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780B1 - 테피드 마사지 패드 - Google Patents

테피드 마사지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780B1
KR102044780B1 KR1020190077369A KR20190077369A KR102044780B1 KR 102044780 B1 KR102044780 B1 KR 102044780B1 KR 1020190077369 A KR1020190077369 A KR 1020190077369A KR 20190077369 A KR20190077369 A KR 20190077369A KR 102044780 B1 KR102044780 B1 KR 10204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heat transfer
transfer material
thermome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2019007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7Forehead, e.g.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61F2007/009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with a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3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eing filled with a heat c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테피드 마사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병 기타 원인으로 발열하는 환자에게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의류 또는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온수 마사지를 하는 동안 환자가 외부 온도로 인하여 추위를 느끼거나 불편해 하지 않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피드 마사지 패드{Tepid Massage Pa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테피드 마사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병 기타 원인으로 발열하는 환자에게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의류 또는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연구에 따르면 243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15명(88.5%)이 1년간 아동의 발열로 인해 병원을 방문했으며, 지난 1년간 발열로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도 120명(53.5%)으로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발열로 인한 24시간 이내 재진료는 87명(35.8%)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발열 아동에 대한 부모의 불안이 높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같은 연구에서 아동이 열이 날 때 부모가 가장 불안해하는 것은 열로 인한 경련으로 가장 높았다. 즉, 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열이 나면 제일 걱정을 하는 것이 열성경련이며 이를 예방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발열의 관리 조절이다.
또한, 열성환아에 대한 가정에서의 대처방법으로 해열제의 투여가 60.1%이고, 옷을 얇게 입히고 수분을 섭취시키는 것이 16.9%이며, 미온수 마사지는 11.5%로 나타났다.
발열에 대한 물리적 해결방법으로 83.5%가 테피드 마사지 즉,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는 의견이며, 미온수 마사지를 안 하는 부모는 16.5%였으며, 마사지를 하는 부모 중 88.7%가 미지근한 물을 이용한다는 의견이다.
대부분의 병원에서 열을 떨어뜨리는 방법으로 해열제와 미온수 마사지를 사용하고 있다. 2017년 심평원자료에 따르면 열성경련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총 3,736명이었으며, 열이 나서 내원한 환자에게 미온수 마사지치료는 총 82,443명에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통계는 많은 의료기관에서 미온수 마사지를 발열환자에게 사용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자료이며 앞서 연구된 논문에 따르면 많은 부모들도 물 마사지를 발열 환아에게 시행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실제로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온수 마사지는 미온수 스폰지 목욕과 경구용 해열제 병용요법이 가장 열 감소 효과가 큰 경향이 있으며 이 방법을 적용할 때에는 약물의 잠복기를 고려하여 경구용 해열제 복용 후 약 20분에 미온수 스폰지 목욕요법을 시작하여 60분 동안 시행하는 것이 열 감소 효과가 가장 높다고 한다.
하지만, 미온수 마사지를 수행하는 것은 환자의 입장에서나 보호자의 입장에서 모두 매우 힘들다. 미온수 마사지를 수행할 때 환자인 아동은 추위를 느끼는 등 불편함이 초래되어 보채게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보호자도 마사지를 수행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할 경우 아동의 상태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춥다고 한다'가 90명 (45.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보채며 운다’ 64명 (32.0%), ‘아파한다’ 8명 (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보면 ‘아동이 춥다고 한다’가 31명(39.2%)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정보가 없어서 몰랐다’가 19명 (24.1%), ‘아동이 심하게 보채는 것 같다’ 13명 (1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온수 마사지가 발열을 조절하는데 분명 효과가 있음에도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수행이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온수 마사지 패드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하는 환자의 체온을 감소시키는 패드로서 환자가 추위를 느끼지 않고 보호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편안한 상태에서 환자의 체온을 낮출 수 있도록 유도하는 냉각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발열 증상의 환자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상기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에 있어서,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상기 피부의 수분을 흡수하는 베이스흡수층;
외부로 노출되고, 열전달물질의 증발을 차단하며, 상기 열전달물질을 공급받는 공급통로가 형성되는 커버방수층; 및
상기 커버방수층과 상기 베이스흡수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공급통로를 통하여 공급받은 상기 열전달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공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물질수용층;을 포함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환자의 상기 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흡수층과 상기 커버방수층과 상기 열전달물질수용층을 한번에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흡수층과 상기 커버방수층과 상기 열전달물질수용층을 고정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통로와 상기 관통공은 복수개이되, 상기 복수개의 공급통로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은 서로 섞여서 분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제1 온도계와 상기 열전달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머리착용부와 상기 환자의 몸통에 착용하는 몸통착용부를 가지되, 상기 제1 온도계는 상기 환자의 두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착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온도계는 상기 몸통착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온도계는 상기 환자의 두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흡수층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온도계는 상기 커버방수층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머리착용부에는 제1 온도계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절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영역에 제1 온도계가 부착되며, 제1 온도계의 일측면은 환자의 두부와 직접 접촉하고 반대면은 투명 커버창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온도계의 일측면은 환자의 두부의 이마 부위에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머리착용부와 상기 몸통착용부는 각각 2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환자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상기 2 피스로 구성된 머리착용부는 상호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2 피스로 구성된 몸통착용부도 마찬가지로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머리착용부는 상기 환자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몸통착용부는 각각 2 피스로 구성되며, 상기 2 피스로 구성된 몸통착용부는 상호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온도계와 상기 제2 온도계는 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변색 인디케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달물질은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온수 마사지를 하는 동안 환자가 외부 온도로 인하여 추위를 느끼거나 불편해 하지 않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미온수 마사지를 하는 동안 체온 감소에 사용되는 물로 인하여 주변이 젖지 않아서 사용이 편리한 테피드 마사지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보호자가 유아 등 어린 환자의 발열을 낮추기 위하여 테피드 마사지를 수행하는 것이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피드 마사지 패드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몸통착용부의 앞판의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 도 2(a)는 몸통착용부의 앞판의 겉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몸통착용부의 앞판의 속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몸통착용부의 뒷판의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 도 3(a)는 몸통착용부의 뒷판의 겉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몸통착용부의 뒷판의 속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머리착용부의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 도 4(a)는 머리착용부의 겉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머리착용부의 속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몸통착용부의 앞판의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 도 2(a)는 몸통착용부의 앞판의 겉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몸통착용부의 앞판의 속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몸통착용부의 뒷판의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 도 3(a)는 몸통착용부의 뒷판의 겉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몸통착용부의 뒷판의 속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의 머리착용부의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 도 4(a)는 머리착용부의 겉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머리착용부의 속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는 발열 증상의 환자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상기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에 있어서,
환자의 피부(200)에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상기 피부(200)의 수분(210)을 흡수하는 베이스흡수층(130);
외부로 노출되고, 열전달물질의 증발을 차단하며, 상기 열전달물질을 공급받는 공급통로(140)가 형성되는 커버방수층(110); 및
상기 커버방수층(110)과 상기 베이스흡수층(13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공급통로(140)를 통하여 공급받은 상기 열전달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공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물질수용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는 일반적으로 환아에 적용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감기 질병 등의 원인으로 발열하는 모든 환자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에서 열전달물질은 낮은 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천천히 주변의 온도와 같아지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물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 휘발성이 강한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이 차례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흡수층(130)은 환자의 피부(200)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환자가 얇은 옷 등을 입고 있는 경우 이 얇은 옷 위에도 착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반드시 피부(200)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이 차례로 적층되어 기본적으로 각각 별개의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3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패드의 테두리는 열융착, 접착, 스티치, 고주파 퀼팅 등의 방식으로 마감되어 밀폐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베이스흡수층(130)과 커버방수층(110)이 그 내부에 열전달수용층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흡수층(130)에서 환자의 피부(200)를 향하는 일측면은 친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땀이나 수분(210) 등을 쉽게 통과 또는 흡수할 수 있고, 환자의 피부(200)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이스흡수층(130)의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열전달수용층이 수용하고 있는 열전달물질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이스흡수층(130)은 물이 쉽게 통과하는 소재만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피부(200)에 있는 수분(210) 등을 흡수하여 열전달물질수용층(120)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210)의 흡수력은 열전달물질수용층(120)이 베이스흡수층(130)보다 월등히 큰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베이스흡수층(130)은 환자의 피부(200)에 있는 수분(210)을 흡수하여 열전달물질수용층(120)으로 이동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흡수층(130)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부직포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스펀 본드(Spun Bond) 방식으로 형성되어 열전달물질수용층(120) 보다 조밀한 조직을 가지고, 상기 열전달물질수용층(120)이 열전달물질을 흡수하여 수용하고 있더라도 그 조직이 풀어지지 않도록 상기 열전달물질수용층(12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열전달물질흡수층은 열전달물질을 공급받아 이를 수용 보관하는 기능을 한다. 열전달물질흡수층은 다수의 공극을 가지는 조직을 형성하기 위해서 부직포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멜트 블로운(Melt Blown) 방식으로 벌키하게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에틸렌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방사성이 양호해서 가는 섬유를 얻기가 쉽고, 강도, 유연성, 균일성, 경량성 등 종합적인 성능이 우수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열전달물질흡수층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웹(Web)을 만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방수층(1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레이어로서 실시예에 따라서 소수성 소재로서 공기만 통과할 수 있고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수분을 통과시키는 정도를 비교하면 베이스흡수층(130)이 수분의 통과력이 가장 크고, 커버방수층(110)이 통과력이 가장 작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방수층(110)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은 열전달물질을 공급받는 공급통로(140)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커버방수층(110)의 안쪽에 배치한 열전달물질수용층(120)은 커버방수층(110)에 형성된 공급통로(140)를 통하여 열전달물질을 공급받아서 저장하게 된다.
공급통로(140)의 테두리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테두리보강부(160)가 부착되어 공급통로(140)가 벌어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는 환자의 피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을 한번에 관통하며,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을 한번에 고정하는 관통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50)을 통하여 환자의 피부(200)로부터 수분(210)이 직접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체온 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관통공(150)은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을 차례로 적층한 상태에서 한번에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컨대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관통공(150) 주변을 융착시켜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이 따로 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관통공(150)은 본 발명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에 복수개가 균일 또는 비균일하게 분포하는 형식으로 형성되므로 베이스흡수층(130)과 열전달물질수용층(120)과 커버방수층(1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급통로(140)와 상기 관통공(150)은 복수개이되, 상기 복수개의 공급통로(140)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150)은 서로 섞여서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호자가 환자에게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를 착용시키고 예컨대 주사 등 공급장치로 열전달물질을 주입할 때 여러 곳에 고르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피부(200)의 여러 곳에서 균일하게 체온 저감 효과가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제1 온도계(300)와 열전달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온도계(300)와 제2 온도계(310)는 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변색 인디케이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는 환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머리착용부와 환자의 몸통에 착용하는 몸통착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온도계(300)는 환자의 두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머리착용부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온도계(310)는 몸통착용부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머리착용부는 머리띠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몸통착용부는 조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온도계(300)는 환자의 두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베이스흡수층(130)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온도계(310)는 상기 커버방수층(110)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머리착용부에는 제1 온도계(300)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절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영역에 제1 온도계(300)가 부착되며, 제1 온도계(300)의 일측면은 환자의 두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반대면은 투명 커버창으로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간접적으로 접촉한다는 것은 환자가 맨 피부(200)가 아니고 얇은 옷이나 모자 등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그 위에 머리착용부를 착용하게 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커버창으로 둘러싸이는 구조는 보호자가 바로 제1 온도계(30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온도계(300)의 일측면은 환자의 두부의 이마 부위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이미 부위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몸통착용부는 각각 2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환자의 두부 또는 몸통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스트레치 영역(180)과 벨크로 영역(170)을 포함하여 구성된 머리착용부는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2 피스로 구성된 몸통착용부도 스트레치 영역(180)과 벨크로 영역(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호자가 손쉽게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를 환자에게 착용시킬 수 있게 하며, 다양한 사이즈의 환자에 대응하여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를 타이트하게 밀착 착용시킬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패드의 일측부는 스트래치 영역(180)으로 구성하면 더욱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벨크로 방식은 어께의 길이와 가슴의 폭 등을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서 벨크로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성장이 빠른 아동 환자에게 패드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보다 타이트하게 패드를 착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머리착용부는 머리띠의 형태로서 1 피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단을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2 피스로 구성된 머리착용부는 앞판과 뒷판의 2 피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통착용부도 마찬가지로 앞판과 뒷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환자가 누워 있을때 보호자가 뒷판을 먼저 깔고 앞판을 환자의 전면에 덮어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을 편리하게 한다.
한편, 몸통착용부의 뒷판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공급통로(140)와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어차피 누어 있게 되면 바닥 쪽으로는 열 발산이 더디게 되므로 몸통착용부의 앞판에만 공급통로(140)와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도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온도계(300)와 제2 온도계(310)는 시트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변색 인디케이터를 가질 수 있다. 변색 인디케이터를 채용함으로써 제2 온도계(310)는 주입되는 열전달물질의 온도와 주입된 열전달물질의 온도 변화를 알려 주어, 예컨대 약 28도로 패드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시한다.
또한, 제1 온도계(300)는 예컨대 37.5도를 기준으로 그보다 높은 경우와 그보다 낮은 경우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보호자에게 환자의 체온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의 작동방식 및 사용방식을 설명한다.
환자의 보호자는 우선 머리착용부와 몸통착용부의 뒷면을 환자가 누워있는 바닦에 깔고 환자를 눕게 한 뒤에 환자의 위로 머리착용부와 몸통착용부의 앞판을 덮어 벨크로로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 그리고 공급통로(140)를 통하여 열전달물질을 주입한다. 이 때 주사기 등 열전달물질 공급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공급통로(140)를 통하여 공급된 열전달물질은 열전달물질수용층(120)에 흡수되어 머물면서 환자로부터 열을 빼앗어 서서히 환자의 체온을 내린다. 이 때 환자는 열전달물질이 주입되지 않은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를 먼저 입게 되므로 차가운 느낌을 느끼지 않아서 불편함이 없다. 테피드 마사지 패드(100)를 착용한 뒤에 서서히 열전달물질을 주입하므로 환자는 갑작스럽게 차가운 느낌을 갖지 않으므로 거부감이 없고, 서서히 체온을 내리게 되므로 불편감도 없게 된다.
열전달물질의 온도는 너무 높아서 체온과 같아지면 체온 감소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온도가 낮으면 환자가 차가운 느낌을 갖게 되어 불편하므로 적정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보호자는 제2 온도계(310)를 확인하여 열전달물질의 온도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가 감기, 질병 등이 있는 아동인 경우, 보호자가 매번 귀에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재는 것은 번거롭고 불편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제1 온도계(300)를 확인하여 체온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온도계(300)와 제2 온도계(3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온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변색 인디케이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제1 온도계(300)의 색깔을 확인하여 환자가 편안한 체온 상태인지, 아니면 주의를 요하는 체온 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을 하고 있으므로 귀에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정상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등 환자를 적극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는 상태인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응급실 등 병원에 바로 가야하는 상황인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는 제1 온도계(300)와 제2 온도계(310)의 색깔을 비교하여 열전달물질의 온도와 환자의 체온이동일한지, 아니면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한 색깔인 경우, 열전달물질의 온도와 환자의 체온이 동일하다는 의미이므로 새로운 열전달물질을 주입하여 테피트 마사지 패드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피드 마사지 패드
110: 커버방수층
120: 열전달물질수용층
130: 베이스흡수층
140: 공급통로
150: 관통공
160: 테두리보강부
170: 벨크로 영역
180: 스트레치 영역
200: 피부
210: 수분
300: 제1 온도계
310: 제2 온도계

Claims (8)

  1. 발열 증상의 환자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상기 환자에게 착용시키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에 있어서,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상기 피부의 수분을 흡수하는 베이스흡수층;
    외부로 노출되고, 열전달물질의 증발을 차단하며, 상기 열전달물질을 공급받는 공급통로가 형성되는 커버방수층; 및
    상기 커버방수층과 상기 베이스흡수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공급통로를 통하여 공급받은 상기 열전달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공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물질수용층;
    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기 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흡수층과 상기 열전달물질수용층과 상기 커버방수층을 한번에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흡수층과 상기 열전달물질수용층과 상기 커버방수층을 한번에 고정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공급통로와 상기 관통공은 복수개이되, 상기 복수개의 공급통로와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은 서로 섞여서 분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제1 온도계와 상기 열전달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머리착용부와 상기 환자의 몸통에 착용하는 몸통착용부를 가지되, 상기 제1 온도계는 상기 환자의 두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착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온도계는 상기 몸통착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착용부는 상기 환자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몸통착용부는 각각 2 피스로 구성되며, 상기 2 피스로 구성된 몸통착용부는 상호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계와 상기 제2 온도계는 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변색 인디케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물질은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피드 마사지 패드.
KR1020190077369A 2019-06-27 2019-06-27 테피드 마사지 패드 KR10204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69A KR102044780B1 (ko) 2019-06-27 2019-06-27 테피드 마사지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69A KR102044780B1 (ko) 2019-06-27 2019-06-27 테피드 마사지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780B1 true KR102044780B1 (ko) 2019-11-14

Family

ID=6857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369A KR102044780B1 (ko) 2019-06-27 2019-06-27 테피드 마사지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577A (ja) * 2003-01-30 2004-08-19 Daiya Seiyaku Kk パッド材及び携帯用パッド材
JP4568478B2 (ja) * 2003-02-07 2010-10-27 直子 大熊 体温表示機能付冷却用貼付シート
JP2011200703A (ja) * 2011-07-08 2011-10-13 Naoki Toyokawa 冷却シート
JP2017189189A (ja) * 2016-04-11 2017-10-19 株式会社森生テクノ 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577A (ja) * 2003-01-30 2004-08-19 Daiya Seiyaku Kk パッド材及び携帯用パッド材
JP4568478B2 (ja) * 2003-02-07 2010-10-27 直子 大熊 体温表示機能付冷却用貼付シート
JP2011200703A (ja) * 2011-07-08 2011-10-13 Naoki Toyokawa 冷却シート
JP2017189189A (ja) * 2016-04-11 2017-10-19 株式会社森生テクノ 冷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521A (en) Mask maintaining warmth in nasal area
US6152137A (en) Pliable and resilient sealing pad
JP6331208B2 (ja) アイマスク型水素供給器
EP0776679A1 (en) Mask maintaining warmth in nasal area
US20160255897A1 (en) Device for absorbing and retaining sweat
KR20220018067A (ko) 냉각 의류
KR102044780B1 (ko) 테피드 마사지 패드
WO2019130219A1 (pt) Toucas hospitalares com bolso
CN208659690U (zh) 一次性的甲亢突眼病人的助眠眼罩
JPH07171176A (ja) 鼻部保温具
JP3188650B2 (ja) ズボン下類
WO2021171821A1 (ja) 医療用の頭部冷却キャップセット
CN210056439U (zh) 一种新型急诊科医用冰帽
KR102258132B1 (ko) 의료용 이너 캡
AU2018101783A4 (en) Device for absorbing and retaining sweat
CN220002106U (zh) 一种具有可视窗的防水防撞耳罩
CN219022968U (zh) 护理盒
KR20200140523A (ko)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CN219397841U (zh) 儿科头部热敏变色冷敷
JPH0610304U (ja) わきの下に貼る汗取りパッド
JP2002242019A (ja) ヘアーバンド
CN215193228U (zh) 一种模拟子宫环境的弹性成形装置
CN215018896U (zh) 眼科专用手术的一次性立体垫巾
CN213031038U (zh) 一种婴儿护脐包
CN213045267U (zh) 一种银离子纤维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