패턴 정보는 거실의 중앙 전등을 제어대상객체로 하고 있음을 식별하여, 거실의 중앙 전등을 on 시키라는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실의 중앙 전등이 off 상태이면 on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거실의 중앙 전등에 생성된 제어명령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거실의 중앙 전등이 on 상태일 수 있으며, 이미 on 상태인 경우에 on 상태로의 제어명령정보가 전송될 경우, 계속 on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 다른 제어명령정보로 인식될 것인지에 대한 정보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중앙 전등이 on 상태에서 다시 on 상태로의 제어명령정보가 전송될 경우, 거실의 중앙 전등의 밝기를 더 밝게 하라는 제어명령정보로 생성하여 거실의 중앙 전등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명령정보 생성부(230)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기 저장된 제어명령정보와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새로운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제어주체는 기 저장된 제어명령정보와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 어떠한 제어명령정보도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가장 유사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검출하여, 가장 유사한 제어명령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부(240)는 접촉센서에서 전송한 압전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제어명령정보를 해당 제어대상객체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240)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직접 통신의 대상과 수행하거나 중간에 AP 또는 라우터와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제어명령정보가 제어대상객체에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학부모 단말, 직원 관리자 단말이거나 매장의 관리자 단말일 수 있다. 학부모 단말일 경우, 학생의 의자 착석 여부 등에 대한 정보 및 학생이 의자에서 제어하는 정보에 대하여 수신할 수 있다. 직원 관리자 단말의 경우, 직원의 착석 또는 이동 여부 및 어떠한 제어 명령을 지시하는지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수신할 수 있다. 매장 관리자 단말의 경우, 특정 접촉센서에서 어떠한 접촉이 일어났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기반 제어 및 분석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기반 제어 및 분석 시스템은 접촉 센서 및 서버간의 통신을 중개하는 라우터, 제어정보를 분석하는 서버, 서버에서 생성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제어주체가 서버인 경우를 한정한 것이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주체는 서버가 아닌 다른 객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서술하는 서버의 기능들은 모두 다른 제어주체들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센서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접촉센서, 좌석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기타 온도센서의 정확도를 위한 온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접촉센서, 제어주체 및 제어대상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 센서의 경우, 의자의 압전 소자의 부정확을 보완하는 취지로서, 의자에 사람이 앉은 경우 체온으로 인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유지될 수 있다는 기준을 통해서 사람의 착석 또는 탈석(자리 이탈)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촉센서에 대한 사람의 동작이 발생되었을 때, 제어주체가 온도센서로부터 온도값을 수신하고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습도센서, 조도 센서, 전압센서, strain 센서 등 압전센서 이외 타입의 다양한 복수의 센서들이 접촉센서, 제어주체 및 제어대상객체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주체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에 부가하여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발생된 다양한 값을 수신하여 제어대상객체를 제어하거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람과 밀접하게 닿거나 밀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센서 내의 온도값까지도 측정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실제 주변온도와 매우 가까운 온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접촉센서의 경우, 사용자가 좌석에 앉거나 일어설 경우의 힘의 변화를 인식하고 서버로 좌석 착탈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는 복수의 접촉센서로부터 다양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대상객체에 대한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가 생성하는 제어명령정보는, 각 압전소자에서의 발생 시각 등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내에 시간차를 가지고 발생하는 압전데이터 패턴에 관한 것으로서, 어떠한 접촉센서에서의 압전데이터 패턴인지에 따라서 제어대상객체가 구별되고, 제어명령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자 단말은 제어주체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이러한 제어명령정보를 누적 저장한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교육적 또는 사업적 판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기반의 제어 수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의 패턴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어제어주체의 실시예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촉센서에서 발생한 압전데이터는 하나의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제어대상객체에 대한 제어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1, T2 및 T3는 특정 시간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1은 기준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T2는 T1으로부터 3초 이내의 시간, T3는 T2로부터 3초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자의 좌측 팔걸이에 버튼 센서1이 배치되고 의자의 우측 팔걸이에 버튼 센서 2가 배치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의자에 앉을 수 있으며, 의자의 좌우 팔걸이에 배치된 센서1 및 센서 2를 누름으로써 다양한 제어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시간의 순서로 배열하여, T1 시간에서 센서 1이 눌러지고, 그 뒤에(T2 시간) 센서 2가 눌러지는 경우, 거실의 전등 2개를 on 시키라는 제어명령정보로 수행할 수 있다. 거실에 2개의 전등이 있는 경우 별도의 식별 과정은 필요하지 않겠지만, 거실에 2개를 초과하는 전등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기 설정에 따라 특정 전등 2개가 on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계속하여 센서 2가 눌러지고 나서 T3 시간에 다시 센서 1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주체는 거실의 전등을 추가적으로 1개 더 on 시키라는 제어명령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생성된 제어명령정보를 전등의 통신부에 전송하여, 전등에서 실제 제어 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T1 시간에 센서 1 및 센서 2가 눌러지고, 그 뒤에(T2) 다시 센서 1 및 센서 2가 눌러지는 경우, 거실의 모든 전등을 소등(off)시키라는 제어명령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T1 시간에 센서 1 및 센서 2가 동시에 눌러지는지, 시간차를 두고 눌러지는지는 기설정된 시간 내인지 여부에 따라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1 시간에서 센서1이 눌러지는 시각과 센서 2가 눌러지는 시각이 0.5초 이내라면 같이 눌러진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시간 차이가 이보다 크다면 센서 2가 눌러진 시간은 T2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데이터 패턴에 따른 제어명령 매칭(matching)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의자에서 매칭 설정 변경 모드로 전환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상기 제어대상객체, 및 제어종류값 간의 매칭 관계는 제어주체가 갖는 고유의 설정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주체가 제어대상객체와 동일한 경우, 제어주체가 기 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신호란 제어대상객체에 구비된 버튼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이거나, 접촉센서로부터 발생된 압전데이터 기반의 신호일 수 있다. 이후 접촉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 설정된 제어종류값에 관한 명령정보로 바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주체가 복수의 제어대상객체와 통신 연결된 허브 단말이거나 서버인 경우, 허브 단말이나 서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나 허브 단말이나 서버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제어대상객체에 대한 제어종류값의 명령정보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주체가 포함하는 버튼이나 디스플레이모듈과 같은 조작부를 통하여 특정한 설정버튼이 입력되고, 각 설정사항마다 어느 제어대상객체를 제어할 것인지, 어느 제어명령값을 입력할 것인지 새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추가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매칭 관계가 설정되어, 수정된 매칭 관계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서 제어주체로 전송됨에 따라 수정된 제어 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대상객체가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주체에서는 압전데이터 및 매칭 정보의 변경을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제어명령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와는 별도로, 다양한 제어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이 독서실 입구의 발판을 밟고, 자리에 앉는 경우에, 독서실 자리의 전등이 켜지거나, 특정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재생되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의 소리가 조정되는 등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2 : 압전데이터 기반의 분석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압전데이터의 패턴 정보는 제어명령정보로 생성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석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입구에 발판1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획전 구역에 발판2, 계산대 앞에 발판 3이 배치될 수 있다.
매장이 오픈한 시간부터 마감하는 시간까지 발판에서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압전데이터를 제어주체에 전송할 수 있으며, 매장의 관리자는 이러한 압전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장을 운영하는 데 주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매장의 각 발판들의 압전 데이터를 통해서 손님들의 출입 횟수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발판 1을 밟은 횟수를 2로 나누면(들어가고 나가므로) 출입한 사람의 수를 추정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제어주체에서 각각의 압전데이터의 발생위치와 발생시점을 기초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발판 2와 같이 기획전 구역에서의 발판 밟은 횟수를 통해 기획전이 고객들의 관심을 끄는지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에는 한 고객이 발판을 중복하여 밟는 경우에 대한 보정치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 시간대에 손님이 몰리는지에 대한 정보, 출입 손님 대비 구매 손님의 비율(구매전환율) 등의 다양한 매출관련 정보를 추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분석을 수행함에 따라 특정 공간 내에 입장한 사용자들의 시간 별 인원수를 파악하고, 특정 공간에서 발생한 시간 별 매출을 참고하여 구매전환율을 계산할 수 있다.이러한 압전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통계자료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어 경영 전략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압전데이터 통계 자료는 시각적인 그래프로 가공되어 관리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못한 또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가 특정 패턴의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 현관으로 들어와 화장실을 거쳐 자기 방으로 들어가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다음으로 취한 전자기기의 동작(예, TV를 켬) 등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으며, 제어주체는 누적 학습할 수 있다. 제어주체는 동일 패턴이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사용자가 현관을 거쳐 화장실, 자기 방으로 들어가는 경우, TV를 자동으로 켜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주체는 단순히 압전데이터의 패턴만을 통해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압전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수행 이력을 하나의 패턴으로 학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어주체는 특정 공간 내에서 복수의 압전데이터가 시간당 수집된 횟수를 기반으로 혼잡도를 분석하고, 혼잡도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간 내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간 내에 혼잡도가 기설정된 수준보다 높거나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특정 공간 내에 배치된 냉난방 기기의 냉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3 : 복수의 센서 수집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은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접촉센서 외에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압력센서 등등 여러가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센서는 독립적인 위치에 단독으로 배치되어 다른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접촉센서, 제어주체, 제어대상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실장되어 다른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을 기반으로 제어주체는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값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센서값과 접촉센서의압전데이터 패턴정보를 수신한 제어주체는 다양한 제어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센서로부터 조명장치를 제어하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주체는 조도센서의 조도값을 참조하여 빛이 어두운지 여부를 확인하여 조명장치를 더 밝게 하거나 조명장치를 온(ON)하고, 너무 밝으면 조명장치를 오프(OFF)하거나 조금 어둡게 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접촉센서 내에 혹은 접촉센서 부근에 조도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접촉센서는 실제 사용자 환경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실제 환경값에 가까운 조도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 바이오센서로부터 심박수 등의 바이오데이터를 접촉센서 신호 발생시 함께 수신하여,정확한 생체 신호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온도, 습도, 조도 등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한 뒤 공간 내의 온도, 습도, 조도 파악에 활용하는 등 빅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에서, 사람의 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발생하는 단계;
    (b) 제어주체에서,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주체에서, 상기 제어명령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대상객체 및 제어종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특정한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특정한 동작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촉센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압전소자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압전소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압전데이터는 압전소자 식별정보 또는 버튼부 식별정보를 포함하되,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라도 각 압전데이터가 발생된 순서나 시간차에 따라 제어종류값과 제어대상객체가 달라지는 것인,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주체는,
    서버, 허브 단말 또는 상기 제어대상객체인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복수의 압전데이터의 시간차가 0인 경우의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주체는 복수의 제어대상객체 중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대상객체로서,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파악한 나머지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제어종류값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주체가 상기 제어대상객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주체는,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상기 접촉센서에서 기 설정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가 수신된 경우 기 설정된 제어종류값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종류값은 상기 제어대상객체에 대한 온(ON) 또는 오프(OFF) 신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는,
    의자 또는 발판에 부착되거나, 상기 의자 또는 발판과 물리적으로 구분된 별도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객체는,
    조명기기, 디스플레이 장치, 전력제어장치, 음향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학생의 보호자 단말, 직원 관리자 단말 및 매장 관리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 상기 제어대상객체, 및 제어종류값 간의 매칭 관계는 상기 제어주체에 존재하는 설정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수정될 수 있는 것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주체가 상기 제어대상객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주체가 기 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모드로 변환되고, 이후 상기 접촉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 설정된 제어종류값에 관한 명령정보로 저장하는 것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주체가 복수의 제어대상객체와 통신 연결된 허브 단말이거나 서버인 경우, 상기 허브 단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허브 단말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제어대상객체에 대한 제어종류값의 명령정보로 저장하는 것인,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서버에서, 각각의 압전데이터의 발생위치와 발생시점을 기초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분석을 수행함에 따라 특정 공간 내에 입장한 사용자들의 시간 별 인원수를 파악하고, 상기 특정 공간에서 발생한 시간 별 매출을 참고하여 구매전환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특정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압전데이터가 시간당 수집된 횟수를 기반으로 혼잡도를 분석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혼잡도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간 내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특정 공간 내에 혼잡도가 기설정된 수준보다 높거나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특정 공간 내에 배치된 냉난방 기기의 냉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인,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 상기 제어주체 및 상기 제어대상객체 중 적어도 하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d)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사람의 동작이 발생될 때, 상기 제어주체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온도값을 수신하고, 냉난방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 상기 제어주체 및 상기 제어대상객체 중 적어도 하나는 압전센서 이외의 타입의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주체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발생된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발생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인, 방법.
  21.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로부터 발생된,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주체;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센서는,
    사람의 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주체는,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명령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대상객체 및 제어종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특정한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특정한 동작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촉센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접촉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압전소자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압전소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압전데이터는 압전소자 식별정보 또는 버튼부 식별정보를 포함하되,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라도 각 압전데이터가 발생된 순서나 시간차에 따라 제어종류값과 제어대상객체가 달라지는 것인, 시스템.
  22.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특정 공간에서 사람의 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특정 공간에 배치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센서로부터 시간차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기 설정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정보 또는 분석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명령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대상객체 및 제어종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특정한 제어대상객체에 대하여 특정한 동작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촉센서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압전소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에서 발생된 복수의 압전데이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압전데이터는 압전소자 식별정보 또는 버튼부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압전소자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압전데이터 패턴 정보라도 각 압전데이터가 발생된 순서나 시간차에 따라 제어종류값과 제어대상객체가 달라지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90006899A 2019-01-18 2019-01-18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KR10204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899A KR102048019B1 (ko) 2019-01-18 2019-01-18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PCT/KR2019/015985 WO2020149510A1 (ko) 2019-01-18 2019-11-20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899A KR102048019B1 (ko) 2019-01-18 2019-01-18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019B1 true KR102048019B1 (ko) 2019-11-22

Family

ID=6873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899A KR102048019B1 (ko) 2019-01-18 2019-01-18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019B1 (ko)
WO (1) WO202014951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049A (ko) * 2013-01-15 2014-07-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해석 기반의 에너지 절감형 led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84263B1 (ko) * 2014-10-06 2016-01-12 (주)토브랩 지하철 객실 별 실시간 냉난방 제어 시스템
KR20170022819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88922B1 (ko) * 2017-12-18 2018-08-16 주식회사 디너의여왕 매장용 고객 관리 및 고객 행동 분석 시스템
KR101897065B1 (ko) * 2016-07-20 2018-09-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카펫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4476B2 (ja) * 2005-08-30 2010-09-29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生体活動監視方法と、これに用いる光ファイバ式平板状体セン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049A (ko) * 2013-01-15 2014-07-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해석 기반의 에너지 절감형 led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84263B1 (ko) * 2014-10-06 2016-01-12 (주)토브랩 지하철 객실 별 실시간 냉난방 제어 시스템
KR20170022819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97065B1 (ko) * 2016-07-20 2018-09-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카펫 시스템
KR101888922B1 (ko) * 2017-12-18 2018-08-16 주식회사 디너의여왕 매장용 고객 관리 및 고객 행동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10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8145B2 (en) Thoughtful elderly monitoring in a smart home environment
US9084536B2 (en) Biometric monitoring device having a body weight sensor,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EP3798685B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KR101977330B1 (ko) 사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및 방법
JP6423017B2 (ja) 心理状態計測システム
JP6452571B2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CN106779601B (zh) 可穿戴设备任务计划调整方法和设备
KR20200074525A (ko) 사용자의 좌석 착탈 상태 기반의 능률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48019B1 (ko)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WO2018090534A1 (zh) 一种用户状态地图生成方法和装置
KR20210060720A (ko) 시간차를 둔 압전데이터 패턴 기반의 제어 및 분석 방법
JP683029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nevmatikakis Recognising daily functioning activities in smart homes
KR102596220B1 (ko) 사용자 취향과 환경 패턴 분석을 통한 조명 제어 플랫폼 시스템
US20240060673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environment adjustment device, and intelligent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US11792175B1 (en) Security system with dynamic insurance integration
JP6659890B1 (ja) 警備システム
US20240062675A1 (en) Action estim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Oliveira Smart spaces: aware of users, preferences, behaviours and habits, in a non-invasive approach
Chu Performance Evaluation of HVAC-Connected Occupancy Sensor Systems
CN117555269A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79993A (ko)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