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467B1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467B1
KR102046467B1 KR1020130011277A KR20130011277A KR102046467B1 KR 102046467 B1 KR102046467 B1 KR 102046467B1 KR 1020130011277 A KR1020130011277 A KR 1020130011277A KR 20130011277 A KR20130011277 A KR 20130011277A KR 102046467 B1 KR102046467 B1 KR 10204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mage
group
mobile terminal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510A (ko
Inventor
신용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467B1/ko
Priority to US14/089,488 priority patent/US9241087B2/en
Priority to EP14000298.1A priority patent/EP2763390B1/en
Publication of KR2014009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위한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그룹화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로 촬영된 사진을 그룹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본 폴더에 저장된 사진을 일일이 다른 폴더로 이동시키거나 삭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촬영 모드 및 앨범 모드에서,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위한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앨범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이미지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선택된 이미지를 제2 그룹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위한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 중에서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모드 및 앨범 모드에서, 이미지 그룹화 기능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 기능을 연동시켜, 이미지 그룹명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 되는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 되는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틱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회로기판 및 연성회로기판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룹화를 위한 시작 입력과 종료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 되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 화면(310)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320)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촬영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5의 (b)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330)가 표시될 수 있으며, 촬영을 위한 복수의 메뉴 오브젝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촬영을 위한 복수의 메뉴 오브젝트는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오브젝트(341), 촬영된 이미지의 프리뷰를 보여주는 프리뷰 오브젝트(342),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사진/동영상 전환 오브젝트(343), 촬영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촬영 방향 전환 오브젝트(3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오브젝트(351) 및 종료 오브젝트(352)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은 이미지 그룹화 시작 오브젝트(351) 및 종료 오브젝트(352) 표시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와 같이, 시작 오브젝트(351) 및 종료 오브젝트(35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6의 (b)와 같이,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종료 오브젝트(352)가 활성화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종료 오브젝트(352)를 선택하기 전에, 다시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입력을 기준으로 하여 이미지 그룹화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영역에 시작 오브젝트(351)가 표시될 수 있고, 도 7의 (b)와 같이,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시작 오브젝트(351)를 종료 오브젝트(352)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종료 오브젝트(352)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종료 오브젝트(352)를 시작 오브젝트(351)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 그룹화 시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화시킬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160)에 저장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거나, 새로운 폴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미지 그룹의 그룹명을 입력받기 위해, 메모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촬영 오브젝트(341)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도 8의 (b) 내지 (d)와 같이,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촬영을 수행하고,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종료 입력을 수신하면(S240), 시작 입력을 수신한 후, 종료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촬영하고, 도 8의 (e)와 같이, 종료 오브젝트(352)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는 입력 및 종료 오브젝트(352)를 선택하는 입력 사이에 촬영된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가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되는 경우, 도 9의 (a)와 같이,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겹치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는 촬영된 순서로 겹치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9의 (b)와 같이, 새로운 폴더(제1 폴더)를 생성하여,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새로운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시작 오브젝트, 촬영 오브젝트 및 종료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입력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입력, 촬영 및 종료 입력은 음성 입력, 모션 입력 및 메모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입력되는 음성, 모션 및 메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음성, 모션 및 메모인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작'이라고 말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시작'이라는 음성을 인식하여, 이미지 그룹화 시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촬영' 또는 '종료'라고 말하는 경우, 각각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미지 그룹화 시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을 오므리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촬영에 대응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손을 상하로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그룹화 종료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메모 명령 창에 터치 펜이나 손을 이용하여, 'S'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S'를 인식하여, 이미지 그룹화 시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T'를 입력하는 경우, 촬영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E'를 입력하는 경우, 이미지 그룹화 종료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음성 인식, 모션 인식 및 메모 인식은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음성, 모션 및 메모로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모션 및 메모에 대응하는 동작 또한, 다양한 동작으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경우, 제1 태그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된 제1 태그를 그룹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메모기능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펜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를 이용하여, 제1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메모기능을 이용하여, 자유 필기의 형태로 제1 태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메모 중 텍스트만을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와 같이, '행복해 ♡'라는 메모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중 '행복해'라는 텍스트만 인식하여, 도 10의 (b)와 같이, '행복해'를 그룹명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c)와 같이, 입력받은 제1 태그가 기존 그룹의 그룹명과 동일한 경우, 기존 그룹과 병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기존 그룹명(제1 태그)에 번호를 부가한 그룹명으로 설정하거나, 그룹명을 재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태그는,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입력 전, 후 또는 이미지그룹화를 위한 종료 입력 전, 후 어느 때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된 제1 태그는 상기와 같이 그룹명뿐만 아니라, 파일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태그가 입력되는 경우,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태그를 그룹명으로 설정할 것인지 제1 이미지의 파일명으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5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그룹명 및 파일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그룹명 및 파일명을 중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에 대해서 별도로 파일명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속한 그룹명을 해당 이미지의 파일명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마지막으로 입력된 파일명을 해당 이미지의 파일명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이미지(410), 제2 이미지(420) 및 제3 이미지(430)를 순서대로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이미지(410)에 대해서 '행복해♡'라는 제1 태그를 파일명으로 입력하고, 제2 이미지(420)에 대해서는 파일명을 별도로 입력하지 않으며, 제3 이미지(430)에 대해서 '여행'이라는 제2 태그를 파일명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3과 같이, 별도의 파일명이 입력되지 않은 제2 이미지(420)는 제1 이미지(410)의 파일명으로 입력받은 '행복해'라는 제1 태그를 파일명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행복해'라는 제1 태그에 촬영된 순서에 따른 번호를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미지(410)는 '행복해 1'이라는 파일명으로, 제2 이미지(420)는 '행복해 2'라는 파일명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이미지(430)는 '여행'이라는 파일명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받은 제1 태그는, 촬영된 이미지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제1 이미지(410)의 소정영역(530)에 '행복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더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그룹화의 스킵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시작 오브젝트(351) 및 종료 오브젝트(352) 외에 스킵 기능에 대응하는 오브젝트(353, 이하, '스킵 오브젝트'라 한다.)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스킵 오브젝트(353)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스킵 오브젝트(353)를 선택하기 바로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는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될 이미지를 그룹화하기 위해, 도 14의 (a) 및 (b)와 같이, 시작 오브젝트(351)를 선택하고, 제1 이미지(410) 및 제2 이미지(420)를 순서대로 촬영하고, 제2 이미지(420)를 촬영한 후에 도 14의 (c)와 같이, 스킵 오브젝트(353)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도 14의 (d)와 같이, 제3 이미지(430)를 촬영한 후, 종료 오브젝트(352)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스킵 오브젝트(353)를 선택하기 바로 이전에 촬영된 제2 이미지(420)는, 도 15와 같이, 제1 이미지(410) 및 제3 이미지(430)와 동일한 그룹으로 저장되지 않고, 삭제되거나 다른 그룹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룹화하기 위한 이미지 촬영 중에, 촬영된 이미지의 프리뷰 등을 확인하여, 마음에 들지 않는 이미지가 촬영된 경우, 스킵 기능을 이용하여, 동일한 그룹으로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이미지까지 동일한 그룹으로 자동 저장되어, 별도로 그룹을 선택하여, 원하지 않는 이미지를 삭제하거나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 되는 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앨범모드로 진입하여(S710),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이미지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도 17의 (a)와 같이, 사용자는 메뉴 화면(810)에서 앨범 어플리케이션(820)을 선택하는 입력 등을 통하여, 앨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앨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앨범 모드로 진입하면, 도 17의 (b)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그룹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그룹 중 제1 그룹(830)을 선택하면, 도 17의 (c)와 같이, 선택된 제1 그룹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오브젝트(851) 및 종료 오브젝트(852)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6 및 7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시작 오브젝트(851) 및 종료 오브젝트(852)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작 오브젝트(85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종료 오브젝트(852)가 활성화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작 오브젝트(85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시작 오브젝트(851)를 종료 오브젝트(852)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시작 입력을 수신하고(S730), 복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40).
예를 들어, 도 18의 (a)와 같이, 시작 오브젝트(851)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이미지는 도 18의 (b)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되거나 이미지 테두리에 굵은 선이 표시되거나, 이미지에 체크 표시가 되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고, 이미지 그룹화를 위한 종료 입력을 수신하면(S750),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제2 그룹으로 저장할 수 있다(S760).
예를 들어, 도 18의 (c)와 같이, 종료 오브젝트(852)를 선택하면, 도 19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이동 기능, 복사 기능, 공유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861, 862, 863)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86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오브젝트(861) 및 복사 오브젝트(862)를 선택하는 경우, 제2 그룹으로 선택된 이미지는 기존 폴더에 저장되거나, 도 20과 같이, 새로운 폴더(835)를 생성하여, 새로운 폴더(835)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는 경우, 폴더명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메모기능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펜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폴더명을 입력할 수 있고, 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폴더명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이미지는 선택된 순서로 표시되도록 저장하거나, 선택된 순서와 역순으로 표시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이미지들을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오브젝트(862)를 선택하는 경우, 제2 그룹으로 선택된 이미지는 제1 그룹(830)에서 삭제되어 제2 그룹(835)으로 이동되고, 복사 오브젝트(862)를 선택하는 경우, 제2 그룹으로 선택된 이미지는 제1 그룹(830)에서 삭제되지 않고, 제2 그룹(835)으로 복사될 수 있다.
한편, 공유 오브젝트(863)를 선택하는 경우, 제2 그룹으로 선택된 이미지를 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 및 앨범 모드에서의 이미지 그룹화 기능은, 촬영된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무선 통신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위한 시작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시작하며,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상기 이미지 그룹화의 종료 입력에 대응하는 제2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그룹화를 종료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태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제1 태그를 상기 그룹의 그룹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제1 태그를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1 태그에,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순서에 따른 번호를 부가한 것을 상기 촬영된 이미지 각각의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제2 태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제2 태그를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스킵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킵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스킵 기능 실행 바로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그룹에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위한 시작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그룹화(grouping)를 시작하며,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상기 이미지 그룹화의 종료 입력에 대응하는 제2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그룹화를 종료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 중에서 상기 시작 입력 및 종료 입력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태그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입력된 제1 태그를 상기 그룹의 그룹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1 태그를 상기 그룹으로 저장되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일명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그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스킵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스킵 기능 실행 바로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그룹에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11277A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4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277A KR102046467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4/089,488 US9241087B2 (en) 2013-01-31 2013-11-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cluding starting and ending a grouping image process
EP14000298.1A EP2763390B1 (en) 2013-01-31 2014-01-28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277A KR102046467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510A KR20140098510A (ko) 2014-08-08
KR102046467B1 true KR102046467B1 (ko) 2019-11-18

Family

ID=5011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277A KR102046467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41087B2 (ko)
EP (1) EP2763390B1 (ko)
KR (1) KR1020464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286A1 (en) * 2003-04-11 2004-10-14 Bryant Steven M. Grouping digital images using a digital camera
US20120249853A1 (en) * 2011-03-28 2012-10-04 Marc Krolczyk Digital camera for reviewing related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3093A (en) * 1996-09-26 1999-08-24 Flashpoint Technology, Inc. Software driver digital camera system with image storage tags
US7821536B2 (en) 2002-03-12 2010-10-2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storage device, data transfer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50117031A1 (en) * 2003-12-02 2005-06-02 Russon Virgil K. Virtual film roll for grouping and storing digital images
JP4709043B2 (ja) 2006-03-27 2011-06-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58919B2 (en) * 2009-12-30 2013-10-15 Blackberry Limited Filing digital images using voice input
JP5008753B2 (ja) 2010-07-07 2012-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18653B2 (ja) 2010-12-08 2015-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63962B2 (en) * 2012-03-06 2015-02-24 Apple Inc. Display of multiple images
US9250792B2 (en) * 2012-11-29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o designate content retrieval on an interactive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286A1 (en) * 2003-04-11 2004-10-14 Bryant Steven M. Grouping digital images using a digital camera
US20120249853A1 (en) * 2011-03-28 2012-10-04 Marc Krolczyk Digital camera for reviewing related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11043A1 (en) 2014-07-31
US9241087B2 (en) 2016-01-19
EP2763390A1 (en) 2014-08-06
EP2763390B1 (en) 2020-01-08
KR20140098510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398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543166B2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4523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299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1633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1318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720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518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48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아이템 목록 로딩 방법
KR201401436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977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863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0740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571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464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197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000454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729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044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461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리스트 관리 방법
KR1019736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27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6652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