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595B1 -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595B1
KR102046595B1 KR1020180142780A KR20180142780A KR102046595B1 KR 102046595 B1 KR102046595 B1 KR 102046595B1 KR 1020180142780 A KR1020180142780 A KR 1020180142780A KR 20180142780 A KR20180142780 A KR 20180142780A KR 102046595 B1 KR102046595 B1 KR 10204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ling container
gear
driving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호
Original Assignee
서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호 filed Critical 서준호
Priority to KR102018014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13/08
    • B01F15/00487
    • B01F15/00733
    • B01F15/0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2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receptacles on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01F7/003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6Mixing of ingredients for adhesives or glues; Mixing adhesives and gas
    • B01F2215/0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날개가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의 둘레를 따라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는 구조에 의해 접착액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축이 아닌 구동마그네틱의 자기력을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접착제가 회전축을 타고 구동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진용기가 결합되는 결속홈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되 회전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클램핑부가 구비됨에 따라 충진용기가 제1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에 자동 결속되면서,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가 제2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으로부터 자동 인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AGITATOR FOR ADHESIVE AND APPARATUS FOR CHARGING ADHESI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제는 물체간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소형 용기나 튜브에 저장되어 필요시 소량으로 사용하며, 산업현장에서는 대용량의 용기탱크에 저장되어 대용량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접착제의 접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접착물질과 경화물질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3315호(공개일 : 2010. 06. 11일)에는 '접착제 교반 겸용 정량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접착물질과 경화물질의 교반작업과 교반된 접착제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접착물질과 경화물질의 교반이 접착제 도포작업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면서 정량의 접착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한국공개특허의 경우 접착물질과 경화물질을 교반하는 블레이드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구를 통해 회전됨에 따라 접착제가 교반구를 따라 결합부 및 액추에이터에 유입되어 액추에이터가 파손될 수 있으며, 교반된 접착제가 담기는 용기를 수작업을 통해 접착체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날개가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의 둘레를 따라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는 구조에 의해 접착액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축이 아닌 구동마그네틱의 자기력을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접착제가 회전축을 타고 구동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접착제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충진용기가 결합되는 결속홈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되 회전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클램핑부가 구비됨에 따라 충진용기가 제1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에 자동 결속되면서,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가 제2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으로부터 자동 인출되는 접착제 충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교반공간 내측에서 상기 교반공간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동시에 자전하는 교반날개를 통해 상기 접착액을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날개가 상기 교반공간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도록 자기력을 통해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교반기를 제공한다.
또한, 충진용기가 결속 및 결속해제되는 복수개의 결속홈이 외주 둘레를 따라 등간격 형성되어 제1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충진용기를 회전 이송시키며, 공정을 마친 상기 충진용기를 제2컨베이어로 인출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접착제 교반기로부터 접착액이 공급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접착액을 상기 이송부에 의해 회전이송된 상기 충진용기에 주입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충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날개가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의 둘레를 따라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는 구조에 의해 접착액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축이 아닌 구동마그네틱의 자기력을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접착제가 회전축을 타고 구동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진용기가 결합되는 결속홈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되 회전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클램핑부가 구비됨에 따라 충진용기가 제1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에 자동 결속되면서,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가 제2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으로부터 자동 인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접착제 교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착제 교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착제 충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접착제 교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착제 교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착제 충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착제 교반기(10)는, 내부에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101)이 형성되고, 교반공간(101) 내측에서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동시에 자전하는 교반날개(103)를 통해 접착액을 교반하는 교반부(105); 및 교반부(105) 하부에 구비되고, 교반날개(103)가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도록 자기력을 통해 교반날개(10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반부(105)는 내부에 접착액이 담겨 접착액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교반공간(10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교반부(105)는 일예로 교반공간(101)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날개(103)는 교반공간(101) 내부에서 자전되면서 동시에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며 교반공간(101) 내부에 담긴 접착액을 교반한다.
이러한 교반날개(1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반날개(103)는 구동마그네틱(201)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마그네틱(203)이 구비된 회전본체(205); 및 회전본체(20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회전본체(205)와 함께 회전되며 접착액을 교반시키는 날개본체(207)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동마그네틱(203)은 구동마그네틱(201)과 상호 인력이 작용해야 하므로, 구동마그네틱(201)과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구동마그네틱(201)의 극성과 반대 극성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구동부(107)는 교반부(105)의 하부에 구비되며, 구동마그네틱(201)의 자기력을 통해 교반날개(130)를 교반공간(101)에서 공전 및 자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부(107)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107)는, 외주면에 제1기어(209)가 형성되며 구동장치(2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구동기어(213); 및 교반날개(103)에 자기력을 가하는 구동마그네틱(201)이 구비되고, 교반날개(103)가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면서 자전되도록, 외주면에 제1기어(209)와 치합되는 제2기어(215)가 형성되어 제1구동기어(213)의 회전시 상기 제1구동기어(213)를 중심으로 공전되면서 자전되는 제2구동기어(217);를 포함한다.
제1구동기어(213)는 제2구동기어(217)의 제2기어(215)와 치합되는 제1기어(209)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부에 구비된 구동장치(211)의 구동력에 의해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제2구동기어(217)는 제1구동기어(213)의 제1기어(209)와 치합되는 제2기어(215)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구동기어(213)가 회전되는 경우 제2기어(215)가 제1기어(209)와 치합되어 제1구동기어(213)를 중심으로 공전된다.
즉, 제2구동기어(217)는 제1구동기어(213)에 의해 교반부(105)의 하부에서 공전 및 자전되고, 공전 및 자전되는 경우 구동마그네틱(201)의 자기력을 통해 종동마그네틱(203)을 회전시킴에 따라, 교반날개(103)를 자전 및 공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107)는 내측에 제1구동기어(213)와 상기 제2구동기어(217)가 회전되는 회전공간(219)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2기어(215)와 치합되는 제3기어(221)가 형성되며, 제1구동기어(213)가 회전되는 경우 제2기어(215)와 제3기어(221)가 치합되면서 제2구동기어(217)가 제1구동기어(213)를 중심으로 공전되도록 하는 제3구동기어(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구동기어(223)는 링형상으로 제공되며 구동부(107)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케이스(235)에 고정결합되어, 제2구동기어(217)가 제1구동기어(213)에 의해 자전되는 경우 제2구동기어(217)가 제1구동기어(21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제2기어(215)와 치합되는 제3기어(221)를 통해 제2구동기어(217)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301)는 외주면에 제1기어(303)가 형성되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구동기어(305); 및 교반날개(307)에 자기력을 가하는 구동마그네틱(309)이 구비되고, 교반날개(307)가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면서 자전되도록, 외주면에 제1기어(303)와 치합되는 제2기어(311)가 형성되어 제1구동기어(305)의 회전시 제1구동기어(305)를 중심으로 공전되면서 자전되는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구동기어(31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일예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301)는 세개의 제2구동기어(313a,313b,131c)가 제1구동기어(305)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가 구비되는 경우 교반부(105)에는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와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교반날개(10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일예로 세개의 제2구동기어(313a,313b,131c)와 대응되도록 제1교반날개(307a), 제2교반날개(307b) 및 제3교반날개(307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1)는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가 제1구동기어(305)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 배치되도록, 링 형태로 제공되어 제1구동기어(305)의 외측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유지부재(315)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간격유지부재(315)가 구비되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교반날개(307)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구동부(301)는 내측에 제1구동기어(305)와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가 회전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2기어(311)와 치합되는 제3기어(317)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기어(305)가 회전되는 경우 제2기어(311)와 상기 제3기어(317)가 치합되면서 상기 제2구동기어(313)가 상기 제1구동기어(305)를 중심으로 공전되도록 하는 제3구동기어(319)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착체 교반기(10)의 교반부(105)와 구동부(107)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는 경우 교반부(105)를 구동부(107)의 상부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착제 충진장치(20)는 충진용기(401)가 결속 및 결속해제되는 복수개의 결속홈(403)이 외주 둘레를 따라 등간격 형성되어 제1컨베이어로(405)부터 공급되는 충진용기(401)를 회전 이송시키며,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401)를 제2컨베이어(407)로 인출시키는 이송부(409); 및 접착제 교반기(10)로부터 접착액이 공급되는 저장부(411)와, 저장부(411)에 저장된 상기 접착액을 이송부(409)에 의해 회전이송된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노즐부(413)를 포함하는 주입부(415);를 포함한다.
이송부(409)는 하부에 구비된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면서 공정이 완료되도록, 제1컨베이어(405)로부터 공급되는 충진용기(401)를 제2컨베이어(407)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 이송시킨다.
여기서, 공정은 충진용기(401)에 접착액을 주입하는 주입공정, 접착액이 주입된 충진용기(401)에 제1마개를 장작하는 제1마개장착공정, 제1마개가 장착된 충진용기(401)에 제2마개를 장착하는 제2마개장착공정 순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이송부(409)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결속홈(403)이 등간격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속홈(403)에는 제1컨베이어로(405)로부터 공급되는 충진용기(401)가 결속되고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401)가 결속해제된다.
이러한 이송부(409)는 지지본체(427)와, 외주면에 전술한 결속홈(403)이 형성되고 지지본체(427)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본체(429)를 포함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송부(409)는 결속홈(403)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H)결합되되, 회전시 상기 제1컨베이어(405)로부터 공급되는 충진용기(401)가 결속홈(403)에 인입되도록 제1걸림부(417)와 걸림되어 결속홈(403)을 개방하고, 회전시 제1걸림부(417)와 걸림해제되면서 결속홈(403)으로 인입된 충진용기(40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19)를 더 포함한다.
또한, 클램핑부(419)는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401)가 제2컨베이어(407)를 통해 결속홈(403)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2걸림부(421)와 걸림되어 결속홈(403)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클램핑부(419)의 구조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램핑부(419)는 일단이 결속홈(403)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H) 결합되며 충진용기(401)의 상부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결속부(423); 및 결속부(423)로부터 일정각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며 회전시 제1걸림부(417) 및 제2걸림부(42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425);를 포함한다.
즉, 클램핑부(41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405)로 근접하는 경우 걸림부(425)가 제1걸림부(417)와 걸림되어 결속홈(403)을 개방한 뒤, 제1컨베이어로(405)부터 공급되는 충진용기(401)가 결속홈(403)에 인입되는 경우 다시 회전되면서 걸림부(425)가 제1걸림부(417)와 걸림해제되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을 통해 충진용기(401)를 클램핑한다.
그리고, 클램핑부(419)는 제2컨베이어(407)로 근접하는 경우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401)가 제2컨베이어(407)로 인출되도록 걸림부(425)가 제2걸림부(421)와 걸림되어 결속홈(403)을 개방한다.
계속해서, 주입부(415)는 이송부(409)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지지본체(427)의 상부에 구비되어 위치고정된다.
또한, 주입부(415)는 접착제 교반기(10)로부터 접착액이 공급되는 저장부(411)와, 저장부(411)에 저장된 접착액을 이송부(409)에 의해 회전 이송된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노즐부(4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즐부(413)는 충진용기(401)의 개구부에 인입되어 저장부(411)에 저장된 접착액을 충진용기(401)에 주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노즐부(41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즐부(413)는 저장부(411)로부터 접착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601) 단부에 구비되어 접착액을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토출부(603); 및 공급유로(601)의 내측에 구비되며 접착액을 흡입하여 저장부(411)에 재공급하는 흡입유로(605)의 단부에 구비되되, 토출부(603)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충진용기(401)에 일정높이 이상으로 주입된 접착액을 흡입함으로써, 접착액의 미리설정된 충진량을 조절하는 흡입부(607);를 포함한다.
토출부(603)는 공급유로(601)의 단부에 구비되어 접착액을 충진용기(401)로 공급하는데, 여기서 공급유로(601)는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저장부(411)에 저장된 접착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부(603)는 공급유로(601)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액을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토출본체(609); 및 토출본체(609)의 외주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외삽되고 접착액을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경우 충진용기(401)의 개구부(613)와 걸림되어 충진용기(401)로부터 토출본체(609)의 일정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611);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611)는 토출본체(609)로부터 높이조절되도록 토출본체(609)의 외측에 결합되는데, 일예로 높이조절부(611)는 토출본체(609)와 나사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토출본체(609)의 하부로 이동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토출본체(609)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높이조절된다.
흡입부(607)는 토출부(603)의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흡입펌프(미도시)에 연결된 흡입유로(605)의 단부에 구비되어 충진용기(401)에 일정높이 이상 공급된 접착액을 흡입함으로써 접착액의 주입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흡입부(607)는 높이조절부(611)에 의해 충진용기(401)의 개구부(613)로부터 높이조절되어 충진용기(401)에 주입되는 접착액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착제 충진장치(10)는 지지본체(427)의 상부에 구비되고 접착액의 주입공정을 마친 충진용기(401)의 개구부(613)에 제1마개를 장착하는 제1마개장착부(431) 및 제1마개장착공정을 마친 충진용기(401)에 제2마개를 장착하는 제2마개장착부(433)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날개가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의 둘레를 따라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는 구조에 의해 접착액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축이 아닌 구동마그네틱의 자기력을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접착제가 회전축을 타고 구동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진용기가 결합되는 결속홈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되 회전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클램핑부가 구비됨에 따라 충진용기가 제1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에 자동 결속되면서, 공정을 마친 충진용기가 제2컨베이어를 타고 결속홈으로부터 자동 인출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접착제 교반기 20 : 접착제 충진장치
101 : 교반공간 103 : 교반날개
105 : 교반부 107 : 구동부
201 : 구동마그네틱 203 : 종동마그네틱
205 : 회전본체 207 : 날개본체
209 : 제1기어 211 : 구동장치
213 : 제1구동기어 215 : 제2기어
217 : 제2구동기어 219 : 회전공간
221 : 제3기어 223 : 제3구동기어
235 : 구동케이스 301 : 구동부
303 : 제1기어 305 : 제1구동기어
307 : 교반날개 309 : 구동마그네틱
311 : 제2기어 313, 313a, 131b, 131c : 제2구동기어
315 : 간격유지부재 317 : 제3기어
319 : 제3구동기어 401 : 충진용기
403 : 결속홈 405 : 제1컨베이어
407 : 제2컨베이어 409 : 이송부
411 : 저장부 413 : 노즐부
415 : 주입부 417 : 제1걸림부
419 : 클램핑부 421 : 제2걸림부
423 : 결속부 425 : 걸림부
427 : 지지본체 429 : 회전본체
431 : 제1마개장착부 433 : 제2마개장착부
601 : 공급유로 603 : 토출부
605 : 흡입유로 607 : 흡입부
609 : 토출본체 611 : 높이조절부
613 : 개구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충진용기(401)가 결속 및 결속해제되는 복수개의 결속홈(403)이 외주 둘레를 따라 등간격 형성되어 제1컨베이어(405)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충진용기(401)를 회전 이송시키며, 공정을 마친 상기 충진용기(401)를 제2컨베이어(407)로 인출시키는 이송부(409); 및
    접착제 교반기(10)로부터 접착액이 공급되는 저장부(411)와, 상기 저장부(411)에 저장된 상기 접착액을 상기 이송부(409)에 의해 회전이송된 상기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노즐부(413)를 포함하는 주입부(415);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409)는,
    상기 결속홈(403)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H)결합되되, 회전시 상기 제1컨베이어(405)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충진용기(401)가 상기 결속홈(403)에 인입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405)에 돌출형성된 제1걸림부(417)와 걸림되어 상기 결속홈(403)을 개방하고, 회전시 상기 제1걸림부(417)와 걸림해제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속홈(403)으로 인입된 상기 충진용기(40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19)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419)는,
    공정을 마친 상기 충진용기(401)가 상기 제2컨베이어(407)를 통해 상기 결속홈(403)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407)에 돌출형성된 제2걸림부(421)와 걸림되어 상기 결속홈(403)을 개방하되,
    일단이 상기 결속홈(403)의 일단에 탄성적으로 힌지(H) 결합되며 상기 충진용기(401)의 상부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결속부(423); 및
    상기 결속부(423)로부터 일정각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되며 회전시 상기 제1걸림부(417) 및 제2걸림부(42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425);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교반기(10)는,
    내부에 접착액이 담기는 교반공간(101)이 형성되고, 상기 교반공간(101) 내측에서 상기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동시에 자전하는 교반날개(307a, 307b, 307c)를 통해 상기 접착액을 교반하는 교반부(105); 및
    상기 교반부(105)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날개(307a, 307b, 307c)가 상기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면서 동시에 자전되도록 자기력을 통해 상기 교반날개(307a, 307b, 307c)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01);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1)는,
    외주면에 제1기어(303)가 형성되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구동기어(305); 및
    상기 교반날개(307a, 307b, 307c)에 자기력을 가하는 구동마그네틱(309)이 구비되고, 상기 교반날개(307a, 307b, 307c)가 상기 교반공간(101)의 반경중심을 기준으로 공전되면서 자전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제1기어(303)와 치합되는 제2기어(311)가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기어(305)의 회전시 상기 제1구동기어(305)를 중심으로 공전되면서 자전되는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a, 313b, 313c); 및
    상기 제1구동기어(305)의 외측에 링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a, 313b, 313c)가 등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간격유지부재(315);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413)는,
    상기 저장부(411)로부터 상기 접착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601)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액을 상기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토출부(603); 및
    상기 공급유로(60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접착액을 흡입하여 상기 저장부(411)에 재공급하는 흡입유로(605)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부(603)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충진용기(401)에 일정높이 이상으로 주입된 상기 접착액을 흡입함으로써, 상기 접착액의 미리설정된 충진량을 조절하는 흡입부(607);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부(603)는,
    상기 공급유로(601)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액을 상기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토출본체(609); 및
    상기 토출본체(609)의 외주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외삽되고 상기 접착액을 상기 충진용기(401)에 주입하는 경우 상기 충진용기(401)의 개구부(613)와 걸림되어 상기 충진용기(401)로부터 상기 토출본체(609)의 일정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611);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611)는 상기 토출본체(609)와 나사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토출본체(609)의 하부로 이동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토출본체(609)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높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1)는,
    내측에 상기 제1구동기어(305)와 상기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a, 313b, 313c)가 회전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2기어(311)와 치합되는 제3기어(317)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기어(305)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기어(311)와 상기 제3기어(317)가 치합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제2구동기어(313a, 313b, 313c)가 상기 제1구동기어(305)를 중심으로 공전되도록 하는 제3구동기어(3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2780A 2018-11-19 2018-11-19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KR10204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80A KR102046595B1 (ko) 2018-11-19 2018-11-19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780A KR102046595B1 (ko) 2018-11-19 2018-11-19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595B1 true KR102046595B1 (ko) 2019-11-19

Family

ID=6877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780A KR102046595B1 (ko) 2018-11-19 2018-11-19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69B1 (ko) * 2020-06-24 2020-09-07 박정미 폴리우레탄 접착제 제조 방법
KR102300428B1 (ko) * 2021-05-09 2021-09-08 심재일 침전물 억제 및 다중 와류를 이용한 고효율 혼합식 마그네틱 임펠러 교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605A (ko) * 2002-05-13 2003-11-20 전수동 자동 포장시스템
JP2010214327A (ja) * 2009-03-18 2010-09-30 Alpha Corp 計量撹拌システム
KR20140097828A (ko) * 2013-01-30 2014-08-07 (주) 유일이앤티 음료용기 자동세척 및 음료주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605A (ko) * 2002-05-13 2003-11-20 전수동 자동 포장시스템
JP2010214327A (ja) * 2009-03-18 2010-09-30 Alpha Corp 計量撹拌システム
KR20140097828A (ko) * 2013-01-30 2014-08-07 (주) 유일이앤티 음료용기 자동세척 및 음료주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969B1 (ko) * 2020-06-24 2020-09-07 박정미 폴리우레탄 접착제 제조 방법
KR102300428B1 (ko) * 2021-05-09 2021-09-08 심재일 침전물 억제 및 다중 와류를 이용한 고효율 혼합식 마그네틱 임펠러 교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595B1 (ko)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US201102114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ering, mixing and packag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JP5792652B2 (ja) 攪拌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吐出装置並びに吐出方法
CN104385461A (zh) 一种搅拌运输车
CN113694814B (zh) 一种用于除油可剥涂料制备的配料混合一体化制备机
JP2011088073A (ja) 溶解装置
CN210875052U (zh) 一种防静电地坪工程施工用涂料调配装置
CN106311043A (zh) 多维物料混合装置
CN108970521A (zh) 药物辅料糊化设备及药物辅料糊化方法
JP3955484B2 (ja) 撹拌・脱泡装置
FR3019999B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lavage d'un equipement de solidification au ciment du type directement dans le fut
CN204278240U (zh) 一种搅拌运输车
CN208247219U (zh) 一种电缆管原料的混料搅拌机
CN114425261A (zh) 一种加药混合装置
CN209476131U (zh) 一种驱动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KR20220079069A (ko) 회전축이 틀어진 반응기 및 그를 포함하는 파우더 ald 장치
CN207153615U (zh) 物料配制装置
KR20120134701A (ko) 연약지반 강화용 심층혼합처리 장치 및 공법
KR200488983Y1 (ko) 선박 도장용 이동형 교반 탱크
CN208032379U (zh) 一种涂料调配装置
CN110075734A (zh) 一种调配混酸装置
JP2010075903A (ja) コンテナミキサ、コンテナ及び粉粒体撹拌方法
CN216458579U (zh) 一种混砂设备的加药装置及混砂设备
CN205308182U (zh) 立式搅拌设备
CN217694919U (zh) 养殖投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