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52B1 - 유연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연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52B1
KR102044552B1 KR1020120152784A KR20120152784A KR102044552B1 KR 102044552 B1 KR102044552 B1 KR 102044552B1 KR 1020120152784 A KR1020120152784 A KR 1020120152784A KR 20120152784 A KR20120152784 A KR 20120152784A KR 102044552 B1 KR102044552 B1 KR 10204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rea
flexible substrate
display area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252A (ko
Inventor
고영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연성기판;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구동부; 연성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지지기판; 및 연성기판과 지지기판을 부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되, 지지기판은 구동부와 대응되는 영역이 제거된 홈을 포함하는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연한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연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평판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박형화가 용이하여 텔레비전(TV)이나 비디오 등의 가전용 분야에서부터 노트북(Note book)이나 핸드폰과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 분야 등으로 그 사용처가 다양해지고 있다.
앞서 나열된 평판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전기영동표시장치 등은 박형화가 용이함은 물론 연성을 부가하여 유연한 표시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므로, 연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 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전기영동표시장치 등을 이용하여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작할 때에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이 플라스틱이나 유리 대비 유연성이 좋은 기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이 유연성이 좋은 기판은 외부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기 때문에 지지기판을 부착한다. 그런데, 연성기판과 지지기판으로 구성된 표시 패널은 밴딩 실험(구부리는 실험)시 표시 패널에 실장된 구동부 등의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딩 실험(구부리는 실험)시 표시 패널에 실장된 구동부나 외부기판 등의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여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연성기판;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구동부; 연성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지지기판; 및 연성기판과 지지기판을 부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되, 지지기판은 구동부와 대응되는 영역이 제거된 홈을 포함하는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홈의 면적은 구동부가 실장된 영역에 대응되거나 구동부가 실장된 영역보다 클 수 있다.
구동부는 비표시영역의 y축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와 비표시영역의 x축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지지기판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연성기판;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비표시영역에 부착된 외부기판; 연성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지지기판; 및 연성기판과 지지기판을 부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되, 지지기판은 외부기판과 대응되는 영역이 제거된 홈을 포함하는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홈의 면적은 외부기판이 부착된 영역에 대응되거나 외부기판이 실장된 영역보다 클 수 있다.
외부기판은 비표시영역의 y축에 부착된 제1외부기판과 비표시영역의 x축에 부착된 제2외부기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지지기판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기판에 홈을 형성하여 밴딩 실험시 표시 패널에 실장된 구동부나 외부기판 등의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여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연한 표시장치의 배면 구조도.
도 8은 지지기판에 형성된 홈과 연성기판에 형성된 제1게이트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비교예와 제1실시예의 밴딩 실험 결과 비교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유연한 표시장치의 배면 구조도.
도 12는 지지기판에 형성된 홈과 외부기판에 형성된 제1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비교예와 제2실시예의 밴딩 실험 결과 비교 도면.
도 14는 홈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에는 타이밍 제어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및 표시 패널(150)이 포함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I2C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외부 메모리부로부터 표시 패널(150)의 해상도, 주파수 및 타이밍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치정보(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나 보상 데이터 등을 수집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게이트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0)에 실장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연결된 외부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0)에 실장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연결된 외부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라인들(G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
표시 패널(150)은 게이트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광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은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서브 픽셀들(SP)이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DR),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게이트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를 커패시터(Cst)에 전달한다.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전압으로 저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제1전원배선(VDD)과 제2전원배선(VSS)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를 통해 공급된 구동전류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한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매우 다양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은 통상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등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브 픽셀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된다.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은 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순색의 휘도 저하 및 색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RGB 컬러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포함된 발광 물질을 백색,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된다.
앞서 설명된 표시 패널(150)은 연성기판(151), 보호필름(152), 접착부재(155) 및 지지기판(157)으로 구성된다. 연성기판(151)은 연성을 부여하며 복원력이 우수한 재료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성기판(151)의 일면에는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들은 산소나 수분 등의 외기에 취약하다. 따라서, 연성기판(151) 상에는 유기발광소자를 기밀할 수 있는 보호필름(152) 또는 연성보호기판 등이 부착된다.
접착부재(155)는 연성기판(151)과 지지기판(157)을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부재(155)는 양면 테이프, 점착제 또는 접착제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부재(155)는 표시 패널(150)의 휘도 향상 목적을 부가시키기 위해 검정색 계열로 선택될 수 있으나 투명한 계열로 선택될 수도 있다.
지지기판(157)은 연성기판(151)의 유연성과 더불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연성기판(151)의 타면(또는 배면)에 부착된다. 지지기판(157)은 연성기판(151)과 유사 또는 동일한 수지 재료로 선택되거나 알루미늄(AL) 또는 스텐레스(SUS304) 등의 금속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된 서브 픽셀의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성기판(151)의 일면에는 구동 트랜지스터(DR)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등이 형성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게이트전극(161), 반도체층(163), 소오스전극(164a) 및 드레인전극(164b)을 포함한다. 게이트전극(161)은 연성기판(151)의 일면에 형성된다. 게이트전극(161) 상에는 제1절연막(16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63)은 제1절연막(162) 상에 형성된다. 소오스전극(164a) 및 드레인전극(164b)은 반도체층(163)의 일측과 타측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소오스전극(164a) 및 드레인전극(164b) 상에는 제2절연막(165)이 형성된다. 연성기판(151)의 일면에는 위와 같은 구조로 구동 트랜지스터(DR)뿐만 아니라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 커패시터(미도시) 및 각종 배선 등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하부전극(166), 유기 발광층(168) 및 상부전극(169)을 포함한다. 하부전극(166)은 제2절연막(165) 상에 형성된다. 하부전극(166)은 제2절연막(165)을 통해 노출된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드레인전극(164b)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하부전극(166)은 서브 픽셀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하부전극(166)은 애노드전극 또는 캐소드전극으로 선택된다. 하부전극(166) 상에는 뱅크층(167)이 형성된다. 뱅크층(167)은 서브 픽셀의 개구영역을 정의하는 층이다. 유기 발광층(168)은 하부전극(166) 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168)은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수송층(ETL) 및 전자주입층(EIL)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168)의 발광층(EML)을 제외한 다른 기능층들(HIL, HTL, ETL, EIL)은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168)에는 정공과 전자의 에너지 레벨 등을 조절하는 블로킹층이나 베리어층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부전극(169)은 유기 발광층(168) 상에 형성된다. 상부전극(169)은 모든 서브 픽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대면전극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전극(169)은 캐소드전극 또는 애노드전극으로 선택된다.
보호필름(152)은 상부전극(169) 상에 형성된다. 보호필름(152)은 도 4와 같이 단층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필름(152)은 투명 페이스 실란트나(face selant) 투명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호필름(152)은 도 5와 같이 다층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필름(152)은 유기층(152a), 무기층(152b), 유기층(152c) 및 무기층(152d)으로 구성된 유무기 복합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유무기 복합층의 내부에는 수분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흡습층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의 정면 구조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연한 표시장치의 배면 구조도이며, 도 8은 지지기판에 형성된 홈과 연성기판에 형성된 제1게이트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150)을 구성하는 연성기판(151)에는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x, NAy)이 정의된다. 표시영역(AA)에는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표시영역(AA)은 보호필름(152)에 의해 보호된다.
y축 비표시영역(NAy)에는 게이트 구동부(130)가 집적회로 형태로 실장되고, x축 비표시영역(NAx)에는 데이터 구동부(140)가 집적회로 형태로 실장된다. 도면에서는 중형 모델의 유연한 표시장치를 일례로 하므로 두 개의 게이트 구동부(130a, 130b)와 두 개의 데이터 구동부(140a, 140b)가 실장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비표시영역(NAx)의 패드영역(PADx)에는 외부기판(170)이 부착된다. 외부기판(170)은 게이트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등으로부터 출력된 신호 등을 전달하는 기판이다. 외부기판(170)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50)을 구성하는 지지기판(157)에는 비표시영역(NAx, NAy)에 형성된 홈(Hy, Hx)이 포함된다. 홈(Hy, Hx)은 연성기판(151)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1 및 제2홈(Hy, Hx)을 포함한다. 홈(Hy, Hx)은 게이트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와 대응되는 지지기판(157)의 영역(Wy, Wx)이 제거됨에 따라 형성된다.
지지기판(157)에 홈(Hy, Hx)을 형성하는 방법은 지지기판(157)의 재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지지기판(157)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선택된 경우, 펀칭 기구에 의해 지지기판(157)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펀칭 기구는 지지기판(157)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하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홈(Hy, Hx)은 지지기판(157)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홈(Hy, Hx)의 면적은 게이트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가 실장된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거나 게이트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가 실장된 영역의 면적보다 크다. 도 8의 (a)는 홈(Hy)이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홈(Hy)이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비교예와 제1실시예의 밴딩 실험 결과(구부리는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비교예와 제1실시예의 밴딩 실험 결과 비교 도면이다.
[제1실시예]
도 9의 (a)와 같이, 표시 패널(150)의 일면에 실장된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린다. 이때, 표시 패널(150)에 가해지는 힘은 제1게이트 구동부(130a)가 실장된 영역이 딱딱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홈(Hy)의 양쪽 주변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리면 상대적으로 유연한 홈(Hy)의 양쪽 주변에 힘이 인가되며 연성기판 및 지지기판(151, 157)으로 분산되므로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양쪽 엣지보다 홈(Hy)의 양쪽 주변 바깥쪽이 먼저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이 제작된 표시 패널(150)에 밴딩 실험을 하면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양쪽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비교예]
도 9의 (b)와 같이, 연성기판(151)의 일면에 실장된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린다. 이때, 표시 패널(150)에 가해지는 힘은 제1게이트 구동부(130a)가 실장된 영역이 딱딱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연성기판 및 지지기판(151, 157)으로 균등하게 분산되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리면 연성기판 및 지지기판(151, 157)에 힘이 고르게 인가되므로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양쪽 엣지 또한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와 같이 제작된 표시 패널(150)에 밴딩 실험을 하면 제1게이트 구동부(130a)의 양쪽 엣지 부분(P1, P2)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교예와 같은 구조는 표시 패널(150) 대비 딱딱한 구동부가 실장되면 구부리는 방향에 따라 인가된 힘에 의해 게이트 구동부나 데이터 구동부의 엣지 부분이 잘 떨어지게 되므로 표시 불량이 유발된다. 반면,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표시 패널(150) 대비 딱딱한 구동부가 실장되더라도 구부리는 방향에 따라 인가된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게이트 구동부나 데이터 구동부의 엣지 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연한 표시장치의 정면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유연한 표시장치의 배면 구조도이며, 도 12는 지지기판에 형성된 홈과 외부기판에 형성된 제1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150)을 구성하는 연성기판(151)에는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x, NAy)이 정의된다. 표시영역(AA)에는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표시영역(AA)은 보호필름(152)에 의해 보호된다.
y축 비표시영역(NAy)에는 게이트 구동부(130)가 집적회로 형태로 실장된 제1외부기판(180)이 부착되고, x축 비표시영역(NAx)에는 데이터 구동부(140)가 집적회로 형태로 실장된 제2외부기판(170)이 부착된다. 제1 및 제2외부기판(180, 170)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는 중형 모델의 유연한 표시장치를 일례로 하므로 두 개의 게이트 구동부(130a, 130b)와 두 개의 데이터 구동부(140a, 140b)가 포함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게이트 구동부(130a, 130b)가 게이트인패널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된 경우, 두 개의 게이트 구동부(130a, 130b)는 삭제된다.
y축 비표시영역(NAy)의 제1패드영역(PADy)에는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이 부착된다.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에는 제1 및 제2게이트 구동부(130a, 130b)가 실장된다. x축 비표시영역(NAx)의 제2패드영역(PADx)에는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이 부착된다.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에는 제1 및 제2데이터 구동부(140a, 140b)가 실장된다.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과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은 게이트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등으로부터 출력된 신호 등을 전달하는 기판이다.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과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은 이방성 도전필름(ACF)에 의해 표시 패널(150)에 본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을 구성하는 지지기판(157)에는 비표시영역(NAx, NAy)에 형성된 홈(Hy, Hx)이 포함된다. 홈(Hy, Hx)은 연성기판(151)에 실장된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 및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홈(Hy, Hx)은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 및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과 대응되는 지지기판(157)의 영역(Wy, Wx)이 제거됨에 따라 형성된다.
지지기판(157)에 홈(Hy, Hx)을 형성하는 방법은 지지기판(157)의 재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지지기판(157)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선택된 경우, 펀칭 기구에 의해 지지기판(157)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펀칭 기구는 지지기판(157)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하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홈(Hy, Hx)은 지지기판(157)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홈(Hy, Hx)의 면적은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 및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가 부착된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거나 두 개의 제1외부기판(180a, 180b) 및 두 개의 제2외부기판(170a, 170b)가 부착된 영역의 면적보다 크다. 도 12의 (a)는 제2외부기판(170a)의 면적에 대응하여 홈(Hy)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12의 (b)는 제2외부기핀(170a)의 면적보다 크게 홈(Hy)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비교예와 제2실시예의 밴딩 실험 결과(구부리는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비교예와 제2실시예의 밴딩 실험 결과 비교 도면이다.
[제2실시예]
도 13의 (a)와 같이, 표시 패널(150)의 일면에 부착된 제2외부기판(17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린다. 이때, 표시 패널(150)에 가해지는 힘은 제2외부기판(170a)이 부착된 영역이 딱딱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홈(Hx)의 양쪽 주변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2외부기판(17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리면 상대적으로 유연한 홈(Hx)의 양쪽 주변에 힘이 인가되며 연성기판 및 지지기판(151, 157)으로 분산되므로 제2외부기판(170a)의 양쪽 엣지보다 홈(Hx)의 양쪽 주변 바깥쪽이 먼저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와 같이 제작된 표시 패널(150)에 밴딩 실험을 하면 제2외부기판(170a)의 양쪽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비교예]
도 13의 (b)와 같이, 연성기판(151)의 일면에 부착된 제2외부기판(17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린다. 이때, 표시 패널(150)에 가해지는 힘은 제2외부기판(170a)이 부착된 영역이 딱딱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연성기판 및 지지기판(151, 157)으로 균등하게 분산되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2외부기판(170a)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을 구부리면 연성기판 및 지지기판(151, 157)에 힘이 고르게 인가되므로 제2외부기판(170a)의 양쪽 엣지 또한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와 같이 제작된 표시 패널(150)에 밴딩 실험을 하면 제2외부기판(170a)의 양쪽 엣지 부분(P1, P2)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교예와 같은 구조는 표시 패널(150) 대비 딱딱한 외부기판이 부착되면 구부리는 방향에 따라 인가된 힘에 의해 외부기판의 엣지 부분이 잘 떨어지게 되므로 표시 불량이 유발된다. 반면,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표시 패널(150) 대비 딱딱한 외부기판이 실장되더라도 구부리는 방향에 따라 인가된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외부기판의 엣지 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홈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홈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홈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의 (a)와 같이 홈(Hy, Hx)의 내곽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형상(R)을 갖는다. 도 14의 (a)에는 홈(Hy, Hx)의 내곽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R)을 갖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외곽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R)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4의 (b)와 같이 홈(Hy, Hx)의 내곽 및 외곽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형상(R)을 갖는다. 이 밖에도 홈(Hy, Hx)은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으로 모두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위치 및 목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Hy, Hx)의 내곽 및 외곽 모서리 부분 중 하나 이상이 라운드 형상(R)을 갖게 되면 구부러지는 힘에 의해 홈(Hy, Hx)의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는 방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Hy, Hx)은 표시 패널의 밴딩 실험시 표시 패널에 실장된 구동부나 부착된 외부기판의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홈(Hy, Hx)이 형성된 영역은 다른 영역대비 두께가 얇으므로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열을 발산시키는 방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홈이 형성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 다른 집적회로가 실장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지지기판에 홈을 형성하여 밴딩 실험시 표시 패널에 실장된 구동부나 외부기판 등의 엣지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여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연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0: 타이밍 제어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데이터 구동부 150: 표시 패널
180: 제1외부기판 170: 제2외부기판
151: 연성기판 152: 보호필름
155: 접착부재 157: 지지기판
Hx, Hy: 홈

Claims (10)

  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연성기판;
    상기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상기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상기 비표시영역에 실장된 구동부;
    상기 연성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지지기판; 및
    상기 연성기판의 타면과 상기 지지기판의 일면을 부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연성기판의 타면이 노출되도록 제거된 홈을 형성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면적은
    상기 구동부가 실장된 영역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구동부가 실장된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표시영역의 단축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비표시영역의 장축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지지기판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6.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연성기판;
    상기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상기 연성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상기 비표시영역에 부착된 외부기판;
    상기 연성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지지기판; 및
    상기 연성기판의 타면과 상기 지지기판의 일면을 부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기판과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외부기판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연성기판의 타면이 노출되도록 제거된 홈을 형성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면적은
    상기 외부기판이 부착된 영역의 면적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외부기판이 실장된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판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단축에 부착된 제1외부기판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장축에 부착된 제2외부기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지지기판의 외곽부터 내곽까지 제거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표시장치.
KR1020120152784A 2012-12-26 2012-12-26 유연한 표시장치 KR10204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84A KR102044552B1 (ko) 2012-12-26 2012-12-26 유연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84A KR102044552B1 (ko) 2012-12-26 2012-12-26 유연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52A KR20140083252A (ko) 2014-07-04
KR102044552B1 true KR102044552B1 (ko) 2019-11-13

Family

ID=5173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84A KR102044552B1 (ko) 2012-12-26 2012-12-26 유연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4524A (zh) 2015-01-06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473222B1 (ko) * 2015-12-31 2022-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효과를 갖는 평판 표시 패널
KR102535363B1 (ko) 2016-07-11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910479A (zh) * 2017-02-27 2017-06-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604A (ko) * 2008-12-26 2010-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52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333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9775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987382B1 (ko) 유연한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10355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84687B2 (en) Device display
TWI648851B (zh) 顯示裝置
KR20170024197A (ko) 투명표시장치
KR102050067B1 (ko) 표시 장치
CN108122881B (zh) 膜上芯片以及包括该膜上芯片的显示装置
KR20180073762A (ko) 편광판,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2971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08424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44552B1 (ko) 유연한 표시장치
KR2018006187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EP3333915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1744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1207930A1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102576965B1 (ko) 표시장치
KR102009882B1 (ko) 곡면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388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240164181A1 (en) Display apparatus
KR101957977B1 (ko) 유연한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240079709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40079214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18411A (ko) 원장 기판,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