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242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242B1
KR102045242B1 KR1020130071526A KR20130071526A KR102045242B1 KR 102045242 B1 KR102045242 B1 KR 102045242B1 KR 1020130071526 A KR1020130071526 A KR 1020130071526A KR 20130071526 A KR20130071526 A KR 20130071526A KR 102045242 B1 KR102045242 B1 KR 10204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light emitting
laye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083A (ko
Inventor
김민석
안현진
정고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242B1/ko
Priority to CN201410273198.0A priority patent/CN104241327B/zh
Priority to US14/308,303 priority patent/US9419060B2/en
Publication of KR2014014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 영역과 투명 영역을 포함하며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의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을 덮도록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제1 기판의 투명 영역의 격벽 상에 형성된 가변 차광층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가변 차광판을 셀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재료비 저감, 패널의 두께 감소, 무아레 현상 방지 및 원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투명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음극선과 표시장치(CRT)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과 낮은 구동 전압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세대 표시장치의 하나로 투명 표시장치의 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투명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일반적인 표시 기능과 함께 빛을 투과시켜 뒷 배경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투명 표시장치 중 투명 OLED는 블랙이 구현되지 않아 이를 개선하고자 가변 차광판을 투명 OLED의 배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가변 차광판은 투명 OLED의 부착에 따른 얼라인 문제, 무아레(Moire) 문제, 패널의 두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가변 차광판의 부착에 따른 얼라인 문제, 무아레 문제, 패널의 두께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 영역과 투명 영역을 포함하며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의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을 덮도록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제1 기판의 투명 영역의 격벽 상에 형성된 가변 차광층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가변 차광판을 셀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재료비 저감, 패널의 두께 감소, 무아레 현상 방지 및 원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가변 차광판을 발광층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발광층의 감소에 따른 투과율 증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수의 서브 픽셀(P)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서브 픽셀(P)은 발광 영역(S1)과 투명 영역(S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서브 픽셀(P)의 발광 영역(S1)에는 발광층(300)이 형성되며, 투명 영역에는 가변 차광층(600)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서로 대면 배치되는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과, 상기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300)과, 상기 발광층(300)을 덮도록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격벽(500)과, 상기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S)의 격벽(500) 상에 형성된 가변 차광층(60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한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사각 형상일 수 있거나, 구 형상일 수 있다. 제1 기판(100)은 발광 영역(S1)과, 투명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동일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리지드하거나, 플렉시블한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사각 형상이거나, 구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기판(200)은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기판(200)의 하부면에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00) 상에는 발광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300)은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300)은 박막 트랜지스터층(320)과, 유기 발광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320)은 주사 신호선(Scanning Signal Line, 미도시), 화상 신호선(Image Data Signal Line, 미도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등으로 구현되는 스위칭 소자, 각 화소마다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 신호선과 화상 신호선의 교차점 마다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배치하고, 이를 화소 전극과 연결할 수 있다. 화소 전극은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40)은 박막 트랜지스터층(3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유기 발광층(340)은 박막 트랜지스터층(320)과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340)은 주입층(미도시), 수송층(미도시), 발광층(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340) 상에는 봉지층(4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 및 투명 영역(S2)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400)은 유기 발광층(34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4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00) 상에 증착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400)의 상부에는 격벽(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500)은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 및 투명 영역(S2)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500)은 유기 발광층(3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상부면에는 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은 바닥부(500a)와 측부(5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부(500a)와 측부(500b)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바닥부(500a)와 측부(500b)는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홈(520)의 높이(h1)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는 가변 차광층(600)이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홈(52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전극(620)과, 제1 전극(620)과 대향 배치되는 제2 전극(640)과,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40)의 주변에 배치된 전기영동 입자(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투명한 ITO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전극(62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바닥부(50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바닥부(500a)를 따라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반구,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폭(W)은 4㎛ 내지 10㎛, 보다 상세하게는 7㎛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높이(h2)는 2000Å 내지 3000Å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전극(620)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측부(50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 상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측부(500b) 상에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ITO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전극(6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제1 전극(620)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 사이에는 전기영동 입자(6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수지계, 무기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노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모세관 주입 또는 진공 주입에 의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의 주변에 주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투과 모드일 경우, 제1 전극에 전계를 인가하게 되면, 전기영동 입자는 제1 전극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제1 기판의 하부에서 제공된 빛은 가변 차광층을 거쳐 제2 기판을 투과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차광 모드일 경우, 제2 전극(640)에 전계를 인가하게 되면, 전기영동 입자(660)는 제2 전극(640)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제1 기판(100)의 하부에서 제공된 빛은 가변 차광층(6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광층은 셀의 내측에서 차광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변 차광층은 격벽을 통해 셀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재료비 저감, 패널의 두께 감소, 무아레 현상 방지 및 원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가변 차광판을 발광층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발광층의 감소에 따른 투과율 증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서로 대면 배치되는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과, 상기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에 형성된 발광층(300)과, 상기 발광층(300)을 덮도록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봉지층(400), 상기 봉지층(400) 상에 형성된 격벽(500)과, 상기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의 격벽(500) 상에 형성된 가변 차광층(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변 차광층(600)을 제외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홈(52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전극(620)과, 제1 전극(620)과 대향 배치되는 제2 전극(640)과,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40)의 주변에 배치된 전기영동 입자(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투명한 ITO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전극(62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바닥부(50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격벽(500)의 바닥부(500a)를 따라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반구,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폭은 4㎛ 내지 10㎛, 보다 상세하게는 7㎛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높이는 2000Å 내지 3000Å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격벽(500)의 바닥부(500a)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전극(62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제1 전극(620a, 620b)의 거리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전극(620)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측부(50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 상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측부(500b) 상에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ITO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전극(6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620)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 사이에는 전기영동 입자(6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수지계, 무기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노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모세관 주입 또는 진공 주입에 의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의 주변에 주입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투과 모드일 경우, 다수개의 제1 전극(620a, 620b)에 전계를 인가하게 되면, 전기영동 입자(660)는 다수개의 제1 전극(620a, 620b)에 각각 부착된다. 이로 인해 제1 기판(100)의 하부에서 제공된 빛은 가변 차광층(600)을 거쳐 제2 기판(200)을 투과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서로 대면 배치되는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과, 상기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에 형성된 발광층(300)과, 상기 발광층(300)을 덮도록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봉지층(400)과, 상기 봉지층(400) 상에 형성된 격벽(500)과, 상기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의 격벽(500) 상에 형성된 가변 차광층(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변 차광층(600)을 제외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홈(52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차광층(600)은 제1 전극(620)과, 제1 전극(620)과 대향 배치되는 제2 전극(640)과,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40)의 주변에 배치된 전기영동 입자(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투명한 ITO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전극(62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바닥부(50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격벽(500)의 바닥부(500a)를 따라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단면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반구,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폭은 4㎛ 내지 10㎛, 보다 상세하게는 7㎛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의 높이는 2000Å 내지 3000Å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620)은 격벽(500)의 측부(50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620c, 620d)은 서로 대향하는 격벽(500)의 측부(50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전극(620c, 620d)은 격벽(500)의 양 측부(500b)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측부(50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발광 영역(S1)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 상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기판(100)의 투명 영역(S2)에 형성된 격벽(500)의 측부(500b) 상에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ITO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640)은 제1 전극(6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 사이에는 전기영동 입자(6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수지계, 무기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노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 입자(660)는 모세관 주입 또는 진공 주입에 의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40)의 주변에 주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투과 모드일 경우, 다수개의 제1 전극(620c, 620d)에 전계를 인가하게 되면, 전기영동 입자(660)는 격벽(500)의 측부(500b)에 배치된 제1 전극(620c, 620d)에 각각 부착된다. 이로 인해 제1 기판(100)의 하부에서 제공된 빛은 가변 차광층(600)을 거쳐 제2 기판(200)을 투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 기판 200: 제2 기판
300: 발광층 320: 박막 트랜지스터층
340: 유기 발광층 400: 봉지층
500: 격벽 600: 가변 차광층

Claims (14)

  1. 발광 영역과 투명 영역을 포함하며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 영역의 발광층 및 상기 투명 영역을 덮도록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격벽; 및
    상기 제1 기판의 투명 영역의 격벽 상의 홈에 형성된 가변 차광층;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영역에 형성된 격벽의 상부면에는 바닥부와 측부를 포함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가변 차광층이 형성된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높이는 10㎛ 내지 50㎛ 인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층은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대향 배치되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주변에 배치된 전기영동 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격벽의 바닥부에 다수개가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제1 전극 사이의 거리는 40㎛ 내지 50㎛인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폭은 4㎛ 내지 10㎛이며, 제1 전극의 높이는 2000Å 내지 3000Å 인 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격벽의 측부 상에 형성된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발광 영역의 격벽 상에 연장 형성된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기판의 발광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형성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는 봉지층이 형성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투명 영역의 제1 기판 상에 연장 형성되는 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컬러 필터층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인 표시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차광층은 차광 모드일 경우 제2 전극에 전계를 인가하고, 투명 모드일 경우 제1 전극에 전계를 인가하는 표시장치.
KR1020130071526A 2013-06-21 2013-06-21 표시장치 KR10204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526A KR102045242B1 (ko) 2013-06-21 2013-06-21 표시장치
CN201410273198.0A CN104241327B (zh) 2013-06-21 2014-06-18 显示装置
US14/308,303 US9419060B2 (en) 2013-06-21 2014-06-1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526A KR102045242B1 (ko) 2013-06-21 2013-06-21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083A KR20140148083A (ko) 2014-12-31
KR102045242B1 true KR102045242B1 (ko) 2019-11-15

Family

ID=5211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526A KR102045242B1 (ko) 2013-06-21 2013-06-2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9060B2 (ko)
KR (1) KR102045242B1 (ko)
CN (1) CN104241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8384B (zh) * 2015-05-22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107945683B (zh) * 2018-01-08 2020-11-03 陆少韬 应用到智能设备上的前端组件
CN108983528B (zh) 2018-07-16 2021-05-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单元及其制造方法、显示控制方法、显示面板
CN110133938A (zh) * 2019-05-30 2019-08-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10571257B (zh) 2019-09-11 2023-08-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10047499A (ko) * 2019-10-22 2021-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차광 블랙 매트릭스층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10070091A (ko) * 2019-12-04 2021-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928075B (zh) * 2019-12-17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制作方法、以及显示和摄像方法
CN115728930B (zh) * 2021-08-25 2023-11-10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屏及终端设备
CN115332465B (zh) 2022-10-11 2023-01-3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结构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949B1 (ko) * 2005-09-28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7127A (en) * 1994-06-10 1998-05-26 Nippondenso Co., Ltd. Transparent thin-film EL display apparatus with ambient light adaptation means
US6641933B1 (en) * 1999-09-24 2003-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 display device
KR100719706B1 (ko) * 2005-09-13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유기 발광표시장치
KR101236237B1 (ko) * 2005-12-14 2013-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20108565A (ko) * 2011-03-24 2012-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판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27085A (ko) * 2011-05-13 2012-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243925B1 (ko) * 2012-04-06 2013-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83691B1 (ko) * 2012-08-17 2019-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949B1 (ko) * 2005-09-28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4716A1 (en) 2014-12-25
US9419060B2 (en) 2016-08-16
KR20140148083A (ko) 2014-12-31
CN104241327B (zh) 2017-09-05
CN104241327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242B1 (ko) 표시장치
US1087184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fabr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76098B1 (ko) 표시장치
TWI555181B (zh) 透明顯示面板
CN108766990A (zh) 显示面板
US9507191B2 (en) Window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958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53664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50091833A1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joint touch control display
US985764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109734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156677A (zh) 显示模组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20150355512A1 (en) Display panel
CN109752892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885259A (zh) 显示面板
CN104280925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3105707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4360554B (zh) 液晶显示面板及其阵列基板
KR102470374B1 (ko) 투과도 가변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표시장치
KR20210153963A (ko) 광 셔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투명 표시 장치
KR102165990B1 (ko)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2185256B1 (ko) 표시장치
JP3192855U (ja) 表示パネル
US8970817B2 (en) Display panel
US2024005364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