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316B1 -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316B1
KR102044316B1 KR1020170059380A KR20170059380A KR102044316B1 KR 102044316 B1 KR102044316 B1 KR 102044316B1 KR 1020170059380 A KR1020170059380 A KR 1020170059380A KR 20170059380 A KR20170059380 A KR 20170059380A KR 102044316 B1 KR102044316 B1 KR 10204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knife
strip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947A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5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3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스트립 방향전환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스트립 이송롤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포집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 상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의 이물질을 에어 분사를 통해 제거하면서 노즐과 상부 나이프 및 하부 나이프를 포함하는 에어 나이프, 상기 에어 나이프의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과의 접촉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롤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대를 매개로 하우징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나이프 및 하부 나이프는 그 전방쪽 단부에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포집구로 유입되어 이물질의 흡입력을 갖도록 공기방향을 전환하는 구조의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THE AILEN SUBSTANCE OF THE ROLL SURFACE}
스트립의 제조시 스트립 방향전환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박판 형태로 압연된 스트립은 다수개의 롤에 지지되어 연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여러 공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수요자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여러 공정들에 스트립을 전달시켜 주는 역할을 수개의 각종 롤로 구성된 이송설비에 의해 취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하는 이송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롤은 우레탄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시 표면에 다량의 이물질이 끼게되는 문제현상이 유발되어 이송되는 스트립의 표면에 덴트(Dent : 요철성 결함)와 같은 문제현상을 발생시켰다.
즉,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레탄 롤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산화마그네슘(MgO) 파우더 포함)은 고정식 블레이드를 롤 표면에 밀착고정시켜 우레탄 롤의 회전을 통해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산화마그네슘 파우더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그 일부가 전달해오는 스트립 상면에 떨어져 상기 우레탄 롤과 접촉됨으로써 우레탄 롤 표면에 이물홈 결함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식 블레이드는 우레탄 롤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우레탄 롤의 표면이 훼손됨으로써 우레탄 롤을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스트립 방향전환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스트립 이송롤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포집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 상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의 이물질을 에어 분사를 통해 제거하면서 노즐과 상부 나이프 및 하부 나이프를 포함하는 에어 나이프, 상기 에어 나이프의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과의 접촉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롤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대를 매개로 하우징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나이프 및 하부 나이프는 그 전방쪽 단부에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포집구로 유입되어 이물질의 흡입력을 갖도록 공기방향을 전환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장치에 따르면, 스트립의 제조시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에 부착된 산화마그네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고,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원가 절감은 물론 회전체 접근 감소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표면이 청결하게 유지됨으로써 스트립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높여주고, 스트립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예방하여 스트립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나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롤의 표면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롤 표면에 산화마그네슘(MgO)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에 분진형태로 부착된 이물질은 에어의 분사와 흡입을 통해 제거하고,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에 막을 이루면서 부착된 이물질의 경우 긁어냄으로써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하우징(10)과 에어 나이프(20), 이물질 제거 롤(30) 및,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나이프(20)를 이용하여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에 부착된 분진형태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을 스트립 방향전환 롤(1)에 접촉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10)은 스트립 방향전환 롤(1)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트립 방향전환 롤(1)에 에어를 분사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고, 상기 에어 나이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입구 상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의 이물질을 에어 분사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상기 에어 나이프(20)의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의 접촉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대(41)를 매개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스트립 방향전환 롤(1)의 표면을 보호하면서도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에어 나이프(20)의 에어 분사를 통해 산화마그네슘 분진을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이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의 산화마그네슘 파우더를 긁어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그 후방에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구(50)는 포집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60)가 연결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나이프(20)의 에어 분사를 통해 분진형태의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포집구(50)를 이용하여 포집하고,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후드(6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그 회전을 위해 구동부가 연결설치되는 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 일측의 회전축(30a)과 연결되어 이물질 제거 롤을 회전시키는 벨트(31)와, 상기 벨트(3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벨트(31)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풀리(32) 및, 상기 구동풀리(32)와 연결되어 구동풀리(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구동부의 구동모터(33)가 작동되어 상기 구동풀리(32)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풀리(32)의 회전을 통해 이에 연결된 벨트(31)를 이동시킴으로써 이 벨트(31)와 연결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의 회전축(30a)을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이 회전되면서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스트립 방향전환 롤(1)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이물질 제거 롤(30)의 회전속도 또한 스트립 방향전환 롤(1) 보다는 느리게 제어하여 스트립 방향전환 롤(1)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최대로 설계하고, 이러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스트립 방향전환 롤(1)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그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패널(42)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상기 하우징(10)과 함께 전후진되면서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의 접촉 또는 이격을 반복하여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 상부에 설치된 상기 슬라이딩 패널(42)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지지대(41)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하우징(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 이격 후, 재차 밀착되는 작용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이물질 제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패널(42)은 그 전후진 작동을 위하여 슬라이딩 패널 구동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패널 구동부(43)는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패널(42)의 전후진 속도를 제어하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나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스트립 이송롤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포집구(50)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입구 상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의 이물질을 에어 분사를 통해 제거하면서 노즐(20a, 20b)과 상부 나이프(21) 및 하부 나이프(22)를 포함하는 에어 나이프(20), 상기 에어 나이프(20)의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과의 접촉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롤(30) 및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대(41)를 매개로 하우징(10)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나이프(21) 및 하부 나이프(22)는 그 전방쪽 단부에 라운딩부(21a, 22a)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20a, 20b)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상기 포집구(50)로 유입되어 이물질의 흡입력을 갖도록 공기방향을 전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를 이루는 상기 에어 나이프(20)는 그 일측에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20a, 20b)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 에어 나이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입구쪽 단부에서 각각 상부 나이프(21) 및 하부 나이프(22)로 나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나이프(21) 및 하부 나이프(22)에는 각각 상기 노즐(20a, 20b)이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나이프(21) 및 하부 나이프(22)는 그 전방쪽 단부에 라운딩부(21a, 22a)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20a, 20b)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상기 포집구(50)로 유입되어 이물질의 흡입력을 갖도록 공기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나이프(20)는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스트립 방향전환 롤(1)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나이프(21)와 하부 나이프(22) 단부에 형성된 라운딩부(21a, 22a)를 따라 상기 에어 나이프(20)에서 분사된 에어의 방향이 상기 하우징(10)의 포집구(50) 방향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 상부 나이프(21) 및 하부 나이프(22) 단부와의 이격된 갭을 통해 강한 흡입력이 발생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상부 나이프(21)와 하부 나이프(22)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노즐(20a, 20b)의 끝부분에 형성된 라운딩부(21a, 22a)를 타고 방향전환되면서 외부의 흡입력과 코안다 효과에 의해 강한 흡입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10)을 거쳐 포집구(50)로 보내어 상기 후드(6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롤의 표면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를 이루는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그 표면에 나선형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 제거 홈(30b)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그 외측에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의 접촉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섬유 로프(30c)가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은 그 표면에 나선형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 홈(30b)과 상기 섬유 로프(30c)가 각각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의 표면에 2줄로 이물질 제거 홈(30b)이 나선형을 이루면서 가공되고, 상기 2줄의 이물질 제거 홈(30b) 중 하나에 섬유 로프(30c)를 감아줌으로써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과 이물질 제거 롤(30)의 접촉시 섬유 로프(30c)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1)에 고착된 이물질(산화마그네슘 파우더)을 상기 섬유 로프(30c)를 이용하여 긁어냄으로써 하부방향으로 떨어뜨려 포집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 홈(30b)에는 이물질의 미립자가 고이게 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 롤(30)의 회전을 통해 이물질이 케이크 형태로 떨어져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스트립 방향전환 롤(1)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통해 롤 표면을 보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롤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산화마그네슘 분진이나 롤 표면에 고착된 산화마그네슘 파우더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롤 표면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제작되는 스트립 제품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 : 스트립 방향전환 롤 10 : 하우징
20 : 에어 나이프 20a, 20b : 노즐
21 : 상부 나이프 21a : 라운딩부
22 : 하부 나이프 22a : 라운딩부
30 : 이물질 제거 롤 30a : 회전축
30b : 이물질 제거 홈 30c : 섬유 로프
31 : 벨트 32 : 구동풀리
33 : 구동모터 40 : 베이스 플레이트
41 : 지지대 42 : 슬라이딩 패널
43 : 슬라이딩 패널 구동부 50 : 포집구
60 : 후드 70 : 제어부

Claims (1)

  1. 스트립 이송롤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포집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 상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어 스트립 방향전환 롤의 이물질을 에어 분사를 통해 제거하면서 노즐과 상부 나이프 및 하부 나이프를 포함하는 에어 나이프; 상기 에어 나이프의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이송롤과의 접촉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롤;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대를 매개로 하우징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나이프 및 하부 나이프는 그 전방쪽 단부에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포집구로 유입되어 이물질의 흡입력을 갖도록 공기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스트립 방향전환 롤과, 상기 상부 나이프 및 상기 하부 나이프 단부와의 이격된 갭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하는 구조이고,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노즐의 끝부분에 형성된 상기 라운딩부를 타고 방향전환되면서 외부의 흡입력과 코안다 효과에 의해 강한 흡입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70059380A 2017-05-12 2017-05-12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4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80A KR102044316B1 (ko) 2017-05-12 2017-05-12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80A KR102044316B1 (ko) 2017-05-12 2017-05-12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811A Division KR20170028773A (ko) 2015-09-04 2015-09-04 스트립 이송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47A KR20170055947A (ko) 2017-05-22
KR102044316B1 true KR102044316B1 (ko) 2019-11-13

Family

ID=5905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380A KR102044316B1 (ko) 2017-05-12 2017-05-12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15B1 (ko) * 2017-12-22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청소장치
KR102323789B1 (ko) * 2019-08-19 2021-11-10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29B1 (ko) * 2013-09-16 2014-12-26 (주)엠솔루션 무동력 스트립 및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10B1 (ko) * 2001-05-03 2007-07-09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이송롤 표면의 금속성 칩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29B1 (ko) * 2013-09-16 2014-12-26 (주)엠솔루션 무동력 스트립 및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47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316B1 (ko)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42579B1 (ko) 강판용 클리너 장치
US9962942B2 (en) Printing apparatus
KR20160056706A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JP2017140762A (ja) 液体吐出装置
KR20140110514A (ko) 컨베이어 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131898A (ko) 롤러 부재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CN107720170B (zh) 陶瓷底部除釉传输装置
EP3288689B1 (en) A method of cleaning of a printed band of flexible material, as well as an apparatus therefor
CN209905835U (zh) 一种皮带输送机
KR20170028773A (ko) 스트립 이송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EP0483073B1 (en) A self-cleaning vacuum filter, particularly for filtering industrial lubricants and coolants
JP5179167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設備
JP2017100083A (ja) エアフィルタ内部粉塵除去装置
JP201608422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762886B1 (ko) 직물원단의 먼지제거장치
JP2007292397A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6589422B2 (ja) 液体吐出装置
JP2009119737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処理装置
CN108633290B (zh) 纤维制造装置及纤维制造方法
JP2010037063A (ja) 分包紙ロールの塵埃除去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4906575B (zh) 一种皮带输送机清扫除尘系统
KR100797357B1 (ko) 강판의 에지부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KR100601131B1 (ko) 강판 표면의 스와프칩 제거장치
KR100544878B1 (ko) 디스케일러설비의 숏볼 회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0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09

Effective date: 201908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