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802B1 -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802B1
KR102046802B1 KR1020130024652A KR20130024652A KR102046802B1 KR 102046802 B1 KR102046802 B1 KR 102046802B1 KR 1020130024652 A KR1020130024652 A KR 1020130024652A KR 20130024652 A KR20130024652 A KR 20130024652A KR 102046802 B1 KR102046802 B1 KR 10204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oil
makeup cosmetic
soli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400A (ko
Inventor
김상윤
김경남
최경호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2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0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머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등으로 수상부를 점증시킨 후, 유상부에 유화함으로써 기존 고체 타입 파운데이션에 비하여 높은 청량감 및 촉촉한 윤기감을 나타내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Solid-typ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aterborne polymer}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여 청량감 및 촉촉한 윤기감을 주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산 폴리머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등으로 수상부를 점증시킨 후, 유상부에 유화함으로써 기존 고체 타입 파운데이션에 비하여 높은 청량감 및 촉촉한 윤기감을 나타내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 타입 파운데이션은 화장의 지속력을 유지시켜주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감이 답답하다는 단점이 있다. 고체 파운데이션에서 청량감을 높이기 위하여 수분산 폴리머를 통한 내상 점증을 통해 유화형 수분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장료에 포함된 수분 증발로 인한 내용물 자체의 수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 파운데이션에서 줄 수 있는 청량감은 제한이 있으며, 화장료에 함유된 파우더 사용으로 인하여 촉촉한 윤기감을 주는데 있어서 한계점이 발견되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14416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수분산 폴리머로 수상부를 점증시키고, 특정 함량의 유상부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부에 유화할 경우 기존 유화형 고체 파운데이션에 비하여 높은 청량감과 촉촉한 윤기감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머, 수상부 성분 및 유상부 성분을 함유하여 높은 청량감 및 촉촉한 윤기감을 개선시킨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머, 수상부 성분 및 유상부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수분산 폴리머로 수상부를 점증시키고, 특정 함량의 유상부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부에 유화하여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청량감과 촉촉한 윤기감이 극대화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기존 고체 파운데이션에서 줄 수 없었던 청량감 및 촉촉한 윤기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화장료 내용물 감량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상기 발명된 화장료 도포 전/후(직후, 10시간, 12시간)의 촉촉한 윤기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머, 수상부 성분 및 유상부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a) 수분산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상부를 점증시키는 단계,
b) 상기 수상부를 유상부에 유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분산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 아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분산 폴리머를 통해 수상부를 점증시키고, 이를 고상 분체 안료를 포함한 유성성분에 유화시킨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분산 폴리머는 점증제로 사용되며 물에 분산되는 고체 파우더 상의 원료로서, 물에 분산되어 물을 점증시키는 원료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 아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산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5.00중량%로 함유된다. 0.05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면 충분한 수상 점증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0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되면 수상부 점도가 높아 제조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된 화장료에서 상기 사용감을 나타내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상부의 점도는 1000 ~ 30000cps이고, 바람직하게는 2500 ~ 25000cps이다. 이는 점도가 1000cps 미만이면 충분한 청량감 및 윤기감을 줄 수 없고, 30000cps를 초과하면 메이크업 화장료의 속성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에도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 10중량%의 유상부 성분, 5 ~ 50중량%의 수상부 성분, 10 ~ 60중량%의 오일, 2 ~ 20중량%의 계면활성제, 2 ~ 20중량%의 분산제 및 5 ~ 60중량%의 고상 분체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상부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 1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2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면 고체 형태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내용물을 용기에 충진하였을 경우 유동성으로 인하여 용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10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되면 화장료의 높은 경도로 인하여 내용물을 퍼프로 취하기 어렵고, 딱딱한 사용감으로 인하여 부드러운 사용감의 화장료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유상부 성분은 몬탄왁스,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왁스,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등의 광물계왁스 및 칸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등의 천연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 10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 7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상부 성분이 2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되면 화장료의 경도가 낮아 고체 형태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내용물을 용기에 충진하였을 경우 내용물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용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10중량%를 초과의 양으로 함유되면 화장료의 높은 경도로 인하여 내용물을 퍼프로 취하기 어렵고, 딱딱한 사용감으로 인하여 부드러운 사용감의 화장료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수상부 성분은 5 ~ 5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 성분은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과 같은 폴리올, 소듐클로라이드, 이디티에이, 수용성 기능성 원료(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등),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과 같은 각종 에몰리언트 및 보습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상부 성분은 조형물의 사용감 및 기능성 등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트리글리세라이드계, 탄화수소계 및 실리콘계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디메치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 6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제품의 발림성(부드러움, 촉촉함, 밀착감 등)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피이지-10 디메티콘, 피이지/ 피피지-19/19 디메티콘 및 세틸피이지 피피지-10/1 디메티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 20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의 기능적 특성상 유상부 성분과 수상부 성분의 유화력을 좋게 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사용된 유상부 성분과 수상부 성분의 종류와 양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양이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브이피 /헥사데센코폴리머 및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 20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분산제의 기능적 특성상으로 고상 분체 안료의 분산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사용된 고상 분체 안료의 종류와 양에 따라 분산제의 종류와 양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상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 60중량%로 함유된다. 상기 분체 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탈크, 알루미나, 또는 아이런 옥사이드이며, 고상 분체 안료는 조형물의 자외선 차단 기능성, 커버력, 색상 및 발림성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분산제 및 고상 분체 안료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화장료에 사용되는 방부제, 향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파운데이션, 컨실러, 베이스, 립밤 등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a) 수분산 폴리머를 통해 수상부를 점증시키는 단계, b) 상기 수상부를 유상부에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수분산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 아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 의 유중수 유화형 고체 파운데이션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수분산 폴리머가 없는 대조군이며, 비교예 2는 수분산 폴리머가 없고, 유상부 성분을 실시예보다 과량 사용한 것이며, 비교예 3은 수분산 폴리머는 있으나 유상부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 과량으로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 1 ~ 4 는 수분산 폴리머를 넣은 것이고, 실시예 2는 유상부 성분 함량을 높인 것이고, 실시예 3은 수분산 폴리머 함량을 높인 것이며, 실시예 4는 유상부 성분과 수분산 폴리머 함량을 모두 높여 제조한 것이다. 제조시 사용한 유상안료는 티타늄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알루미나, 아이런옥사이드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이다.
구분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계면활성제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2.5 2.5 2.5 2.5 2.5 2.5 2.5
분산제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1.5 1.5 1.5 1.5 1.5 1.5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유상부성분 폴리에틸렌 1.2 4.5 6.0 1.2 3.0 1.2 3.0
세레신 4.0 5.0 6.0 4.0 4.0 4.0 4.0
오조케라이트 0.5 0.8 1.0 0.5 0.5 0.5 0.5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디메치콘 15.0 15.0 15.0 15.0 15.0 15.0 15.0
고상분체안료 유상안료 28.0 28.0 28.0 28.0 28.0 28.0 28.0
수상부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4.0 4.0 4.0 4.0 4.0 4.0 4.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2.0 2.0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0.3 0.3 0.3
카프릴릴글라이콜 0.2 0.2 0.2 0.2 0.2 0.2 0.2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수분산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 - 0.2 0.2 0.2 0.4 0.4
수상부 내에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시키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수상부 성분을 60 ~ 70℃까지 가온하면서 아지 믹서(agi-mixer)로 프리믹싱(pre-mixing)하여 결정이 없는 액상으로 녹인 후, 200 ~ 500rpm으로 아지 믹서의 속도를 조절하여 소량씩 수분산 폴리머를 투입하였다. 이를 통하여 파우더상의 수분산 폴리머를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습윤(wetting)시켜 수분산 폴리머의 분산과 점증효율을 증가시켰다. 이렇게 점증된 수상은 미리 준비된 유상부 성분에 100 ~ 1000ml/min의 속도로 천천히 투입하여 수상부 성분의 에멀젼이 균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유상부는 오일, 왁스, 고상분체안료,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 등의 유상부 성분이 함유된 비커를 85 ~ 90℃까지 가온하며 유상부 성분을 분산시키고, 균일하게 혼합이 될 때까지 호모 믹서(제품명: Mark II, 제조사: PRIMIX일본, 판매처: 참스)로 혼합하였다.
[ 실험예 1] 제조된 화장료 내용물 감량 테스트
상기 비교예 1 ~ 2, 실시예 1 ~ 4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내용물 감량 테스트를 하였다. 내용물 감량 테스트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전자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단위는 시간에 따른 내용물 감량 무게를 최초 내용물 무게(15g)로 나눈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1일(%) 4일(%) 13일(%) 27일(%)
비교예1 0.37 1.40 4.40 8.13
비교예2 0.30 1.27 4.20 8.01
비교예3 0.32 1.28 4.1 7.8
실시예1 0.31 1.33 3.60 6.20
실시예2 0.28 1.40 3.73 6.07
실시예3 0.25 1.20 3.20 4.30
실시예4 0.24 1.35 3.09 4.20
상기 표 2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을 비교해서 살펴보면, 수상 점증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시간에 따른 화장료 내용물 감량이 적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수상 점증제를 이용하여 내상을 점증시킨 유중수형 고체 파운데이션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용물의 감량으로 인한 내용물 수축에 대한 우려 없이, 이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에서 충분한 수분감 및 청량감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 1과 비교예 2, 실시예 1과 실시예 2 그리고 실시예 3과 실시예 4에서는 유상부 성분의 함량에 따른 화장료 내용물 감량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유상부 성분이 많아질수록 화장료의 경도가 높아져서 내상의 수상부 성분의 휘발을 어느 정도 보완하기 때문에 화장료 내용물 감량이 적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유상부 성분이 높아질수록 내용물의 감량 정도는 적어지겠지만, 화장료 사용시 뻑뻑하거나 두꺼운 사용감을 갖는 단점이 있다.
[ 실험예 2] 사용감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각 메이크업 화장료의 사용감 정도를 보기 위하여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사용감(촉촉함, 청량감)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참여한 패널 리스트는 20대 중후반에서 30대 중후반의 여성 20명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촉촉함 4.3 2 2.7 2
청량감 4.1 1 2 1.8
종합 4.2 1.5 2.4 1.9
(1점 : 아주 나쁨, 2점 : 나쁨, 3점 : 보통, 4점 : 좋음, 5점 : 아주 좋음)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실시예 1)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촉촉함과 청량감의 항목에서 매우 우수한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임상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임상 평가를 하였다. 색상지속력, 피부균일도, 피부윤기 및 모공커버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임상기관은 주식회사 엘리드이며, 참여한 패널 리스트는 20대 중후반에서 30대 중후반의 여성 20명이다. (임상보고서 CSR-M2S-41274)
시료의 색상 지속력, 피부 균일도 및 피부 윤기를 평가하기 위해 Visia-CR(Canfield, USA)을 이용하여 안면부를 촬영(cross-polarized, parallel)하고, 이를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Image-Pro Plu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에 대한 피부 모공을 평가하기 위해 PRIMOS high resolution (GFM, Gemany)을 이용하여 볼 부위를 촬영하고, 이를 PRIMOS software(PRIMOS version 5.6E)를 통해 분석하였다. 측정은 시료 도포 전, 도포 직 후, 도포 10시간 후, 도포 12시간 후에 진행되었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Image-Pro Plus, USA)을 이용하여 시험부위의 H (Hue), S (Saturation), V (Value) 각각의 평균 (mean)과 표준편차 (Standard Deviation) 값을 도출한 후, 평균값을 이용해 색상 지속력을 시료 도포 후 색상의 변화율로 평가하였고, 표준편차 값을 이용해 피부 균일도를 평가하였다. 피부 윤기 분석의 경우 시험부위의 automatic bright object 값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모공 측정을 위해, PRIMOS high resolution 과 software를 이용하였고, 피험자는 방문 후 지급된 세안제로 세안한 다음 30분간 항온 항습 조건에서 안정을 취한 후 PRIMOS 측정용 고정 장비세트에 피험자의 얼굴을 고정하고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의 수축 이완과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 제작된 PRIMOS 측정용 고정 장비세트에 피험자의 얼굴을 고정하였다. PRIMOS 의 3차원 측정은 피부에 투사된 parallel projection stripes가 피부표면의 높이 차이에 따라 변화되고, 이렇게 변화된 정도는 컴퓨터에 의해 정량적으로 계산된다. 이때, 변수 값(Ra)이 작아지면 피부 모공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Visia-CR 과 PRIMOS high resolution을 이용한 각각의 측정값을 정규 분포검정후, paired t-test와 wilcoxon test를 통해 시료 도포 전/후 유의성 여부를 가설평균 차 5 %(p<0.05)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PSS PASW statistic 18을 이용하였다.
항목 사용전 사용직후 10시간 후 12시간 후
색상지속력
(Saturation)
평균(a.u) 89.84 76.55 80.19 81.52
p-value -  0.000 0.000 0.000
증감율(%) -  14.8 10.74 9.26
피부균일도
(Saturation Std.)
평균(a.u) 5.02 2.57 3.37 3.86
p-value -  0.000 0.000 0.000
증감율(%) -  48.86 32.96 23.09
피부윤기
(pixel)
평균(a.u) 579.2 836.8 895.2 872.85
p-value -  0.000 0.000 0.000
증감율(%) -  44.48 54.56 50.7
모공
(Ra)
평균(a.u) 18.66 10.62 12.62 12.93
p-value -  0.000 0.000 0.000
증감율(%) -  43.07 32.37 30.73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색상지속력은 사용 전 대비 사용 직후 감소된 채도값이 12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유지되었고(p<0.001), 피부균일도는 사용 전 대비 사용 직후 감소된 피부균일도값이 12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유지되었다(p<0.001). 또한 피부 윤기는 사용 전 대비 사용 직후 증가한 피부 윤기값이 12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유지되었으며(p<0.001), 모공은 사용 전 대비 사용 직후 감소된 모공(Ra)값이 12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유지되었다(p<0.001).

Claims (9)

  1. 수분산 폴리머 및 물을 함유하는 수상부와, 왁스를 함유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수분산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 아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카보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왁스는 몬탄왁스,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칸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머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인,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내지 5.00중량%로 함유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상부에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소듐클로라이드, 이디티에이,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에몰리언트 및 보습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서 수분산 폴리머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세레신 및 오조케라이트인,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상부에 오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a) 수분산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상부를 점증시키는 단계,
    b) 상기 수상부를 유상부에 유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24652A 2013-03-07 2013-03-07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4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652A KR102046802B1 (ko) 2013-03-07 2013-03-07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652A KR102046802B1 (ko) 2013-03-07 2013-03-07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00A KR20140110400A (ko) 2014-09-17
KR102046802B1 true KR102046802B1 (ko) 2019-11-21

Family

ID=5175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652A KR102046802B1 (ko) 2013-03-07 2013-03-07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98A1 (ko) * 2021-09-28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69A (ko) * 2015-09-18 2017-03-28 (주)아모레퍼시픽 묻어남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286543B1 (ko) * 2019-12-17 2021-08-04 조지원 친유성 앰플을 포함하는 립틴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80B1 (ko) * 2003-12-05 2005-11-23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인지질 리포좀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067B1 (ko) * 2005-11-17 2012-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올리브 오일을 이용한 단일 공정 w/o/w 다중 유화물의화장료 조성물
KR101094477B1 (ko) 2009-04-15 2011-12-19 한국콜마 주식회사 pH 감응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713B1 (ko) * 2010-12-21 2015-02-06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250074B1 (ko) * 2011-02-07 2013-04-03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FR2975905B1 (fr) * 2011-05-31 2013-06-28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ou le maquillage contenant des poudres et procede de fabr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98A1 (ko) * 2021-09-28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00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US20070189989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ions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253840A1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4114149B (zh) 水性皮肤化妆品
KR20000057945A (ko) 방수성 메이크업 또는 케어 조성물에서의 친수성폴리유기실록산 입자의 용도
TWI646977B (zh) 皮膚用水中油型乳化化妝料
KR102029653B1 (ko)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EP3769747A1 (en) Water-releasing stick-type cosmetic
KR2013008677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3677723B2 (ja) 油性固型化粧料
KR102046802B1 (ko)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3365A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904A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US20060112503A1 (en) Solid personal care composition
KR102199886B1 (ko)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2810A (ko) 수분산 제형의 액상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9175A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2769B1 (ko)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7196433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