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956B1 -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 Google Patents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956B1
KR102044956B1 KR1020130050145A KR20130050145A KR102044956B1 KR 102044956 B1 KR102044956 B1 KR 102044956B1 KR 1020130050145 A KR1020130050145 A KR 1020130050145A KR 20130050145 A KR20130050145 A KR 20130050145A KR 102044956 B1 KR102044956 B1 KR 10204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installation
cowl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1157A (en
Inventor
황호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56B1/en
Publication of KR2014013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된 카울 크로스 바와,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외주면 중 후방에 결합되어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매개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전방으로 함몰된 깊이 및 각도에 따라 상이한 강성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강성 조절홈을 포함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충격시험 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the cowl cross bar disposed from the front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nd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to install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It includes an intermediate moun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n stiffness adjustment groove that can be adjusted to have different stiffness according to the depth and angle recessed forward provides easy manufacturing and satisfies the impact test regulations .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운팅 브라켓에 강성 조절홈을 구비함으로써 마운팅 브라켓의 제작 공정을 축소하고, 충격시험 시 흡수되는 충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rigid adjustment groove in the mounting bracke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o adjust the impact force absorbed during the impact test.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일반적으로,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 ; PAB) 모듈(이하, 'PAB 모듈'이라 칭한다)은 조수석의 전방 대쉬 보드에 은닉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조수석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전개되는 구성이다.In general, a Passenger Air-Bag (PAB)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B Module') is installed to be concealed in the front dashboard of the passenger seat, and deployed instantaneously to protect the passenger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It is a configur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 배치되고, 차체의 좌우로 길게 배치된 카울 크로스 바(10)와, 조수석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카울 크로스 바(10)의 외주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마운팅 브라켓(20)을 포함한다.A cowl crossbar assembly 1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posed in front of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not shown, as shown in FIG. And a mounting bracket 20 coupled to protrude rearwar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wl cross bar 10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assenger seat.

마운팅 브라켓(20)은, 카울 크로스 바(10)에 좌우 양단(25a,25b)이 용접 결합되고, 대략 'ㄷ'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방면(21)에는 PAB 모듈(30)의 배면이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되는 체결홀(23)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PAB 모듈(30)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지지단(27)이 형성된다.Mounting bracket 20, the left and right ends (25a, 25b) are welded to the cowl cross bar 10, is formed to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approximately '' 'shape, the rear surface 21 is a PAB module ( The back of the 3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23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the support end 27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AB module 30 is supported at the lower en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1)는, 지지단(27)을 마운팅 브라켓(20) 전체를 구성하는 강성 패널(21,25a,25b)의 하단부 일부를 후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바 필수적으로 라운드진 코너 부분이 형성되며, PAB 모듈(30)의 배면을 마운팅 브라켓(20)의 후방면(21)에 밀착 체결할 경우 PAB 모듈(30)의 하단이 라운드진 코너 부분 때문에 안정되게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wl crossbar assembly 1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rear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rigid panels 21, 25a, and 25b constituting the entire support bracket 27. Rounded corners are formed essentially by bending to form a bar.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PAB module 30 is tightly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21 of the mounting bracket 20, the bottom of the PAB module 30 is round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stably supported because of the corner por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코너 부분을 후방으로 포밍(29)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평탄한 지지단(27)의 상면에 PAB 모듈(30)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상 변경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by forming the rounded corner portion 29 backward, the lower end of the PAB module 3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tively flat support end 27. The shape was changed.

그러나, 형상 변경된 지지단(27) 또한 문제라 할 것은, 포밍된 부분(29)에 의하여 마운팅 브라켓(20)의 강성이 높아짐에 따라 충격시험 시 "Head Impact 법규 시험"을 만족하지 못할 만큼 충격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hape change of the support end 27 is also a problem, as the rigidity of the mounting bracket 20 by the formed portion 29, the impact amount does not satisfy the "Head Impact law test" during the impact test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또한, 포밍된 부분(29)의 집중 응력에 따라 PAB 모듈(30)의 설치시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 작업자가 필요이상의 힘으로 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PAB module 30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ed stress of the formed portion 29,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must fasten with more than necessary force.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운팅 브라켓에 강성 조절홈을 구비함으로써 마운팅 브라켓의 제작 공정을 축소하고, 충격시험 시 흡수되는 충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by providing a rigid adjustment groove in the mounting bracke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unting bracket, for the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that can adjust the impact force absorbed during the impact tes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wl crossbar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체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된 카울 크로스 바와,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외주면 중 후방에 결합되어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매개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전방으로 함몰된 깊이 및 각도에 따라 상이한 강성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강성 조절홈을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wl cross bar dispos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body, and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wl crossbar. It includes a mounting bracket for medi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dule,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rigid adjustment groove that can be adjusted to have different stiffness according to the depth and angle recessed forward.

여기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배면이 체결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직교되게 절곡된 연결면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 용접시키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용접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bracket, the coupling surface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the connecting surface bent orthogonally forwar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cowl cross bar to weld the mounting bracket to the cowl cross bar It may include a welding surface bent in a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oss bar.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결합면의 양단 하부에서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한 쌍의 지지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upport ends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surface to the rear.

또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결합면 및 상기 연결면이 접하는 곳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gid adjustment groove may be formed in a place where the pair of support ends and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지지단의 상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gid adjustment groove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recessed forward to be in line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end.

또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지지단의 상단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gid adjustment groove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end.

또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지지단의 상단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전방 하측으로 소정길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gid adjustment groove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recessed to the front lower sid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end.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마운팅 브라켓를 가공 전 패널의 단순한 천공 및 절곡 공정만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상의 이점을 가진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manufacturing advantages since the mounting bracket can be manufactured only by a simple drilling and bending process of the panel before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강성 조절홈을 이용하여 충격시험 시 조건에 맞도록 설계할 수 있는 설계상의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sign advantage that can be designed to meet the conditions during the impact test using a rigid adjustment groove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마운팅 브라켓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강성 조절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dure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igidity adjusting groove formed in the mounting bracket of FIG. 4.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마운팅 브라켓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강성 조절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sequence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3, Figure 5 is formed on the mounting bracket of Figure 4 Top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igid adjustment groove.

이하의 설명 내용 중 방향을 의미하는 전방, 후방은 차체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 and the rear meaning the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meaning the front and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체에 구비된 각종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마운팅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된 카울 크로스 바(110)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 cowl equipped with a mounting fastening portion (not shown) for installing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And a cross bar 110.

카울 크로스 바(110)는, 차체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 카울 크로스 바(110)에 구비된 마운팅 체결부 중 일부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Passenger Air-Bag:PAB, 이하 'PAB 모듈'이라 한다. 도 2의 도면부호 30 참조)의 설치를 위한 마운팅 브라켓(120)일 수 있다.The cowl cross bar 110 is disposed long left and right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body. Some of the mounting fastening parts provided in the cowl cross bar 110 are referred to as mounting brackets 120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airbag module (Passenger Air-Bag: PA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B module'). May be).

마운팅 브라켓(120)은, 미도시의 PAB 모듈의 배면이 견고하게 나사 고정됨과 아울러, PAB 모듈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설계된다.The mounting bracket 120 is designed to securely screw the back surface of the PAB module (not shown) an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PAB module.

보다 상세하게는, 마운팅 브라켓(120)은 카울 크로스 바(110)의 외주면 중 후방에 용접 결합되어, PAB 모듈의 설치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bracket 120 is welded to the rea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wl cross bar 110, and serves to mediate the installation of the PAB module.

마운팅 브라켓(120)은, 전방으로 함몰된 깊이 및 각도에 따라 상이한 강성을 갖도록 고절할 수 있는 강성 조절홈(129a,129b)을 포함한다.The mounting bracket 120 includes stiffness adjusting grooves 129a and 129b that can be stiffened to have different stiffness depending on the depth and angle in which the mounting bracket 120 is recessed forward.

강성 조절홈(129a,129b)은, 후술하겠지만, 차량의 주행 중 충돌사고 발생시 PAB 모듈이 작동하여 조수석을 향해 미도시의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후 조수석 탑승객의 머리가 에어백 쿠션과 부딪혀 어느 정도 보호가 되더라도, 전방의 충격 물체에 의하여 카울 크로스 바(110)가 후방으로 밀리거나, 조수석 탑승객이 전달하는 충격에 의하여 조수석 탑승객의 머리와 마운팅 브라켓(120)이 부딪힐 때 발생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구성이다.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129b),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vent of a crash during the driving of the PAB module is activated by the airbag cushion of the passenger seat unfolded toward the passenger seat after the passenger's head hit the airbag cushion to some degree of protection Even if the cowl cross bar 110 is pushed backward by the front impact object or the front passenger's head and the mounting bracket 120 due to the impact transmitted by the front passenger to reduce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

마운팅 브라켓(120)은,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PAB 모듈의 배면이 체결 결합되는 결합면(121)과, 결합면(121)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직교되게 절곡된 연결면(124a,124b)과, 마운팅 브라켓(120)을 카울 크로스 바(110)에 용접시키도록 카울 크로스 바(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용접면(125a,125b)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ounting bracket 120 includes a coupling surface 121 to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PAB module is fastened and coupled, and a connection surface bent orthogonally forwar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surface 121 ( 124a and 124b and welding surfaces 125a and 125b that are bent into a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wl cross bar 110 to weld the mounting bracket 120 to the cowl cross bar 110.

결합면(121)과 연결면(124a,124b)은 대략 'ㄷ'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용접면(125a,125b)은 카울 크로스 바(110)의 외주면에 면매칭되도록 형성된다.Coupling surface 121 and the connecting surface (124a, 124b) is formed to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C' shape, the welding surface (125a, 125b) is formed to be face-match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wl cross bar 110. .

마운팅 브라켓(120)은, 일체의 가공 전 패널을 천공 및 절곡하는 공정으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120 may be simply manufactured by a process of drilling and bending the panel before any processing.

즉,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가공 전 패널의 중간 상측에 PAB 모듈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을 위한 체결홀(123)이 천공됨과 아울러, 중간 하측에 강성 조절홈(129a,129b) 및 후술하는 지지단(127a,127b)의 형성을 위한 천공 작업이 수행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fastening hole 123 for fastening using the fastening member of the PAB module in the middle upper side of the panel before processing, as well as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129b) in the middle and below A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form the supporting ends 127a and 127b.

그리고, 도 4의 지시부호 'Ⅰ-Ⅰ'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대략 90°정도로 양단부를 절곡시키고, 도 4의 지시부호 Ⅱ-Ⅱ'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대략 90°정도로 양단부를 절곡시킨다. 그러면, 전체적으로 결합면(121) 및 연결면(124a,124b)이 형성하는 수평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n, both ends are bent forward by approximately 90 ° based on reference numeral 'I-I' of FIG. 4, and both ends are bent about 90 ° backwards by reference numeral II-II 'of FIG. 4. Then, as a whole, a horizontal cross section formed by the coupling surface 121 and the connection surfaces 124a and 124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마운팅 브라켓(120)은, 결합면(121)의 양단 하부에서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한 쌍의 지지단(127a,127b)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12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upport ends 127a and 127b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surface 121 to the rear.

한 쌍의 지지단(127a,127b)은, PAB 모듈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한 쌍의 지지단(127a,127b)이 연결면(124a,124b)의 전단 하부로부터 연장된 일부로써 도 4의 지시부호 'Ⅰ-Ⅰ'을 기준으로 가공 전 패널의 양단부를 절곡시킬 때 결합면(12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와는 달리 포밍 공정을 삭제함은 물론 종래 포밍 공정 때문에 문제되었던 집중 응력의 발생 문제도 해결된다.The pair of support ends 127a and 127b serves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PAB module. Unlike the related art, a pair of support ends 127a and 127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of 124a and 124b is a part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coupling surface 121 when bending both ends of the panel before processing based on the reference numeral 'I-I' of FIG. 4. Therefore, unlike the case of the prior art, not only the forming process is deleted but also the problem of generation of concentrated stress, which is a problem due to the conventional forming process, is solved.

한편, 강성 조절홈(129a,129b)은, 한 쌍의 지지단(127a,127b)과 결합면(121) 및 연결면(124a,124b)이 접하는 곳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강성 조절홈(129a,129b)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조수석 탑승객의 머리와 부딪힐 때 마운팅 브라켓(120)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하여 충격량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and 129b may be formed where the pair of support ends 127a and 127b and the coupling surface 121 and the connection surface 124a and 124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and 129b are formed in the groov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rigidity adjusting grooves 129a and 129b deform the shape of the mounting bracket 120 when it hits the passenger's head, thereby absorbing the impact amount.

강성 조절홈(129a,129b)은 도 5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단(127a,127b)의 상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H)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길이(H)는 충격시험 시 최종적으로 가장 적합한 길이로 설정되어지는 길이이다. As shown in (a) of FIG. 5,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and 129b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H recessed to be aligned with the top surfaces of the support ends 127a and 127b. Here, the predetermined length (H) is the length that is finally set to the most suitable length during the impact test.

그러나, 반드시 강성 조절홈(129a,129b)이 지지단(127a,127b)의 상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전방으로 함몰 형성될 필요는 없다.However,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and 129b are not necessarily recessed forward so that they are aligned with the top surfaces of the support ends 127a and 127b.

강성 조절홈(129a,129b)은 도 5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단(127a,127b)의 상단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b) of FIG. 5,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and 129b may be recessed forwar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support ends 127a and 127b, and further, to the front lower side. It is also possible to be inclined.

강성 조절홈(129a,129b)이 경사지게 형성될수록 지지단(127a,127b)의 형상 변경이 용이함은 당연하다.As the rigid adjustment grooves 129a and 129b are formed to be inclined,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 ends 127a and 127b is easily changed.

이와 같은, 강성 조절홈(129a,129b)의 형상 변경이 용이한 기술적 특징을 염두해두고, 충격시험 시 가장 적절한 강성 조절홈(129a,129b)의 소정길이(H) 및 경사 각도를 실험적으로 찾아서 제품에 적용시킨다.
With this technical feature in mind, it is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stiffness adjustment grooves (129a, 129b), and experimentally find the predetermined length (H)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ost suitable stiffness adjustment grooves (129a, 129b) during the impact test. Apply to product.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Or mo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omething to do.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10: 카울 크로스 바 120: 마운팅 브라켓
121: 결합면 123: 체결홀
124a,124b: 연결면 125a,125b: 용접면
127a,127b: 지지단
110: cowl cross bar 120: mounting bracket
121: engaging surface 123: fastening hole
124a and 124b: connecting surface 125a and 125b: welding surface
127a, 127b: support

Claims (7)

차체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된 카울 크로스 바와,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외주면 중 후방에 결합되어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매개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전방으로 함몰된 깊이 및 각도에 따라 상이한 강성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강성 조절홈;
상기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배면이 체결 결합되도록 체결홀을 갖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직교되게 절곡된 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Cowl cross bar arranged long left and right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body,
Includes a mounting bracket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wl cross bar to mediate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The mounting bracket,
A stiffness adjustment groove which can be adjusted to have different stiffness according to the depth and angle recessed forward;
A coupling surface having a fastening hole such that a rear surface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is fastened and coupled; And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comprising a; connecting surface bent forward orthogonally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 용접시키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용접면을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bracket,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comprising a welding surface bent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wl cross bar to weld the mounting bracket to the cowl cross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결합면의 양단 하부에서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한 쌍의 지지단을 더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bracket, the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upport ends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engaging surface to the rea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한 쌍의 지지단과 상기 결합면 및 상기 연결면이 접하는 곳에 각각 형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igid adjustment groove is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respectively formed where the pair of support end and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지지단의 상단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함몰 형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igid adjustment groove is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to be in line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en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지지단의 상단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함몰 형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igid adjustment groove is a cowl crossbar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en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성 조절홈은, 상기 지지단의 상단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전방 하측으로 소정길이 함몰 형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를 위한 카울 크로스바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igid adjustment groove, the cowl crossbar assembl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lower sid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end.
KR1020130050145A 2013-05-03 2013-05-03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KR102044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45A KR102044956B1 (en) 2013-05-03 2013-05-03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45A KR102044956B1 (en) 2013-05-03 2013-05-03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157A KR20140131157A (en) 2014-11-12
KR102044956B1 true KR102044956B1 (en) 2019-11-14

Family

ID=5245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45A KR102044956B1 (en) 2013-05-03 2013-05-03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95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4182A (en) * 2006-07-21 2008-02-07 Calsonic Kansei Corp Mounting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modul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4182A (en) * 2006-07-21 2008-02-07 Calsonic Kansei Corp Mounting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modul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157A (en)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189B2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JP5879938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ide panels at the rear of the vehicle
JP5377559B2 (en) Vehicle front body
JP4639248B2 (en) Body front structure
KR101137256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JP2008056191A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US7832764B2 (en) Knee protector structure for vehicle
KR101361372B1 (en) Device for assembling fender panel of vehicle
EP2489581B1 (en) Screen attachment structur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CN102476656B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body
JP6880390B2 (en) Vehicle seat
CN109664948B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102044956B1 (en) Cowl cross bar assembly for mounting passenger air-bag module
US8118327B2 (en) Structure of steering support portion
JP2010120560A (en)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1855750B1 (en)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body
JP4744923B2 (en) Vehicle knee protector structure
KR101988615B1 (en) Vehicle bumper coupling structure
JP6686688B2 (en) Fender bracket structure
JP6706433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6514937B2 (en) Front body structure
JP6459031B2 (en) Underrun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and underrun protector bracket
JP2019093823A (en) Cowl top garnish support structure
JP6659967B2 (en) Vehicle seat
KR101983535B1 (en) Fixing apparatus for automotive head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