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57B1 -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57B1
KR102045457B1 KR1020180088406A KR20180088406A KR102045457B1 KR 102045457 B1 KR102045457 B1 KR 102045457B1 KR 1020180088406 A KR1020180088406 A KR 1020180088406A KR 20180088406 A KR20180088406 A KR 20180088406A KR 102045457 B1 KR102045457 B1 KR 10204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guide rails
stroke
block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귀국
이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하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하마
Priority to KR102018008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하부에 장착되며 철도사고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철도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철도차량으로부터 승강장이나 선로로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발판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하부 발판유닛과 상부 발판유닛을 별도로 구획하여 구비함에 따라 발판 장치가 설치된 주변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발판유닛은 그 발판부재의 전방 돌출 거리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발판 장치가 설치된 주변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하부에 상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납블록에 하부 발판유닛과 상부 발판유닛을 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에 항상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foothold device of expansion use by level and folding storage typ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하부에 장착되며 철도사고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철도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철도차량으로부터 승강장이나 선로로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발판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부 발판유닛과 상부 발판유닛을 별도로 구획하여 구비함에 따라 발판 장치가 설치된 주변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발판유닛은 그 발판부재의 전방 돌출 거리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발판 장치가 설치된 주변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예: 기차, 전철, 지하철)은 레일을 통해 이동하며 정상적인 상황에서 철도차량은 승강장이 위치한 곳에 정차하기 때문에 철도차량 내의 승객이 그 승강장으로 오르내리는 일에 불편함이 생기기지는 않는다.
그러나, 철도차량이 본래의 정상 운행과 달리 고정이나 사고가 나면 철도차량의 게이트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것이 그리 쉬운일이 아니다.
예컨대, 철도차량의 게이트는 승강장과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지상에 설치된 레일을 기준으로 보면 철도차량의 게이트는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그 결과, 철도차량이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승강장과 떨어진 곳에 위치한 상태라면, 철도차량 내의 승객을 밖으로 안내할 때 게이트와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너무 높기 때문에 승객이 밖으로 나오는 일은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이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승강장과 떨어진 곳에 위치한 상태에서 주변의 구조물(예: 터널 측벽 단턱)으로 올라가려 하는 경우에도 그 이격거리가 커서 승객이 철도차량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일은 위험할 수 밖에 없다.
상기의 위험 요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도차량이 비정상 위치에 세워진 상태에서도 철도차량 내에서 밖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위치에 게이트가 설치된 철도차량이 비정상 위치에 정차한 경우 그 철도차량 내의 승객이 밖으로 나올 때 그 승객의 이동을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는 외부의 지지수단에 고정 장착되며 전방이 개구되고 상하좌우와 후방이 막힌 속이 빈 형태의 수납블록;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수납블록의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으로 나온 후 하방향 폴딩되어 발판으로 기능하는 하부 발판유닛; 하부 발판유닛의 상부에 대응하는 수납블록의 내측에 하부 발판유닛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슬라이딩 수납되고 수납블록의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으로 나온 후 상방향으로 폴딩되어 발판으로 기능하는 상부 발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부 발판유닛은, 수납블록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제 1,2 가이드레일; 제 1,2 가이드레일에 걸쳐진 상태로 제 1,2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납블록을 슬라이딩 출몰하는 제 1,2 스트로크 바; 수납블록의 전방에 대응하는 제 1,2 스트로크 바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제 1,2 스트로크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2 스트로크 바를 슬라이딩하는 제 1,2 슬라이드바; 제 1,2 슬라이드바의 선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납블록으로의 수납시 제 1,2 슬라이드바와 각각 수평으로 움직여 제 1,2 슬라이드바와 함께 움직이고,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사용될 때 제 1,2 슬라이드바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다단 회전 가능하고 그 회전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 사이에 연결되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가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될 때 수평을 이루어 발판으로 기능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발판유닛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발판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 사이에 연결되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가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될 때 수평을 이루어 발판부재와 함께 복수의 발판으로 기능하는 확장발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발판유닛은, 세워진 플레이트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발판부재의 하면에 발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발판부재 하면의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발판이동 조정부재; 자신의 양단부가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의 움직임에 의한 확장발판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신도 함께 움직이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어느하나의 절개홈에 걸쳐짐에 따라 확장발판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발판이동 조정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발판유닛은, 제 1,2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대응하는 수납블록의 좌우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제 3,4 가이드레일; 제 3,4 가이드레일에 걸쳐진 상태로 제 3,4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납블록을 슬라이딩 출몰하는 제 3,4 스트로크 바; 제 3,4 스트로크 바의 선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납블록으로의 수납시 제 3,4 스트로크 바와 각각 수평으로 움직여 제 3,4 스트로크 바와 함께 움직이고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사용될 때 제 3,4 스트로크 바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제 3,4 회동지지 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제 3,4 회동지지 바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제 3,4 회동지지 바가 제 3,4 스트로크 바와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발판으로 기능하고 제 3,4 회동지지 바가 수납블록에 슬라이딩 수납되는 경우 수납블록의 전방 개구된 부분을 막는 발판 겸 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발판유닛은, 제 3,4 회동지지 바가 제 3,4 스트로크 바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 3,4 회동지지 바가 제 3,4 스트로크 바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제 3,4 스트로크 바에 각각 인접하는 제 3,4 회동지지 바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그 연결된 제 3,4 회동지지 바의 측벽으로부터 제 3,4 스트로크 바에 평행하게 각각 돌출된 후 제 3,4 스트로크 바의 상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제 3,4 회동지지 바의 현재 세워진 상태를 각각 지지하는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발판유닛은, 수납블록의 전방에 대응하는 발판 겸 캡 부재의 일면 양쪽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출몰하도록 구성되는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하부 발판유닛은, 제 1,2 스트로크 바에 각각 장착되며, 제 1,2 스트로크 바가 각각 제 1,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중 제 1,2 스트로크 바의 선단부가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1,2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1,2 가이드레일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제 1,2 스트로크 바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고, 제 1,2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1,2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1,2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함에 따라 제 1,2 가이드레일에 대한 제 1,2 스트로크 바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제 1,2 움직스토퍼; 수납블록의 내측에 대응하는 제 1,2 움직스토퍼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제 1,2 가이드레일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 1,2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각각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1,2 움직스토퍼를 각각 터치함에 따라 제 1,2 움직스토퍼가 제 1,2 가이드레일에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1,2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하도록 하는 제 1,2 고정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발판유닛은, 제 3,4 스트로크 바에 각각 장착되며, 제 3,4 스트로크 바가 각각 제 3,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중 제 3,4 스트로크 바의 선단부가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3,4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3,4 가이드레일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제 3,4 스트로크 바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고, 제 3,4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3,4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3,4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함에 따라 제 3,4 가이드레일에 대한 제 3,4 스트로크 바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제 3,4 움직스토퍼; 수납블록의 내측에 대응하는 제 3,4 움직스토퍼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제 3,4 가이드레일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 3,4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각각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3,4 움직스토퍼를 각각 터치함에 따라 제 3,4 움직스토퍼가 제 3,4 가이드레일에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3,4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하도록 하는 제 3,4 고정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 발판유닛과 상부 발판유닛을 별도로 구획하여 구비함에 따라 발판 장치가 설치된 주변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발판유닛에 구비되는 발판부재의 전방 돌출 거리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발판 장치가 설치된 주변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하부에 상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납블록에 하부 발판유닛과 상부 발판유닛을 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에 항상 대비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발판유닛에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를 수납블록에 폴딩 구비함에 따라 철도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시 노약자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사용을 위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 수납블록을 벗겨낸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1,
[도 5]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2,
[도 6]은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3,
[도 7]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1,
[도 8]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2,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수납을 위해 폴딩된 상태에서 수납블록을 벗겨낸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사용을 위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수납을 위해 폴딩된 상태에서 수납블록을 벗겨낸 상태의 도면,
[도 14]는 [도 1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4 움직스토퍼와 제 1 내지 4 고정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4 움직스토퍼와 제 1 내지 4 고정스토퍼의 사용상태도 1,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4 움직스토퍼와 제 1 내지 4 고정스토퍼의 사용상태도 2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장치는 철도차량(미도시)의 하부에 상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납블록(110)에 하부 발판유닛(120)과 상부 발판유닛(130)을 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에 항상 대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블록(110)의 상면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111)을 구비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게이트의 연직하부에 대응하는 철도차량의 하면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발판 겸 캡부재(134)는 철도차량의 게이트의 연직하부에 배치되어야만 철도차량의 게이트를 통해 밖으로 나오는 승객은 게이트를 나오자 마자 확장된 상태의 발판 겸 캡 부재(134)를 밝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 장치가 사용을 위해 레벨별도 확장된 상태를 살펴본 후, 이어서 폴딩 수납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사용을 위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수납블록을 벗겨낸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1이고, [도 5]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2이고, [도 6]은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3이고, [도 7]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1이고, [도 8]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2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수납을 위해 폴딩된 상태에서 수납블록을 벗겨낸 상태의 도면이고, [도 10]은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는 수납블록(110), 하부 발판유닛(120), 상부 발판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블록(110)은 외부의 지지수단인 철도차량의 하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블록(110)은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이 개구되고 자신의 내측에 본 발명의 각 구성이 폴딩될 수 있도록 상하좌우와 후방이 막힌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 발판유닛(120)은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으로 나온 후 하방향 폴딩되어 발판으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하부 발판유닛(120)은,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발판부재(125), 확장발판부재(126), 발판이동 조정부재(127), 발판이동 조정바(1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은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의 슬라이딩 동작을 인터페이스 한다.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에 걸쳐진 상태로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을 따라 수납블록(110)을 슬라이딩 출몰한다.
예컨대,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의 사용을 위해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으로부터 슬라이딩 돌출되고,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의 수납을 위해서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폴딩된다.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전방에 대응하는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로부터 슬라이딩 동작한다.
이처럼,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에 대한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의 전후방 출몰 길이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와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가 확장된 상태에서 그 확장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수단이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와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와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가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수단이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와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에 대한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의 선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는 수납블록(110)으로의 수납시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의 선단부로부터 각각 회동하여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와 각각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로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와 함께 [도 9]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는 수납블록(110)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사용될 때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와 함께 수납블록(110)의 밖으로 슬라이딩한 후,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다단 회전하고 그 회전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가 발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발판부재(125)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사이에 연결되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수납블록(110)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될 때 수평을 이루어 발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확장발판부재(126)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발판부재(125)의 하부에 대응하는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사이에 연결되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수납블록(110)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될 때 수평을 이루어 발판부재(125)와 함께 복수의 발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발판이동 조정부재(127)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세워진 플레이트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발판부재(125)의 하면에 발판부재(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발판이동 조정부재(127)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발판부재(125) 하면의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발판이동 조정바(128)가 걸쳐지는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이동 조정바(128)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자신의 양단부가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의 움직임에 의한 확장발판부재(12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신도 함께 움직인다.
발판이동 조정바(128)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어느하나의 절개홈에 걸쳐짐에 따라 확장발판부재(125)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판이동 조정바(128)를 살짝 들어서 발판이동 조정부재(127)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대적으로 수납블록(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절개홈에 끼우면, 그 발판이동 조정바(1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움직이게 되고 이와 함께 확장발판부재(126)는 현재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발판이동 조정부재(127)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대적으로 수납블록(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절개홈에 끼우면, 그 발판이동 조정바(1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움직이면서 확장발판부재(126)는 현재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발판유닛(130)는 하부 발판유닛(120)의 상부에 대응하는 수납블록(110)의 내측에 하부 발판유닛(120)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슬라이딩 수납되고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으로 나온 후 상방향으로 폴딩되어 발판으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상부 발판유닛(130)은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 발판 겸 캡부재(134),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은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의 상부에 대응하는 수납블록(110)의 좌우 측벽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슬라이딩 동작을 인터페이스한다.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에 걸쳐진 상태로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을 따라 수납블록(110)을 슬라이딩 출몰한다.
예컨대, 발판 겸 캡부재(134)의 사용을 위해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으로부터 슬라이딩 돌출되고, 발판 겸 캡부재(134)의 수납을 위해서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폴딩된다.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선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납블록(110)으로의 수납시에는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와 수평이 되도록 회동한 후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와 함께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사용될 때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한 상태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현재 세워진 상태를 각각 지지하는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는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한 상태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에 각각 인접하는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후 그 연결된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측벽으로부터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에 평행하게 각각 돌출된 후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상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절곡된다.
그 결과,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도 자신의 돌출된 각 선단부가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호 맞물린다.
여기서,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의 돌출된 각 선단부가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각 상면에 맞닿은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수단이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발판 겸 캡부재(134)는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와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발판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발판 겸 캡부재(134)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수납블록(110)에 슬라이딩 수납되는 경우 수납블록(110)의 전방 개구된 부분을 막는 캡 역할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사용을 위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가 수납을 위해 폴딩된 상태에서 수납블록을 벗겨낸 상태의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는 상부 발판유닛(130)이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와 제 3,4 고정브라켓(137a,137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는 수납블록(110)의 전방에 대응하는 발판 겸 캡 부재(134)의 일면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어 수납블록(110)의 전방으로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발판 겸 캡 부재(134)가 [도 11]에서와 같이 발판으로 기능하도록 회전한 경우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폴딩과 확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가 [도 11]에서와 같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발판 겸 캡 부재(134)를 밟고 이동하는 철도차량 탑승객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 3,4 고정브라켓(137a,137b)는 각각 [도 11]과 [도 12]에서와 같이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발판 겸 캡 부재(134)의 양측부에 고정됨에 따라 발판 겸 캡 부재(134)에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발판 겸 캡 부재(134)가 수납블록(110)의 개구된 전방을 막는 캡으로 기능할 때 제 3,4 고정브라켓(137a,137b)은 [도 13]과 [도 14]에서와 같이 발판 겸 캡 부재(134)로부터 이탈되어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와 함께 수납블록(110)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 [도 13]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블록(110) 내에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가 폴딩된 상태에서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를 고정벨트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수납블록(110) 내에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에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가 스토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를 상호 연결시키는 각각의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는 수납블록(110)을 장착한 철도차량이 움직일 때 펼쳐지는 힘을 받기 때문에 고정벨트로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도 15]는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도 8],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판이동 조정바(128)를 살짝 들어서 발판이동 조정부재(127)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대적으로 수납블록(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절개홈으로부터 수납블록(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절개홈으로 이동시켜 끼우면, 그 발판이동 조정바(1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움직이게 되고 이와 함께 확장발판부재(126)는 [도 15]에서와 같이 후방의 현재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발판이동 조정부재(127)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대적으로 수납블록(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절개홈에 끼우면, 그 발판이동 조정바(12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움직이면서 확장발판부재(126)는 전방의 현재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4 움직스토퍼와 제 1 내지 4 고정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4 움직스토퍼와 제 1 내지 4 고정스토퍼의 사용상태도 1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4 움직스토퍼와 제 1 내지 4 고정스토퍼의 사용상태도 2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하부 발판유닛(120)은 바람직하게는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와 제 1,2 고정스토퍼(129c, 129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는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에 각각 장착되며,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가 각각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을 따라 이동하는 중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의 선단부가 수납블록(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고,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의 후단부가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함에 따라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에 대한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그리고, 제 1,2 고정스토퍼(129c, 129d)는 수납블록(110)의 내측에 대응하는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의 후단부가 각각 수납블록(11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를 각각 터치함에 따라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가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에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와 제 1,2 고정스토퍼(129c, 129d)의 동작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2 스트로크 바(122a, 122b)가 [도 15]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전방으로 충분히 확장되면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의 사용을 위해 현재 상태로 고정되어야 한다.
이 위치에서의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는 [도 17]에서와 같이 각각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제 1,2 가이드레일(121a, 121b)의 측벽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움직스토퍼(129a)와 제 2 움직스토퍼(129b)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그 구성이나 동작은 동일하다.
이때, 제 1 움직스토퍼(129a)는 제 1 스트로크 바(122a)와 일체로 움직이는 [도 17]의 원통형 몸체를 기준으로 그 원통형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여 그 내외부를 탄성적으로 출입하는 탄성로드가 [도 17]에서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121a) 내측벽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를 통해, 제 1 스트로크 바(122a)는 현재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7]에서의 제 1 움직스토퍼(129a)의 원통형 몸체는 오른쪽 단부가 비스듬히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비스듬히 절개되는 원통형 몸체의 일단부로부터 회동편이 끼워져 탄성로드와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회동편이 원통형 몸체의 비스듬히 절개된 부분을 따라 미끄러지면 이와 연동하여 탄성로드는 원통형 몸체의 좌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 조작으로 회동편을 원통형 몸체의 우측 최선단부에 걸쳐 놓으면 이와 연동하여 탄성로드는 원통형 몸체 내로 진입한다.
예컨대, [도 17]에서와 같이 제 1 움직스토퍼(129a)의 탄성로드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제 1 가이드레일(121a)에 걸쳐진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 18]에서와 같이 회동편을 돌림에 따라 탄성로드가 원통형 몸체 내로 진입하며, 제 1 움직스토퍼(129a)는 제 1 가이드레일(121a)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18]에서와 같이 제 1 움직스토퍼(129a)가 제 1 가이드레일(121a)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제 1 스트로크 바(122a)를 수납블록(110)의 내측에 수납시키면, 그 수납되는 과정에서 제 1 가이드레일(121a)을 따라 제 1 스트로크 바(122a)와 일체로 이동하는 제 1 움직스토퍼(129a)는 제 1 고정스토퍼(129c)에 걸리면서 [도 17]에서와 같이 회동한다.
이때, 제 1 고정스토퍼(129c)에 걸려 [도 17]에서와 같이 회동한 제 1 움직스토퍼(129a)는 원통형 몸체의 좌측으로 탄성로드가 돌출됨에 따라 제 1 가이드레일(121a)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그 결과, 제 1 스트로크 바(122a)가 현재 수납된 위치로부터 수납블록(110)의 밖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물론, 사용자 조작으로 제 1 스트로크 바(122a)을 수납블록(110)의 전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제 1 움직스토퍼(129a)의 탄성로드가 제 1 가이드레일(121a)의 내측벽으로 따라 움직이다가 제 1 스트로크 바(122a)의 선단부가 [도 15]에서와 같이 전방의 소정 위치에 다다르면 제 1 움직스토퍼(129a)의 탄성로드가 제 1 가이드레일(121a)의 내측벽 함몰된 부분에서 [도 17]의 좌측으로 소위 '딸깍' 소리를 내며 돌출되어 끼워진다.
여기서, 제 1 움직스토퍼(129a)가 제 1 가이드레일(121a)을 따라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동작은 제 2 움직스토퍼(129b)가 제 2 가이드레일(121b)을 따라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동작과 좌우대칭하여 동일하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부 발판유닛(130)은 바람직하게는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와 제 3,4 고정스토퍼(138c, 138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는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에 각각 장착되며,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가 각각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을 따라 이동하는 중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선단부가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고,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후단부가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함에 따라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에 대한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3,4 고정스토퍼(138c, 138d)는 수납블록의 내측에 대응하는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의 후단부가 각각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를 각각 터치함에 따라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가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에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와 제 3,4 고정스토퍼(138c, 138d)의 동작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3,4 스트로크 바(132a, 132b)가 [도 15]에서와 같이 수납블록(110)의 전방으로 충분히 확장되면 발판부재(125)와 확장발판부재(126)의 사용을 위해 현재 상태로 고정되어야 한다.
이 위치에서의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는 [도 17]에서와 같이 각각 제 3,4 가이드레일(131a, 131b)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제 3,4 가이드레일(131a, 131b)의 측벽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 3 움직스토퍼(138a)와 제 4 움직스토퍼(138b)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그 구성이나 동작은 동일하다.
이때, 제 3 움직스토퍼(138a)는 제 3 스트로크 바(132a)와 일체로 움직이는 [도 17]의 원통형 몸체를 기준으로 그 원통형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여 그 내외부를 탄성적으로 출입하는 탄성로드가 [도 17]에서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3 가이드레일(131a) 내측벽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를 통해, 제 3 스트로크 바(132a)는 현재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7]에서의 제 3 움직스토퍼(138a)의 원통형 몸체는 오른쪽 단부가 비스듬히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비스듬히 절개되는 원통형 몸체의 일단부로부터 회동편이 끼워져 탄성로드와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회동편이 원통형 몸체의 비스듬히 절개된 부분을 따라 미끄러지면 이와 연동하여 탄성로드는 원통형 몸체의 좌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 조작으로 회동편을 원통형 몸체의 우측 최선단부에 걸쳐 놓으면 이와 연동하여 탄성로드는 원통형 몸체 내로 진입한다.
예컨대, [도 17]에서와 같이 제 3 움직스토퍼(138a)의 탄성로드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제 3 가이드레일(131a)에 걸쳐진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 18]에서와 같이 회동편을 돌림에 따라 탄성로드가 원통형 몸체 내로 진입하며, 제 3 움직스토퍼(138a)는 제 3 가이드레일(131a)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18]에서와 같이 제 3 움직스토퍼(138a)가 제 3 가이드레일(131a)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제 3 스트로크 바(132a)를 수납블록(110)의 내측에 수납시키면, 그 수납되는 과정에서 제 3 가이드레일(131a)을 따라 제 3 스트로크 바(132a)와 일체로 이동하는 제 3 움직스토퍼(138a)는 제 3 고정스토퍼(138c)에 걸리면서 [도 17]에서와 같이 회동한다.
이때, 제 3 고정스토퍼(138c)에 걸려 [도 17]에서와 같이 회동한 제 3 움직스토퍼(138a)는 원통형 몸체의 좌측으로 탄성로드가 돌출됨에 따라 제 3 가이드레일(131a)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그 결과, 제 3 스트로크 바(132a)가 현재 수납된 위치로부터 수납블록(110)의 밖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물론, 사용자 조작으로 제 3 스트로크 바(132a)을 수납블록(110)의 전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제 3 움직스토퍼(138a)의 탄성로드가 제 3 가이드레일(131a)의 내측벽으로 따라 움직이다가 제 3 스트로크 바(132a)의 선단부가 [도 15]에서와 같이 전방의 소정 위치에 다다르면 제 3 움직스토퍼(138a)의 탄성로드가 제 3 가이드레일(131a)의 내측벽 함몰된 부분에서 [도 17]의 좌측으로 소위 '딸깍' 소리를 내며 돌출되어 끼워진다.
여기서, 제 3 움직스토퍼(138a)가 제 3 가이드레일(131a)을 따라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동작은 제 4 움직스토퍼(138b)가 제 4 가이드레일(131b)을 따라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동작과 좌우대칭하여 동일하다.
결국, 제 1 내지 제 4 움직스토퍼(129a,129b,138a,138b)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그 원통형 몸체를 관통하는 각각의 탄성로드와 회동핀이 일체로 움직이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탄성 스트로크된다.
110 : 수납블록
111 : 고정브라켓
120 : 하부 발판유닛
121a, 121b : 제 1,2 가이드레일
122a, 122b : 제 1,2 스트로크 바
123a, 123b : 제 1,2 슬라이드바
124a,124b :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
125 : 발판부재
126 : 확장발판부재
127 : 발판이동 조정부재
128 : 발판이동 조정바
129a, 129b : 제 1,2 움직스토퍼
129c, 129d : 제 1,2 고정스토퍼
130 : 상부 발판유닛
131a,131b : 제 3,4 가이드레일
132a,132b : 제 3,4 스트로크 바
133a,133b : 제 3,4 회동지지 바
134 : 발판 겸 캡부재
135a,135b :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
136a,136b :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
137a,137b : 제 3,4 고정브라켓
138a, 138b : 제 3,4 움직스토퍼
138c, 138d : 제 3,4 고정스토퍼

Claims (8)

  1. 삭제
  2. 외부의 지지수단에 고정 장착되며 전방이 개구되고 상하좌우와 후방이 막힌 속이 빈 형태의 수납블록(110);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으로 나온 후 하방향 폴딩되어 발판으로 기능하는 하부 발판유닛(120);
    상기 하부 발판유닛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에 상기 하부 발판유닛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슬라이딩 수납되고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으로 나온 후 상방향으로 폴딩되어 발판으로 기능하는 상부 발판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 발판유닛(120)은,
    상기 수납블록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수납블록을 슬라이딩 출몰하는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
    상기 수납블록의 전방에 대응하는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122a,122b)를 슬라이딩하는 제 1,2 슬라이드바(123a,123b);
    상기 제 1,2 슬라이드바의 선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납블록으로의 수납시 상기 제 1,2 슬라이드바와 각각 수평으로 움직여 상기 제 1,2 슬라이드바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사용될 때 상기 제 1,2 슬라이드바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다단 회전 가능하고 그 회전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상기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될 때 수평을 이루어 발판으로 기능하는 발판부재(12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발판유닛(120)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부재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가 상기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될 때 수평을 이루어 상기 발판부재와 함께 복수의 발판으로 기능하는 확장발판부재(12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발판유닛(120)은,
    세워진 플레이트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재의 하면에 상기 발판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발판부재 하면의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발판이동 조정부재(127);
    자신의 양단부가 상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2 다관절 링크부재(124a,124b)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확장발판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신도 함께 움직이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어느하나의 절개홈에 걸쳐짐에 따라 상기 확장발판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발판이동 조정바(128);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판유닛(130)은,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121a,121b)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수납블록의 좌우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제 3,4 가이드레일(131a,131b);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수납블록을 슬라이딩 출몰하는 제 3,4 스트로크 바(132a,132b);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선단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납블록으로의 수납시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와 각각 수평으로 움직여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수납블록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사용될 때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가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와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발판으로 기능하고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가 상기 수납블록에 슬라이딩 수납되는 경우 상기 수납블록의 전방 개구된 부분을 막는 발판 겸 캡부재(13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판유닛(130)은,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가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로부터 각각 수직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에 각각 인접하는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그 연결된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에 평행하게 각각 돌출된 후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상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하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제 3,4 회동지지 바(133a,133b)의 현재 세워진 상태를 각각 지지하는 제 3,4 회동지지 브라켓(135a,135b);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판유닛(130)은,
    상기 수납블록의 전방에 대응하는 상기 발판 겸 캡 부재의 일면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출몰하도록 구성되는 제 3,4 접이식 가이드 바(136a,136b);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발판유닛(120)은,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가 각각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중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의 선단부가 상기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함에 따라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제 1,2 움직스토퍼(129a,129b);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 1,2 움직스토퍼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1,2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각각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1,2 움직스토퍼를 각각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 1,2 움직스토퍼가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에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 1,2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하도록 하는 제 1,2 고정스토퍼(129c, 129d);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발판유닛(130)은,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가 각각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중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선단부가 상기 수납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함에 따라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제 3,4 움직스토퍼(138a,138b);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 3,4 움직스토퍼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3,4 스트로크 바의 후단부가 각각 상기 수납블록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3,4 움직스토퍼를 각각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 3,4 움직스토퍼가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에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 3,4 가이드레일의 내측벽을 각각 푸시하도록 하는 제 3,4 고정스토퍼(138c, 138d);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KR1020180088406A 2018-07-30 2018-07-30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KR10204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6A KR102045457B1 (ko) 2018-07-30 2018-07-30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6A KR102045457B1 (ko) 2018-07-30 2018-07-30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457B1 true KR102045457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06A KR102045457B1 (ko) 2018-07-30 2018-07-30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4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3426A1 (en) * 2009-12-07 2011-06-09 Gebr. Bode Gmbh & Co. Kg Sliding step with additional folding step
EP1923267B1 (de) * 2006-11-16 2012-06-06 Gebr. Bode GmbH & Co. KG Ein-/Ausstie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s öffentlichen Personenverkehrs mit einem in einem Rahmen angeordneten Schiebetritt
KR101384289B1 (ko) * 2012-05-23 2014-04-1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차량용 자동 발판 모듈
US9487148B2 (en) * 2013-02-22 2016-11-08 Rom Acquisition Corporation Cargo truck multi-stage extendable personnel platform with foldable guardrail
KR101749526B1 (ko) * 2016-11-22 2017-06-22 극동정공(주) 자기부상열차용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3267B1 (de) * 2006-11-16 2012-06-06 Gebr. Bode GmbH & Co. KG Ein-/Ausstie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s öffentlichen Personenverkehrs mit einem in einem Rahmen angeordneten Schiebetritt
US20110133426A1 (en) * 2009-12-07 2011-06-09 Gebr. Bode Gmbh & Co. Kg Sliding step with additional folding step
KR101384289B1 (ko) * 2012-05-23 2014-04-1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차량용 자동 발판 모듈
US9487148B2 (en) * 2013-02-22 2016-11-08 Rom Acquisition Corporation Cargo truck multi-stage extendable personnel platform with foldable guardrail
KR101749526B1 (ko) * 2016-11-22 2017-06-22 극동정공(주) 자기부상열차용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6908T3 (es) Conjunto de protección de los dedos de los pies para un sistema de ascensor
EP0776808B1 (en)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KR101582535B1 (ko)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EP1851084B1 (en) Car baby seat
DK3006267T3 (en) DEVICE TO GET ACCESS TO LIFT VEHICLES
US7793596B2 (en) Retractable step
WO2005058666A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CN105686341A (zh) 具有联锁组件的可折叠的桌子
EP3135263B1 (en) Bed with a stowable siderail
KR102045457B1 (ko) 레벨별 확장 사용과 폴딩 수납 타입의 발판 장치
US6874597B2 (en) Vehicle sleeper compartment bunk bed ladder
EP3760564A1 (en) Elevator car with working platform stabilisation
JP2008143295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US3291255A (en) Bus emergency steps
KR100837176B1 (ko) 철도차량용 비상 도어
KR100817906B1 (ko) 철도 차량을 위한 비상 탈출용 램프
US10814888B2 (en) Passenger cable transportation system
JP2019001458A (ja) 車両及び避難ユニット
JP6468251B2 (ja) 避難用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避難システム
KR101040601B1 (ko) 철도차량의 비상창문용 탈출장치
US1628505A (en) Extension step
KR102131636B1 (ko)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GB2140749A (en) Wheelchair elevator for passenger vehicles
CN109910932B (zh) 轨道车辆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KR100923005B1 (ko) 차량용 시트 풋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