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803B1 -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 Google Patents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803B1
KR102043803B1 KR1020177036968A KR20177036968A KR102043803B1 KR 102043803 B1 KR102043803 B1 KR 102043803B1 KR 1020177036968 A KR1020177036968 A KR 1020177036968A KR 20177036968 A KR20177036968 A KR 20177036968A KR 102043803 B1 KR102043803 B1 KR 10204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antibody
chloro
fluoro
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285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클라인
프랑크 헤르팅
마르쿠스 당글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0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8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CD2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41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normal tissues,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4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C07K2317/41Glycosylation, sialylation, or fucos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의 치료를 위한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특히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를 사용한 CD20 발현 암의 병용 요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이다. 바람직하게는, Bcl-2 억제제는 베네토클랙스이다. 바람직하게는, MDM2 억제제는 RG7388이다.

Description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본 발명은 암의 치료를 위한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에 관한 것이다.
어푸코실화된 항체
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및 미국 특허 제6,602,68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클론성 항체의 올리고사카라이드 성분을 조작함으로써 단클론성 항체의 세포-매개되는 효과기(effector)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암 면역요법에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체인 IgG1 유형 항체는 각 CH2 도메인의 Asn297에 보존된 N-연결된 당화 자리를 갖는 당단백질이다. Asn297에 부착된 2개의 복합 바이안테너리(biantennary) 올리고사카라이드는 CH2 도메인 사이에 매립되어, 폴리펩티드 주쇄와 광범위한 접촉을 형성하고, 이들의 존재는 항체가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과 같은 효과기 작용을 매개하는 데 필수적이다(문헌[Lifely, M.R., et al., Glycobiology 5 (1995) 813-822]; 문헌[Jefferis, R., et al., Immunol. Rev. 163 (1998) 59-76]; 문헌[Wright, A., and Morrison, S.L., Trends Biotechnol. 15 (1997) 26-32]). 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99/54342호는, 이분된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형성을 촉매화하는 글리코실전달효소인 β(1,4)-N-아세틸글루코스아민일전달효소 III("GnTIII")의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서의 과발현이 항체의 시험관내 ADCC 활성을 상당히 증가시킴을 보여주었다. 또한, N297 탄수화물의 조성에서의 변화 또는 그의 제거는 FcγR 및 Clq에 결합하는 Fc로의 결합에도 영향을 끼친다(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문헌[Davies, J., et al., Biotechnol. Bioeng. 74 (2001) 288-294]; 문헌[Mimura, Y., et al., J. Biol. Chem. 276 (2001) 45539-45547]; 문헌[Radaev, S., et al., J. Biol. Chem. 276 (2001) 16478-16483]; 문헌[Shields, R.L., et al., J. Biol. Chem. 276 (2001) 6591-6604]; 문헌[Shields, R.L., et al., J. Biol. Chem. 277 (2002) 26733-26740]; 문헌[Simmons, L.C., et al., J. Immunol. Methods 263 (2002) 133-147]).
항-CD20 항체를 포함하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및 푸코실화된 항체의 활성을 논의하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Iida, S., et al., Clin. Cancer Res. 12 (2006) 2879-2887]; 문헌[Natsume, A., et al., J. Immunol. Methods 306 (2005) 93-103]; 문헌[Satoh, M., et al., Expert Opin. Biol. Ther. 6 (2006) 1161-1173]; 문헌[Kanda, Y., et al., Biotechnol. Bioeng. 94 (2006) 680-688]; 문헌[Davies, J., et al., Biotechnol. Bioeng. 74 (2001) 288-294]).
CD20 및 항-CD20 항체
CD20 분자(인간 B-림프구-제한된 분화 항원 또는 Bp35로도 지칭됨)는 광범위하게 기재된 프리(pre)-B 및 성숙 B 림프구 상에 위치하는 소수성 막통과 단백질이다(문헌[Valentine, M.A., et al., J. Biol. Chem. 264 (1989) 11282-11287]; 문헌[Einfeld, D.A., et al., EMBO J. 7 (1988) 711-717]; 문헌[Tedder, T.F.,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1988) 208-212]; 문헌[Stamenkovic, I., et al., J. Exp. Med. 167 (1988) 1975-1980]; 문헌[Tedder, T.F., et al., J. Immunol. 142 (1989) 2560-2568]). CD20은 90%를 초과하는 B 세포 비-호지킨(non-Hodgkin) 림프종(NHL)에서 발현되지만(문헌[Anderson, K.C., et al., Blood 63 (1984) 1424-1433]), 조혈모세포, 프로-B 세포, 정상 혈장 세포 또는 다른 정상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문헌[Tedder, T.F., et al., J. Immunol. 135 (1985) 973-979]).
CD20 결합 방식 및 생물학적 활성 면에서 상당히 상이한 항-CD20 항체의 두가지 상이한 유형이 있다(문헌[Cragg, M.S., et al., Blood 103 (2004) 2738-2743]; 및 문헌[Cragg, M.S., et al., Blood 101 (2003) 1045-1052]). 유형 I 항체, 예컨대 리툭시맙(rituximab)(85% 이상의 푸코스 양으로 비-어푸코실화된 항체), 오파투무맙, 벨투주맙, 오크렐리주맙은 보체 매개된 세포독성 면에서 강력하다.
유형 II 항체, 예컨대 토시투모맙(Tositumomab, B1), 11B8, AT80 또는 인간화된 B-Ly1 항체는 동시적 포스파티딜세린 노출과 함께 카스파제-비의존적 세포 사멸 유도를 통해 표적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개시한다.
MDM2
p53은 암 발달에 대한 보호에 있어서 중추 역할을 하는 종양 억제 단백질이다. 이는 세포 완전성을 보호하고 성장 중지 또는 아폽토시스의 유도에 의해 세포의 영구적으로 손상된 클론의 증식을 방지한다. 분자 수준에서, p53은 세포 주기 및 아폽토시스의 조절에 관련된 유전자의 패널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사 인자이다. p53은 세포 수준에서 MDM2에 의해 엄격하게 조절되는 강력한 세포 주기 억제제이다. MDM2 및 p53은 피드백 제어 루프를 형성한다. MDM2는 p53에 결합할 수 있고 이의 p53-조절된 유전자를 전이활성화시키는 능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MDM2는 p53의 유비퀴틴-의존적 분해를 매개한다. p53은 MDM2 유전자의 발현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MDM2 단백질의 세포 수준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피드백 제어 루프는 정상 증식 세포에서 MDM2 및 p53 둘 다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MDM2는 세포 주기 조절에서 중추 역할을 하는 E2F에 대한 보조인자이다.
MDM2 대 p53(E2F)의 비는 많은 암에서 이상 조절된다. 예를 들면, p16INK4/p19ARF 유전자 자리에서 흔히 발생하는 분자 결함은 MDM2 단백질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형 p53을 갖는 종양 세포에서 MDM2-p53 상호작용의 억제는 p53의 축적, 세포 주기 중지 및/또는 아폽토시스를 야기해야 한다. 따라서, MDM2 길항제는 단일 제제로서 또는 넓은 스펙트럼의 다른 항종양 요법과 조합하여 암 요법에 대한 신규한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의 실행가능성은 MDM2-p53 상호작용의 억제를 위한 상이한 거대분자 도구(예를 들면 항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펩티드)의 사용에 의해 나타났다. 또한, MDM2는 p53으로서 보존된 결합 영역을 통해 E2F에 결합하고 사이클린 A의 E2F-의존적 전사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MDM2 길항제가 p53 돌연변이 세포에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Bcl -2 및 Bcl -2 억제제
Bcl-2 단백질은 많은 질병, 특히 암, 백혈병, 면역 및 자가면역 질병에서 역할을 한다. Bcl-2 단백질은 방광암, 뇌암, 유방암, 골수암, 자궁경부암, 만성 림프성 백혈병, 대장암, 식도암, 간세포암, 림프아구 백혈병, 소낭성 림프종, T-세포 또는 B-세포 기원 림프 악성종양, 흑색종, 골수성 백혈병, 골수종, 구강암, 난소암, 비-소세포 폐암, 전립선암, 소세포 폐암, 비장암에 관련되는 것으로 언급된다. Bcl-2 단백질의 과발현은 다양한 암 및 면역계의 장애에서 화학요법에 대한 내성, 임상 결과, 질병 진행, 전반적 예후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 있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유형 II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조합이 상당히 향상된 항증식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놀랍게도, 이러한 조합은 첨가적인 것보다 크다(즉, 매우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를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할 필요가 있는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40 내지 60%이다. 다른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0%이다.
한 양태에서, 유형 I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이다. 한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IgG1 항체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암은 CD20 발현 암, 바람직하게는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이다. 한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인간화된 B-Ly1 항체이다. 다른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유형 II 항-CD20 항체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오비누투주맙이다.
한 양태에서, Bcl-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0/13858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또한, 이러한 Bcl-2 억제제의 제조 방법이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0/13858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cl-2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의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1-일)-N-({3-니트로-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페닐}설폰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에스터 또는 다형체이다.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0/138588호의 실시예 5는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또한, Bcl-2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으로 도시된다: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1
상기 화합물은 ABT-199(GDC-0199 또는 베네토클랙스(Venetoclax))로도 지칭된다.
한 양태에서, MDM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또한, 이러한 MDM2 억제제의 제조 방법이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MDM2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의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에스터 또는 다형체이다.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의 실시예 448은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2
한 양태에서, 유형 I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이고,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인간화된 B-Ly1 항체,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이고, Bcl-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0/13858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MDM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MDM2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원에 개시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1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MDM2 억제제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이고, 암은 CD20 발현 암이고, 한 양태에서,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이다.
한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CD20에 10-8 내지 10-13 M의 KD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유형 I 항-CD20 항체(한 양태에서, 리툭시맙), 또는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한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또는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 및 Bcl-2 억제제(Bcl-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0/13858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됨) 및 MDM2 억제제(MDM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됨)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MDM2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원에 개시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1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MDM2 억제제는 암의 치료를 위한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이다.
도 1은 제29일까지의 종양 부피 발달 및 IQR 값이다(실시예 1).
도 2는 제32일까지의 종양 부피 발달 및 TGI 값이다(실시예 2).
도 3은 제125일까지의 시간-대-사건 분석이다(실시예 2).
본 발명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IgG1 또는 IgG3 이소타입의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IgG1 또는 IgG3 이소타입의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의 용도를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40 내지 60%이다.
용어 "항체"는 전체 항체, 인간 항체, 인간화된 항체, 및 단클론성 항체, 키메라 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와 같은 유전자 조작된 항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적인 특성을 보유하는 한 이러한 항체의 단편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형태의 항체를 포괄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단클론성 항체" 또는 "단클론성 항체 조성물"은 단일 아미노산 조성의 항체 분자의 제제를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인간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 생식계열 면역 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래되는 가변 영역 및 불변 영역을 갖는 단일 결합 특이성을 나타내는 항체를 지칭한다. 한 양태에서, 인간 단클론성 항체는 불멸 세포로 융합된 인간 중쇄 이식 유전자 및 인간 경쇄 이식 유전자를 포함하는 게놈을 갖는, 유전자 이식 비-인간 동물(예를 들면, 유전자 이식 마우스)로부터 수득되는 B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산된다.
용어 "키메라 항체"는 대체적으로 재조합 DNA 기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나의 공급원 또는 종으로부터의 가변 영역, 즉 결합 영역, 및 상이한 공급원 또는 종으로부터 유래된 불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지칭한다. 뮤린 가변 영역 및 인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뮤린/인간 키메라 항체는 뮤린 면역 글로불린 가변 영역을 암호화하는 DNA 분절 및 인간 면역 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암호화하는 DNA 분절을 포함하는 발현된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의 생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키메라 항체"의 다른 형태는 부류 또는 하위부류가 기원 항체로부터 변형 또는 변화된 것이다. 이러한 "키메라" 항체는 또한 "부류-전환된(switched) 항체"라고도 지칭된다. 키메라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현재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는 종래의 재조합 DNA 및 유전자 형질감염 기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문헌[Morrison, S.L.,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1984) 6851-6855]; 미국 특허 제5,202,238호 및 미국 특허 제5,204,244호를 참조한다.
용어 "인간화된 항체"는 골격구조 영역 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이 모 면역 글로불린과 비교하여 상이한 특이성의 면역 글로불린의 CDR을 포함하도록 변형된 항체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뮤린 CDR은 인간 항체의 골격구조 영역으로 그라프팅되어 "인간화된 항체"를 제조한다. 예컨대, 문헌[Riechmann, L., et al., Nature 332 (1988) 323-327] 및 문헌[Neuberger, M.S., et al., Nature 314 (1985) 268-270]을 참조한다. 특히 바람직한 CDR은 키메라 및 이중-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에 대하여 상기 주지된 항원을 인식하는 서열을 나타내는 것들에 상응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계열 면역 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래되는 가변 영역 및 불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포함하고자 한다. 인간 항체는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문헌[van Dijk, M.A., and van de Winkel, J.G., Curr. Opin. Pharmacol. 5 (2001) 368-374]). 이러한 기술에 기초하여, 매우 다양한 표적에 대한 인간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 인간 항체의 예는, 예를 들면 문헌[Kellermann, S.A., et al., Curr. Opin. Biotechnol. 13 (2002) 593-597]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재조합 인간 항체"는 NS0 또는 CHO 세포와 같은 숙주 세포로부터 또는 인간 면역 글로불린 유전자를 위해 유전자 이식된 동물(예를 들면, 마우스)로부터 단리된 항체, 또는 숙주 세포 내로 형질감염된 재조합 발현 벡터를 사용하여 발현된 항체와 같은 재조합 수단에 의해 제조, 발현, 생성 또는 단리되는 모든 인간 항체를 포함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조합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계열 면역 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래되는 가변 영역 및 불변 영역을 재배열된 형태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인간 항체를 생체내에서 체세포 초돌연변이시켰다. 따라서, 재조합 항체의 VH 및 VL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생식계열 VH 및 VL 서열로부터 유래되고 그에 연관되기는 하지만, 생체내에서 인간 항체 생식계열 목록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서열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이중-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는 2개 이상의 상이한 부위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단클론성 항체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결합 특이성 중 하나는 CD20에 대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임의의 다른 항원에 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CD20의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중특이적 항체는 세포독성제를, CD20을 발현하는 세포에 국한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전장 항체 또는 항체 단편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결합" 또는 "특이적으로 결합"은 정제된 야생형 항원을 사용하는 시험관내 검정, 바람직하게는 플라스몬 공명 검정(비아코어(BIAcore), 지이-헬쓰케어(GE-Healthcare), 스웨덴 업살라 소재)에서 종양 항원의 에피토프로의 항체의 결합을 지칭한다. 결합 친화력은 용어 ka(항체/항원 착체로부터의 항원의 회합에 대한 반응 속도 상수), kD(해리 상수) 및 KD(kD/ka)에 의해 정의된다. 결합 또는 특이적인 결합은 10-8 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0-13 M(한 양태에서, 10-9 내지 10-13 M)의 결합 친화력(KD)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10-8 몰/ℓ 이하,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0-13 M(한 양태에서, 10-9 내지 10-13 M)의 결합 친화력(KD)으로 종양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핵산 분자"는 DNA 분자 및 RNA 분자를 포함하고자 한다. 핵산 분자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중 가닥 DNA이다.
"불변 도메인"은 항체를 항원에 결합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고, 효과기 작용(ADCC, 보체 결합 및 CDC)에 관련된다.
본원에 사용된 "가변 영역"(경쇄의 가변 영역(VL), 중쇄의 가변 영역(VH))은 항체를 항원에 결합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각각의 경쇄 및 중쇄 쌍을 말한다. 가변 인간 경쇄 및 중쇄의 도메인은 동일한 일반적인 구조를 갖고, 각 도메인은 3개의 "초가변 영역"(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 CDR)에 의해 연결된, 그의 서열이 광범위하게 보존된 4개의 골격구조(FR) 영역을 포함한다. 골격구조 영역은 β-시트(sheet) 입체배좌를 채택하고, CDR은 β-시트 구조를 연결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쇄의 CDR은 골격구조 영역에 의해 그의 3차원 구조로 유지되고, 다른 쇄로부터의 CDR과 함께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초가변 영역"은 항원-결합을 담당하는 항체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한다. 초가변 영역은 "상보성 결정 영역" 또는 "CDR"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골격구조" 또는 "FR" 영역은 본원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초가변 영역 잔기 이외의 가변 도메인 영역이다. 그러므로, 항체의 경쇄 및 중쇄는 N-말단으로부터 C-말단으로 도메인 FR1, CDR1, FR2, CDR2, FR3, CDR3 및 FR4를 포함한다. 특히, 중쇄의 CDR3은 항원 결합에 가장 기여하는 영역이다. CDR 및 FR 영역은 문헌[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의 표준 정의 및/또는 "초가변 루프"로부터의 잔기에 따라 결정된다.
용어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감소된 수준의 푸코스 잔기를 갖는 Asn297에서 Fc 영역의 변화된 당화 패턴을 갖는 IgG1 또는 IgG3 이소타입(바람직하게는 IgG1 이소타입)의 항체를 지칭한다. 인간 IgG1 또는 IgG3의 당화는 2개 이하의 Gal 잔기로 종결되는 코어 푸코실화된 바이안테너리 복합 올리고사카라이드 당화로서 Asn297에서 일어난다. 이들 구조는 말단 Gal 잔기의 양에 따라 G0, G1(α1,6 또는 α1,3) 또는 G2 글리칸 잔기로서 지정된다(문헌[Raju, T.S., BioProcess Int. 1 (2003) 44-53]). 항체 Fc 부분의 CHO 형 당화는, 예를 들면 문헌[Routier, F.H., Glycoconjugate J. 14 (1997) 201-207]에 기재되어 있다. 당화 변형되지 않은 CHO 숙주 세포에서 재조합 기법으로 발현된 항체는 통상적으로 85% 이상의 양으로 Asn297에서 푸코실화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그의 당화 패턴에 푸코스를 갖지 않는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항체에서의 전형적인 당화 잔기 위치는 EU 넘버링 시스템에 따라 위치 297의 아스파라긴("Asn297")인 것으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면역 글로불린 중쇄 불변 영역에서의 잔기를 지칭하는 경우에 "EU 넘버링 시스템" 또는 "EU 색인"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예를 들면, 참고로 본원에 명확히 혼입된 문헌[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에 보고된 EU 색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푸코스 양이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이는 Asn297에서 Fc 영역의 올리고사카라이드 중 40% 이상이 어푸코실화되었음을 의미함)인 IgG1 또는 IgG3 이소타입(바람직하게는 IgG1 이소타입)의 항체를 의미한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Fc 영역의 올리고사카라이드의 40 내지 60%이다. 다른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50% 이하이고, 또 다른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Fc 영역의 올리고사카라이드의 3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푸코스 양"은 MALDI-TOF 질량 분광분석법에 의해 측정되고 평균 값으로서 계산된, Asn297에 부착된 모든 올리고사카라이드(당)(예를 들면, 복합, 하이브리드 및 고-만노즈 구조)의 합에 관련된,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 쇄 내의 상기 올리고사카라이드(푸코스)의 양을 의미한다(푸코스 양을 결정하기 위한 상세한 절차는, 예컨대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8/077546호를 참조함). 뿐만 아니라, 한 양태에서, Fc 영역의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이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푸코실화된 항체는 Fc 영역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부분적으로 푸코실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GnTIII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을 발현하도록 조작된 당화 변형 숙주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GnTIII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는 융합 폴리펩티드이다. 다르게는, 미국 특허 제6,946,292호에 따라 숙주 세포의 α1,6-푸코실전달효소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당화 변형 숙주 세포를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효 조건(예컨대, 발효 시간)에 의해 또는 상이한 푸코실화량을 갖는 둘 이상의 항체의 조합에 의해 항체 푸코실화의 양을 예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어푸코실화된 항체 및 개별적인 당화 조작 방법은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4/065540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 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99/154342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18572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6/116260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6/114700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11735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27966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97/028267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6/0134709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5/0054048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5/0152894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3/035835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0/061739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당화 조작된 항체는 증가된 ADCC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푸코실화된 항체를 수득하는 다른 당화 조작 방법은, 예를 들면 문헌[Niwa, R., et al., J. Immunol. Methods 306 (2005) 151-160]; 문헌[Shinkawa, T., et al., J Biol Chem, 278 (2003) 3466-3473];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03/055993호 또는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5/0249722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상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고, CD2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1 또는 IgG3 이소타입(바람직하게는 IgG1 이소타입)의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와 조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CD2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1 또는 IgG3 이소타입(바람직하게는 IgG1 이소타입)의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의 용도이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내지 20%이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내지 40%이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0%이다.
CD20(B-림프구 항원 CD20, B-림프구 표면 항원 B1, Leu-16, Bp35, BM5 및 LF5로도 공지됨; 서열은 스위스프롯(SwissProt) 데이터베이스 엔트리 P11836에 의해 특징지어짐)은 프리-B 및 성숙 B 림프구 상에 위치된 약 35 kD의 분자량을 갖는 소수성 막통과 단백질이다(문헌[Valentine, M.A., et al., J. Biol. Chem. 264 (1989) 11282-11287]; 문헌[Tedder, T.F.,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1988) 208-212]; 문헌[Stamenkovic, I., et al., J. . p. Med. 167 (1988) 1975-1980]; 문헌[Einfeld, D.A., et al., EMBO J. 7 (1988) 711-717]; 문헌[Tedder, T.F., et al., J. Immunol. 142 (1989) 2560-2568]). 상응하는 인간 유전자는 MS4A1로도 공지된 막-스패닝(spanning) 4-도메인, 하위계열 A, 멤버 1이다. 이 유전자는 막-스패닝 4A 유전자 계열의 구성원을 암호화한다. 이 발생기 단백질 계열의 구성원은 공통적인 구조적 특징 및 유사한 인트론/엑손 스플라이스 경계를 특징으로 하고, 조혈모세포 및 비-림프구 조직 사이에서 특유한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이 유전자는 B-세포의 발달 및 형질 세포로의 분화에서 역할을 담당하는 B-림프구 표면 분자를 암호화한다. 이 계열의 구성원은 계열 구성원의 집단 중에서 11q12로 국한된다. 이 유전자의 다른 스플라이싱은 동일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두 전사체 변이체를 생성한다.
용어 "CD20" 및 "CD20 항원"은 본원에서 호환성 있게 사용되고, 세포에 의해 천연적으로 발현되거나 CD20 유전자로 형질감염된 세포 상에서 발현되는 인간 CD20의 임의의 변이체, 동형 및 종 상동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를 CD20 항원에 결합시키면 CD20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CD20을 발현하는 세포(예컨대, 종양 세포)의 사멸을 매개한다. CD20을 발현하는 세포의 사멸은 하기 기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세포 사멸/아폽토시스 유도, ADCC 및 CDC.
당업계에서 인식되는 바와 같이 CD20의 동의어는 B-림프구 항원 CD20, B-림프구 표면 항원 B1, Leu-16, Bp35, BM5 및 LF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항-CD20 항체"는 CD20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이다. 항-CD20 항체의 CD20 항원으로의 결합 특성 및 생물학적 활성에 따라서 항-CD20 항체의 두 유형(유형 I 및 유형 II 항-CD20 항체)은 문헌[Cragg, M.S., et al., Blood 103 (2004) 2738-2743]; 및 문헌[Cragg, M.S., et al., Blood 101 (2003) 1045-1052]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한다.
유형 I 및 유형 II 항-CD20 항체의 특성
유형 I 항-CD20 항체 유형 II 항-CD20 항체
유형 I CD20 에피토프 유형 II CD20 에피토프
CD20을 지질 뗏목으로 국한시킴 CD20을 지질 뗏목으로 국한시키지 않음
증가된 CDC(IgG1 이소타입인 경우) 감소된 CDC(IgG1 이소타입인 경우)
ADCC 활성(IgG1 이소타입인 경우) ADCC 활성(IgG1 이소타입인 경우)
최대한의 결합능 감소된 결합능
동종세포 유착 보다 강력한 동종세포 유착
가교결합 시 아폽토시스 유도 가교결합 없이 강력한 세포 사멸 유도
유형 II 항-CD20 항체의 예는, 예를 들면 인간화된 B-Ly1 항체 IgG1(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에 개시된 키메라 인간화된 IgG1 항체), 11B8 IgG1(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4/035607호에 개시됨) 및 AT80 IgG1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IgG1 이소타입의 유형 II 항-CD20 항체는 특징적인 CDC 특성을 보여준다. 유형 II 항-CD20 항체는 IgG1 이소타입의 유형 I 항체에 비해 감소된 CDC(IgG1 이소타입의 경우)를 갖는다.
유형 I 항-CD20 항체의 예는, 예를 들면 리툭시맙, HI47 IgG3(ECACC, 하이브리도마), 2C6 IgG1(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103081호에 개시됨), 2F2 IgG1(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4/035607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103081호에 개시됨) 및 2H7 IgG1(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4/056312호에 개시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한 양태에서 유형 II 항-CD20 항체이고, 다른 양태에서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푸코스가 감소되지 않은 항-CD20 항체와는 달리 증가된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을 갖는다.
"증가된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를 의미하는데, 이 용어가 본원에서는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결정될 때 증가된 ADCC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인정된 시험관내 ADCC 검정은 다음과 같다:
1) 검정은 항체의 항원-결합 영역에 의해 인식되는 표적 항원을 발현하는 것으로 공지된 표적 세포를 사용한다;
2) 검정은 효과기 세포로서,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건강한 공여자의 혈액으로부터 단리된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를 사용한다;
3)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검정을 수행한다:
i) 표준 밀도 원심분리 절차를 이용하여 PBMC를 단리하고, RPMI 세포 배양 배지 중에 5 x 106 개 세포/㎖로 현탁함;
ii) 표적 세포를 표준 조직 배양 방법에 의해 생육시키고, 90%보다 높은 생존율로 대수증식기로부터 수확하고, RPMI 세포 배양 배지 중에서 세척하고, 51Cr 100 마이크로큐리(micro-Curie)로 표지화하고, 세포 배양 배지로 2회 세척하고, 105 개 세포/㎖의 밀도로 세포 배양 배지에 재현탁시킴;
iii) 상기 최종 표적 세포 현탁액 100 ㎕를 96개-웰 미소적정판의 각 웰에 옮겨넣음;
iv) 항체를 세포 배양 배지 중에서 4000 ng/㎖로부터 0.04 ng/㎖로 연속 희석시키고, 생성되는 항체 용액 50 ㎕를 96개-웰 미소적정판의 표적 세포에 첨가하여, 상기 전체 농도 범위를 포괄하는 다양한 항체 농도를 3회씩 시험함;
v) 최대 방출(MR) 대조군으로서, 표지화된 표적 세포를 함유하는 플레이트의 3개의 추가적인 웰에 항체 용액(상기 iv) 대신 비-이온성 세제(노니뎃(Nonidet), 시그마(Sigma), 미국 세인트루이스 소재)의 2%(VN) 수용액 50 ㎕를 넣음;
vi) 자발적인 방출(SR) 대조군으로서, 표지화된 표적 세포를 함유하는 플레이트의 3개의 추가적인 웰에 항체 용액(상기 iv) 대신 RPMI 세포 배지 50 ㎕를 넣음;
vii) 이어서, 96개-웰 미소적정판을 50 xg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4℃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함;
viii) PBMC 현탁액(상기 i) 50 ㎕를 각 웰에 첨가하여 25:1의 효과기:표적 세포 비를 수득하고, 플레이트를 5% CO2 대기 하에 37℃에서 4시간 동안 항온처리기에 넣어둠;
ix) 각 웰로부터 세포가 없는 상청액을 수확하고, 감마 계수기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방출된 방사능(ER)을 정량화함;
x) 수학식 (ER-MR)/(MR-SR) x 100에 따라 각 항체 농도에 대해 특이적인 세포 용해의 백분율을 계산하는데, 이때 ER은 그 항체 농도에 대해 정량화된 평균 방사능(상기 ix 참조)이고, MR은 MR 대조군(상기 v 참조)에 대해 정량화된 평균 방사능(상기 ix 참조)이고, SR은 SR 대조군(상기 vi 참조)에 대해 정량화된 평균 방사능(상기 ix 참조)임;
4) "증가된 ADCC"는 상기 시험된 항체 농도 범위 내에서 관찰되는 특이적인 세포 용해의 최대 백분율의 증가 및/또는 상기 시험된 항체 농도 범위 내에서 관찰된 특이적인 세포 용해의 최대 백분율의 절반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항체 농도의 감소로서 정의된다. ADCC의 증가는 상기 검정에 의해 측정되고 동일한 항체에 의해 매개되고 동일한 유형의 숙주 세포에 의해 생성되고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동일한 표준 생산, 정제, 제형화 및 저장 방법을 이용하지만, GnTIII을 과발현하도록 조작된 숙주 세포에 의해 생산되지 않은 ADCC에 대한 것이다.
상기 항체의 당화 조작에 의해 상기 "증가된 ADCC"를 수득할 수 있는데, 이는 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및 미국 특허 제6,602,684호에 기재되어 있는 그들의 올리고사카라이드 성분을 조작함으로써 단클론성 항체의 상기 천연, 세포-매개되는 효과기 작용을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용어 "보체-의존성 세포독성(CDC)"은 보체의 존재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체에 의해 인간 종양 표적 세포를 용해시킴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체의 존재 하에 본 발명에 따른 항-CD20 항체로 CD20 발현 세포의 제제를 처리함으로써 CDC를 측정한다. 항체가 4시간 후에 100 nM의 농도에서 종양 세포의 20% 이상의 세포 용해(세포 사멸)를 유도하는 경우 CDC가 발견된다. 바람직하게는, 51Cr 또는 Eu 표지화된 종양 세포 및 방출되는 51Cr 또는 Eu의 측정을 이용하여 검정을 수행한다. 대조군은 보체와 함께, 그러나 항체 없이 종양 표적 세포를 항온처리함을 포함한다.
"리툭시맙" 항체(유형 I 항-CD20 항체의 예)는 인간 CD20 항원을 지향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함유하는 유전자 조작된 키메라 인간 감마 1 뮤린 불변 도메인이다.
"리툭시맙" 항체(유형 I 항-CD20 항체의 예)는 인간 CD20 항원을 지향하는 단클론성 항체를 함유하는 유전자 조작된 키메라 인간 감마 1 뮤린 불변 도메인이다. 이 키메라 항체는 인간 감마 1 불변 도메인을 함유하고, 아이디이씨 파마슈티칼즈 코포레이션(IDEC Pharmaceuticals Corporation)에게 양도된, 1998년 4월 1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36,137호(앤더슨(Anderson) 등)에서 명칭 "C2B8"로 확인된다. 리툭시맙은 재발되거나 불응성의 저등급 또는 소낭성, CD20 양성,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을 앓는 환자의 치료를 위해 승인된다. 시험관내 작용 기작 연구는 리툭시맙이 인간 보체-의존성 세포독성(CDC)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문헌[Reff, M.E., et al., Blood 83 (1994) 435-445]). 또한, 이는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DCC)을 측정하는 검정에서 상당한 활성을 나타낸다. 리툭시맙은 어푸코실화되지 않는다.
항체 푸코스의 양
리툭시맙 (비-어푸코실화됨) >85%
야생형 어푸코실화되고 당화 조작되고 인간화된 B-Ly1(B-HH6-B-KV1)(비-어푸코실화됨) >85%
어푸코실화되고 당화 조작되고 인간화된 B-Ly1(B-HH6-B-KV1 GE) 45-50%
용어 "인간화된 B-Ly1 항체"는 IgG1로부터의 인간 불변 도메인을 사용하여 키메라화시킨 후 인간화시킴으로써(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 참조), 뮤린 단클론성 항-CD20 항체 B-Ly1(뮤린 중쇄의 가변 영역(VH): 서열번호 1; 뮤린 경쇄의 가변 영역(VL): 서열번호 2)(문헌[Poppema, S. and Visser, L., Biotest Bulletin 3 (1987) 131-139] 참조)로부터 수득된,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에 개시된 인간화된 B-Ly1 항체를 지칭한다. 이들 "인간화된 B-Ly1 항체"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 양태에서, "인간화된 B-Ly1 항체"는 서열번호 3 내지 서열번호 19(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의 B-HH2 내지 B-HH9 및 B-HL8 내지 B-HL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쇄의 가변 영역(VH)을 갖는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서, 상기 가변 도메인은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7,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5(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의 B-HH2, BHH-3, B-HH6, B-HH8, B-HL8, B-HL11 및 B-HL1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서, "인간화된 B-Ly1 항체"는 서열번호 20(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의 B-KV1)의 경쇄의 가변 영역(VL)을 갖는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서, "인간화된 B-Ly1 항체"는 서열번호 7(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의 B-HH6)의 중쇄의 가변 영역(VH) 및 서열번호 20(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의 B-KV1)의 경쇄의 가변 영역(VL)을 갖는다. 또한, 한 양태에서 인간화된 B-Ly1 항체는 IgG1 항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4/065540호,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 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99/154342호에 기재되어 있는 절차에 따라 Fc 영역에서 당화 조작된다(GE). 한 양태에서, 어푸코실화된 당화 조작된 인간화된 B-Ly1은 B-HH6-B-KV1 GE이다. 한 양태에서, 항-CD20 항체는 오비누투주맙이다(권고된 INN, 문헌[WHO Drug Information, Vol. 26, No. 4, 2012, p. 453]).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오비누투주맙은 GA101에 대한 동의어이다. 상표명은 가지바(GAZYVA) 또는 가지바로(GAZYVARO )이다. WHO 약물 정보 문헌은 이전 형태를 대체하고(예를 들면, 문헌[Vol. 25, No. 1, 2011, p.75-76]), 이전에 아푸투주맙으로서 공지되었다(권고된 INN, 문헌[WHO Drug Information, Vol. 23, No. 2, 2009, p. 176;Vol. 22, No. 2, 2008, p. 124]).
본 발명에 따른 용어 "MDM2 억제제"는 MDM2의 활성을 0.001 내지 약 2 μM의 IC50, 한 양태에서, 0.002 내지 약 2 μM의 IC50을 갖도록 방지하는 제제를 지칭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MDM2 억제제는 1500 달톤(Da) 이하의 분자량(MW)을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이다.
한 양태에서, MDM2 억제제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또한, MDM2 억제제의 제조 방법이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개시되어 있다. MDM2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개시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에스터, 또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이다(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Ia의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3
상기 식에서,
X는 H, F, Cl, Br, I, 시아노, 니트로, 에틴일, 사이클로프로필,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비닐 및 메톡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H, F, Cl, Br, I, CN, OH, 니트로, 저급 알킬, 사이클로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알켄일, 사이클로알켄일, 저급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COOR', OCOR', CONR'R", NR'COR", NR"SO2R', SO2NR'R" 및 NR'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기이되,
R' 및 R"은 H,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저급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저급 사이클로알킬, 저급 알켄일, 치환된 저급 알켄일, 저급 사이클로알켄일, 치환된 저급 사이클로알켄일,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 및 R"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켄일,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로부터 선택된 환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R1은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치환된 저급 알켄일,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및 치환된 사이클로알켄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3는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R5는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치환된 저급 알켄일,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및 치환된 사이클로알켄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이고,
R6 및 R7은 (CH2)n-R', (CH2)n-NR'R", (CH2)n-NR'COR", (CH2)n-NR'SO2R", (CH2)n-COOH, (CH2)n-COOR', (CH2)n-CONR'R", (CH2)n-OR', (CH2)n-SR', (CH2)n-SOR', (CH2)n-SO2R', (CH2)n-COR', (CH2)n-SO3H, (CH2)n-SONR'R", (CH2)n-SO2NR'R", (CH2CH2O)m-(CH2)n-R', (CH2CH2O)m-(CH2)n-OH, (CH2CH2O)m-(CH2)n-OR', (CH2CH2O)m-(CH2)n-NR'R", (CH2CH2O)m-(CH2)n-NR'COR", (CH2CH2O)m-(CH2)n-NR'SO2R", (CH2CH2O)m-(CH2)n-COOH, (CH2CH2O)m-(CH2)n-COOR', (CH2CH2O)m-(CH2)n-CONR'R", (CH2CH2O)m-(CH2)n-SO2R', (CH2CH2O)m-(CH2)n-COR', (CH2CH2O)m-(CH2)n-SONR'R", (CH2CH2O)m-(CH2)n-SO2NR'R", (CH2)p-(CH2CH2O)m-(CH2)n-R', (CH2)p-(CH2CH2O)m-(CH2)n-OH, (CH2)p-(CH2CH2O)m-(CH2)n-OR', (CH2)p-(CH2CH2O)m-(CH2)n-NR'R", (CH2)p-(CH2CH2O)m-(CH2)n-NR'COR", (CH2)p-(CH2CH2O)m-(CH2)n-NR'SO2R", (CH2)p-(CH2CH2O)m-(CH2)n-COOH, (CH2)p-(CH2CH2O)m-(CH2)n-COOR', (CH2)p-(CH2CH2O)m-(CH2)n-CONR'R", (CH2)p-(CH2CH2O)m-(CH2)n-SO2R', (CH2)p-(CH2CH2O)m-(CH2)n-COR', (CH2)p-(CH2CH2O)m-(CH2)n-SONR'R", (CH2)p-(CH2CH2O)m-(CH2)n-SO2NR'R", -COR', -SOR' 및 SO2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R' 및 R"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m, n 및 p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다.
X가 F, Cl 또는 Br이고,
Y가 H, F, Cl, Br, I, CN, OH, 니트로, 저급 알킬, 사이클로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알켄일, 저급 사이클로알켄일 및 저급 알킨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기이고,
R1이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치환된 저급 알켄일,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및 치환된 사이클로알켄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가 수소이고,
R3가 H이고,
R5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치환된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가 수소이고,
R6 및 R7이 (CH2)n-R', (CH2)n-NR'R", (CH2)n-NR'COR", (CH2)n-NR'SO2R", (CH2)n-COOH, (CH2)n-COOR', (CH2)n-CONR'R", (CH2)n-OR', (CH2)n-SR', (CH2)n-SOR', (CH2)n-SO2R', (CH2)n-COR', (CH2)n-SO3H, (CH2)n-SONR'R", (CH2)n-SO2NR'R", (CH2CH2O)m-(CH2)n-R', (CH2CH2O)m-(CH2)n-OH, (CH2CH2O)m-(CH2)n-OR', (CH2CH2O)m-(CH2)n-NR'R", (CH2CH2O)m-(CH2)n-NR'COR", (CH2CH2O)m-(CH2)n-NR'SO2R", (CH2CH2O)m-(CH2)n-COOH, (CH2CH2O)m-(CH2)n-COOR', (CH2CH2O)m-(CH2)n-CONR'R", (CH2CH2O)m-(CH2)n-SO2R', (CH2CH2O)m-(CH2)n-COR', (CH2CH2O)m-(CH2)n-SONR'R", (CH2CH2O)m-(CH2)n-SO2NR'R", (CH2)p-(CH2CH2O)m-(CH2)n-R', (CH2)p-(CH2CH2O)m-(CH2)n-OH, (CH2)p-(CH2CH2O)m-(CH2)n-OR', (CH2)p-(CH2CH2O)m-(CH2)n-NR'R", (CH2)p-(CH2CH2O)m-(CH2)n-NR'COR", (CH2)p-(CH2CH2O)m-(CH2)n-NR'SO2R", (CH2)p-(CH2CH2O)m-(CH2)n-COOH, (CH2)p-(CH2CH2O)m-(CH2)n-COOR', (CH2)p-(CH2CH2O)m-(CH2)n-CONR'R", (CH2)p-(CH2CH2O)m-(CH2)n-SO2R', (CH2)p-(CH2CH2O)m-(CH2)n-COR', (CH2)p-(CH2CH2O)m-(CH2)n-SONR'R", (CH2)p-(CH2CH2O)m-(CH2)n-SO2NR'R", -COR', -SOR' 및 SO2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R' 및 R"이 H,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저급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저급 사이클로알킬, 저급 알켄일, 치환된 저급 알켄일, 저급 사이클로알켄일, 치환된 저급 사이클로알켄일,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 및 R"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켄일,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로부터 선택된 환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m, n 및 p가 독립적으로 0 내지 6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에스터가 특히 바람직하다.
X가 F, Cl 또는 Br이고,
Y가 H 또는 F로부터 선택된 일-치환기이고,
R1이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치환된 저급 알켄일, 헤테로사이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및 치환된 사이클로알켄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추가로 바람직한 R1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4
로부터 선택된 치환된 저급 알킬이되,
R8 및 R9은 둘 다 메틸이거나, 연결되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기를 형성하고,
R10은 (CH2)m-R11이고,
m은 0, 1 또는 2이고,
R11은 수소, 하이드록시,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이고,
R3는 H이고,
R5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5
로부터 선택된 치환된 페닐이되,
W는 F, Cl 또는 Br이고,
V는 H 또는 F이고,
R4는 수소이고,
R6 및 R7 중 하나는 수소이고, 나머지 하나는 (CH2)n-R'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a]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6
상기 식에서,
R6, 및 R6에 대한 정의에 언급된 모든 변수 및 치환기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또 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제공되되, R6는 -(CH2)n-R'이고,
R'은 사이클로헥실, 또는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가 N, S 또는 O로 대체될 수 있는 5 내지 10원의 일환형 또는 이환형 방향족 탄화수소이되, 임의의 전술된 사이클로헥실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는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다이옥소-저급 알킬렌(예를 들면 벤조다이옥실 기를 형성함), 할로겐, 하이드록시, CN, CF3, NH2, N(H, 저급 알킬), N(저급 알킬)2, 아미노카본일, 카복시, NO2, 저급 알콕시, 티오-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설폰일, 아미노설폰일, 저급 알킬카본일, 저급 알킬카본일옥시, 저급 알콕시카본일, 저급 알킬-카본일-NH, 플루오로-저급 알킬, 플루오로-저급 알콕시, 저급 알콕시-카본일-저급 알콕시, 카복시-저급 알콕시, 카바모일-저급 알콕시, 하이드록시-저급 알콕시, NH2-저급 알콕시, N(H, 저급 알킬)-저급 알콕시, N(저급 알킬)2-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1-옥시란일-저급 알콕시-저급 알킬, 2-옥소-피롤리딘-1-일, (1,1-다이옥소)-2-이소티아졸리딘, 3-저급 알킬 설핀일,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환형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 고리, 트라이플루오로-저급 알킬설폰일아미노-아릴, 저급 알킬 설폰일아미노카본일, 저급 알킬 설폰일아미노카본일-아릴, 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닐, 벤질옥시-저급 알콕시, 모노- 또는 다이-저급 알킬 치환된 아미노-설폰일 및 저급 알킬(이는 할로겐, 하이드록시, NH2, N(H, 저급 알킬) 또는 N(저급 알킬)2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로 1회 또는 2회 치환될 수 있고,
n은 0 또는 1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제공되되,
R6는 -(CH2)n-R'이고,
R'은 할로겐, C1-6 알콕시, C1-6 알킬, 하이드록시카본일, 카복시, 카복시 C1-6 알콕시, 옥소 및 C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로 각각 1 또는 2회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페닐, 피리딘일, 피라진일 또는 피리미딘일이고,
n은 0이다.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카복시산 메틸 에스터,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카복시산,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2-메톡시-벤조산 메틸 에스터,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2-메톡시-벤조산,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2-플루오로-벤조산 메틸 에스터,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2-플루오로-벤조산,
키랄 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피리딘-2-카복시산 메틸 에스터,
키랄 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피리딘-2-카복시산,
키랄 6-({[(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니코틴산 에틸 에스터,
키랄 6-({[(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니코틴산,
rac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에톡시-벤조산,
키랄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하이드라지노카본일-페닐)-아미드,
키랄 [2-(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에틸]-카밤산 tert-부틸 에스터,
키랄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2-아미노-에틸)-페닐]-아미드,
키랄 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피라진-2-카복시산,
키랄 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메틸)-2-메톡시벤조산,
키랄-4-({[(2S,3R,4S,5R)-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메틸)-2-메톡시-벤조산,
키랄 메틸 3-(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페닐)프로파노에이트,
키랄 3-(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페닐)프로판산,
키랄-4-(((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메틸)-2-플루오로벤조산,
키랄 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메틸)-2-플루오로벤조산,
키랄 (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N-(2-모폴리노피리미딘-5-일)-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드,
키랄 (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N-(피리미딘-5-일)피롤리딘-2-카복스아미드,
키랄 (2S,3R,4S,5R)-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다이메틸아미노메틸-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다이메틸아미노메틸-페닐)-아미드,
키랄 메틸 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1H-벤조[d]이미다졸-2-카복시레이트,
키랄-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1H-벤조[d]이미다졸-2-카복시산,
키랄-메틸 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벤조퓨란-2-카복시레이트,
키랄-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벤조퓨란-2-카복시산,
키랄-메틸 4-(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페닐)부타노에이트,
키랄-4-(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페닐)부탄산,
키랄 메틸 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벤조[d]옥사졸-2-카복시레이트,
키랄-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벤조[d]옥사졸-2-카복시산,
키랄-(2R,3S,4R,5S)-N-(벤조[d]옥사졸-5-일)-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드,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벤질)-카밤산 tert-부틸 에스터,
rac-(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아미노메틸-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메탄설폰일아미노-메틸)-페닐]-아미드,
1-(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피페리딘-4-카복시산 에틸 에스터,
1-(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피페리딘-4-카복시산,
rac-(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다이메틸아미노메틸-페닐)-아미드,
rac-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피롤리딘-1-일-벤조산,
rac-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4-메틸-피페리딘-1-카복시산 tert-부틸 에스터,
rac-(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드,
rac-(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1-메탄설폰일-4-메틸-피페리딘-4-일)-아미드,
메틸 1-(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페닐)피롤리딘-2-카복시레이트,
1-(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네오펜틸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페닐)피롤리딘-2-카복시산,
키랄 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1H-피롤-2-카복시산,
키랄 5-{[(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1H-피롤-2-카복시산 에틸 에스터,
키랄 (R)-2-(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부티르산,
키랄 (S)-2-(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부티르산,
키랄 (S)-2-{[(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티아졸-4-일-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터,
키랄 (S)-2-{[(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티아졸-4-일-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터,
키랄 (S)-2-{[(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티아졸-4-일-프로피온산,
키랄 (S)-2-{[(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티아졸-4-일-프로피온산,
키랄 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1H-인돌-2-카복시산,
rac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5-요오도-피리딘-2-일)-아미드,
2-클로로-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벤조산,
6-{[(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니코틴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피리딘-2-일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피리딘-4-일아미드,
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피리딘-2-카복시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피리딘-3-일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요오도-3,5다이메틸-페닐)-아미드,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플루오로-벤조산 tert-부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플루오로-벤조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플루오로-벤조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요오도-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드,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벤조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벤조산,
6-{[(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니코틴산,
6-{[(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니코틴산 메틸 에스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6-요오도-피리딘-3-일)-아미드,
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피리딘-2-카복시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6-카바모일-나프탈렌-2-일)-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3-클로로-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드,
5-{[(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피리딘-2-카복시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플루오로-벤조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클로로-벤조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클로로-벤조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2-플루오로-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2-메톡시-페닐)-아미드,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5-다이플루오로-벤조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5-다이플루오로-벤조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3,5-다이플루오로-4-요오도-페닐)-아미드,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조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하이드록시-벤조산,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3-메톡시-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3-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3-플루오로-페닐)-아미드,
(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카바모일-2-클로로-페닐)-아미드,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벤조산 메틸 에스터,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벤조산,
2-(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4-메틸-펜탄산,
키랄 2-(4-{[(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터,
키랄 2-(4-{[(2R,3S,4R,5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페닐)-2-메틸-프로피온산,
키랄 (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1-메틸-1-메틸카바모일-에틸)-페닐]-아미드,
키랄 (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1-(3-하이드록시-프로필카바모일)-1-메틸-에틸]-페닐} 아미드, 및
키랄 (2S,3R,4S,5R)-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복시산 [4-(1-카바모일-1-메틸-에틸)-페닐]-아미드.
지시된 본원에서, 다양한 기는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다이옥소-저급 알킬렌(예를 들면 벤조다이옥실 기를 형성함), 할로겐, 하이드록시, CN, CF3, NH2, N(H, 저급 알킬), N(저급 알킬)2, 아미노카본일, 카복시, NO2, 저급 알콕시, 티오-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설폰일, 아미노설폰일, 저급 알킬카본일, 저급 알킬카본일옥시, 저급 알콕시카본일, 저급 알킬-카본일-NH, 플루오로-저급 알킬, 플루오로-저급 알콕시, 저급 알콕시-카본일-저급 알콕시, 카복시-저급 알콕시, 카바모일-저급 알콕시, 하이드록시-저급 알콕시, NH2-저급 알콕시, N(H, 저급 알킬)-저급 알콕시, N(저급 알킬)2-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1-옥시란일-저급 알콕시-저급 알킬, 2-옥소-피롤리딘-1-일, (1,1-다이옥소)-2-이소티아졸리딘, 3-저급 알킬 설핀일,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환형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 고리, 트라이플루오로-저급 알킬설폰일아미노-아릴, 저급 알킬 설폰일아미노카본일, 저급 알킬 설폰일아미노카본일-아릴, 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닐, 벤질옥시-저급 알콕시, 모노- 또는 다이-저급 알킬 치환된 아미노-설폰일 및 저급 알킬(이는 할로겐, 하이드록시, NH2, N(H, 저급 알킬) 또는 N(저급 알킬)2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 고리에 대한 바람직한 치환기는 할로겐,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 하이드록시카본일, 카복시, 카복시 저급 알콕시, 옥소 및 CN이다. 알킬에 대한 바람직한 치환기는 알콕시 및 N(저급 알킬)2이다.
용어 "알킬"은 1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 기(1 내지 약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기를 포함함)를 지칭한다. 특정 양태에서, 알킬 치환기는 저급 알킬 치환기일 수 있다. 용어 "저급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특정 양태에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를 지칭한다. 알킬 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및 s-펜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사이클로알킬"은 탄소 원자로만 구성된 임의의 안정한 일환형 또는 다환형 시스템으로서 이의 임의의 고리가 포화된 시스템을 지칭하고, 용어 "사이클로알켄일"은 탄소 원자로만 구성된 임의의 안정한 일환형 또는 다환형 시스템으로서 이의 하나 이상의 고리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시스템을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아만틸, 사이클로옥틸, 바이사이클로알킬(바이사이클로옥탄, 예컨대 [2.2.2]바이사이클로옥탄 또는 [3.3.0]바이사이클로옥탄, 바이사이클로노난, 예컨대 [4.3.0]바이사이클로노난, 및 바이사이클로데칸, 예컨대 [4.4.0]바이사이클로데칸(데칼린)을 포함함), 또는 스피로 화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클로알켄일의 예는 사이클로펜텐일 또는 사이클로헥센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켄일"은 하나의 이중 결합 및 2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알켄일 기"의 예는 비닐 에텐일, 알릴, 이소프로펜일, 1-프로펜일, 2-메틸-1-프로펜일, 1-부텐일, 2-부텐일, 3-부텐일, 2-에틸-1-부텐일, 3-메틸-2-부텐일, 1-펜텐일, 2-펜텐일, 3-펜텐일, 4-펜텐일, 4-메틸-3-펜텐일, 1-헥센일, 2-헥센일, 3-헥센일, 4-헥센일 및 5-헥센일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킨일"은 하나의 삼중 결합 및 2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알킨일 기"의 예는 에틴일, 1-프로핀일, 2-프로핀일, 1-부틴일, 2-부틴일, 3-부틴일, 1-펜틴일, 2-펜틴일, 3-펜틴일, 4-펜틴일, 1-헥신일, 2-헥신일, 3-헥신일, 4-헥신일 및 5-헥신일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도드, 바람직하게는 불소 및 염소를 의미한다.
"아릴"은 일가의 일환형 또는 이환형 방향족 탄소환형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원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아릴 기는 페닐, 나프틸, 톨릴 및 자일릴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릴 기가 이환형인 경우, 바람직한 기는 1,3-다이옥소-2,3-다이하이드로-1H-이소인돌-5-일 기이다.
"헤테로아릴"은 2개 이하의 고리를 함유하는 방향족 헤테로환형 고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 기는 티엔일, 퓨릴, 인돌릴, 피롤릴, 피리딘일, 피라진일, 옥사졸릴, 티악솔릴, 퀴놀린일, 피리미딘일, 이미다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트라이아졸릴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테트라아졸릴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환형인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경우, 하나의 고리가 아릴일 수 있는 반면에, 나머지 하나가 헤테로아릴이고, 둘 다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환형 고리"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가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로부터 선택된 헤테로 원자로 대체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5 내지 8원, 일환형 또는 이환형, 비-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예는 피롤리딘-2-일; 피롤리딘-3-일; 피페리딘일; 모폴린-4-일 등(이들은 차례로 치환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헤테로 원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의미한다.
"알콕시, 알콕실 또는 저급 알콕시"는 산소 원자에 부착된 임의의 상기 저급 알킬 기를 지칭한다. 전형적 저급 알콕시 기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프로폭시, 부틸옥시 등을 포함한다. 알콕시의 의미 내에 다중 알콕시 측쇄, 예를 들면 에톡시 에톡시, 메톡시 에톡시, 메톡시 에톡시 에톡시 등, 및 치환된 알콕시 측쇄, 예를 들면 다이메틸아미노 에톡시, 다이에틸아미노 에톡시, 다이메톡시-포스포릴 메톡시 등이 추가로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은 특정 화합물을 투여받는 개체에게 약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실질적으로 비독성임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효과 및 특성을 보유하고 적합한 비독성 유기 산 또는 무기 산 또는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로부터 형성된 종래의 산 부가 염 또는 염기 부가 염을 지칭한다. 샘플 산 부가 염은 무기 산, 예컨대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설팜산, 인산 및 질산으로부터 유도된 것, 및 유기 산, 예컨대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메탄설폰산, 옥살산, 석신산, 시트르산, 말산, 락트산, 퓨마르산, 트라이플루오로 아세트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한다. 샘플 염기 부가 염은 수산화 암모늄,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및 수산화 사차 암모늄, 예컨대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한다. 약학 화합물(즉, 약물)의 염으로의 화학적 개질은 화합물의 개선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 흡습성, 유동성 및 용해도를 수득하도록 약화학자에게 주지된 기술이다. 예를 들면, 문헌[Ansel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and Drug Delivery Systems (6th Ed. 1995) at pp. 196 and 1456- 1457]을 참조한다.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갖는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은 라세미 혼합물 또는 상이한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이성질체는 공지된 분리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고 상기 화학식 I 또는 Ia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호변 이성 또는 구조 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들 화합물의 임의의 호변 이성질체 또는 구조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형태의 혼합물을 포괄하고 상기 화학식으로 도시된 임의의 하나의 호변 이성질체 또는 구조 이성질체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이 의도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MDM2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의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에스터 또는 다형체이다.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의 실시예 448은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또한, 이러한 화합물은 동의어로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MDM2(4), RG7388 또는 RO5503781로도 지칭된다.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7
본 발명에 따른 MDM2 억제제의 제조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11/0983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은 알칼리 금속(칼륨, 나트륨 등)을 갖는 염, 알칼리토 금속(칼슘, 마그네슘 등)을 갖는 염, 암모늄 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아민(테트라메틸암모늄, 트라이에틸아민, 메틸아민, 다이메틸아민, 사이클로펜틸아민, 벤질아민, 페네틸아민, 피페리딘, 모노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리신, 아르기닌, N-메틸-D-글루카민 등)을 갖는 염, 및 산 부가 염[무기 산 염(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등) 및 유기 산 염(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이세티오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글루코네이트 등)]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IC50"은 측정된 특정 활성의 50%를 억제하는 데 필요한 특정 화합물의 농도를 지칭한다.
올리고사카라이드 성분은 물리적 안정성, 단백질분해효소 공격에 대한 저항성, 면역계와의 상호작용, 약동학 및 특이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비롯하여 치료용 당단백질의 효능과 관련되는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존재 또는 부재뿐만 아니라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특이적인 구조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올리고사카라이드 구조와 당당백질 작용 사이의 관계를 어느 정도 일반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올리고사카라이드 구조는 특정 탄수화물 결합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혈류로부터의 당단백질의 신속한 제거를 매개하는 한편, 다른 것들은 항체에 의해 결합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문헌[Jenkins, N., et al., Nature Biotechnol. 14 (1996) 975-981]).
포유동물 세포는 인간 적용 시에 가장 상용가능한 형태로 단백질을 당화시키는 이들의 능력으로 인해 치료용 당단백질의 생산에 탁월한 숙주이다(문헌[Cumming, D.A., et al., Glycobiology 1 (1991) 115-130]; 문헌[Jenkins, N., et al., Nature Biotechnol. 14 (1996) 975-981]). 세균은 단백질을 거의 당화시키지 않고, 효모, 사상균, 곤충 및 식물 세포와 같은 다른 유형의 통상적인 숙주와 마찬가지로 혈류로부터의 신속한 제거,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상호작용 및 일부 특정한 경우 감소된 생물학적 활성과 연관된 당화 패턴을 수득한다. 포유동물 세포 중에서,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가 지난 20년 동안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적합한 당화 패턴을 제공함에 더하여, 이들 세포는 유전학적으로 안정하고 고도로 생산성인 클론 세포주를 일관되게 생산할 수 있다. 이들은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여 단순한 생물 반응기에서 고밀도로 배양될 수 있고, 안전하고 재현성 있는 생물학적 공정의 개발을 가능케 한다.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물 세포로는 새끼 햄스터 신장(BHK) 세포, NSO- 및 SP2/0-마우스 골수종 세포가 포함된다. 더욱 최근에는, 유전자 이식된 동물로부터의 생산 또한 시험되었다(문헌[Jenkins, N., et al., Nature Biotechnol. 14 (1996) 975-981]).
모든 항체는 중쇄 불변 영역에서 보존된 위치에 탄수화물 구조를 함유하고, 각 이소타입은 N-연결된 탄수화물 구조의 개별 어레이를 갖는데, 이는 단백질 조립, 분비 또는 작용적 활성에 가변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문헌[Wright, A. and Morrison, S.L., Trends Biotech. 15 (1997) 26-32]). 부착된 N-연결된 탄수화물의 구조는 가공 정도에 따라 상당히 변화되고, 고-만노스, 다중-분지 및 바이안테너리 복합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문헌[Wright, A. and Morrison, S.L., Trends Biotech. 15 (1997) 26-32]). 전형적으로, 단클론성 항체라도 복수개의 당형태로서 존재하도록 특정 당화 부위에 부착된 코어 올리고사카라이드 구조의 불균일한 가공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세포주 사이에서는 항체 당화의 큰 차이가 발생하고, 상이한 배양 조건 하에 생육된 소정의 세포주의 경우에도 작은 차이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Lifely, M.R., et al., Glycobiology 5 (1995) 813-822]).
간단한 생산 공정을 유지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심각한 부작용을 피하면서 효력의 큰 증가를 수득하는 한가지 방법은, 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및 미국 특허 제6,602,68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올리고사카라이드 성분을 조작함으로써 단클론성 항체의 자연적인, 세포-매개되는 효과기 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암 면역 요법에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체인 IgG1 유형 항체는 각 CH2 도메인에서 Asn297에 보존된 N-연결된 당화 부위를 갖는 당단백질이다. Asn297에 부착된 2개의 복합 바이안테너리 올리고사카라이드는 CH2 도메인 사이에 매립되어 폴리펩티드 주쇄와 광범위한 접촉을 형성하고, 이들의 존재는 항체가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과 같은 효과기 작용을 매개하는 데 필수적이다(문헌[Lifely, M.R., et al., Glycobiology 5 (1995) 813-822]; 문헌[Jefferis, R., et al., Immunol. Rev. 163 (1998) 59-76]; 문헌[Wright, A. and Morrison, S.L., Trends Biotechnol. 15 (1997) 26-32]).
이분된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형성을 촉매화하는 글리코실전달효소인 β(1,4)-N-아세틸글루코사민일전달효소 III("GnTIII7y")의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서의 과발현이 조작된 CHO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항신경아세포종 키메라 단클론성 항체(chCE7)의 시험관내 ADCC 활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것은 이미 제시되어 있다(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99/154342호 참조,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혼입됨). 항체 chCE7은 높은 종양 친화력 및 특이성을 갖지만 GnTIII 효소가 결핍된 표준 공업용 세포주에서 생산되는 경우 효력이 너무 작아서 임상적으로 유용하지 못한 컨주케이트화되지 않은 단클론성 항체의 대 부류에 속한다(문헌[Umana, P. et al., Nature Biotechnol. 17 (1999) 176-180]). 이 연구는 항체를 조작하여 GnTIII을 발현하는 세포를 생산함으로써(이는 또한 이분된 비-푸코실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비롯하여 불변 영역(Fc)-결합된 이분된 올리고사카라이드의 비율을 천연-발생 항체에서 발견되는 수준보다 높게 증가시켰음) ADCC 활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 첫 연구였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암"은, 하기 암 중 임의의 것의 불응성 형태 또는 하기 암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비롯하여, 림프종, 림프성 백혈병, 폐암, 비-소세포 폐암(NSCL), 기관지 폐포 세포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의 암, 위암, 위장관암, 결장암, 유방암, 자궁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부 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세포암, 신우암, 중피종, 간암, 담관암, 중추신경계(CNS)의 종양, 척추 종양, 뇌간 교세포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성상세포종, 신경초종, 상의세포종, 수모세포종, 뇌수막종, 편평세포암종, 뇌하수체 선종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용어 "암"은 CD20 발현 암을 지칭한다.
용어 "CD20(항원)의 발현"은 각각 종양 또는 암, 바람직하게는 비-고형암으로부터의 세포, 바람직하게는 T- 또는 B-세포, 더욱 바람직하게는 B-세포의 세포 표면 상에서 CD20 항원의 상당한 발현 수준을 나타내고자 한다.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표준 검정에 의해 "CD20 발현 암" 환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조직화학(IHC) 검출, FACS를 이용하여 또는 상응하는 mRNA의 PCR-계 검출을 통해, CD20 항원 발현을 측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CD20 발현 암"은 암세포가 CD20 항원의 발현을 나타내는 모든 암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사용되는 CD20 발현 암은 림프종(바람직하게는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HL)) 및 림프성 백혈병을 지칭한다. 이러한 림프종 및 림프성 백혈병은, 예를 들면 a) 소낭성 림프종, b) 비-분할성 소세포 림프종/버킷(Burkitt) 림프종(풍토성 버킷 림프종, 산발성 버킷 림프종 및 비-버킷 림프종 포함), c) 변연부 림프종[결절외 변연부 B 세포 림프종(점막-결합 림프 조직 림프종, MALT), 결절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및 비장 변연부 림프종 포함], d) 맨틀세포 림프종(MCL), e) 대세포 림프종(B-세포 미만성 대세포 림프종(DLCL), 미만성 혼합 세포 림프종, 면역모세포 림프종, 종격동 B-세포 림프종, 혈관 중심성 림프종-폐 B-세포 림프종), f) 모발상 세포 백혈병, g) 림프구성 림프종, 발덴스트롬(waldenstrom) 거대글로불린혈증, h)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소림프구성 림프종(SLL), B-세포 전림프성 백혈병, i) 형질세포 종양, 형질세포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 형질세포종, j) 호지킨병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CD20 발현 암은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HL)이다. 다른 양태에서, CD20 발현 암은 맨틀세포 림프종(MCL),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 B-세포 미만성 대세포 림프종(DLCL), 버킷 림프종, 모발상 세포 백혈병, 소낭성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변연부 림프종, 이식 후 림프 증식성 질환(PTLD), HIV 관련 림프종,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또는 원발성 CNS 림프종이다.
용어 "치료하는 방법", "치료 방법" 또는 그의 등가 용어는, 예컨대 암에 적용되는 경우, 환자에서 암 세포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또는 암의 증상을 경감시키도록 고안된 절차 또는 행위의 과정을 지칭한다. 암 또는 다른 증식성 질환의 "치료 방법"은 반드시 암 세포 또는 다른 질환이 실제로 제거되거나, 세포 또는 질환의 수가 실제로 감소되거나, 암 또는 다른 질환의 증상이 실제로 경감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종종, 성공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라도, 환자의 병력 및 추정되는 생존 기대를 고려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유리한 행위의 과정을 유도해내는 것으로 보이는 암 치료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용어 "조합", "공동-투여" 또는 "공동으로 투여하는"은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를 2개의 별개의 제형으로서(또는 하나의 단일 제형으로서) 투여함을 지칭한다. 공동-투여는 동시일 수 있거나 아무 순서대로나 연속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두(또는 모든) 활성 제제가 동시에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발휘하는 기간이 존재한다.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항-CD20 어푸코실화된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는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공동-투여된다[예를 들면, 연속 주입(하나는 항-CD20 항체용, 마지막으로 하나는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용)을 통해 정맥내(i.v.); 또는 예를 들면 항-CD20 항체는 연속 주입을 통해 정맥내(i.v.) 투여되고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는 경구 투여됨]. 두 치료제를 순차적으로 공동-투여하는 경우, 같은 날에 2회의 별도 투여로 투약량을 투여하거나, 제제 중 하나는 제1일에 투여하고 두 번째 제제는 제2일 내지 제7일, 바람직하게는 제2일 내지 제4일에 공동-투여한다. 따라서, 용어 "순차적으로"는 첫 번째 성분(항-CD20 항체 또는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을 투여한 후 7일 이내, 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성분을 투여한 후 4일 이내를 의미하고; 용어 "동시에"는 동일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의 유지 투약량과 관련하여 용어 "공동-투여"는 치료 주기가 두 약물 모두에게 적절한 경우, 유지 투약량을 동시에, 예컨대 매주 공동-투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를, 예를 들면 매 1일 내지 3일에 투여하고,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체를 매주 투여한다. 또는 유지 투약량을 1일 이내 또는 수 일 이내에 순차적으로 공동-투여한다.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가 추구하는 조직, 계통, 동물 또는 인간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개별 화합물 또는 조합물의 양인 "치료 효과량"(또는 간단히 "효과량")으로 항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항-CD20 어푸코실화된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의 공동-투약량 및 공동-투여의 시간은 치료되는 환자의 유형(종, 성별, 연령, 체중 등) 및 병태, 및 치료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는 1회로 또는 일련의 치료(예를 들면, 동일한 날 또는 다음 날)에 걸쳐 환자에게 적합하게 공동-투여된다.
투여가 정맥내 투여인 경우,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의 최초 주입 시간은 후속 주입 시간보다 더 길 수 있고, 예를 들면, 최초 주입의 경우 약 90분이고, (최초 주입시 내약성이 우수하면) 후속 주입의 경우 약 30분이다.
질병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라, 약 0.1 내지 50 mg/kg(예를 들면, 0.1 내지 20 mg/kg)의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1 ㎍/kg 내지 50 mg/kg(예를 들면, 0.1 내지 20 mg/kg)의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가 환자에 대한 두 약물의 공동-투여를 위한 초기 후보 투약량이다. 한 양태에서,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의 바람직한 투약량은 약 0.05 내지 약 30 mg/kg의 범위일 것이다. 따라서, 약 0.5, 2.0, 4.0, 10 또는 30 mg/kg(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투약량을 환자에게 공동-투여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상기 Bcl-2 억제제(바람직하게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의 바람직한 투약량은 약 0.05 내지 약 30 mg/kg 범위일 것이다. 따라서, 약 0.5, 2.0, 4., 10 또는 30 mg/kg(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투약량을 환자에게 공동-투여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상기 MDM2 억제제(바람직하게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의 바람직한 투약량은 약 0.05 내지 약 30 mg/kg 범위일 것이다. 따라서, 약 0.5, 2.0, 4.0, 10 또는 30 mg/kg(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투약량을 환자에게 공동-투여할 수 있다.
환자의 유형(종, 성별, 연령, 중량 등) 및 병태 및 유형 I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리툭시뭅)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의 유형(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에 따라서,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의 투약량 및 투여 일정은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예컨대 매 1 내지 3주에 투여될 수 있고,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는 매일 또는 매 2 내지 10일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초기의 보다 높은 로딩 투약량, 및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보다 낮은 투약량이 투여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유형 I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리툭시맙)의 바람직한 투약량은 8-주-투여-주기의 제1일, 제8일, 제15일, 제22일, 제29일, 제36일, 제43일, 제50일, 제57일에 약 100 내지 약 1,000 mg/m2일 것이다.
한 양태에서,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의 바람직한 투약량은 3- 내지 6-주-투여-주기의 제1일, 제8일, 제15일에 800 내지 1,600 mg(한 양태에서, 800 내지 1,200 mg) 및 이어서 9회 이하의 3- 내지 4-주-투여-주기의 제1일에 400 내지 1,200(한 양태에서, 800 내지 1,200 mg)의 투약량일 것이다.
한 양태에서, Bcl-2 억제제가 상기에 기재된 Bcl-2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바람직하게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인 경우, 상기 Bcl-2 억제제의 투약량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약량은 경구 투여로서 매일 또는 격일에 1회 10 내지 70 mg/k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 mg/kg이다.
한 양태에서, MDM2 억제제가 상기에 기재된 MDM2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인 경우 상기 MDM2 억제제에 대한 투약량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약량은 경구 투여로서 매일 또는 격일에 1회 10 내지 70 mg/k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 mg/kg이다.
권고된 투약량은 화학요법제가 추가로 공동-투여될 것인지의 여부 및 화학요법제의 유형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 바람직하게는 CD20 발현 암 환자에서 전이 또는 추가적인 전파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환자의 생존 기간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환자의 무진행 생존을 증가시키고, 응답 기간을 증가시켜, 생존 기간, 무진행 생존, 응답 속도 또는 응답 기간에 의해 측정되는 치료되는 환자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을 야기하는 데 유용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일군의 환자에서 응답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가의 다른 세포독성제, 화학요법제 또는 항암제, 또는 이러한 제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화합물 또는 이온화 방사선(예컨대, 사이토카인)을 암의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 병용 요법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자는 의도되는 목적에 효과적인 양으로 조합물에 적합하게 존재한다. 한 양태에서,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 바람직하게는 리툭시맙,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 병용 요법을 이러한 추가적인 세포독성제, 화학요법제 또는 항암제, 또는 이러한 추가적인 제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화합물 없이 사용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제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TX; 예컨대 사이톡산(cytoxan: 등록상표)), 클로람부실(CHL; 예를 들면, 류케란(leukeran: 등록상표)), 시스플라틴(CisP; 예를 들면, 플라티놀(platinol: 등록상표)), 부설판(예를 들면, 마일레란(myleran: 등록상표)), 멜팔란, 카무스틴(BCNU), 스트렙토조토신, 트라이에틸렌멜라민(TEM), 미토마이신 C 등과 같은 알킬화제 또는 알킬화 작용을 갖는 제제; 메토트렉세이트(MTX), 에토포사이드(VP16; 예를 들면, 베페시드(vepesid: 등록상표)), 6-머캅토퓨린(6MP), 6-티옥구아닌(6TG), 사이타라빈(Ara-C),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예를 들면, 젤로다(Xeloda: 등록상표)), 다카바진(DTIC) 등과 같은 대사길항물질; 액티노마이신 D, 독소루비신(DXR; 예컨대,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등록상표)), 다우노루비신(다우노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미트라마이신 등과 같은 항생제; 빈크리스틴(VCR), 빈블라스틴 등과 같은 빈카 알칼로이드 등의 알칼로이드; 및 파클리탁셀(예를 들면, 탁솔(taxol: 등록상표)) 및 파클리탁셀 유도체, 세포정지제, 덱사메타손(DEX; 예컨대, 데카드론(decadron: 등록상표))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프레드니손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하이드록시우레아와 같은 뉴클레오사이드 효소 억제제, 아스파라기나제와 같은 아미노산 결핍 효소, 류코보린 및 다른 엽산 유도체, 및 유사한 다양한 항종양제 등의 다른 항종양제를 포함한다. 하기 제제를 또한 추가적인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니포스틴(예를 들면, 에티올(ethyol: 등록상표)), 닥티노마이신, 메클로레타민(질소 머스타드), 스트렙토조신,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로무스틴(CCNU), 독소루비신 리포(예를 들면, 독실(doxil: 등록상표)), 겜시타빈(예를 들면, 겜자(gemzar: 등록상표)), 다우노루비신 리포(예컨대, 다우녹솜(daunoxome: 등록상표)), 프로카바진, 미토마이신, 도세탁셀(예컨대, 탁소테레(taxotere: 등록상표)), 알데스류킨,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클라드리빈, 캄프토테신, CPT 11(이리노테칸), 10-하이드록시 7-에틸-캄프토테신(SN38), 플록수리딘, 플루다라빈, 이포스파마이드, 이다루비신, 메스나,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알파, 미토잔트론, 토포테칸, 류프롤라이드, 메게스트롤, 멜팔란, 머캅토퓨린, 플리카마이신, 미토테인, 페가스파가스, 펜토스타틴, 피포브로만, 플리카마이신, 타목시펜, 테니포사이드, 테스톨락톤,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우라실 머스타드, 비노렐빈, 클로람부실. 한 양태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제제 없이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 병용 요법을 사용한다.
화학치료 섭생에 상기 기재된 세포독성제 및 항암제뿐만 아니라,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와 같은 항증식성 표적-특이적 항암 약물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암 치료 분야에서 잘 특징화되어 있고, 본원에서의 이들의 사용은 내약성 및 효율을 모니터링하고, 투여 경로 및 투약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약간의 조정 하에 동일한 고려사항 하에 놓인다. 예를 들면, 세포독성제의 실제 투약량은 조직 배양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결정되는 환자의 배양된 세포 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약량은 추가적인 다른 제제의 부재 하에 사용되는 양에 비해 감소될 것이다.
효과적인 세포독성제의 전형적인 투약량은 제조업체에서 권장되는 범위일 수 있고; 시험관내 응답 또는 동물 모델에서의 응답에 의해 표시되는 경우, 농도 또는 양의 크기의 약 10배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투약량은 의사의 판단, 환자의 상태, 및 초대 배양된 악성 세포 또는 조직 배양된 조직 샘플의 시험관내 응답, 또는 적절한 동물 모델에서 관찰되는 응답에 기초하는 치료 방법의 효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CD20 발현 암의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 병용 요법에 더하여 효과량의 이온화 방사선을 실시할 수 있고/있거나 방사성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의 공급원은 치료되는 환자에 대해 외부적이거나 내부적일 수 있다. 공급원이 환자에 대해 외부적인 경우, 이 요법은 외부 빔 조사 요법(EBRT)으로서 공지된다. 방사선의 공급원이 환자에 대해 내부적인 경우, 이 치료는 근접치료(BT)로 불린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방사성 원자는, 제한되지 않지만, 라듐, 이트륨-90, 세슘-137, 이리듐-192, 아메리슘-241, 금-198, 코발트-57, 구리-67, 테크네튬-99, 요오드-123, 요오드-131 및 인듐-111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항체를 이러한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양태에서,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 병용 요법은 이러한 이온화 방사선 없이 이용된다.
방사선 요법은 절제 또는 수술이 불가능한 종양 및/또는 종양 전이를 제어하기 위한 표준 치료이다. 방사선 요법이 화학요법과 조합되면 개선된 결과가 나타난다. 방사선 요법은 표적 구역에 전달되는 고-선량 방사선이 종양 조직 및 정상 조직 둘 다에 있는 생식 세포의 사멸을 야기하는 원리에 기초한다. 방사선 투여 섭생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흡수 선량(Gy), 시간 및 분별화에 관해 정의되고, 종양학자에 의해 조심스럽게 규정되어야 한다. 환자가 받아들이는 방사선의 양은 다양한 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지지만, 두 가지 가장 중요한 것은 신체의 다른 중요한 구조 또는 기관과 관련한 종양의 위치, 및 종양이 퍼진 정도이다. 방사선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전형적인 치료 과정은 1주당 5일간 약 1.8 내지 2.0 Gy의 단일 1일 분율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10 내지 80 Gy의 총 선량으로, 1 내지 6주의 기간에 걸친 치료 일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양태에서, 인간 환자의 종양을 본 발명의 병용 요법 및 방사선으로 치료할 경우 상승작용이 있다. 달리 말해, 임의적으로는 추가적인 화학요법제 또는 항암제와 함께 방사선과 조합될 때, 본 발명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에 의한 종양 성장의 억제가 향상된다. 보조적인 방사선 요법의 매개변수는, 예컨대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99/60023호에 포함되어 있다.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볼루스(bolus)로서 정맥내 투여함으로써, 또는 일정 기간에 걸친 연속적인 주입으로서, 근육내, 복강내, 뇌척수내, 피하, 관절내, 활막내 또는 척추강내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항체의 투여는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이다.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는 볼루스로서 정맥내 투여에 의해, 또는 시간에 걸친 연속 주입에 의해, 경구, 근육내, 복강내, 뇌척수내, 피하, 관절내, 활막내 또는 척추강내 경로에 의해,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환자에게 투여된다. 한 양태에서,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의 투여는 정맥내 또는 경구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용매, 분산 매질, 코팅, 항균제, 항진균제, 등장화제, 흡수 지연제, 및 약학 투여와 상용성인 다른 물질 및 화합물을 비롯하여, 약학 투여와 상용성인 임의의 모든 물질을 포함하고자 한다. 임의의 통상적인 매질 또는 제제가 활성 화합물과 상용성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들의 사용이 고려된다. 또한, 보충적인 활성 화합물이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항-CD20 항체 및/또는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담체와 함께 가공함으로써 약학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락토즈, 옥수수 전분 또는 그의 유도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 등이, 예컨대 정제, 코팅된 정제, 당의정 및 경질 젤라틴 캡슐용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에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면 식물성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 폴리올 등이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연질 젤라틴 캡슐의 경우에는 담체가 대체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용액 및 시럽의 생산에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면 물, 폴리올, 글리세롤, 식물성 오일 등이다. 좌약에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면 천연 또는 경화된 오일, 왁스, 지방, 반고체 또는 액체 폴리올 등이다.
약학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제, 착색제, 향미제, 삼투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염, 완충제, 마스킹제 또는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다른 치료 면에서 가치있는 성분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조성물은 암, 구체적으로 CD20 발현 암[바람직하게는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 더욱 바람직하게는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NHL), 맨틀세포 림프종(MCL),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 B-세포 미만성 거대 세포 림프종(DLCL), 버킷 림프종, 모양 세포 백혈병, 소포성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마지날 존(marginal zone) 림프종, 이식 후 림프증식증(PTLD), HIV 관련 림프종,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또는 1차 CNS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리툭시맙) 또는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 및 상기 Bcl-2 억제제 및 상기 MDM2 억제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 유형 I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리툭시맙),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의 제1 효과량, 및 (ii)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제2 효과량을 포함하는, 예컨대 암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임의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임의적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 (1980)])와 목적하는 순도를 갖는 항체를 동결 건조된 제형 또는 수용액 형태로 혼합함으로써 저장을 위해 제조된다.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는 사용되는 투약량 및 농도에서 수여자에게 비독성이고,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 산과 같은 완충제; 아스코르브산 및 메티오닌을 비롯한 산화방지제; 보존제(예를 들면, 옥타데실다이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코올;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등의 알킬 파라벤; 카테콜; 레조르시놀; 사이클로헥산올; 3-펜탄올; 및 m-크레졸); 저분자량(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 글로불린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모노사카라이드, 다이사카라이드 및 다른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화제; 수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또는 솔비톨과 같은 당;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대이온; 금속 착체(예를 들면, Zn-단백질 착체); 및/또는 트윈(TWEEN: 상표), 플루로닉스(PLURONICS: 상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약학 조성물은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에 대해 상기 기재된 조성물과 유사할 수 있다.
소분자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측, 국부(구강 및 설하 포함), 직장, 질 및/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약학 분야에 주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일 투여형을 생산하기 위한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구성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뿐만 아니라 특별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단일 투여형을 생산하기 위한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구성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 효과를 생산하는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양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100%중, 이러한 양은 활성 구성성분의 약 1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의 범위일 것이다. 이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 및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속 구성성분을 담체와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BTK 억제제의 약학 조성물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를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이들 둘 다와 균일하고 친밀하게 회합시키고, 이어서 필요하다면, 생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캡슐, 약포(cachet), 향낭(sachet), 환제, 정제, 로젠지(lozenge)(착향 베이스, 대체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사용), 분말, 과립의 형태,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수중유적형 또는 유중수적형 액체 현탁액, 또는 엘릭시르(elixir) 또는 시럽, 또는 캔디류(pastille)(불활성 베이스,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사용), 및/또는 구강 세정제 등일 수 있고, 각각은 활성 구성성분으로서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예정된 양을 함유한다.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는 또한 볼루스, 연약(electuary) 또는 페이스트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는 2개의 별도의 약학 조성물로 제형화된다.
또한, 활성 성분은, 예를 들면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기법에 의해 또는 라디칼 간 중합에 의해 제조된 미소캡슐, 예를 들면 각각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젤라틴-미소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소캡슐 내에, 콜로이드성 약물 전달 시스템(예를 들면, 리포좀, 알부민 미소구, 미소유화액,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 내에, 또는 거대유화액 내에 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 (1980)]에 개시되어 있다.
서방성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서방성 제제의 적합한 예는 항체를 함유하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성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이 매트릭스는 성형품, 예를 들면 필름 또는 미소캡슐의 형태이다. 서방성 매트릭스의 예는 폴리에스터, 하이드로겔[예를 들면,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락티드(미국 특허 제3,773,919호), L-글루탐산과 감마-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 비-분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루프론 데포(LUPRON DEPOT: 상표)(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주사가능한 미소구)와 같은 분해성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폴리-D-(-)-3-하이드록시부티르산을 포함한다.
생체내 투여에 사용되는 제형은 멸균되어야 한다. 이는 멸균 여과 막을 통한 여과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가 리툭시맙이거나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가 인간화된 B-Ly1 항체이고, 상기 Bcl-2 억제제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MDM2 억제제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암은 CD20 발현 암, 바람직하게는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이다.
한 양태는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당)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의 양으로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및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 및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를 위한(이때, 상기 암은 CD20 발현 암, 바람직하게는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임) 약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i)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바람직하게는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의 제1 효과량; 및 (ii)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제2 효과량을 암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한 양태에서, 푸코스 양은 40 내지 6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CD20 발현 암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D20 발현 암은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이다.
바람직하게는, 유형 I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유형 II 항-CD20 항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는 본원에 개시된 인간화된 B-Ly1 항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는 오비누투주맙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cl-2 억제제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M2 억제제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가 리툭시맙이거나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가 인간화된 B-Ly1 항체이고, 상기 Bcl-2 억제제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MDM2 억제제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암은 CD20 발현 암, 바람직하게는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목적을 위해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에 의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예를 들면, CD20 발현 암 환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 또는 전암 상태 또는 병변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지칭한다. 그러나, 용어 "환자"는 또한 인간이 아닌 동물, 바람직하게는 특히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양 및 인간 이외의 영장류와 같은 포유동물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유형 I 항-CD20 항체, 또는 60% 이하의 푸코스 양을 갖는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 및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는 리툭시맙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는 인간화된 B-Ly1 항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는 오비누투주맙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cl-2 억제제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MDM2 억제제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형 I 항-CD20 항체가 리툭시맙이거나 상기 어푸코실화된 항-CD20 항체가 인간화된 B-Ly1 항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비누투주맙이고, 상기 Bcl-2 억제제는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MDM2 억제제는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이고, 상기 암은 CD20 발현 암, 바람직하게는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및 도면이 제공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시된 절차를 변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서열목록
서열번호 1은 뮤린 단클론성 항-CD20 항체 B-Ly1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서열번호 2는 뮤린 단클론성 항-CD20 항체 B-Ly1의 경쇄(VL)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서열번호 3 내지 19는 인간화된 B-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다(B-HH2 내지 B-HH9, B-HL8, 및 B-HL10 내지 B-HL17).
서열번호 20은 인간화된 B-Ly1 항체(B-KV1)의 경쇄(VL)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실험 과정
실시예 1
생체내 항종양 효능
bcl-2 억제제인 GDC-0199 및 MDM2 억제제인 RG7388과 조합된 CD20 특이적 항체인 오비누투주맙의 생체내 항종양 효능을 DOHH2 DLBCL 이종이식(CD20+, p53wt)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오비누투주맙은 RO5072759 및 B-HH6-B-KV1 GE와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bcl-2 억제제인 GDC-0199는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 형태이다: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MDM2 억제제인 RG7388은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 형태이다: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시험 제제
CD20 항체인 오비누투주맙은 로슈(Roche, 스위스 바젤 소재)로부터 입수한 저장 용액으로서 제공되었다. 항체 완충제는 히스티딘을 포함하였다. 항체 용액을 주입 전에 저장액으로부터의 완충제에 적절하게 희석하였다. MDM2(4) 억제제는 로슈(스위스 바젤 소재)로부터 입수한 SDP 제형으로서 제공되었고 사용 전에 재현탁화되었다. Bcl-2 억제제인 GDC-0199는 GNE(미국 사우쓰 샌프란시스코 소재)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 전에 제형화되었다.
세포주 및 배양 조건
본래 DOHH-2 인간 B 세포 NHL 세포주(DLBCL)는 NCI에서 확립되었고 ATCC(미국 버지니아주 매너서스 소재)로부터 구매하였다. 이식을 위한 종양 세포의 확장을 프로토콜에 따라 티에이피 컴팩티 셀베이스 셀 컬쳐 로보터(TAP CompacT CellBase Cell Culture Roboter)에 의해 수행하였다. 종양 세포주를 일상적으로 RPMI 1640 매질, FCS 10% 및 L-글루타민 2 mM 중에 37℃에서 수-포화된 대기 중에서 5% CO2에서 배양시켰다. 배양 패시지를 트립신/EDTA 1x(2회/주 분할) 및 이식에 사용된 패시지 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동물
도착시 6 내지 7주령의 암컷 SCID 베이지 마우스를 충실한 지침서에 따라 12시간 명/12시간 암의 일일 주기를 사용하여 무-특정-병원체 조건 하에 유지하였다. 실험적 연구 프로토콜은 지방 자치에 의해 검토되고 승인되었다. 도착 후에, 동물을 새로운 환경에 적응시켜 관찰하기 위해 1주일 동안 동물 시설에서 관리하였다. 연속적 건강 모니터링을 정기적으로 수행하였다. 규정식 및 가압멸균된 물이 임의로 제공되었다.
모니터링
동물을 임상적 증상 및 부작용의 검출에 대해 매일 제어하였다. 모니터링을 위해, 실험에 걸쳐 동물의 체중을 기록하였다.
동물의 처리
중간 종양 크기가 약 200 mm3일 때, 무작위화 후에 동물 처리를 개시하였다. CD20 항체인 오비누투주맙을 단일 제제로서 및 조합으로 10 mg/kg로 복강내 1주일에 1회 제13일, 제21일 및 제27일에 투여하였다. MDM2(4) 억제제인 RG7388의 경구처리를 30 mg/kg로 단일 제제로서 및 조합으로서 제13일 내지 제17일, 제20일 내지 제24일 및 제27일 내지 제29일에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bcl-2 억제제인 GDC-0199를 경구로 100 mg/kg로 제13일 내지 제29일에 단일 제제로서 및 조합으로 투여하였다.
항종양 효능
DOHH-2 인간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세포(CD20+, p53wt)를 암컷 SCID 베이지 마우스 상에 마트리겔(Matrigel)로 피하 접종시켰다. 종양 함유 마우스를 13일 후에 지시된 시험군으로 무작위화하고, 화합물 처리를 수행하였다. 종양 함유 동물을 비히클 대조군으로, MDM2(4) 억제제인 RO5503781(RG7388)(30 mg/kg)로, 항-CD20 항체인 오비누투주맙(10 mg/kg)으로, 또는 bcl-2 억제제인 GDC-0199(100 mg/kg)로 단일 제제로서 처리하였다. 또한, 하나의 시험군에게 MDM2 억제제인 RG7388, CD20 항체인 오비누투주맙 및 bcl-2 억제제인 GDC-0199의 삼중 조합을 제공하였다. 결과로서, 단일 제제로 제공된 모든 화합물은 DOHH-2 이종이식에 대한 상당한 항-종양 효능을 나타냈다. 보다 상세히, MDM2(4) 억제제인 RO5503781(RG7388)로 처리는 대조군에 비하여 p53wt DOHH2 이종이식에 대한 56%의 종양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유사한 효능이 bcl-2 억제제인 GDC-0199로 처리한 후에 나타난 반면에(60% TGI), 단일 제제로서 최선의 효능은 항-CD20 항체인 오비누투주맙으로 처리한 후에 거의 종양 정체에 도달하는 것으로(TGI 90%) 성취되었다. 그러나, 우수한 효능은 MDM2 억제제인 RG7388 + CD20 항체인 오비누투주맙 + bcl-2 억제제인 GDC-0199를 포함하는 삼중 조합 군의 경우에 관찰되었다. 보다 상세히, 삼중 조합 접근법은 실질적으로 조기에 종양 퇴화를 유도하여 30%의 완전한 종양 퇴화와 함께 최종적으로 90%에 도달하였다. 삼중 조합 아암의 강력한 효능은 각각의 단일 제제 아암에 비교하여 상승효과적으로 우수하였다.
화합물 투약량
(mg/kg)
일정 TGI
%
퇴화
%
npTCR 및 CI
MDM2 (4) 억제제
(RO5503781)
30 qdx13 56 - 0.48
(CI 0.33-0.68)
CD20 Mab
(오비누투주맙)
10 q7dx3 90 - 0.17
(CI 0.08-0.24)
Bcl-2 억제제
GDC-0199
100 qdx17 60 - 0.43
(CI 0.27-0.67)
MDM2 (4) 억제제+
오비누투주맙+
GDC-0199
30

10

100
qdx13

q7dx3

qdx17
>100

90
0.009
(CI 0.00-0.02)

실시예 2
bcl -2 억제제인 GDC -0199 및 MDM2 억제제인 RG7388과 조합된 CD20 특이적 항체인 오비누투주맙
또한, 본 실시예에서, CD20-특이적 항체인 오비누투주맙을 bcl-2 억제제인 GDC-0199 및 MDM2 억제제인 RG7388과 조합으로 사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오비누투주맙은 RO5072759 및 B-HH6-B-KV1 GE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bcl-2 억제제인 GDC-0199는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 형태이다: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N-({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일]페닐}설폰일)벤즈아미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MDM2 억제제인 RG7388은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다형체 형태이다: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
유형 II 항-CD20 항체인 RO5072759(B-HH6-B-KV1 GE), Bcl -2-특이적 억제제인 GDC-0199(Abt-199, RG7601) 및 MDM2 길항제인 RG7388(RO5503781)의 조합된 처리의 항종양 활성
시험 제제
유형 II 항-CD20 항체인 B-HH6-B-KV1 GE(= 인간화된 B-Ly1, 당화 조작된 B-HH6-B-KV1,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5/044859호 및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2007/031875호 참조)는 히스티딘, 트레할로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20 완충제 중에 글릭아트(GlycArt, 스위스 슐리렌 소재)로부터 입수한 저장 용액(c=9.4 mg/ml)으로서 제공되었다. 항체를 생체내 적용 전 PBS로 희석하였다.
Bcl-2 억제제인 GDC-0199는 제넨테크 인코포레이티드(Genentech Inc.,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로부터 입수하였다.
MDM2(4) 길항제인 RG7388(RO5503781)은 호프만-라 로슈(Hoffmann-La Roche, 스위스 바젤 소재)의 소분자 처리 연구 개발 부서에 의해 제공되었다.
세포주 및 배양 조건
인간 Z138 맨틀세포 림프종 세포주를 37℃에서 수-포화된 대기 중에 5% CO2에서 10% 소태아 혈청(피에이에이 래보래토리즈(PAA Laboratories, 오스트리아 소재)) 및 2 mM L-글루타민으로 보충된 DMEM에서 배양하였다. 생체내 이종이식 실험을 위해, 세포를 마트리겔과 공동-주입하였다.
동물
도착시 4 내지 5주령의 암컷 SCID 베이지 마우스(찰스 리버(Charles River, 독일 슐츠펠트 소재)로부터 구입함)를 1주일 동안 동물 시설의 격리부에서 관리하고 이후 지침서(GV-Solas; Felasa; TierschG)에 따라 12시간 명/12시간 암의 일일 주기를 사용하여 무-특정-병원체 조건 하에 유지하였다. 실험적 연구 프로토콜은 로슈 및 지방 자치(Regierung von Oberbayern; 등록번호: 55.2-1-54-2531.2-26-09)에 의해 검토되고 승인되었다. 규정식(KLIBA NAFAG 3807) 및 물(여과됨)이 임의로 제공되었다.
모니터링
동물을 임상적 증상 및 부작용의 검출에 대해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실험 동안, 동물의 체중을 매주 2회 확인하고, 종양 부피를 캘리퍼로 측정하였다.
동물의 처리
종양 세포 접종 18일 후에 무작위화의 날에 동물 처리를 개시하였다. 인간화된 유형 II 항-CD20 항체인 RO5072759 또는 B-HH6-B-KV1 GE(오비누투주맙)를 단일 제제로서 복강내 q7d 매주 1회(제18일, 제25일, 제32일) 3주 동안 0.5 mg/kg의 투약량으로 투여하였다. bcl-2 억제제인 GDC-0199를 경구로 매일 1회(제18일부터 제36일까지) 19일 동안 100 mg/kg의 투약량으로 제공하였다. MDM2 길항제인 RG7388(RO5503781)을 경구로 매일 1회 5일 동안 100 mg/kg(활성 화합물)의 투약량으로 제18일부터 제22일까지 제공하고 12일 동안 80 mg/kg(활성 화합물)의 투약량으로 제25일부터 제36일까지 투여하였다 . 제23일 및 제24일에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았다. 조합 군에서, RO5072759(B-HH6-B-KV1 GE), MDM2(4) 및 GDC-0199를 동일한 투약량으로 동일한 날에 투여하였다. 상응하는 비히클을 동일한 날에 투여하였다.
제32일에 종양 성장 억제( TGI )
RO5072759, GDC-0199 또는 RG7388(RO5503781)을 사용한 단일요법 처리는 각각 47%, 53% 또는 67%의 종양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RO5072759와 GDC-0199 또는 RG7388(RO5503781)의 조합은 각각 85% 또는 86%의 종양 성제 억제를 야기하였다. RG7388(RO5503781)과 GDC-0199의 조합 및 삼중 조합은 종양 세포 접종 32일 후에 종양 퇴화(TGI>100%)를 나타냈다.
다양한 처리의 장기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시간-대-사건 분석을 종양 세포 접종 125일 후까지 수행하였다. 삼중 조합은 125일까지(연구 종결) 모든 동물에서 완전한 종양 차도를 야기하였다. RG7388(RO5503781) 및 RO5072759의 조합은 5 마리의 무-종양 동물(10 중 5)을 야기하였다. RO5072759를 0.5 mg/kg의 차선의 투약량으로 사용한 단일요법은 연구의 말에 2 마리의 무-종양 동물을 야기하였다.
각각의 군의 파라미터 "사건까지 중간 시간"을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시간-대-사건 분석의 결과 요약
동물의 수 * 사건까지 중간 시간
(1500 mm³의 TV에 도달하는 일 수)
제125일에 무-종양-동물의 수 종양이 재성장한 동물의 수 종양 성장이 감소된 동물 또는 무반응자의 수
비히클 10 25 --- --- ---
GA101 10 28 2 0 8
MDM2(4) 9 30 0 0 9
GDC-0199 10 29 0 0 10
MDM2(4)+
GA101
10 >125 5 2 3
GDC-0199+
GA101
10 38 0 0 10
GDC-0199+
MDM2(4)
9 75 0 7 2
GDC-0199+
MDM2(4)+
GA101
10 도달하지 않음 10 !!! 0 0
* 사건까지 중간 시간은 동물의 절반이 사건을 경험하는 시간(일 수)이다.
본원에 개시되고 또한 서열목록으로 첨부된 바와 같이, 하기 서열은 본 발명의 일부이다:
서열목록
서열번호 1
뮤린 단클론성 항-CD20 항체 B- Ly1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8
서열번호 2
뮤린 단클론성 항-CD20 항체 B- Ly1의 경쇄(VL)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17127984878-pct00009
서열번호 3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2)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0
서열번호 4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3)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1
서열번호 5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4)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2
서열번호 6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5)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3
서열번호 7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6)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4
서열번호 8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7)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5
서열번호 9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8)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6
서열번호 10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H9)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7
서열번호 11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8)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8
서열번호 12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0)
Figure 112017127984878-pct00019
서열번호 13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1)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0
서열번호 14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2)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1
서열번호 15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3)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2
서열번호 16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4)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3
서열번호 17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5)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4
서열번호 18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6)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5
서열번호 19
인간화된 B- Ly1 항체의 중쇄(VH)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B-HL17)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6
서열번호 20
인간화된 B- Ly1 항체(B-KV1)의 경쇄(VL)의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Figure 112017127984878-pct00027
SEQUENCE LISTING <110> F. Hoffmann-La Roche AG <120> Combination therapy of an anti CD20 antibody with a Bcl-2 inhibitor and MDM2 inhibitor <130> P32901 <140> PCT/EP2016/061517 <141> 2016-05-23 <150> EP 15169199.5 <151> 2015-05-26 <160> 20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12 <212> PRT <213> Mus sp. <220> <221> MISC_FEATURE <223> amino acid sequence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murine monoclonal anti-CD20 antibody B-Ly1 <400> 1 Gly Pro Glu Leu Val Lys Pro Gly Ala Ser Val Lys Ile Ser Cys Lys 1 5 10 15 Ala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Trp Met Asn Trp Val Lys Leu 20 25 30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Gly Arg Ile Phe Pro Gly Asp 35 40 45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50 55 60 Ala Asp Lys Ser Ser Asn Thr Ala Tyr Met Gln Leu Thr Ser Leu Thr 65 70 75 80 Ser Val Asp Ser Ala Val Tyr Leu Cys Ala Arg Asn Val Phe Asp Gly 85 90 95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Ala 100 105 110 <210> 2 <211> 103 <212> PRT <213> Mus sp. <220> <221> MISC_FEATURE <223> amino acid sequence of variable region of the light chain (VL) of murine monoclonal anti-CD20 antibody B-Ly1 <400> 2 Asn Pro Val Thr Leu Gly Thr Ser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1 5 10 15 Lys Ser Leu Leu His Ser Asn Gly Ile Thr Tyr Leu Tyr Trp Tyr Leu 20 25 30 Gln Lys Pro Gly Gln Ser Pro Gln Leu Leu Ile Tyr Gln Met Ser Asn 35 40 45 Leu Val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Ser Ser Gly Ser Gly Thr 50 55 60 Asp Phe Thr Leu Arg Ile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65 70 75 80 Tyr Tyr Cys Ala Gln Asn Leu Glu Leu Pro Tyr Thr Phe Gly Gly Gly 85 90 95 Thr Lys Leu Glu Ile Lys Arg 100 <210> 3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2) <400> 3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4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3) <400> 4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Leu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5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4) <400> 5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Val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6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5) <400> 6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6) <400> 7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Ile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8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7) <400> 8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Ile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9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8) <400> 9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0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H9) <400> 10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1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8) <400> 1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2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0) <400> 12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Ala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3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1) <400> 13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4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2) <400> 14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Ala Gly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5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3) <400> 15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Val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6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4) <400> 16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Lys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7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5) <400> 17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8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6) <400> 18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Val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9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heavy chain (VH) of humanized B-Ly1 antibody (B-HL17) <400> 19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Tyr Ser 20 25 30 Trp Met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Phe Pro Gly Asp Gly Asp Thr Asp Tyr Asn Gly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Asn Val Phe Asp Gly Tyr Trp Leu Val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20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mino acid sequences of variable region of the light chain (VL) of humanized B-Ly1 antibody B-KV1 <400> 20 Asp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Pro Gly 1 5 10 15 Glu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Lys Ser Leu Leu His Ser 20 25 30 Asn Gly Ile Thr Tyr Leu Tyr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Gln Leu Leu Ile Tyr Gln Met Ser Asn Leu Val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Ala Gln Asn 85 90 95 Leu Glu Leu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110 Arg Thr Val 115

Claims (26)

  1. Asn297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총량의 60% 이하의 푸코스의 양으로 어푸코실화된 인간화된 B-Ly1 항체, 및 4-(4-{[2-(4-클로로페닐)-4,4-다이메틸사이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l-일)-N-({3-니트로-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아미노]페닐}설포닐)-2-(1H-피롤로[2,3-b]피리딘-5-일옥시)벤즈아미드(GDC-0199, ABT199) 및 4-{[(2R,3S,4R,5S)-4-(4-클로로-2-플루오로-페닐)-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4-시아노-5-(2,2-다이메틸-프로필)-피롤리딘-2-카본일]-아미노}-3-메톡시-벤조산(RG7388) 또는 이의 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암이 CD20 발현 암인,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CD20 발현 암이 림프종 또는 림프성 백혈병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인간화된 B-Ly1 항체가 오비누투주맙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 다른 세포독성제, 화학요법제 또는 항암제, 또는 이러한 제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화합물 또는 이온화 방사선이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77036968A 2015-05-26 2016-05-23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KR102043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9199 2015-05-26
EP15169199.5 2015-05-26
PCT/EP2016/061517 WO2016188935A1 (en) 2015-05-26 2016-05-23 Combination therapy of an anti cd20 antibody with a bcl-2 inhibitor and a mdm2 inhib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285A KR20180004285A (ko) 2018-01-10
KR102043803B1 true KR102043803B1 (ko) 2019-11-12

Family

ID=5326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68A KR102043803B1 (ko) 2015-05-26 2016-05-23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20160347852A1 (ko)
EP (1) EP3302549B1 (ko)
JP (1) JP6612362B2 (ko)
KR (1) KR102043803B1 (ko)
CN (1) CN107847600B (ko)
AR (1) AR104735A1 (ko)
AU (1) AU2016267564B2 (ko)
BR (1) BR112017023517A2 (ko)
CA (1) CA2984706A1 (ko)
CL (1) CL2017002983A1 (ko)
CR (1) CR20170529A (ko)
DK (1) DK3302549T3 (ko)
ES (1) ES2744624T3 (ko)
HK (1) HK1252855A1 (ko)
HR (1) HRP20191585T1 (ko)
HU (1) HUE044853T2 (ko)
IL (1) IL255353B (ko)
LT (1) LT3302549T (ko)
MA (1) MA44645B1 (ko)
MX (1) MX2017014977A (ko)
MY (1) MY188849A (ko)
NZ (1) NZ736727A (ko)
PE (1) PE20180454A1 (ko)
PL (1) PL3302549T3 (ko)
PT (1) PT3302549T (ko)
RS (1) RS59204B1 (ko)
RU (1) RU2727196C2 (ko)
SI (1) SI3302549T1 (ko)
UA (1) UA124617C2 (ko)
WO (1) WO2016188935A1 (ko)
ZA (1) ZA2017073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9251B2 (en) 2012-09-07 2017-01-10 Genentech, Inc. Combination therapy of a type II anti-CD20 antibody with a selective Bcl-2 inhibitor
US20180206726A1 (en) 2016-12-07 2018-07-26 Progenity Inc. Gastrointestinal tract detec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EP3600416B1 (en) 2017-03-30 2023-06-07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mmune modulatory agent released using an ingestible device
CN111372613A (zh) * 2017-11-22 2020-07-03 诺帝克纳诺维科特公司 放射免疫缀合物与其他药物联合治疗非霍奇金淋巴瘤
CN111801320A (zh) 2018-01-10 2020-10-20 里科瑞尔姆Ip控股有限责任公司 苯甲酰胺化合物
US20230041197A1 (en) 2018-06-20 2023-02-09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mmunomodulator
US20230009902A1 (en) 2018-06-20 2023-01-12 Progenity, Inc. Treatment of a disease or condition in a tissue orginating from the endoderm
KR20200139139A (ko) * 2018-07-31 2020-12-11 어센테지 파마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리툭시맙 및/또는 벤다무스틴과 병용된 Bcl-2 억제제 또는 CHOP와 병용된 Bcl-2 억제제의 시너지적 항종양 효과
WO2020024834A1 (en) 2018-07-31 2020-02-06 Ascentage Pharma (Suzhou) Co., Ltd. Combination product of bcl-2 inhibitor and chemotherapeutic agent and use thereof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seases
WO2020106754A1 (en) 2018-11-19 2020-05-28 Progenit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a disease with biotherapeutics
WO2021119482A1 (en) 2019-12-13 2021-06-17 Progenity, Inc. Ingestible device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8118A1 (en) * 2007-10-15 2009-04-16 Thomas Friess Combination therapy of a type ii anti-cd20 antibody with an anti-bcl-2 active agent
KR20130088170A (ko) * 2010-12-16 2013-08-07 로슈 글리카트 아게 비푸코실화 cd20 항체와 mdm2 저해제와의 조합 치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5353A0 (en) 2017-12-31
RU2727196C2 (ru) 2020-07-21
RU2017145649A3 (ko) 2019-10-23
JP6612362B2 (ja) 2019-11-27
US20160347852A1 (en) 2016-12-01
CN107847600A (zh) 2018-03-27
AU2016267564A1 (en) 2017-11-16
AR104735A1 (es) 2017-08-09
CL2017002983A1 (es) 2018-05-04
JP2018515583A (ja) 2018-06-14
PT3302549T (pt) 2019-09-09
LT3302549T (lt) 2019-09-25
HK1252855A1 (zh) 2019-06-06
EP3302549A1 (en) 2018-04-11
HUE044853T2 (hu) 2019-11-28
AU2016267564B2 (en) 2022-09-01
CN107847600B (zh) 2021-09-03
IL255353B (en) 2021-08-31
HRP20191585T1 (hr) 2019-11-29
WO2016188935A1 (en) 2016-12-01
CA2984706A1 (en) 2016-12-01
KR20180004285A (ko) 2018-01-10
NZ736727A (en) 2022-09-30
ES2744624T3 (es) 2020-02-25
SI3302549T1 (sl) 2019-10-30
UA124617C2 (uk) 2021-10-20
MY188849A (en) 2022-01-09
DK3302549T3 (da) 2019-09-16
CR20170529A (es) 2018-01-26
RU2017145649A (ru) 2019-06-26
RS59204B1 (sr) 2019-10-31
PL3302549T3 (pl) 2019-11-29
MA44645B1 (fr) 2019-09-30
PE20180454A1 (es) 2018-03-05
MX2017014977A (es) 2018-03-23
EP3302549B1 (en) 2019-07-03
BR112017023517A2 (pt) 2018-07-24
ZA201707357B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803B1 (ko) 항-CD20 항체와 Bcl-2 억제제 및 MDM2 억제제의 병용 요법
KR101874215B1 (ko) 항-cd20 항체와 btk 억제제의 병용 요법
AU2010281866B2 (en) Combination therapy of an afucosylated CD20 antibody with bendamustine
US20150274834A1 (en) Combination therapy of an afucosylated cd20 antibody with fludarabine and/or mitoxantrone
KR20130088170A (ko) 비푸코실화 cd20 항체와 mdm2 저해제와의 조합 치료
KR20130055660A (ko) 어푸코실화된 cd20 항체와 항-vegf 항체의 복합 요법
WO2019020606A1 (en) POLYTHERAPY WITH BET INHIBITOR, BCL-2 INHIBITOR AND ANTI-CD20 ANTI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