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962B1 -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962B1
KR102045962B1 KR1020180161941A KR20180161941A KR102045962B1 KR 102045962 B1 KR102045962 B1 KR 102045962B1 KR 1020180161941 A KR1020180161941 A KR 1020180161941A KR 20180161941 A KR20180161941 A KR 20180161941A KR 102045962 B1 KR102045962 B1 KR 102045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radar wave
radar
antenna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선
Original Assignee
셀파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파이엔씨(주) filed Critical 셀파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8016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3/3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3/34Transmitting data to recording or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06F17/141Discrete Fourier transforms
    • G06F17/142Fast Fourier transforms, e.g. using a Cooley-Tukey type algorith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된 지표 투과 레이더의 송신부와, 지중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부의 레이더파를 수신하는 지표 투과 레이더의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 레이더파를 송신부의 송신 레이더파와 비교하여 지반 이상을 예측하는 예측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예측서버는 송신 레이더파와 수신 레이더파를 각각 푸리에 변환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을 구하고, 시간에 따른 수신 레이더파의 변환된 에너지와 송신 레이더파의 원 에너지의 비를 산출하고, 초기 수신 에너지 스펙트럼을 디지털 샘플링하여 기준 값으로 하고 시간에 따른 에너지 스펙트럼 값과 비교하여 지반 이상을 예측한다.

Description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Predicting system for ground deformation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본 발명은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시 탐사가 가능한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도심지역의 지하시설 노후화 또는 불량시공으로 인한 땅 꺼짐, 공동 발생, 지반이완 또는 지반침하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땅 꺼짐 현상 등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표 투과 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를 이용한 탐사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1793830호(2017년 10월 30일 등록, 지반함몰 신속탐지 시스템 및 방법)에는 지상에 설치된 포장체의 하부에 태그들을 매설하고, 포장체 상에서 주기적으로 태그들의 인식 여부 또는 상태 변화를 체크하여, 포장체 하부에 지하공동 발생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태그의 인식은 GPR탐지가 가능한 전용 차량을 통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전용 차량을 주기적으로 운용해야 하며, 도로상을 운행할 때 도로의 규정 속도에 비하여 느리게 이동하면서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등록특허와 같이 종래 GPR 탐사는 지상에서 이루어진다. 통상 GPR 탐사에 이용되는 레이더파(RADAR RAY)는 50~1,000Mhz의 주파수이며, 해당 주파수의 레이더파의 특성상 탐사 심도는 지층의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약 1 내지 20m이며, 따라서 좀 더 깊은 지표 영역의 공동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포장체의 훼손에 의한 태그의 위치 변화와 지반함몰에 의한 태그의 위치 변화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포장체의 단순 훼손에 의한 태그의 위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포장체를 제거하고, 하부의 지반까지 검토해야 하는 등 탐지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등록특허와 같이 포장체에 태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포장체를 설치할 때 태그를 함께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전체 도로에 적용하기에는 단기간에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중의 공동 등 이미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태그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검출 시점이 늦어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표의 상태를 상시 검출할 수 있는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엘리먼트의 지중 설치 상태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은, 지중에 설치된 지표 투과 레이더의 송신부와, 지중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부의 레이더파를 수신하는 지표 투과 레이더의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 레이더파를 송신부의 송신 레이더파(RADAR RAY)와 비교하여 지반 이상을 예측하는 예측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예측서버는 송신 레이더파와 수신 레이더파를 각각 푸리에 변환하여, 에너지(파워) 스펙트럼을 구하고, 시간에 따른 수신 레이더파의 변환된 에너지와 송신 레이더파의 원 에너지의 비를 산출하고, 이전 상태에서 산출된 비와 비교하여 지반 이상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안테나는,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저면에 위치하며, 한 쌍의 안테나 엘리먼트가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는, 한 쌍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되는 볼트부와, 상기 제2커플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가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너트부에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 상부측의 상기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성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지표투과레이더를 지중에 설치하여, 상시 검출이 가능하며 교통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환경에서 레이더파의 감쇄, 회절 또는 주파수 변조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수신율 및 수신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측 일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에 대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송신부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펄스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송신 펄스에 따른 수신 펄스의 고속푸리에 변환에 따라 외곡되는 에너지 스펙트럼 변환 결과 예시도이다.
도 10은 시간에 대한 에너지 비율의 변화 예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모식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 예측 시스템은, 지중에 설치되어 레이더파를 송출하는 송신부(100)와, 지중에 설치되어 송신부(100)의 레이더파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수신부(200)와, 상시 수신부(200)에서 전송된 수신 레이더파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부(100)와 수신부(200) 사이의 지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을 예측하는 예측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100)는 지표에서 지중으로 설치되는 지중관(110)과, 상기 지중관(1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송신안테나(120)와, 상기 송신안테나(120)에 송신신호를 제공하는 송신신호발생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200)는 지표에서 지중으로 설치되어 상기 송신안테나(120)에서 송신된 레이더파를 수신하는 방사부(210)와, 상기 방사부(210)와 상기 송신안테나(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레이더파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도파부(220, 230)와, 상기 방사부(210)의 뒤쪽에서 레이터파를 반사시켜 이득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후방 전파 유입을 방지하여 고스트 발생을 방지하는 반사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부(210)는 지중관(211)과, 지중관(21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신안테나(120)에서 송신된 레이더파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212)와, 상기 수신안테나(212)에서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수신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100)의 송신안테나(120)와 방사부(210)의 수신안테나(212)는 각각 수지재 체인(140, 214)을 이용하여 상기 지중관(110,211)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송신안테나(120)와 수신안테나(212)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중관(110,211)은 발포성형체(150, 215)로 메워진다.
발포성형체(150,215)로 매립하지 않는 경우, 나공의 상태가 가상의 안테나가 되어 레이더파를 교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없는 상태로 매립해야 하나, 흙으로 매립하는 경우 송신안테나(120)와 수신안테나(212)의 유지보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포성형체(150,21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부(200)는 복수의 도파부(220,230)를 사용하여 송신부(100)로부터의 레이더파 이득을 더 증가시키며, 따라서 송신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 있어, 더 넓은 영역의 지반 변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파부를 사용하였으나 2 내지 4개의 도파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파부(220,230) 각각 역시 지중관(221, 231)과 지중관(221,231)의 내측 하부에 삽입 설치된 도파안테나(222,232)를 포함한다. 상기 도파안테나(222,232) 역시 체인을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지중관(221,231)도 발포성형체에 의해 충진된 상태이다.
반사부(240) 역시 지중관(241)과 반사안테나(242)를 포함하며, 지상에서부터 연결되는 체인에 의해 지중관(241)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중관(110,211,221,231,241)은 유형의 관일 수 있으며, 지반에 형성한 시추공일 수 있다.
상기 지중관 또는 시추공에 각각의 안테나들을 설치할 때 벽면과 안테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 레이더파가 감쇄되거나, 회절 또는 주파수 변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쇄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원하는 주파수의 레이더파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없게 되며, 수신 거리 또한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체인을 이용하여 벽면과 안테나 사이에 공간의 발생 없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일측 일부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각각 참조하면, 상기 송신안테나(120), 수신안테나(212), 도파안테나(222,232), 반사안테나(242)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안테나는, 한 쌍의 안테나 엘리먼트(1)와,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1)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커플러(2) 및 제2커플러(3)와, 상기 제1커플러(2)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되는 볼트부(5)와, 상기 제2커플러(3)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5)가 결합되는 너트부(4)와, 상기 너트부(4)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214)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너트부(4)에 전달하는 구동기어(216)와, 상기 제2커플러(3)에서 돌출되는 가이드축(6)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21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기어(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의 구조에서 상기 너트부(4)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6)는 제2커플러(3)의 중앙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기어(217)는 체인(214)을 중앙으로 모아 각 구동기어(16)의 외면에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일 높이에서 좌우 한 쌍씩 상하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체인(214), 구동기어(216), 가이드기어(217), 제1커플러(2), 제2커플러(3), 볼트부(5), 너트부(4)는 모두 수지재로 한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1)와 제1커플러(2) 및 제2커플러(3)가 결합되고, 상기 볼트부(5)가 너트부(4)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중관 또는 시추공에 삽입된다.
상기 체인(214)은 루프를 이루는 볼체인이거나 구동기어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기타 구조의 체인일 수 있다. 체인(214)을 루프를 따라 회전시키면 일측은 상향 반대편은 하향의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체인(214)의 이동은 구동기어(216)를 회전시키게 되며, 구동기어(216)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4)도 회전한다.
상기 너트부(4)의 회전에 따라 볼트부(5)가 너트부(4)로부터 풀리면서, 제1커플러(2)와 제2커플러(3)를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힘의 작용은 안테나 엘리먼트(1)를 외측으로 밀어내며 따라서 안테나 엘리먼트(1)는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벽면에 밀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송신안테나(120), 수신안테나(212), 도파안테나(222,232), 반사안테나(242) 각각을 체인(214)에 의해 확장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지중설치시 벽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중 환경에서도 GPR을 이용한 지반 상태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송신부(100)를 중앙에 두고, 다수의 수신부(200)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송신부(100)와 수신부(200) 사이 지반 상태의 검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 방사부(210)의 수신안테나(212)를 통해 수신된 레이더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신호수신부(213)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예측서버(300)에 제공된다. 도 6과 같이 하나의 송신부(100)에 다수의 수신부(200)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서버(300)는 각 수신부(200)에서 수신된 레이터파 정보를 구분해야 한다.
상기 예측서버(300)는 각 수신안테나(212)에서 검출된 레이더파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수신부(200)와 송신부(100) 사이의 지반 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검출을 통해 지반 이상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예측서버(300)는 상기 송신신호 발생기(130)에 송신신호의 발생을 요청하고, 신호수신부(21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하고 판단한다.
이때, 다양한 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송신신호 발생기(130)에서 특정한 펄스를 발생시켜, 송신안테나(120)를 통해 해당 펄스가 방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방사부(210)의 수신안테나(21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수신부(213)를 통해 전송받아 파형을 분석하거나, 감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광대역 디지털 펄스를 발생시키고, 수신부에서 수신된 파형을 분석하는 방법이나 송신부로부터 특정 라디오파(레이더파)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수신부에서 수신된 라디오파의 전기장과 자기장의 위상차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펄스를 발생시키고, 그 변화된 파형의 에너지를 분석하여 매질인 지반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은 다양한 주파수(f1, f2, f3)의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송신부(100)에서 방출된 라디오파는 복잡한 지반을 통과하여 수신부(200)에 수신되며, 이때 수신된 라디오파는 원래의 라디오파에 비하여 감쇄, 변형되고, 잡읍이 더해진 상태로 수신된다.
이때 상기 예측서버(300)는 인위적으로 생성한 라디오파의 파형과, 수신된 왜곡 파형 및 송신부터 수신까지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지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이처럼 송신한 라디오파, 수신된 라디오파, 송신부터 수신까지의 시간 정보는 신호를 시간영역과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분석 가능하다.
즉, 주파수별 또는 시간별로 분해된 파를 변환하여 디지털 샘플링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예측서버(300)에서 송신부(100)에 펄스 발생을 요청했을 때, 송신부(100)에서 순차 발생시켜 방출하는 펄스의 예시도이다. 1차 펄스가 공간 펄스 길이(spatial length)가 가장 길고, 2차 펄스와 3차 펄스는 점차 공간 펄스 길이가 짧아지는 것일 수 있다.
이를 고속푸리에 변환한 에너지 스펙트럼은 1차 펄스가 주파수 밴드폭이 가장 좁고, 3차 펄스가 주파수 밴드폭이 가장 넓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부(200)에 수신된 펄스에 대하여 고속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초기 수신 에너지 스펙트럼을 디지털 샘플링하여 기준 값으로 하고, 시간에 따른 에너지 스펙트럼 값과 비교하여, 왜곡된 에너지 스펙트럼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예측서버(300)에서는 각 차수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시간에 대한 안정상태를 분석하여 일정 수준 이상 변화되는 경우 또는 기생 주파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지반에 변형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총에너지(E0)와 각 수신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에너지(E1, E2, E3)의 비를 구하고, 이전의 산출결과와 비교하여 안정상태에서 벗어날 경우 지반에 변형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된 GPR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의 지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반 변형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송신부 110:지중관
120:송신안테나 130:송신신호 발생기
140:체인 150:발포성형체
200:수신부 210:방사부
211:지중관 212:수신안테나
213:신호수신부 214:체인
215:발포성형체 216:구동기어
217:가이드기어 220, 230:도파부
240:반사부

Claims (6)

  1. 지중에 설치된 지표 투과 레이더의 송신부;
    지중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부의 레이더파를 수신하는 지표 투과 레이더의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수신 레이더파를 송신부의 송신 레이더파와 비교하여 지반 이상을 예측하는 예측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예측서버는 송신 레이더파와 수신 레이더파를 각각 푸리에 변환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을 구하고, 시간에 따른 수신 레이더파의 변환된 에너지와 송신 레이더파의 원 에너지의 비를 산출하고, 초기 수신 에너지 스펙트럼을 디지털 샘플링하여 기준 값으로 하고 시간에 따른 에너지 스펙트럼 값과 비교하여 지반 이상을 예측하며,
    상기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안테나는,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저면에 위치하며,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벽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안테나 엘리먼트와,
    한 쌍의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되는 볼트부와,
    상기 제2커플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가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너트부에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벽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상부측의 상기 지중관 또는 시추공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성형체를 더 포함하는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61941A 2018-12-14 2018-12-14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KR102045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941A KR102045962B1 (ko) 2018-12-14 2018-12-14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941A KR102045962B1 (ko) 2018-12-14 2018-12-14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962B1 true KR102045962B1 (ko) 2019-11-18

Family

ID=6872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941A KR102045962B1 (ko) 2018-12-14 2018-12-14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7057A (zh) * 2020-03-13 2020-06-19 西安工程大学 一种利用光纤光栅检测轴系齿轮齿根应变的方法
KR102529683B1 (ko) 2022-07-26 2023-05-10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지반침하 조사를 위한 지표투과레이더 탐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162A (ja) * 1993-05-17 1994-11-25 Kawasaki Chishitsu Kk 地中レーダトモグラフィ方法及び装置
JPH07120559A (ja) * 1993-10-25 1995-05-12 Ikuo Arai ボアホールレーダ
JP2001056373A (ja) * 1999-06-10 2001-02-27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地中レー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地中掘削機
KR20030020722A (ko) * 2001-09-04 2003-03-10 한국전기연구원 지반탐사 레이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162A (ja) * 1993-05-17 1994-11-25 Kawasaki Chishitsu Kk 地中レーダトモグラフィ方法及び装置
JPH07120559A (ja) * 1993-10-25 1995-05-12 Ikuo Arai ボアホールレーダ
JP2001056373A (ja) * 1999-06-10 2001-02-27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地中レー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地中掘削機
KR20030020722A (ko) * 2001-09-04 2003-03-10 한국전기연구원 지반탐사 레이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7057A (zh) * 2020-03-13 2020-06-19 西安工程大学 一种利用光纤光栅检测轴系齿轮齿根应变的方法
KR102529683B1 (ko) 2022-07-26 2023-05-10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지반침하 조사를 위한 지표투과레이더 탐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739B2 (en) Medium frequency pseudo noise geological radar
Spagnolini Permittivity measurements of multilayered media with monostatic pulse radar
KR102045962B1 (ko)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한 지반 변형 예측 시스템
KR101241313B1 (ko)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03636015B (zh) 使用天线串扰进行探地雷达通信的系统和方法
JP2005503566A (ja) 表面下のレーダー画像化
CN104251988A (zh) 角度分辨的雷达传感器
CN113302459B (zh) 非侵入式敞开通道流量计
JP2007327935A (ja) 媒質内の物体の計測方法
CN101441268A (zh) 墙壁参数测试方法
CN115657007A (zh) 一种基于毫米波雷达的河流表面流速测量方法
Zhu et al. Measurement-based wideband space-time channel models for 77GHz automotive radar in underground parking lots
WO2015156096A1 (ja) 無線通信構造及び無線通信方法
Samad et al. Analysis and Modeling of Propagation in Tunnel at 3.7 and 28 GHz.
KR100902560B1 (ko) 탐색중 추적 레이더의 위협경보 발생장치 및 방법
JP2006170698A (ja) 無線局方向推定装置及び無線局方向推定・電波発射装置、並びに無線局方向推定方法
KR101647700B1 (ko) 전파 증폭 모듈을 이용한 모의 대상물에 대한 레이더 단면적 프로파일 산출 장치 및 방법
Ji et al. Vessel target detection using zero‐Doppler spectra of radar echo for high‐frequency surface wave radar
KR102147219B1 (ko) 지표 투과 레이더 탐사장치
US20230194691A1 (en) Radar equipment, object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Yamaguchi et al. Detection of objects buried in sandy ground by a synthetic aperture FM-CW radar
Centers et al. Vibrational Radar Backscatter Communications Theory and Bound
Liénard et al. Wideband analysis of propagation along radiating cables in tunnels
Castro et al. Measuring the radiation pattern of on-board antennas at sea
Shahdan et al. Simulation of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ground penetrating radar using Advanced Design System (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