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509B1 -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509B1
KR102046509B1 KR1020180023003A KR20180023003A KR102046509B1 KR 102046509 B1 KR102046509 B1 KR 102046509B1 KR 1020180023003 A KR1020180023003 A KR 1020180023003A KR 20180023003 A KR20180023003 A KR 20180023003A KR 102046509 B1 KR102046509 B1 KR 102046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explosion
opening
control unit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526A (ko
Inventor
최정식
김병건
황원일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8002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체결되어 승강기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후크 및 후크 체결부를 포함하는 도어록과, 도어록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도어록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개폐조절장치가 모여 이루어지는 개폐조절부와, 개폐조절부를 감싸는 메인 방폭 하우징과, 각각의 개폐조절장치의 구동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구동정보 획득부와, 구동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개폐조절장치의 구동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개폐조절장치를 순차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져 개폐조절부가 과부하 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터록 장치 상에서 발생하는 내부 화제 및 폭발을 뿐만 아니라, 구동정보 획득부와 제어부와 배터리가 메인 방폭 하우징에 내장되어 승강기 외부의 화제 및 폭발에서도 안전하게 작동 가능한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Explosion-proof type interlock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형 구조를 가져 폭발 및 화재 시 승강기의 인터록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기 도어를 장시간 열림 상태로 유지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사고 또한 방지 가능한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의 도어 구조는 건물 측에 설치되는 랜딩도어와 승강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 도어로 구분되고, 승강기의 랜딩도어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양측에서 함께 열리거나 닫히며, 랜딩도의 상부에는 한 쌍의 헹거가 각각 볼트 결합되어 연동로프로 헹거를 당기게 될 경우 헹거와 랜딩도어가 함께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각각의 도어 상부에 설치된 헹거 상에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인터록 장치가 설치되며, 인터록 장치의 도어록이 잠기게 되면 랜딩도어의 개방이 제한되고, 도어록이 해제되면 랜딩도어가 개방 가능하게 된다.
즉, 도어록을 구성하는 후크와 후크 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는 시점이 랜딩도어를 개방 가능한 시점이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후크와 후크 체결부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전류 입력 시 상승하여 후크를 밀어주는 개폐조절장치가 사용되었으나, 상기 개폐조절장치는 전류가 입력되는 동안만 상승하여 후크와 후크 체결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한 구조로, 랜딩도어를 지속적으로 개방해야 할 경우 개폐조절장치에 지속적으로 전류가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폐조절장치가 과부하 되어 화재 또는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랜딩도어를 지속적으로 개방해야 할 경우 개폐조절장치가 과부하 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새로운 인터록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6556호(2011.03.1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강기를 일정시간 이상 개방하여야 할 경우 인터록 장치 내부에서 화재 또는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록의 잠금 상태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장치가 외부 화재 및 폭발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는, 서로 체결되어 승강기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후크(110) 및 후크 체결부(120)를 포함하는 도어록(100);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상기 도어록(100)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개폐조절장치(2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개폐조절부(200); 상기 개폐조절부(200)를 감싸는 메인 방폭 하우징(300);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의 구동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구동정보 획득부(400);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에서 획득한 개폐조절장치(200A)의 구동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를 순차 동작시키는 제어부(500); 및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제어부(50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제어부(500)와, 상기 배터리(600)가 상기 메인 방폭 하우징(30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는 상기 후크(110)를 밀어 상기 도어록(100)을 개방하는 플런저(210A)와, 상기 제어부(50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플런저(210A)의 이동을 조절하는 플런저 조절부(22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210A)는 내부에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이 형성되는 플런저 하우징(211A)과,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후크(110)와 접하는 접촉 헤드(212A-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센서 접촉부(212A-2)가 형성되는 플런저 몸체(212A)와, 상기 센서 접촉부(212A-2)의 타측에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접촉센서(213A)와,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헤드(212A-1)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1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가 선 작동되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로 입력되는 전류 신호를 차단하는 시점은, 후 작동된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의 상기 센서 접촉부(212A-2)가 상기 접촉센서(213A)에 접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1 보조 방폭 하우징(221A-1)과, 전류 입력 시 상기 플런저(210A)를 상기 도어록(100)이 위치되는 일측으로 밀어주는 전자석(221A-2)과, 상기 전자석(221A-2)으로 입력되는 전류 차단 시 상기 제1 플런저(210A)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 복귀부재(221A-3)로 구성되는 제1 플런저 조절부(2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210A)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210A-2)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210A-2)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222A-1A)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과, 상기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 내부에 결합된 상기 플런저(210A)를 회전시켜 상기 플런저(210A)가 제2 나사산(222A-1A)을 타고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1 모터(222A-2)로 구성되는 제2 플런저 조절부(22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3 보조 방폭 하우징(223A-1)과, 상기 플런저(210A)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로드(223A-2)와, 제2 모터(223A-3)에 결합되어 로드(223A-2)를 회동시키는 편심캠(223A-4)으로 구성되는 제3 플런저 조절부(22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폭 하우징 상에 개폐조절장치와, 제어부와, 배터리가 모두 내장되어, 외부에서 화재 또는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도 개폐조절장치가 작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제 및 폭발 사고 발생 시 개폐조절장치가 파손되어 승강기 내부에 사용자가 고립되는 안전사고를 방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승강기 랜딩도어를 일정시간 이상 개방하고 있을 경우 복수개의 개폐조절장치를 순차 동작시켜 하나의 개폐조절장치에 일정시간 이상 전류를 인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사고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개폐조절장치를 전류가 입력되는 동안만 도어록을 해제할 수 있는 유지형 개폐조절장치와, 전류가 입력되는 회수에 대응하여 도어록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지속형 개폐조절장치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적합한 개폐조절장치를 선택 사용 가능하므로, 승강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의 플런저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의 플런저 조합을 나타낸 개념도.
도 6 은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의 제1 플런저 조절부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7 은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의 제2 플런저 조절부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8 은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의 제3 플런저 조절부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10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1000)는 서로 체결되어 승강기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후크(110) 및 후크 체결부(120)를 포함하는 도어록(100)과,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상기 도어록(100)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개폐조절장치(2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개폐조절부(200)와, 상기 개폐조절부(200)를 감싸는 메인 방폭 하우징(300)과,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의 구동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구동 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에서 획득한 개폐조절장치(200A)의 구동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를 순차 동작시키는 제어부(500) 및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제어부(50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어록(100)은 승강기의 도어 상측에 위치되는 헹거 상에 설치되어 승강기가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지 않을 시, 랜딩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며, 이러한 도어록(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의 플런저(210A)가 후크(110)를 밀어줄 시 후크(110)가 상방으로 회전하며 후크(110)와 체결부(120)의 결합이 해제되어 승강기 랜딩도어를 개방 가능하게 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210A)가 후크(110)를 밀지 않으면 후크(11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다시 체결부(120)와 결합되므로, 승강기 랜딩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가 작동하여 플런저(210A)가 상기 후크(110)를 밀어주는 것은,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플런저(210A)가 후크(110)가 위치되는 일측으로 이동하며 나타나는 효과이므로, 도어록(100)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폐조절장치(200A)에 지속적으로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은 개폐조절장치(200A)가 과부하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록(100)이 일정시간 이상 잠금 해제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복수개의 상기 개폐조절부(200)를 순차 동작시키게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개폐조절부(200)가 과부하 되어 폭발 또는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1000)는 상기 메인 방폭 하우징(300) 내부에 형성된 메인 공간(310) 상에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 외에도,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제어부(500)와, 상기 배터리(600)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화재 또는 폭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개폐조절부(200)가 작동 가능 하므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하여 개폐조절장치(200A)가 작동하지 않아 승강기에 사용자가 갇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군함과 같은 선박의 경우 다량의 폭약이 비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선박에서 함포 또는 미사일로 타격당할 경우 선박에서 폭발 및 화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방폭 하우징(300)으로 개폐조절장치(200A)와,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제어부(500)와, 배터리(600)를 보호하여, 선박에서 화재 또는 폭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개폐조절장치(200A)가 구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는 상기 후크(110)를 밀어 상기 도어록(100)을 개방하는 플런저(210A)와, 상기 제어부(50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플런저(210A)의 이동을 조절하는 플런저 조절부(2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승강기의 랜딩도어를 일정시간 이상 개방해야 할 경우, 개폐조절장치(200A)가 순차 작동하여 후크(110)가 후크 체결부(120)와 해제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가 플런저(210A)와 후크(110)가 접하는 시점을 감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210A)가 내부에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이 형성되는 플런저 하우징(211A)과,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후크(110)와 접하는 접촉 헤드(212A-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센서 접촉부(212A-2)가 형성되는 플런저 몸체(212A)와, 상기 센서 접촉부(212A-2)의 타측에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접촉센서(213A)와,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헤드(212A-1)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14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접촉 헤드(212A-1)가 후크(110)와 접하게 되면 접촉 헤드(212A-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14A)가 압축되며 접촉 헤드(212A-1) 및 접촉 헤드(212A-1)와 연결된 센서 접촉부(212A-2)가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하므로, 센서 접촉부(212A-2)와 접촉센서(213A)가 서로 접하여 접촉 헤드(212A-1)와 후크(110)의 접촉정보를 제어부(500)에서 획득 가능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 하우징(211A)의 내주면에 제1 격리부재(211A-2)가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을 플런저 몸체(212A)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A)과 타측에 위치되는 제2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B)로 구분하고, 제1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A) 상에 상기 탄성부재(214A)가 위치되어 플런저 하우징(211A)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 헤드(212A-1)를 일측 방향으로 밀어주되, 접촉 헤드(212A-1)의 가장자리에 절곡지게 형성된 플런저 하우징(211A)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는 슬라이드 홈(212A-1A)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접촉 헤드(212A-1)가 후크(110)와 접촉 시 탄성부재(214A)가 압축되며 접촉 헤드(212A-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접촉 헤드(212A-1)의 이동에 대응하여 플런저 몸체(212A) 또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B)에 위치된 접촉센서(213A)와 플런저 몸체(212A)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된 센서 접촉부(212A-2)가 서로 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1000)는 각각의 플런저(210A)가 후크(110)를 지지하는 시점 정보를 획득 가능 하므로, 상기 도어록(100)이 일정시간 이상 잠금 해제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선 작동되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로 입력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시점을, 후 작동된 개폐조절장치(200A)의 센서 접촉부(211A-2)와 접촉센서(213A)가 서로 접하는 시점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개폐조절장치(200A)가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록(100)의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1000)의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전류가 입력되는 동안만 상기 도어록(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유지형과, 전류가 입력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도어록을 잠그거나 해제한 상태가 지속되는 지속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승강기에 두 가지 형태의 플런저 조절부(220A)가 모두 구비되어, 도어록(100)의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시간에 대응하여 적합한 형태의 플런저 조절부(220A)가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조절장치(200A)의 작동시간이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일정 이하의 시간일 경우 유지형 플런저 조절부가 도어록(100)의 잠금을 해제하게 하고, 개폐조절장치(200A)의 작동시간이 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일정 이상의 시간일 경우 지속형 플런저 조절부가 작동하여 먼저 작동되던 유지형 플런저 조절부와 교체되게 함으로써, 개폐조절장치(200A)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 가능한 것이다.
이때, 지속형 플런저 조절부의 작동은 승강기 사용자가 승강기의 랜딩도어 열림 버튼을 눌러 유지형 플런저 조절부가 지정된 임의의 시간만큼 작동된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지속형 플런저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방식일 수 있고, 승강기에 지속형 플런저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개방버튼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지속형 플런저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형인 제1 플런저 조절부(221A)와 지속형인 제2 플런저 조절부(222A) 또는 제3 플런저 조절부(223A)가 모여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각각의 상기 플런저 조절부(221A, 222A, 223A)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플런저 조절부(221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1 보조 방폭 하우징(221A-1)과, 전류 입력 시 상기 플런저(210A)를 상기 도어록(100)이 위치되는 일측으로 밀어주는 전자석(221A-2)과, 상기 전자석(221A-2)으로 입력되는 전류 차단 시 상기 제1 플런저(210A)를 이동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 복귀부재(221A-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보조 방폭 하우징(221A-1)의 내부에 제1 격리부재(221A-1A)가 형성되어, 제1 보조 방폭 하우징(221A-1) 내부에 형성된 제1 플런저 운동공간(221A-1B)을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2 플런저 운동공간(221A-1C)과,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석(221A-2)이 위치되는 제3 플런저 운동공간(221A-1D)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플런저 운동공간(221A-1C)에 상기 제1 탄성 복귀부재(221A-3)를 위치시켜 제1 탄성 복귀부재(221A-3)가 플런저(210A)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게 하되, 전자석(221A-2)에 전류를 입력 시 전자석(221A-2)과 플런저(210A)가 동일 극성을 가져 플런저(210A)가 제1 보조 방폭 하우징(221A-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통로(221A-1E)를 통하여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므로, 전자석(221A-2)에 전류 입력 시 플런저(210A)가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제1 탄성 복귀부재(221-3)가 압축되고, 전자석(221A-2)에 입력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제1 탄성 복귀부재(221-3)가 복원되며 플런저(210A)가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플런저 조절부(222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제2 나사산(222A-1A)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과, 상기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 내부에 결합된 상기 플런저(210A)를 회전시켜, 플런저(210A)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210A-2)이 제2 나사산(222A-1A)을 타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1 모터(222A-2)로 구성되는 제2 플런저 조절부(222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4 플런저 운동공간(222A-1B)이 형성되고, 플런저(210A)의 외주면과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의 내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1 나사산(210A-2)과 제2 나사산(222A-1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모터(222A-2)가 플런저(210A)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런저(210A)가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22A-1A)을 타고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제2 통로(222A-1C)를 통과하여 도어록(100)과 접하게 되고, 제1 모터(222A-2)가 플런저(210A)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런저(210A)가 상기 제2 나사산(222A-1A)을 타고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모터(222A-2)와 상기 플런저(210A)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22A-2A)는 제1 모터(222A-2)와 플런저(210A)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런저 조절부(223A)는 상기 도어록(11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3 보조 방폭 하우징(223A-1)과, 상기 플런저(210A)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로드(223A-2)와, 제2 모터(223A-3)에 결합되어 로드(223A-2)를 회동시키는 편심캠(223A-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3 보조 방폭 하우징(223A-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5 플런저 운동공간(223A-1A)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일측에 플런저(210A)가 통과될 수 있는 제3 통로(223A-1B)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223A-3)가 구동되며 상기 편심캠(223A-4)을 일정 각도로 회전 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플런저(210A)의 하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로드(223A-2)의 타측 단부를 편심캠(223A-4)의 편심돌기(223A-4A)가 밀어, 플런저(210A)가 제3 통로(223A-1B)를 통과하여 도어록(100)과 접하게 되고, 편심캠(223A-4)을 회전시켜 편심돌기(223A-4A)가 로드(223-2)와 접하지 않게 하면 제5 플런저 운동공간(223A-1A)에 위치된 제2 탄성 복귀부재(223A-5)가 플런저(210A)를 길이방향 타측으로 밀어 플런저(210A)를 이동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 시키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도어록 110 : 후크
120 : 후크 체결부
200 : 개폐조절부 200A : 개폐조절장치
210A : 플런저 210A-1 : 플런저 운동공간
210A-2 : 제1 나사산
211A : 플런저 하우징
212A : 플런저 몸체 212A-1 : 접촉 헤드
212A-2 : 센서 접촉부
213A : 접촉센서 214A : 탄성부재
220A : 플런저 조절부
221A : 제1 플런저 조절부
221A-1 제1 보조 방폭 하우징 221A-2 : 전자석
221A-3 : 제1 탄성 복귀부재
222A : 제2 플런저 조절부
222A-1 : 제2 보조 방폭 하우징 222A-1A : 제2 나사산
222A-2 : 제1 모터
223A : 제3 플런저 조절부
223A-1 : 제3 보조 방폭 하우징 223A-2 : 로드
223A-3 : 제2 모터 223A-4 : 편심캠
300 : 메인 방폭 하우징 400 : 구동정보 획득부
500 : 제어부 600 : 배터리

Claims (7)

  1. 서로 체결되어 승강기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후크(110) 및 후크 체결부(120)를 포함하는 도어록(100);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상기 도어록(100)의 개폐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개폐조절장치(2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개폐조절부(200);
    상기 개폐조절부(200)를 감싸는 메인 방폭 하우징(300);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의 구동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구동정보 획득부(400);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에서 획득한 개폐조절장치(200A)의 구동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를 순차 동작시키는 제어부(500); 및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제어부(50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정보 획득부(400)와 상기 제어부(500)와, 상기 배터리(600)가 상기 메인 방폭 하우징(30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는 상기 후크(110)를 밀어 상기 도어록(100)을 개방하는 플런저(210A)와, 상기 제어부(50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플런저(210A)의 이동을 조절하는 플런저 조절부(22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10A)는 내부에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이 형성되는 플런저 하우징(211A)과,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후크(110)와 접하는 접촉 헤드(212A-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센서 접촉부(212A-2)가 형성되는 플런저 몸체(212A)와, 상기 센서 접촉부(212A-2)의 타측에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접촉센서(213A)와, 상기 플런저 몸체 운동공간(211A-1)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헤드(212A-1)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1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가 선 작동되던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로 입력되는 전류 신호를 차단하는 시점은, 후 작동된 상기 개폐조절장치(200A)의 상기 센서 접촉부(212A-2)가 상기 접촉센서(213A)에 접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1 보조 방폭 하우징(221A-1)과, 전류 입력 시 상기 플런저(210A)를 상기 도어록(100)이 위치되는 일측으로 밀어주는 전자석(221A-2)과, 상기 전자석(221A-2)으로 입력되는 전류 차단 시 상기 제1 플런저(210A)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 복귀부재(221A-3)로 구성되는 제1 플런저 조절부(2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10A)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210A-2)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210A-2)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222A-1A)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과, 상기 제2 보조 방폭 하우징(222A-1) 내부에 결합된 상기 플런저(210A)를 회전시켜 상기 플런저(210A)가 제2 나사산(222A-1A)을 타고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1 모터(222A-2)로 구성되는 제2 플런저 조절부(22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조절부(220A)는 상기 도어록(100)과 마주보는 상기 방폭 하우징(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상기 플런저(210A)가 위치되는 제3 보조 방폭 하우징(223A-1)과, 상기 플런저(210A)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로드(223A-2)와, 제2 모터(223A-3)에 결합되어 로드(223A-2)를 회동시키는 편심캠(223A-4)으로 구성되는 제3 플런저 조절부(22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KR1020180023003A 2018-02-26 2018-02-26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KR102046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03A KR102046509B1 (ko) 2018-02-26 2018-02-26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03A KR102046509B1 (ko) 2018-02-26 2018-02-26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26A KR20190102526A (ko) 2019-09-04
KR102046509B1 true KR102046509B1 (ko) 2019-11-19

Family

ID=6795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03A KR102046509B1 (ko) 2018-02-26 2018-02-26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412B (zh) * 2022-01-17 2022-04-08 东营市久诺尔石油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石油化工的智能电气控制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131A (ja) 1998-09-17 2000-03-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424379B1 (ko) 1995-12-04 2004-09-18 알리막 아베 승강기인터로킹기구
KR101665518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승강기 랜딩 도어 방폭형 인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09B2 (ja) * 1987-11-21 1996-03-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扉制御装置
KR20110026556A (ko) 2009-09-08 2011-03-16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엘리베이터 랜딩도어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79B1 (ko) 1995-12-04 2004-09-18 알리막 아베 승강기인터로킹기구
JP2000086131A (ja) 1998-09-17 2000-03-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665518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승강기 랜딩 도어 방폭형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26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2825B (zh) 确保检查中的电梯井道顶部或底部最小空间的安全装置及具有这种安全装置的电梯
CN107108152B (zh) 解锁装置、具有解锁装置的电梯设备和用于操作解锁装置的方法
US7237655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hoistway access
ES2968008T3 (es) Enclavamiento de puerta de cabina con bloqueo de umbral
JP4871982B2 (ja) エレベータ換気装置
US20170341909A1 (en) Hoistway landing door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shaft
CN104631941B (zh) 门用电动锁具
KR102046509B1 (ko) 승강기 방폭형 인터록 장치
EP3331803A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US20150308170A1 (en) Energy-Saving Magnetic Lock
KR20140051769A (ko) 함정 선상의 충격 방지 도어- 또는 해치 어셈블리를 위한 장치
JP7206087B2 (ja) 機械式昇降路アクセス制御装置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JP4763696B2 (ja) 保護機構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CN108240143A (zh) 锁具及屏蔽门
CN103348075B (zh) 具有用于锁定栓运动的功能顺序保障的锁栓和附加锁栓的锁
CN105756432B (zh) 一种手动解锁的插销机构
EP1422182A1 (en) Safety mechanism for reduced elevator pit
JP6381401B2 (ja) 可動柵
CN102083731A (zh) 用于电梯门的闭锁系统
EP3738914B1 (en) Lift platform and home lift comprising the lift platform
CN205663316U (zh) 一种手动解锁的插销机构
EP3328777B1 (en) Lock strike plate provided with an emergency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device comprising said lock strike plate
CN105840003A (zh) 一种插销机构的驱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7682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