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91B1 -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391B1
KR102042391B1 KR1020197018234A KR20197018234A KR102042391B1 KR 102042391 B1 KR102042391 B1 KR 102042391B1 KR 1020197018234 A KR1020197018234 A KR 1020197018234A KR 20197018234 A KR20197018234 A KR 20197018234A KR 102042391 B1 KR102042391 B1 KR 10204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075A (ko
Inventor
에르윈 라우
테리 탬
케이 치우
Original Assignee
로비 가이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7534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423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12/495,560 external-priority patent/US20100333136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495,528 external-priority patent/US9405710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495,522 external-priority patent/US8769578B2/en
Application filed by 로비 가이드스, 인크. filed Critical 로비 가이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7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며 사용자 기기 상에서 실행 중인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맞추어 조정되어 있는 제어를 갖는 터치 감지형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기기에 대한 원격 컨트롤러로서 기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거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사이에 조정될(coordinated) 수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기기(예를 들어, 셋톱 박스) 상에서 통상적으로 구현된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예는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이메일, 홈 쇼핑, 베팅(wagering) 및 기타 전자 상거래(e-commerce) 애플리케이션, 금융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게임, 및 기타 사용자 기기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은 통상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액세스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것을 배제한다. 또한, 사용자 기기 상의 고정 플랫폼 상에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고정 플랫폼으로부터 떨어질 경우 이러한 시스템의 특징에 액세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비추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리모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전화 또는 기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동안 또는 원격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한 접근법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기기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 버전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독립적인 플랫폼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기기 상에서 실행 중인 유사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인터넷 기반의 프로그램 가이드, 및/또는 기타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특징을 지원하는 휴대용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 베팅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및 금융 거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된 인터랙티브 특징을 제공하거나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LCD 디스플레이, 그리고 예를 들어 텔레비전, 컴퓨터, 미디어 서버 등과 같은 사용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외선,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키패드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는 검색 문자열(search string)을 형성하고 커맨드(command)를 발생시키도록 가상 키패드에 터치할 수 있다. 키는 컨텍스트 센서티브(context sensitive)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관심있는 키만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원격 제어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일부 실시예에서 동시에 다수의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클릭되는 키에 기초하여 커맨드(예를 들어, 채널 업(channel up) 커맨드)를 수신해야 하는 적절한 디바이스(예를 들어, 텔레비전, 셋톱 박스, 미디어 서버 등)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커맨드를 수신할 적절한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로부터의 그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거리는 예를 들어 RFID 탐색 프로토콜, GPS, 또는 무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기기 상에 제시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고서 시간별, 채널별, 분류별 목록, 선호 채널 또는 임의의 기타 가이드 특징과 같은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의 많은 특징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오디오 알람 및 디스플레이 둘 다를 이용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보이게 해줄 수 있다. 페이징 리턴(paging return)을 통하여,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리마인더를 설정하거나 원격으로 녹화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설문지(survey)를 발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시청률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쿠폰 및 기타 인센티브를 배포하기 위하여 적합한 POS(point-of-purchase) 디바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기타 스마트폰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메일, 달력, 연락처 리스트, 웹 브라우징, 계산기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뉴스, 날씨, 스포츠, 트래픽,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페이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이점이 명백하게 될 것이며, 유사한 참조 문자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그리드 포맷을 사용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모자이크를 사용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인터랙티브 미디어 시스템의 단순화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사용자 기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메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브라우즈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정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유료 시청제 주문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원격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홈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Editor's Picks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My TV Listings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별 프로그램 목록의 예시적인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어바웃(about)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해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4의 사용자 기기 내에서 실행 중인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도 4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특징을 조정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4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4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기기 상에서 커맨드를 실행시키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임의의 소정의 미디어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의 양은 상당할 수 있다. 그 결과, 많은 사용자들은 사용자가 미디어 선택들을 효율적으로 탐색하며 그들이 원할 수 있는 미디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미디어 안내의 형태를 원한다. 이러한 안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또는 가끔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된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안내를 제공하는 미디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의 통상적인 유형은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종종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로 지칭됨)는 잘 알려져 있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이며, 이는 무엇보다도 종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전통적인 방송, 케이블, 위성, 인터넷,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하여 제공됨) 뿐만 아니라 유료 시청제(pay-per-view) 프로그램, 주문형(on-demand) 프로그램(VOD(video-on-demand) 시스템에서와 같이), 인터넷 콘텐츠(예를 들어, 스트리밍 미디어, 다운로드가능한 미디어, 웹캐스트 등), 및 기타 유형의 미디어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수많은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탐색하며(navigate)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가 예를 들어 비디오 클립, 물품, 광고, 채팅 세션, 게임 등을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를 탐색하며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탐색하며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용어 멀티미디어는 본 명세서에서 텍스트, 오디오,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및 대화식(interactivity) 콘텐츠 형태와 같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콘텐츠 형태를 이용하는 미디어 및 콘텐츠로서 정의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컴퓨터화 및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정보 콘텐츠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녹화 및 재생, 디스플레이 또는 액세스될 수 있지만, 이는 또한 실황의 일부일 수도 있다.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비디오, 오디오 및/또는 멀티미디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콘텐츠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터넷, 모바일 컴퓨팅, 및 고속 무선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그리고 핸드헬드 컴퓨터, PDA, 이동 전화, 또는 기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종래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기타 디바이스 상의 미디어에 액세스하고 있다. 이들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는 텔레비전을 통해 이용 가능한 동일 미디어를 탐색하고 위치를 찾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안내는 이들 디바이스 상에서도 필요하다. 제공되는 안내는 텔레비전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한 미디어 콘텐츠용이거나, 이들 디바이스 중의 하나 이상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한 미디어 콘텐츠용이거나, 또는 텔레비전과 이들 디바이스 중의 하나 이상의 양자를 통해 이용 가능한 미디어 콘텐츠용일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거나(즉, 웹사이트 상에 제공됨), 또는 PDA, 이동 전화, 또는 기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 상의 단독형(stand-alone)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플랫폼이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중의 하나는 사용자에게 미디어 목록 및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미디어 안내 그리고 구체적으로 미디어 목록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는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또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 위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오버레이(overlay)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제공된 선택 가능한 옵션(예를 들어, 메뉴 옵션, 목록 옵션, 아이콘, 하이퍼링크 등)을 선택하거나, 원격 제어 또는 기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디바이스 상의 전용 버튼(예를 들어, GUIDE 버튼)을 누름으로써, 미디어 정보에 액세스하기 원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표시에 응답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그리드에서의 시간 및 채널별, 시간별, 채널별, 미디어 유형별, 카테고리별(예를 들어, 영화, 스포츠, 뉴스, 어린이, 또는 기타 프로그램 카테고리), 또는 기타 미리 정의되거나, 사용자가 정의하거나, 또는 다른 정리 기준과 같이 여러 방식 중의 하나로 정리된 미디어 정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시간 및 채널별로 배열되며, 또한 단일 디스플레이에서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그리드 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100)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100)는, (1) 채널/미디어 유형 식별자의 열(104), 각각의 채널/미디어 유형 식별자(열 내의 셀임)는 이용 가능한 다양한 채널 또는 미디어 유형을 식별함; 및 (2) 시간 식별자의 행(106), 각각의 시간 식별자(행 내의 셀임)는 프로그램의 시간 블록을 식별함, 을 구비한 그리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드(102)는 또한 프로그램 목록(108)과 같은 프로그램 목록의 셀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목록은 목록의 연관된 채널 및 시간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제목을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해, 사용자는 하이라이트 영역(402)을 이동시킴으로써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402)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 목록에 관련된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 영역(112)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영역(112)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제목, 프로그램 설명,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시간(적용 가능한 경우), 프로그램이 나오는 채널(적용 가능한 경우), 프로그램의 등급(rating), 및 기타 원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에 따라 제공되는 선형(linear)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스케쥴에 따라 제공되는 것이 아닌 비선형(non-linear)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비선형 프로그램은 주문형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VOD), 인터넷 콘텐츠(예를 들어, 스트리밍 미디어, 다운로드가능한 미디어 등), 로컬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DVR(digital video recorder)에 저장된 비디오 콘텐츠, DVD(digital video disc), 비디오 카셋트, CD(compact disc) 등), 또는 기타 시간에 무관한(time-insensitive)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형 콘텐츠는 특정 미디어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오리지널 미디어 콘텐츠 및 영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The Sopranos" 및 "Curb Your Enthusiasm"을 제공하는 HBO On Demand). HBO ON DEMAND는 Time Warner Company L.P 등이 소유한 서비스 마크이며, THE SOPRANOS 및 CURB YOUR ENTHUSIASM은 Home Box Office, Inc.가 소유한 상표이다. 인터넷 콘텐츠는 채팅 세션이나 웹캐스트와 같은 웹 이벤트, 또는 인터넷 웹 사이트 또는 기타 인터넷 액세스(예를 들어, FTP)를 통하여 스트리밍 미디어 또는 다운로드가능한 미디어와 같이 주문형으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드(102)는 주문형 목록(114), 녹화된 미디어 목록(116), 및 인터넷 콘텐츠 목록(118)을 포함하는 비선형 프로그램에 대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콘텐츠에 대한 목록들을 결합한 디스플레이는 종종 "혼합 미디어(mixed-media)" 디스플레이로서 지칭된다. 디스플레이(100)와 상이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목록 유형의 다양한 치환은 사용자 선택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정의에 기초할 수 있다(예를 들어, 녹화 및 방속 목록만 디스플레이하기, 주문형 및 방송 목록만 디스플레이하기 등). 예시된 바와 같이, 목록(114, 116, 및 118)은 이들 목록의 선택이 주문형 목록, 녹화 목록, 또는 인터넷 목록에 각각 전용인 디스플레이에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그리드(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시간 블록에 걸쳐 이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미디어 유형에 대한 목록은 그리드(102)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탐색 아이콘(120)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추가적인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상의 화살표 키를 누르면 탐색 아이콘(120)을 선택하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디스플레이(100)는 또한 비디오 영역(122), 광고(124), 및 옵션 영역(126)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영역(122)은 사용자가 현재 이용 가능하거나 이용 가능하게 될 것이거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었던 프로그램들을 보고 그리고/또는 미리보기하게 해줄 수 있다. 비디오 영역(122)의 콘텐츠는 그리드(102)에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의 하나에 대응하거나 이와 독립적일 수 있다. 비디오 영역을 포함하는 그리드 디스플레이는 종종 PIG(picture-in-guide) 디스플레이로서 지칭된다. PIG 디스플레이 및 이들 기능은 2003년 5월 13일 발행된 Satterfield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6,564,378호, 그리고 2001년 5월 29일 발행된 Yuen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6,239,794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PIG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광고(124)는 시청자의 액세스 권한에 따라(예를 들어, 가입 프로그램에 대하여), 현재 시청하는데 이용할 수 있거나, 추후에 시청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거나, 또는 절대 시청에 이용할 수 없을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그리드(102)에서의 미디어 목록 중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없을 수 있다. 광고(124)는 또한 그리드(102)에서 디스플레이된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되거나 관련없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광고(124)는 선택가능할 수 있고, 미디어 콘텐츠에 관한 부가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거나, 광고에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일 수 있다. 광고(124)는 사용자의 프로필/선호도, 모니터링된 사용자 활동,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의 유형, 또는 기타 적합한 대상으로 하는 광고 기준에 기초하여 대상이 정해질 수 있다.
광고(124)는 직사각형 또는 배너 형상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광고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에서 임의의 적합한 크기, 형상, 및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124)는 그리드(102)에 수평으로 인접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종종 패널 광고로서 지칭된다. 또한, 광고는 미디어 콘텐츠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위에 오버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 내에 매립될 수 있다. 광고는 또한 텍스트, 이미지, 회전 이미지, 비디오 클립, 또는 기타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사용자 기기에, 사용자 기기에 접속된 데이터베이스에, 원격 위치에(스트리밍 미디어 서버를 포함함), 또는 기타 저장 수단 또는 이들 위치들의 조합에 저장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2003년 1월 17일에 제출된 Knudson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347,673호, 2004년 6월 29일 발행된 Ward, III 등의 미국 특허 제6,756,997호, 및 2002년 5월 14일에 발행된 Schein 등의 미국 특허 제6,388,714호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광고가 본 발명의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옵션 영역(126)은 사용자가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특징에 액세스하게 해줄 수 있다. 옵션 영역(126)은 디스플레이(100)(및 본 발명의 다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온스크린(on-screen) 옵션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상의 전용 또는 할당 버튼을 누름으로써 호출될 수 있다. 옵션 영역(126) 내의 선택 가능한 옵션은 그리드(102)에서의 프로그램 목록과 관련된 특징에 관한 것일 수 있고, 또는 메인 메뉴 디스플레이로부터 이용 가능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목록에 관련된 특징은 다른 방송 시간 또는 프로그램 수신 방식 검색, 프로그램 녹화, 프로그램의 시리즈 녹화 가능, 프로그램 및/또는 채널을 선호(favorite)로 설정, 프로그램 구매, 또는 기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뉴 디스플레이로부터 이용 가능한 옵션은 검색 옵션, VOD 옵션, 시청 규제(parental control) 옵션, 다양한 유형의 목록 디스플레이에 대한 액세스,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가입, 사용자의 프로필 편집, 브라우즈(browse) 오버레이 액세스, 또는 기타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개인화될 수 있다. 개인화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의 개인화된 "경험"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 및 특징을 맞춤화(customization)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개인화된 경험은 사용자가 이러한 맞춤화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하도록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아니면 그것들을 식별함으로써 자신의 개인화된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맞춤화는 사용자 프로필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맞춤화는 다양한 프리젠테이션 방식(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컬러 방식, 텍스트의 폰트 크기 등),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콘텐츠 목록의 양상(예를 들어, HDTV 프로그램만, 선호 채널 선택에 기초한 사용자 지정 방송 채널, 채널의 디스플레이의 재순서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등), 원하는 녹화 특징(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에 대한 녹화 또는 시리즈 녹화, 녹화 품질 등), 시청 규제 설정, 및 기타 원하는 맞춤화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제공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자동으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컴파일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미디어 및/또는 사용자가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타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 프로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획득하고(예를 들어, www.tvguide.com과 같은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인터넷 상의 다른 웹 사이트로부터,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다른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핸드헬드 디바이스로부터, 등), 그리고/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소스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는 사용자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에 걸쳐 통일된 안내 애플리케이션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유형의 사용자 경험은 도 4에 관련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추가의 개인화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특징은 2005년 7월 11일 제출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179,410호, 1999년 11월 9일 제출된 Boye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437,304호, 및 2002년 2월 21일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105,128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또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비디오 모자이크 디스플레이(200)는 미디어 유형, 장르, 및/또는 기타 정리 기준에 기초하여 정리된 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대한 선택 가능한 옵션(20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0)에서는, 텔레비전 목록 옵션(204)이 선택되어 있으며,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 목록으로서 목록(206, 208, 210, 및 212)을 제공한다. 도 1로부터의 목록과는 달리, 디스플레이(200)에서의 목록은 미디어를 기술하는데 단순한 텍스트(예를 들어, 프로그램 제목) 및 아이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디스플레이(200)에서, 목록은 커버 아트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 미디어 콘텐츠로부터의 스틸 이미지, 비디오 클립 미리보기, 미디어 콘텐츠로부터 라이브 비디오, 또는 목록에 의해 기술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다른 유형의 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그래픽 목록은 또한 목록과 연관된 미디어 콘텐츠에 관한 부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텍스트가 동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록(208)은 미디어 부분(214) 및 텍스트 부분(216)을 포함하여 하나보다 많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부분(214) 및/또는 텍스트 부분(216)은 풀스크린으로 비디오를 보도록 또는 미디어 부분(214)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에 관련된 프로그램 목록을 보도록(예를 들어,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채널에 대한 목록 보기) 선택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에서의 목록은 상이한 크기로 이루어지지만(즉, 목록(206)이 목록(208, 210, 및 212)보다 더 큼), 원하는 경우 모든 목록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미디어 제공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목록은 상이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정도를 나타내거나 특정 콘텐츠를 강조하도록 그래픽 강조될(graphically accentuated) 수 있다. 미디어 목록을 그래픽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2005년 12월 29일 제출된 Yates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324,202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및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및 위 그리고 아래에 기재되는 그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의 일반화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은 도 4에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는 입력/출력(이하 "I/O") 경로(302)를 통하여 미디어 콘텐츠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O 경로(302)는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 인터넷 콘텐츠, 및 기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및 데이터를 제어 회로(304)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304)는 프로세싱 회로(306) 및 저장장치(308)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304)는 I/O 경로(302)를 사용하여 커맨드, 요청, 및 기타 적합한 데이터를 보내고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O 경로(30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아래에 기재됨)에 제어 회로(304)(그리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회로(306))를 접속시킬 수 있다. I/O 기능은 이들 통신 경로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도면에서는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3에 단일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어 회로(304)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에 기초한 프로세싱 회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싱 회로(306)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메모리(즉, 저장장치(308))에 저장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을 실행한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기타 네트워크 또는 서버와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케이블 모뎀, IDS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모뎀, DSL(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전화 모뎀, 또는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인터넷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경로(도 4에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음)를 수반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회로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의 P2P(peer-to-peer) 통신, 또는 서로 원격인 위치에서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됨).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광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고정 또는 이동식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DVD 레코더, CD 레코더,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또는 기타 적합한 레코딩 디바이스)가 제어 회로(304)의 일부인 저장장치(308)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308)는 상기 저장 디바이스 유형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는 DVR을 위한 하드 드라이브(종종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이라 불림) 그리고 이차 저장 디바이스로서 DVD 레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308)는 여기에 기재된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그리고 프로그램 정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 사용자 선호도 또는 프로필 정보,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기타 데이터를 포함한 안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부트업 루틴 및 기타 명령을 개시하기 위해).
제어 회로(304)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튜너, 하나 이상의 MPEG-2 디코더 또는 기타 디지털 디코딩 회로, 고해상도 튜너,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튜닝 또는 비디오 회로 또는 이러한 회로들의 조합과 같은 비디오 발생 회로 및 튜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더에어(over-the-air),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을 위한 MPEG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딩 회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또한 미디어를 사용자 기기(300)의 원하는 출력 포맷으로 업변환 및 다운변환하기 위한 스케일러(scale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304)는 또한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간의 변환을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튜닝 및 인코딩 회로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고 재생하며 또는 녹화하기 위해 사용자 기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튜닝 및 인코딩 회로는 또한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닝, 비디오 발생, 인코딩, 디코딩, 스케일러, 및 아날로그/디지털 회로를 비롯하여 여기에 기재되는 회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화된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튜너는 동시 튜닝 기능을 처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보기 및 녹화 기능, PIP(picture-in-picture) 기능, 다중 튜너 녹화 등). 저장장치(308)가 사용자 기기(300)와 별도의 디바이스로서 제공되는 경우, 튜닝 및 인코딩 회로(다중 튜너를 포함함)는 저장장치(308)와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를 사용하여 제어 회로(30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는 원격 제어, 마우스, 트랙볼, 키패드, 키보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스타일러스 입력, 조이스틱,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단독형 디바이스로서 제공되거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의 다른 요소와 통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모니터, 텔레비전, 모바일 디바이스용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비주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적합한 기기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12)는 HDTV 가능형일 수 있다. 스피커(314)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의 다른 요소와 통합된 것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단독형 유닛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및 기타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성분은 스피커(314)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는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로 분산될 수 있으며, 수신기는 오디오를 처리하고 스피커(314)를 통하여 출력한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적합한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 상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단독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은 로컬 저장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된다(예를 들어, 텔레비전 채널의 VBI로부터, 대역외 피드(out-of-band feed)로부터, 또는 다른 적합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 상에서 구현되는 두터운 또는 얇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에 원격인 서버에 요청을 발행함으로써 주문형으로 검색된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의 예에서, 제어 회로(304)는 원격 서버로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해석하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고 해석되며, 아니면 인터프리터 또는 가상 머신(제어 회로(304)에 의해 실행됨)에 의해 실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EBIF(ETV Binary Interchange Format)으로 인코딩되고, 적합한 피드의 일부로서 제어 회로(304)에 의해 수신되며, 제어 회로(304) 상에서 실행 중인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EBIF 위젯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회로(304)에 의해 실행되는 로컬 가상 머신 또는 기타 적합한 미들웨어에 의해 수신되고 실행되는 일련의 JAVA 기반의 파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의 일부에서(예를 들어, MPEG-2 및 기타 디지털 미디어 인코딩 방식을 채용하는 것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의 MPEG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을 갖는 MPEG-2 객체 캐러셀로 인코딩 및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는 도 4의 시스템(400)에서 사용자 기기(402),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또는 비휴대용 게임 머신과 같이 미디어에 액세스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기타 유형의 사용자 기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이들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기기 또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로서 총칭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단독형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이 구현될 수 있고,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사용자 기기(402)는 셋톱 박스, 위성 텔레비전을 처리하기 위한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 텔레비전 세트,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 DVD 레코더,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VCR), 로컬 미디어 서버, 또는 기타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 중의 하나 이상은 원하는 경우 단일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는 PC, 랩톱, 태블릿, WebTV 박스,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PC/TV), PC 미디어 서버, PC 미디어 센터, 또는 기타 사용자 컴퓨터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WEBTV는 Microsoft Corp가 소유한 상표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PDA, 이동 전화,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 머신, 또는 기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 기기(402)의 원격 컨트롤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입력된 원격 제어 커맨드는 입력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적절한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보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업 커맨드를 입력한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텔레비전이 커맨드의 수신지여야 함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성(proximity)에 기초하여 어느 디바이스가 커맨드를 수신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셋톱 박스에 가장 가까이 있다면, 입력된 커맨드가 셋톱 박스를 의도한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거리는 예를 들어 RF ID 또는 GPS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PC용 텔레비전 튜너 카드, WebTV, 및 기타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로의 비디오 통합의 등장으로, 상기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로서 디바이스를 분류하려고 할 때 그 선이 희미해졌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사실상, 각각의 사용자 기기(402),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도 3에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시스템 특징 중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유형에 관련하여 유연성(flexibility)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402)는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인터넷 가능형일 수 있으며,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기기 상에서 동일한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능력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터 기기 상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되는 웹 사이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으로 스케일링 다운될 수 있다.
시스템(400)에서, 통상적으로 하나보다 많은 수의 각 유형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가 존재하지만,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서는 각각의 하나씩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는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는 텔레비전 세트 및 컴퓨터를 가질 수 있음), 또한 하나보다 많은 수의 각 유형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는 PDA와 이동 전화 및/또는 다수의 텔레비전 세트를 가질 수 있음).
사용자는 또한 인홈(in-home) 디바이스 및 원격 디바이스에 걸쳐 일관적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유지하도록 다양한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은 여기에 기재된 것들 뿐만 아니라, 채널 및 프로그램 선호,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 추천을 행하는데 이용하는 프로그램 선호도, 디스플레이 선호도, 및 기타 바람직한 안내 설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사무실에 있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예를 들어 웹 사이트 www.tvguide.com을 선호 채널로서 채널 설정하는 경우, 원한다면 사용자의 인홈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 및 사용자 컴퓨터 기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 디바이스 상에서도 동일 채널이 선호 채널로서 보일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상에서 행해지는 변경은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인지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또다른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상의 안내 경험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행해지는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뿐만 아니라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니터링된 사용자 활동에 기초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41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 기기(402),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각각 통신 경로(408, 410, 및 412)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414)에 연결된다. 통신 네트워크(414)는 인터넷, 이동 전화 네트워크, 이동 전화(예를 들어, 블랙베리)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또는 기타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BLACKBERRY는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rp가 소유한 서비스 마크이다. 경로(408, 410, 및 412)는 위성 경로, 광섬유 경로, 케이블 경로,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경로(예를 들어, IPTV), 자유 공간(free-space) 접속(예를 들어, 방송 또는 기타 무선 신호용),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 또는 이러한 경로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를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경로(412)는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경로임을 나타내도록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경로(408 및 410)는 유선 경로임을 나타내도록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그러나, 원한다면, 이들 경로는 무선 경로일 수 있음).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이들 통신 경로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도 4에서는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일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경로(408, 410, 및 412)와 관련하여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통신 경로 뿐만 아니라, USB 케이블, IEEE 1394 케이블, 무선 경로(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IEEE 802-11x 등), 또는 유선 또는 무선 경로를 통한 기타 단거리 통신과 같은 기타 단거리 점대점 통신 경로(424)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Bluetooth SIG, INC가 소유한 인증 마크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적외선을 통하여 사용자 기기(402)에 대하여 원격 제어 커맨드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하여 간접 경로를 통해 직접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400)은 각각 통신 경로(420 및 422)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414)에 연결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를 포함한다. 경로(420 및 422)는 경로(408, 410, 및 412)에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임의의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와의 통신은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를 통하여 교환될 수 있지만,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서는 단일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나보다 많은 수의 각각의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가 존재할 수 있지만, 도면을 과도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서는 각각의 하나씩만 도시되어 있다. (이들 소스 각각의 다양한 유형이 아래에서 설명됨). 원하는 경우,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로서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402, 404 및 406)와의 소스(416 및 418) 사이의 통신은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소스(416 및 418)는 경로(408, 410, 및 412)에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통신 경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402, 404 및 406)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텔레비전 배포 설비, 케이블 시스템 헤드엔드, 위성 배포 설비, 프로그램 소스(예를 들어, NBC, ABC, HBO 등과 같은 텔레비전 방송사), 중간 배포 설비 및/또는 서버, 인터넷 제공자, 주문형 미디어 서버, 및 기타 미디어 콘텐츠 제공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미디어 배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NBC는 National Broadcasting Company, Inc.가 소유한 상표이고, ABC는 ABC, INC.가 소유한 상표이고, HBO는 Home Box Office, Inc.가 소유한 상표이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미디어 콘텐츠의 발신자(originator)(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사, 웹캐스트 제공자 등)일 수 있거나, 또는 미디어 콘텐츠의 발신자가 아닐 수 있다(예를 들어, 주문형 미디어 콘텐츠 제공자, 다운로드를 위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콘텐츠의 인터넷 제공자 등).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미디어 콘텐츠의 케이블 소스, 위성 제공자, 주문형 제공자, 인터넷 제공자, 또는 기타 제공자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또한 임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로부터 원격인 위치에서 상이한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함)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원격 미디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원격 저장, 및 사용자 기기에 원격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1999년 6월 11일 제출된 Ellis 등의 미국 출원 번호 제09/332,244호에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미디어 목록, 미디어 관련 정보(예를 들어, 방송 시간, 방송 채널, 미디어 제목, 미디어 설명, 등급 정보(예를 들어, 시청 규제 등급, 평론가 등급 등), 장르 또는 카테고리 정보, 배우 정보, 방송사 또는 제공자 로고에 대한 로고 데이터 등), 미디어 포맷(예를 들어, 표준 해상도, 고해상도 등), 광고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미디어 클립 등), 주문형 정보, 및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선택을 탐색하며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도움이 되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안내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임의의 적합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피드(예를 들어, 연속 피드, 유하식(trickle) 피드, 또는 채널의 수직 귀선 기간(vertical blanking interval)의 데이터)를 통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독형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일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 및 기타 안내 데이터는, 텔레비전 채널 측파대를 통해, 텔레비전 채널의 수직 귀선 기간에서, 대역내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대역외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데이터 전송 기술에 의해, 사용자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 및 기타 안내 데이터는 다수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을 통해 사용자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쥴 데이터 및 기타 안내 데이터는 임의의 적합한 빈도로(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매일, 사용자가 지정한 기간에, 시스템이 지정한 기간에,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등) 사용자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접근법에서,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의 안내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서버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기 상에 상주하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필요할 때 안내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소스(418)와의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402, 404, 및 406)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단독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만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부분적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300)의 제어 회로(304) 상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원격 서버 상에(예를 들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구현될 수 있다.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의해 발생되고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또한 사용자 기기 상의 저장을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다음 제어 회로에 의해 처리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시스템(400)은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와 미디어 콘텐츠 및 안내 데이터의 소스가 미디어에 액세스하고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접근법 또는 네트워크 구성을 예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접근법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일부 집합에, 또는 미디어를 전달하고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다른 접근법을 채용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 3개의 접근법은 도 4의 일반화된 예의 특정 예시를 제공한다.
하나의 접근법에서,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상기 기재한 단거리 점대점 통신 방식을 통하여 직접, 허브나 홈 네트워크 상에 제공되는 기타 유사한 디바이스를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하여, 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단일 홈에서의 다수의 개인 각각은 홈 네트워크 상의 상이한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이한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들 사이에 다양한 미디어 안내 정보 또는 설정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5년 7월 11일 제출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179,410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내의 상이한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들 상에 일관적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의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들은 또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로부터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두 번째 접근법에서,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미디어 안내를 획득하는 다수 유형의 사용자 기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자는 인홈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홈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디바이스(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구현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인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사무실에 있는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또는 PDA나 웹 가능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디바이스를 통해 웹사이트 상의 온라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인홈 기기에 온라인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설정(예를 들어, 녹화, 리마인더, 또는 기타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온라인 가이드는 사용자의 인홈 기기 상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함으로써 또는 직접 사용자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서로 원격인 위치에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들이 있는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다양한 시스템 방법은 예를 들어 2004년 8월 26일 제출된 Ellis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927,814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제3 접근법에서, 홈 내부 및 외부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와 직접 통신하도록 자신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내에서, 사용자 기기(414) 및 사용자 컴퓨터 기기(406)의 사용자는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탐색하며 위치를 찾기 위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탐색하며 위치를 찾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사용하여 홈 외부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설명이 비디오 콘텐츠를 중점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디어 안내의 원리는 음악, 이미지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일차(primary)"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기기(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상에서 실행되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자 한다. 일차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버전과 협동하여 작업하는 애플리케이션 버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이차(secondary)"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되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자 한다.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일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협동하여 실행되고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버전일 수 있다.
일차 및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통신 경로(424)를 통하여 또는 통신 경로(412 및 408)를 통한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하여 일차 및 이차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기타 데이터(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디지털 프레임과 같은)를 교환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클라이언트-서버 또는 피어 투 피어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경로(424)는 적외선 링크, 와이파이 링크, 블루투스 링크, 이러한 링크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예를 들어, 요청, 커맨드, 메시지 또는 원격 절차 호출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와 사용자 기기(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구성들 사이의 복잡한 통신을 수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예를 들어 객체 기반일 수 있다. 일차 및 이차 가이드에서 실행 중인 객체는 예를 들어 ORB(Object Request Broker)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 component object model) 객체로서 캡슐화되고(encapsulated), 통신 경로(424)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전송되는 스트림으로 지속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사이에 교환되는 HTML 포맷의 마크업 언어 문서(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통신 경로(42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사용자 기기(402)로부터 독점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때와 같이 단일 통신 경로(424)만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하여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직접 애플리케이션 및 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수의 통신 경로(424)가 존재할 경우 다양한 상이한 미디어 및 방식이 상이한 통신 경로(424)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홈에서, 예를 들어, 통신 경로(424)는 더 넓은 지리 영역에 걸친 데이터 전송에 보다 적합한 더 복잡한 링크 대신에 RF,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와 직접 통신할 경우, 통신 경로(424)는 인터넷 링크와 같이 더 넓은 지리 영역에 걸친 데이터 전송에 보다 적합한 링크일 수 있다는 것이 또한 더 적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및 사용자 기기(402)는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크 및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SPX/IPX(Sequenced Packet Exchange/Internetwork Packet Exchange) 계층,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계층, ATP/DDP(AppleTalk Transaction Protocol/Datagram Delivery Protocol) 계층, WAP(Wireless Access Protocol) 계층,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네트워크 또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및 사용자 기기(402)는 또한 예를 들어 Sun Microsystems에 의한 Jini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홈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네트워크 및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원하는 경우 시스템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및 사용자 기기(402)는 DLNA 및 UVNP 호환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 기기(402)에 독점적으로, 또는 사용자 기기(402)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공동으로,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만, 임의의 적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연속 스트림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적합한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어, 매시간당 한 번씩) 전송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402)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국부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오히려, 사용자 기기(402)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필요한 대로 "그때 그때(on the fly)"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특정 정보(예를 들어, 로컬 발생된 승인 기술을 사용하여 구매 및 시청하였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또는 프로그램 지불 계좌 정보)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 기기(402)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폴링(poll)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또한 적합한 클라이언트-서버 접근법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차 애플리케이션은 완전히 사용자 기기(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기기(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경로(424)를 통하여 사용자 기기(402) 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에 보내진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통하여 서버로서 작용하는 일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관여하지 않고서 사용자 기기(402) 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로부터 직접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2)는, 예를 들어 연속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로서, 주기적으로, 또는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의 요청을 폴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이차 애플리케이션이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요청해야 할 필요없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 기기(402)에 의해 저장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예를 들어 배포 설비(104)와 사용자 기기(402) 사이 그리고 사용자 기기(402)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사이의 데이터 전송률이 동일하지 않을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임의의 적합한 PDA, 이동 전화,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 기계, 또는 기타 휴대용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은 그의 프로세싱 회로, 통신 회로 및 메모리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핸드헬드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406)는 Windows CE 호환형 또는 JAVA 기반의 핸드헬드 PDA 스타일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임의의 기타 적합한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 프로세싱 회로(54), 저장장치(56), 및 통신 디바이스(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는 임의의 적합한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CD), 터치 감지형 스크린, 음성 인식 및 합성 회로, 마이크로폰, 스피커, 수동 버튼 또는 키, 키보드,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사용자 입력 또는 출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는 바람직하게 터치 감지형 스크린 또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터치 감지형 스크린은 다양한 유형의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탐색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터치 감지형 스크린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특정 스크린 또는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특정 작업에 적용하는 이들 버튼 또는 제어를 디스플레이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터치 감지형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려고 하는 데이터 입력의 유형에 맞도록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문자를 입력할 기회를 제공하도록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또는 숫자 입력을 단순화하도록 숫자 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적합한 수기 인식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푸시 버튼 및 디스플레이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푸시 버튼과 연관된 특징을 나타내도록 텍스트 또는 그래픽으로 각각의 푸시 버튼에 표기(label)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이한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 디스플레이는 액세스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베팅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 2개의 디스플레이는 "베팅(bet)" 및 "정보(info)"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로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할 경우, 동일 디스플레이는 "채널 업(channel up)" 및 "채널 다운(channel down)"을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소정의 푸시 버튼을 누르면 표시된 특징을 수행시키게 된다. 각각의 푸시 버튼에 대하여 적절한 라벨 및 특징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나타내도록,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402)(도 4)로부터 블루투스, 적외선, 와이파이, 또는 기타 무선 링크를 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제어 코드가 다운로드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4)는 Intel Pentium®, AMD, 또는 기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또한 저장장치(5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56)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적합한 기타 저장장치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메모리 또는 기타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또한 통신 디바이스(5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58)는 통신 경로(424)(도 4)를 통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와 사용자 기기(402) 사이 그리고 통신 경로(412)(도 4)를 통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와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도 4)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58)는 예를 들어, 통신 포트(예를 들어, 직렬 포트, 병렬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 모뎀(예를 들어, 임의의 적합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표준 모뎀 또는 셀룰러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토큰 링 카드 등), 무선 트랜시버(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셀룰러, 또는 기타 적합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트랜시버),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기타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통신 디바이스(58)는 호출 주파수(paging-frequency) 트랜시버일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5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58)는 통신 경로(412)를 통해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 경로(424)를 통해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58)는 상이한 유형의 통신 경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58)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아니면 액세스 통신을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적외선 이미터와 같은 또다른 통신 디바이스는 적외선 제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기기(402) 및 기타 홈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출 주파수 이미터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유형 정보를 업로드하고 적외선 코드를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모드로 사용될 때, 키들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커맨드를 발생시키도록 스크린 상의 키를 터치할 수 있다. 키는 콘텍스트 센서티브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관심있는 키만 디스플레이된다.
동작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로부터 사용자 커맨드를 획득하고, 프로세싱 회로(54)를 사용하여 커맨드를 처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52) 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것을 요하는 이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액세스하기 원함을 나타낼 때, 프로세싱 회로(54)는 사용자 기기(402)(도 4),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도 4)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도 4)와의 세션을 개시하도록 통신 디바이스(58)에 지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광고를 포함할 수 있는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뉴 상의 항목들 중의 하나는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일 수 있다. 가이드 특징을 선택하면 가이드 메인 메뉴, 프로그램 목록의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가이드 디스플레이를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가 목록을 선택할 경우, 디바이스는 목록과 연관된 프로그램의 설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광고는 프로그램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들을 선택하면 프로그램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를 가져오거나, 리마인더가 설정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기능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상품에 대한 광고는 사용자가 더 많은 정보를 얻거나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02)(도 4)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기기(402)(도 4)는 입력(26)에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또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의 데이터는 또한 입력(26)에서 수신될 수 있다. 보통의 텔레비전 시청 동안,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예를 들어, 셋톱 박스(28))를 원하는 텔레비전 채널(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튜닝할 수 있다. 그러면, 그 텔레비전 채널에 대한 신호가 비디오 출력(3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출력(30)에 공급되는 신호는 통상적으로 미리 정의된 채널(예를 들어, 채널 3 또는 4) 상의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이거나 아날로그 변조된 비디오 신호이지만, 또한 적절한 디지털 버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텔레비전(36)에 제공되는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출력(30)에서 비디오 신호는 선택적인 이차 저장 디바이스(3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일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일차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셋톱 박스(28) 상에거, 텔레비전(36) 상에서, 선택적인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 상에서(텔레비전(36) 또는 선택적인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가 적합한 프로세싱 회로 및 메모리를 갖는 경우), 또는 텔레비전(36)에 접속된 적합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수신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텔레비전(36)과 셋톱 박스(28) 둘 다에서 협동하여 실행될 수 있다. 협동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이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예를 들어 1998년 11월 5일 제출된 Ellis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186,598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이차 저장 디바이스(32)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또는 플레이어(예를 들어, 비디오카셋트 레코더, DVD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프로그램 녹화 및 기타 특징은 제어 링크(34)를 사용하여 셋톱 박스(2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차 저장 디바이스(32)가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인 경우, 예를 들어, 통상의 제어 링크(34)는 보통 원격 제어로부터 커맨드를 수락하는 비디오카셋트 레코더에서의 적외선 수신기에 연결된 적외선 송신기의 사용을 수반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셋톱 박스(28), 이차 저장 디바이스(32), 및 텔레비전(36)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기 위해 그리고 원격 제어와 같이 사용자 기기(402)(도 4)를 제어하기 위해 상이한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미디어 시스템(400)(도 4)의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적합한 설정 디스플레이 내로부터 디바이스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성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적인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0)에 디지털 형태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인터넷이나 어떤 다른 매체로부터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에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는 (기록 가능한 DVD 디스크를 처리할 수 있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기록 가능한 광 저장 디바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테이프와 같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기타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를 갖는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예를 들어 1998년 9월 17일 제출된 Hassell 등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157,25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는 셋톱 박스(28)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출력 포트 및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셋톱 박스(28)에 접속된 외부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셋톱 박스(28) 내의 프로세싱 회로는 수신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파일 포맷으로 포맷한다. 바람직하게, 파일 포맷은 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 MPEG-2 표준 또는 MJPEG(Movin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표준과 같은 오픈 파일 포맷이다. 그 결과의 데이터는 적절한 버스(예를 들어,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로 스트리밍될 수 있고,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MPEG-2 데이터 스트림 또는 일련의 파일들은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도 4)로부터 수신되고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도 4)에서 원격 미디어 서버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파일은 원할 때 사용자에게 다시 재생될 수 있다.
텔레비전(36)은 통신 경로(38)를 통하여 이차 저장 디바이스(32)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경로(38) 상의 비디오 신호는, 미리 기록된 저장 매체(예를 들어, 비디오카셋트 또는 기록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할 때 이차 저장 디바이스(32)에 의해, 미리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를 재생할 때(예를 들어, 사용자의 홈 내에서 또는 원격인 미디어 서버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에 의해 발생될 수 있거나, 셋톱 박스(28)로부터 전달될 수 있거나, 이차 저장 디바이스(32)가 사용자 기기(402)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셋톱 박스(28)를 통하여 텔레비전(36)에 직접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텔레비전(36)에 의해 직접 수신될 수 있다. 보통의 텔레비전 시청 동안, 텔레비전(36)에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는 사용자가 셋톱 박스(28)로 튜닝한 원하는 채널에 대응한다. 비디오 신호는 또한 셋톱 박스(28)가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31) 상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는데 사용될 때 또는 셋톱 박스(28)가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 또는 텔레비전 배포 설비(29)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파일을 디코딩하는데 사용될 때 셋톱 박스(28)에 의해 텔레비전(36)에 제공될 수 있다.
셋톱 박스(28)는 통신 경로(408)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도 4)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도 4)와 또는 통신 경로(424)(도 4)를 통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와 직접 통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3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37)는 예를 들어 통신 포트(예를 들어, 직렬 포트, 병렬 포트, USB 포트 등), 모뎀(예를 들어, 임의의 적합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표준 모뎀 또는 셀룰러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토큰 링 카드 등), 무선 트랜시버(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셀룰러, 블루투스, 또는 기타 적합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트랜시버) 또는 기타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텔레비전(36)은 또한 원하는 경우 이러한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통신 디바이스(37)는 호출 주파수 또는 900 MHz 트랜시버일 수 있다. 원한다면, 셋톱 박스(28)는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37)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37)는 배포 설비(104)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다른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차 및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제한 없이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할일(to-do) 리스트, 베팅 애플리케이션, 또는 임의의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기기(402)(도 4)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서 구현되는 시스템에 관련하여 예시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적합한 구성에서,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도 4)로부터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서 구현되는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으로 분산된다. 다른 적합한 구성에서,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차 처리 전력이 예를 들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위치된 서버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기기(402)가 클라이언트 프로세서로서 작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의 구성에서,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으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는 통상적으로 객체 위에 하이라이트 영역 또는 커서를 위치시킴으로써 객체가 선택될 것을 요함으로써 스크린 상의 인터랙티브 객체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능력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의 열 내에 있을 때, 사용자는 인터랙티브 객체를 선택하도록 그 열의 위나 아래로 화살표 이동해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객체로부터 다른 것으로 탐색하도록 여러 개의 키 스트로크(key stroke)를 수행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서는 어느 영역이든 선택 가능할 수 있으므로, 그리하여 인터랙티브 객체에 액세스할 수 있는 증가된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후에 모델링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규 원격 제어와 같이 하이라이트 영역을 위치시키기 위해 다수의 키스트로크를 수행해야 할 필요 없이 단일 동작으로 특정 메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시간별, 채널별, 카테고리별 목록, 선호 채널 또는 임의의 기타 가이드 특징과 같이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의 수많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오디오 경보 및 디스플레이 둘 다를 이용해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디바이스 상에 보이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페이징 리턴(paging return)을 통하여,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원격으로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녹화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설문을 발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또한 시청률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POP 디바이스를 이용해, 예를 들어 전자 쿠폰을 배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일차 가이드의 기능을 이차 가이드의 기능과 함께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일차 및 이차 가이드의 쌍방향성(interactivity)을 확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온스크린(on-screen) 가이드의 통합된 부분이 된다. 일차 및 이차 가이드 사이의 상보적 쌍방향성은 텔레비전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서 다양한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및 시간을 통해 브라우징하고, 프로그램 정보에 액세스하고,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을 주문하고,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잠금(locking)하는 것이 전부 텔레비전(36)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고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이용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호 채널을 설정하거나, 한 번에 하나보다 많은 수의 채널을 시청하거나, 또는 글로벌 보호 잠금을 설정하는 것과 같은 더 많은 사용자 관련 기능에 대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디스플레이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탐색할 수 있는 원격 제어로 끊임없이 변환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중간 스크린 또는 메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기기(402)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적절한 메뉴를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맨드를 완성하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최종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사용자 기기(402)(도 4)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 채널을 설정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적절한 메뉴를 탐색하고 선호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 동안, 다양한 중간 스크린들이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스의 끝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 기기(40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고서 최종 커맨드를 실행시키도록 사용자 기기(402)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도 7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406)가 시작될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예시적인 메뉴 스크린(601)을 도시한다. 메뉴 스크린(601)은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실행 중인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맞추어 조정된 기능을 갖는 이차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다수의 아이콘(60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스크린(601)은 또한 원할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독점적으로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60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신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해 TV Guide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한다.
도 8은 핸드헬드 액세스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예시적인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을 도시한다.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예를 들어 시작시에 또는 사용자가 메뉴 스크린(601)으로부터 적합한 아이콘을 선택한 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브라우징된 채널(717)에 대한 프로그램 제목(715) 및 시간 슬롯(719)이 디스플레이되는 브라우즈 영역(70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즈 영역(703)은 또한 목록과 연관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그의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시간(711) 및 채널(713)이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른쪽, 왼쪽, 위, 그리고 아래 화살표(721)를 터치함으로써 다른 시간 슬롯 및 채널에 대하여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채널(717)을 터치함으로써 브라우징된 채널로 튜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채널(717)을 터치할 경우,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통신 경로(424)를 통하여 일차 가이드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채널로 튜닝하기를 원한다고 표시하였음을 일차 가이드에 알린다. 일차 가이드는 사용자 기기(402)(도 4)가 표시한 채널로 튜닝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의 채널을 변경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에서의 제어는 또한 임의의 기타 적합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시간별 또는 채널별 목록 스크린을 입력하도록 시간(719) 또는 채널(717)을 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사용자는 시간(719)을 터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목록을 브라우징하기 원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1/2 시간 슬롯에 의해 분리된 시간 목록 또는 숫자 키패드를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채널(717)을 터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가 목록을 브라우징하기 원하는 채널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채널 목록 또는 숫자 키패드를 제시할 수 있다.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광고(705)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또는 기타 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이 아닌 상품 또는 서비스를 광고하는 텍스트 및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선택할 경우, 이차 가이드는 정보(예를 들어, 유료 시청제 주문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광고의 콘텐츠와 관련된 기타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402)(도 4)로 하여금 광고된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에 대한 예고편이 디스플레이되는 바커(barker) 유형 채널로 튜닝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차 가이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를 선택하였음을 일차 가이드에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일차 가이드는 사용자 기기(402)(도 4)를 연관된 바커 채널로 튜닝할 수 있다. 바커 채널이 사용자 기기(402) 상에 재생되고 있는 동안, 이차 가이드는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을 주문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선택할 경우, 텔레비전(36)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고서, 이차 가이드는 정보(예를 들어, 유료 시청제 주문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광고의 콘텐츠에 관련된 기타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예를 사용하여, 이차 가이드는 바커 채널을 디스플레이하고, 텔레비전(36)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고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을 주문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또한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기기(17) 상에서 실행 중인 일차 프로그램 가이드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로고(70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그의 디폴트 상태(예를 들어, 전원을 끔, 메인 메뉴 스크린(601)으로 돌아감, 등)로 되돌리도록 나가기(exit) 아이콘(709)을 터치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목록을 브라우징하기에 적합한 기타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예를 들어 다음 프로그램, 이전 프로그램, 시간 앞으로, 시간 뒤로, 날짜 앞으로, 날짜 뒤로, 그리고 현재 시간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을 선택할 때,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 프로그램에 대한 목록을 브라우징하기를 원함을 나타낼 수 있게 해주는 다음 및 이전 선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기타 적합한 제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8의 브라우즈 디스플레이 스크린(701)으로부터 프로그램 제목(715)을 터치할 때 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선택할 때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정보 스크린(801)을 도시한다. 정보 스크린(801)은 선택된 목록에 의해 나타내지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803)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스크린(801)은 또한 선택 가능한 광고(705), 현재 시간(711), 현재 채널(713), 로고(707), 및 나가기 아이콘(709)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선택함으로써 정보 스크린(801)에 액세스할 경우, 선택된 선택 가능한 광고만 스크린 상에 남을 수 있다.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시청(WATCH) 버튼(807)을 터치함으로써) 프로그램으로 튜닝하는 것과 같이 정보 스크린(801)으로부터 표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기타 익숙한 프로그램 가이드 특징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청 버튼(807)을 터치하면, 사용자에게는 텔레비전(36)에서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디스플레이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옵션이 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의 스크린 상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기를 선택하는 경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홈 내의 로컬 미디어 서버(도시되지 않음) 또는 셋톱 박스(28)로부터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리마인드 제어(809)를 터치함으로써 표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사용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할 때, 이차 가이드는 일차 가이드에 맞추어 리마인더를 조정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예를 들어 경로(424)(도 4)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함으로써, 일차 가이드에 리마인더가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다. 적절한 때에(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10분 전에), 이차 가이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리마인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일차 가이드는 텔레비전(36) 상에 리마인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의 메모리를 절약하기 위해, 리마인더는 일차 가이드와 함께 이차 가이드에 의해 설정되며 이차 가이드에 의해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리마인더가 일차 가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때, 일차 가이드는 이차 가이드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하며, 소정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리마인더가 대기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그에 따라 리마인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핸드헬드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406)는 리마인더가 디스플레이되는 때를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이용 가능하기 일 내지 15분 전에 대하여 리마인더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리마인더는 상이한 디폴트 또는 사용자가 구성한 시간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및 사용자 기기(4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리마인더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및 사용자 기기(402) 중 하나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프로그램 제목, 채널, 등급 또는 기간을 보호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잠금 제어(811)를 터치함으로써, 표시된 프로그램 또는 그의 속성 중 하나(예를 들어, 제목, 등급, 채널 등)를 보호 잠금하기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그램 제목, 채널, 등급, 또는 기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은 사용자 상호동작 관점으로부터 일부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수반된 기능일 수 있다. 사용자가 프로그램 제목, 채널, 등급, 또는 기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원함을 나타낼 경우,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일차 프로그램 가이드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하며, 사용자가 소정의 프로그램 제목, 채널, 등급 또는 기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를 원함을 일차 가이드에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이차 가이드는 일차 가이드 시청 규제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에서 사용자가 탐색할 수 있게 해주는 원격 제어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시청 규제하는 것이 그닥 관여되지 않은 가이드에서, 이차 가이드는 제목, 채널, 장르, 등급, 또는 예에 의해 프로그램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또한 시청 규제 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청 규제 코드를 변경할 경우, 이차 가이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사용하여 코드의 변경 및 새로운 코드를 일차 가이드에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일차 가이드는 그에 따라 시청 규제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정보 스크린(801)은 제어(807, 809 및 811)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더 많은 제어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많은 제어를 터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추가의 특징에 대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의 제어는 예를 들어 유료 시청제 주문 제어, 기타 방송 시간 제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가이드는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을 주문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을 광고하는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터치함으로써,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을 주문하기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유료 시청제 주문 스크린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이차 가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용한 것으로서, 유료 시청제 주문 스크린은 브랜드 로고(707), 나가기 제어(709), 현재 시간(711), 및 현재 채널(71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료 시청제 주문 스크린(901)은 또한 주문 정보(907)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정보(907)는 선택된 프로그렘의 제목, 선택된 쇼에 대한 방송 시간(911), 가격, 간략한 설명,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의 등급, 및 임의의 기타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료 시청제 주문 스크린(901)은 또한 선택 가능한 광고(7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광고를 선택함으로써 유료 시청제 주문 스크린에 액세스할 때, 단일 선택 가능한 광고(70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일 선택 가능한 광고는 동작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 제목을 선택함으로써 스크린에 액세스할 때, 2개의 선택 가능한 광고(70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2개의 선택 가능한 광고(705)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이차 가이드는 광고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크린(901)이 처음에 디스플레이될 때, 표시된 유료 시청제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시간(911)은 다음 이용가능한 시작 시간(913)에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왼쪽 화살표(903) 또는 오른쪽 화살표(905)를 터치함으로서 추가적인 방송 시간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시작 시간(913)을 선택할 경우, 이차 가이드는 선택된 시작 시간에 대한 주문 정보(907)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사용하여 일차 가이드 내에서 탐색하며 일차 가이드의 특징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로고(707)를 터치함으로써 일차 가이드에 액세스하기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원격 스크린(1000)을 도시한다. 원격 스크린(1000)은 예를 들어 로고(707), 선택 가능한 광고(705), 현재 시간(711) 및 현재 채널(7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스크린(1000) 내로부터 로고(707)를 선택할 때, 이차 가이드는 텔레비전(36) 상에 프로그램 목록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일차 가이드에 명령할 수 있다. 원격 스크린(1000)의 제어는 일차 가이드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 특정 일차 애플리케이션 스크린 상에 하이라이트된 옵션, 일차 애플리케이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유형 또는 콘텐츠,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특징, 특징 그룹, 또는 콘텐츠에 기초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화살표(1003)를 터치함으로써 일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에서 탐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의 탐색은 임의의 일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다른 방식으로 일차 프로그램 가이드 내에서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이차 가이드, 일차 가이드, 또는 둘 다에 대해 선호로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FAV"(1007)를 터치함으로써 선호로서 설정된 목록 사이를 탐색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차 가이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또는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으로서 가장 눈에 띄거나 편리한 위치에 있는 선호 채널로 프로그램 목록을 재정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LAST"(1009)를 터치함으로써 하나의 이전의 일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백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MENU"(1011)를 터치함으로서 일차 가이드 메인 메뉴 스크린(100)으로 돌아갈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EXIT"(709)를 터치함으로써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으로 돌아갈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목록 위에 하이라이트 영역(150)을 위치시키고 "INFO"(1013)을 터치함으로써 특정 목록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보기를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목록 스크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스크린 내로부터 프로그램 목록을 하이라이트시킬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이차 가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제어는, 리마인더 설정, 프로그램 잠금, 유료 시청제인 경우 프로그램 주문, 프로그램의 다른 방송 시간 보기, 또는 사운드트랙, 프로그램의 비디오테이프, 또는 프로그램의 브랜드를 보이는 의류와 같은 프로그램 관련 상품 주문에 대한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 무슨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지를 정의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콘텍스트 센서티브 도움말을 호출하는 도움말 제어 버튼,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또는 사용자의 텔레비전 기기(402)(도 4)가 이메일을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플래그, VCR 버튼, DVD 버튼, 또는 사용자 기기(402)(도 4) 및 사용자 기기(402)(도 4)에 접속된 디바이스 전부를 오프시키는 전원 오프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일차 가이드의 기능은 임의의 수의 기타 적합한 프로그램 가이드 관련 특징에 대하여 이차 가이드에 맞추어 조정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예를 들어, (케이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프로모션 메시지와 같이 가이드와 관련되거나, 또는 개인 메시지와 같이 가이드와 관련없는) 이메일을 보내고 받거나; 상품을 구매하거나; 텔레비전에 방송되는 경매에 응찰하거나; HBO와 같은 가입 서비스를 주문하거나; 케이블 요금을 지불하거나; (PPV 영화를 다른 것으로 빌려주거나, 임의의 기타 가이드 기반의 금융 거래를 행하는 것과 같이) 다른 가족의 누군가와 금융 거래를 하거나; 인터넷 기반의 전자 상거래를 실시하거나(예를 들어, 상품 구매, 온라인 경매 또는 반대 경매에 참여하는 등), 또는 인터넷을 서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특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사용하여 일차 가이드와 이차 가이드 사이에 조정될 수 있는 또다른 기능은 PIP(picture-in-picture) 디스플레이의 제어이다. PIP 디스플레이는 풀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된 또다른 채널의 비디오의 상부에 오버레이되는 한 채널의 비디오의 작은 부분 스크린 비디오 윈도우이다. 이차 가이드의 브라우즈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채널 및 프로그램 제목을 브라우즈하고 PIP에서 동일 채널을 볼 수 있으며, 다른 시청자는 계속해서 메인 스크린 상에 튜닝된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사용하여 PIP 윈도우 내에 주문형 영화 예고편, TV 광고 및 기타 다운로드된 비디오를 불러올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차 가이드(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서 실행 중인 다른 소프트웨어)는 또한 다인(multi-person) 비디오 회의에서 PIP를 제어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자간의(three-way) 비디오 회의에서 사용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의 적합한 제어를 터치함으로써 2개의 다른 사용자 위치 사이에 보기(view)를 전환할 수 있다. 2자간 비디오 회의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PIP 디스플레이에서 시청자 위치들 간에 교대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합한 프로세싱 회로를 가질 수 있다. 비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MPEG-2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스트리밍될 수 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는 또한 사용자가 이차 가이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즈함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 접근법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는, 브라우즈시에 브로드캐스트되고 있으며 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자원이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대신 스틸샷이 사용자 기기(402)(도 4)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로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대역폭 제약을 고려하여 고압축된 비디오가 사용될 수 있다. 고압축된 비디오를 사용하는 것은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고해상도 비디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미디어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로 스트리밍되면서, 다른 프로그램이 셋톱 박스(28)에 의해 텔레비전(36)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각각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을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서의 광고가 텔레비전(36)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는 텔레비전(36)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을 전환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의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광고의 종료시, 사용자는 텔레비전(36)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전환하도록 다시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오로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만 실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온라인 프로그램 가이드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뉴 스크린(601)(도 7)으로부터 TV Guide On-line을 터치함으로써 온라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액세스하기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온라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액세스하기 원함을 나타낼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개시하여 적합한 웹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웹 액세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기타 독점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독점 웹 브라우저 또는 기타 원격 액세스 소프트웨어가 개시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는 프로그램 추천 애플리케이션이다. 프로그램 추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것을 결정하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터치 스크린 상에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간 제안을 행하도록, 사용자 기기(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Olympics를 보고 있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사용자가 관심있을 수 있는 다른 스포츠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되는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현재 보고 있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또는 예를 들어 저장장치(308)(도 3)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일차 프로그램 가이드에 질의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일차 프로그램 가이드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으로부터(예를 들어, 원격 미디어 서버로부터) 프로그램 추천을 획득할 수 있다. 추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도 7 내지 도 15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정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가 사용자에 의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가 로컬 미디어 서버로부터 "Batman"의 재생을 시작하는데 사용되었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따라서 이 정보에 기초하여 "The Dark Knight"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The Dark Knight"를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DVD를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의 링크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현재 영화(예를 들어, "Batman")가 끝날 때 사용자에게 보여질 "The Dark Knight"에 대한 예고편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고편은 사용자 기기(402) 상에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서 액세스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웹사이트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lueray disc로부터의 영화를 재생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영화의 사운드트랙, 영화의 배우, 또는 다양한 커뮤니티 기반의 서비스에의 링크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영화 스튜디오의 웹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웹 사이트에 대한 예시적인 홈 페이지(1401)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링크(1403) 또는 기타 적합한 유형의 앵커(anchor)를 선택할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페이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임의의 기타 적합한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접근법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서버(즉, 원격 액세스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스크린샷 또는 스크린샷 커맨드를 다운로드하도록 Windows RAS(remote access software) 클라이언트와 같은 적합한 원격 액세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텔레비전(36)(도 6)에서 제2 또는 제3 튜너를 사용하여 스크린샷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Editor's Picks" 앵커를 선택할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예시적인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My TV listings" 앵커(1403)를 선택할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예시적인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가이드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되는 기타 액세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기준 중의 하나에 따라 정렬된 프로그램 목록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준을 선택하면, 온라인 가이드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또는 기타 인터넷 액세스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기준에 대하여 프로그램 목록을 검색하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적합한 시간대에 대한 프로그램 목록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프로필, 우편 번호, 케이블 시스템, 위성 서비스, 또는 기타 적합한 기준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목록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또한 시간별, 장르별, 선호도별,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기준에 의해 목록을 제한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온라인 가이드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되는 기타 액세스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2의 홈 페이지(1401)로부터 "About TVG Wireless" 앵커(1403) 또는 기타 적합한 앵커를 선택할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바웃(about) 페이지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 상에 단독형 및 조정된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단계들은 예시이며, 실제로 임의의 적합한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이용해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800에서,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제공된다. 데이터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도 4)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로 직접,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도 4)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로 사용자 기기(402)(도 4)를 통하여, 또는 사용자 기기(402)로부터 직접(즉, 사용자 기기(402)로부터 생긴 데이터), 제공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베팅 및 금용 거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프로그램과 연관된 인터랙티브 특징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 및 금융 거래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이 사용자 기기를 통하여 제공될 때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은 특징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홈 쇼핑 텔레비전 채널 상에 나오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구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단계 1810),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이용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1820).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단독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예를 들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또는 사용자 기기(402)에서의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로서, 또는 사용자 기기(402) 내에서 실행되는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협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단계 183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PDA형 기능과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이메일, 달력, 연락처 리스트, 웹 브라우징, 계산기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뉴스, 날씨, 스포츠, 교통,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단독형으로서 또는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실행 중이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해, 이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진보된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사용자가 홈 기기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으며, 시스템이 켜져 있는지 여부나, 어느 채널이 켜져 있는지 등을 알게 해줄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TV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듣거나 오디오 채널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도 17은 사용자 기기(402) 내에서 실행되는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되는 이차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특징을 조정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900에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실행 중인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차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1910에서, 일차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도 4)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애플리케이션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92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실행 중인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일차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맞추어 조정된 인터페이스 제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제어는 일차 애플리케이션의 탐색 특징과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적인 원격 스크린(1000)은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실행 중인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의 탐색 특징에 대응하도록 탐색 화살표(1003)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선호, 마지막, 더 많은 정보, 및 메뉴와 같은 인터랙티브 가이드 특징에 대한 제어를 포함한다.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유사한 탐색 제어를 포함할 수 있고, 구매, 정보, 위시 리스트에 아이템 놓기,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홈 쇼핑 특징과 같은 홈 쇼핑 특징에 대한 기타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 거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유사한 탐색 제어를 포함할 수 있고, 주식 사기, 주식 팔기, 더 많은 정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특징과 같은 특징에 대한 기타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유사한 탐색 제어 및 예를 들어 뒤로, 앞으로, 홈, 북마크,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특징과 같은 기타 제어가 제공될 수 있다. 베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베팅 기회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특징을 제공하는 베팅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는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차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구성 가능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표준 제어의 라이브러리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의해 저장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사용자에게는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걸쳐 일관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원하는 경우 특정 일차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수화된 제어가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를 일차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맞추어 조정하는 다른 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일차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402) 상에서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목록을 브라우징할 때,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1930에서, 이차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일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통신을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교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홈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일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구매 제어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구매 시퀀스를 개시할 수 있다. 주식 거래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일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팔기 제어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주식을 팔 수 있다. 웹 브라우저에서, 예를 들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뒤로 제어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전에 액세스한 웹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8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2100에서,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제공된다. 데이터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로 직접,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로 사용자 기기(402)를 통하여, 또는 사용자 기기(402)로부터 직접(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402)로부터 생긴 데이터), 제공될 수 있다. 단계 211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즈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 기기(402)의 일부 상에서 실행 중인 일차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클라이언트로서 독립적으로 또는 사용자 기기(402)의 일부 상에서 실행 중인 일차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협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또는 사용자 기기(402)는 사용자가 브라우징된 목록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텔레비전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2115).
단계 212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리마인더를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리마인더는 핸드헬드 액세스 디바이스(406) 상에 오디오 경보 및 디스플레이 둘 다와 함께 보일 수 있다(단계 2125). 페이징 리턴을 통하여,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기기(402) 상에 상주하는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가이드와 원격으로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 213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유료 시청제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주문할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의 목록을 선택하거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광고를 선택함으로써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유료 시청제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주문하기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주문된 유료 시청제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사용자 기기(402) 상에 제공될 수 있다(단계 2135).
단계 214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추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목록을 서택하거나 광고를 선택하거나(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제어를 선택함으로써, 추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보기 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인 정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사용자 기기(402) 상에 제공될 수 있다(단계 2145).
도 19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를 사용하여 사용자 기기(402)(도 4) 상에서 커맨드를 실행시키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2002에서,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커맨드는 예를 들어 선호 채널 설정하기, 보호 잠금 설정하기, 녹화 스케줄링, 리마인더 설정하기, 미디어 콘텐츠 검색 수행하기,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커맨드와 같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커맨드일 수 있다. 또한, 커맨드는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커맨드, 채널 변경 커맨드, 재생 커맨드, 녹화 커맨드,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커맨드와 같은 기본 커맨드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키를 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동시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광고는 커맨드의 유형에 기초하여 또는 사용자 입력 자체에 기초하여 타겟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미디 프로그램에 대해 검색하도록 검색 문자열을 입력하고 있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코미디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200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인터페이스 스크린(예를 들어, 메뉴)을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단순히 "채널 업" 커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임의의 인터페이스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이 예를 들어 선호 채널 설정하기, 리마인더 설정하기, 보호 잠금 설정하기 또는 검색 문자열 만들기와 같은 보다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뉴에 액세스하는 것인 경우, 사용자 기기(40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중간 인터페이스 스크린(예를 들어, 메뉴)이 사용자 기기(402)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또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있는 동안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검색 문자열인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 및/또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용어의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어느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시켰는지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에 의해 자동으로 검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 날짜, 시청 습관,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식별 기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더 많은 커맨드를 입력한다면, 단계 2008은 부가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단계 2002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커맨드 입력하기를 끝마친다면, 단계 2008은 단계 2010으로 갈 수 있다. 단계 201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맨드를 수신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텔레비전(36)(도 6), 셋톱 박스(28)(도 6), 또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도 4)가 커맨드를 수신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입력된 커맨드, 디바이스 각각의 지원되는 재생 및 녹화 포맷(예를 들어, 고해상도, 표준 해상도, 및 H.264)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로부터의 디바이스의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절한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에 가장 가까운 디바이스가 커맨드를 수신하여 실행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인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맨드를 수신하여 실행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를 결정하는데 디바이스까지의 거리 및 커맨드의 유형(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커맨드, 채널 변경 커맨드, 재생 커맨드, 및 녹화 커맨드) 둘 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튜너에 관여되는 커맨드(예를 들어, 채널 업 커맨드)는 셋톱 박스(28)(도 6)로 보내질 수 있는 반면에, 웹사이트에 관여되는 커맨드는 사용자 컴퓨터 기기(404)(도 4)로 보내질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로부터의 디바이스의 근접성을 결정하는데 GPS 또는 Wi-Fi 위치 기반의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의 지원되는 재생 또는 녹화 포맷이 또한 적절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D 콘텐츠를 재생하라는 커맨드를 입력하고 사용자가 2개의 텔레비전을 소유하는데 그 중 하나가 HD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적절한 디바이스로서 HD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커맨드를 수신할 적절한 디바이스를 결정하면, 단계 201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는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디바이스가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IR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 그리고/또는 적절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지의 여부(Wi-Fi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를 결정할 수 있다.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를 시도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를 핑하기를 시도할 수 있다.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하다면, 단계 201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적절한 디바이스로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커맨드 문자열에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다. 식별자는 커맨드를 실행할 적절한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에 어드레스 지정된 것이 아닌 커맨드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커맨드를 무시할 수 있다. 단계 201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커맨드를 실행한 적절한 디바이스로부터 확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확인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확인 디스플레이 스크린, 확인응답 코드 또는 검색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그 다음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도 4)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확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맨드가 미디어 콘텐츠 검색 커맨드였다면, 단계 2018에서 검색 결과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커맨드는 디스플레이될 정보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단계 2018은 예시적인 프로세스(2000)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2012에서,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하지 않다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가 결정하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단계 2020에서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하게 될 때까지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하지 않는 동안,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계속해서 추가의 커맨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적절한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해질 때까지, 예를 들어 저장장치(56)(도 5)에, 이용 불가능한 적절한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하게 된 후에, 단계 201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6)는 적절한 디바이스로 저장장치(56)(도 5)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동안 하나 이상의 커맨드가 커맨드 대기열에 저장될 수 있고, 디바이스가 액세스 가능해진 후에 커맨드 대기열에 저장된 커맨드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치 커맨드가 디바이스로 보내질 수 있다.
전술한 바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이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진정한 의미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기재된 실시예는 한정이 아니라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00: 그리드 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
200: 비디오 모자이크 디스플레이
300: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302: 입력/출력(I/O) 경로 304: 제어 회로
306: 프로세싱 회로 308: 저장장치
31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312: 디스플레이
314: 스피커
400: 미디어 안내 시스템
402: 사용자 기기 404: 사용자 컴퓨터 기기
406: 무선 통신 디바이스 414: 통신 네트워크
416: 미디어 콘텐츠 소스 418: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1차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들과 협동하는 2차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2차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스크린을, 상기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 어디에도 디스플레이지 하지 않으면서,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스크린은 검색 커맨드에 대한 검색 문자열(search string)을 생성하기 위한 것인,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검색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는 상기 검색 커맨드에 따른 검색이 가능한 것인,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각각에서 대응하는 검색을 실행하도록,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검색 커맨드가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확인 데이터는 검색 결과들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검색 결과들 중 적어도 몇몇의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디바이스가 접근가능(accessible)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커맨드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18234A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95,560 2009-06-30
US12/495,560 US20100333136A1 (en) 2009-06-30 2009-06-30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2/495,528 2009-06-30
US12/495,528 US9405710B2 (en) 2009-06-30 2009-06-30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2/495,522 US8769578B2 (en) 2009-06-30 2009-06-30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2/495,522 2009-06-30
PCT/US2010/038254 WO2011008387A2 (en) 2009-06-30 2010-06-11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627A Division KR101995550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075A KR20190076075A (ko) 2019-07-01
KR102042391B1 true KR102042391B1 (ko) 2019-11-07

Family

ID=4275340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459A KR101778205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7015560A KR20150074208A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77025219A KR101906487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7018234A KR102042391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7022627A KR101995550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7035603A KR20180133563A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459A KR101778205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7015560A KR20150074208A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77025219A KR101906487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627A KR101995550B1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7035603A KR20180133563A (ko) 2009-06-30 2010-06-1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7) EP3343528B1 (ko)
JP (2) JP2012532492A (ko)
KR (6) KR101778205B1 (ko)
CN (4) CN105338383B (ko)
AU (1) AU2010273888B2 (ko)
BR (1) BRPI1016250A2 (ko)
CA (3) CA3157108A1 (ko)
DK (1) DK2824645T3 (ko)
ES (2) ES2666672T3 (ko)
HU (1) HUE038888T2 (ko)
MX (1) MX2012000188A (ko)
PL (1) PL2824645T3 (ko)
PT (3) PT3657458T (ko)
WO (1) WO20110083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4800B2 (en) 2010-05-10 2016-03-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lligent remote control
MY175006A (en) 2011-01-04 2020-06-01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Sequencing content
US8918719B2 (en) 2011-02-14 2014-12-23 Universal Electronic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CN102916858A (zh) * 2011-08-05 2013-02-06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系统、电子装置与多媒体分享方法
KR101971624B1 (ko) 2012-07-25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US9374420B2 (en) * 2012-12-14 2016-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source selection in a P2P network
US10031647B2 (en) 2013-05-14 2018-07-24 Google Llc System for universal remote media control in a multi-user, multi-platform, multi-device environment
CN103442301A (zh) * 2013-08-28 2013-12-11 Tcl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电视机的方法及系统和移动终端及电视机
US20160212492A1 (en) * 2015-01-21 2016-07-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odifying functionality of an actuator
JP6628394B2 (ja) * 2015-06-10 2020-01-08 株式会社日本ビデオセンター テレビ視聴システム
KR102434103B1 (ko) * 2015-09-18 2022-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18295B1 (ko) 2016-04-19 202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503832B2 (en) * 2016-07-29 2019-12-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ambiguating a term based on static and temporal knowledge graphs
US10564928B2 (en) * 2017-06-02 2020-02-1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volume- based response for multiple voice-operated user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1206A (ja) * 2002-06-24 2005-10-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個人向けプログラマブル汎用遠隔制御装置
US20070124772A1 (en) * 2005-11-30 2007-05-31 Bennett James D Universal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9794B1 (en)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US6388714B1 (en)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5801787A (en) 1996-06-14 1998-09-01 Starsight Telecast, Inc. Television schedul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multiple program occurrences
US6177931B1 (en) 1996-12-19 2001-01-23 Inde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 with television programs, video, advertising information and program scheduling information
US6564378B1 (en) 1997-12-08 2003-05-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browsing display
ATE225998T1 (de) * 1998-07-17 2002-10-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fernsehprogrammführung mit mehreren geräten an einem ort
AR020608A1 (es) 1998-07-17 2002-05-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 metodo y una disposicion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acceso remoto a una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por un enlace de acceso remoto
WO2000017737A1 (en) * 1998-09-17 2000-03-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US6437836B1 (en) * 1998-09-21 2002-08-20 Navispace, Inc. Extended functionally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JP3862431B2 (ja) * 1998-11-05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双方向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310346B1 (ko) * 1998-12-19 2001-11-05 윤종용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ATE312474T1 (de) * 2000-04-10 2005-12-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ktive medienführung mit medienführungsschnittstelle
US8789114B2 (en) * 2000-06-30 2014-07-22 Jlb Ventures Llc Remote control of program scheduling
CA2425458C (en) * 2000-10-11 2012-06-1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user media lists
US6978473B1 (en) * 2000-10-27 2005-12-20 Sony Corporation Pop-up option palette
GB0027332D0 (en) * 2000-11-09 2000-12-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control through portable devices
US7567575B2 (en) 2001-09-07 2009-07-28 At&T Corp. Personalized multimedia services using a mobile service platform
US7254777B2 (en) * 2001-12-20 2007-08-07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functionality of an appliance using a program guide
JP2003284170A (ja) * 2002-03-20 2003-10-03 Toto Ltd 電波リモコンシステム
WO2003088655A1 (en) 2002-04-05 2003-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andheld device that integrate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ith audio/video control
US7116894B1 (en) 2002-05-24 2006-10-03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stream conversion
JP4069415B2 (ja) * 2003-01-24 2008-04-02 ソニー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246747A1 (en) * 2003-03-31 2005-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tilization of data broadcasting technology with handheld control apparatus
US7787423B2 (en) * 2003-09-10 2010-08-31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and program product for the same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1121778B1 (ko) 2004-01-06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으로 영상기기 주변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198078A (ja) * 2004-01-08 2005-07-21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385934B2 (ja) * 2004-12-01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サーバ
US7375673B2 (en) * 2005-01-13 2008-05-20 Netgear, Inc.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US7805741B2 (en) 2005-09-13 2010-09-28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ing digital video recorders
KR100703798B1 (ko) * 2005-09-2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US20070124792A1 (en) 2005-11-30 2007-05-31 Bennett James D Phone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US7783702B2 (en) * 2005-11-30 2010-08-24 Microsoft Corporation Using a mobile phone to control a personal computer
EP1793592A3 (en) 2005-11-30 2008-02-27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EP2373023A3 (en) * 2005-12-23 2012-03-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FI1969839T4 (fi) * 2005-12-29 2023-08-31 Useita laitteita sisältävä interaktiivinen medianohjausjärjestelmä
US8106742B2 (en) * 2006-08-04 2012-01-31 Tegic Communications, Inc. Remotely controlling one or more client devices detected over a wireless network using a mobile device
US8421602B2 (en) * 2006-09-13 2013-04-16 Savant Systems, Llc Remote control unit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7965981B2 (en) 2006-09-29 2011-06-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content searching between peer devices
KR102205737B1 (ko) * 2006-09-29 2021-01-21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인크. 인터랙티브 미디어 가이던스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프로파일들의 관리
CN200990138Y (zh) * 2006-12-01 2007-12-12 上海华成网络技术有限公司 具有触摸屏和无线通信功能的视频会议用遥控装置
JP2008236647A (ja) * 2007-03-23 2008-10-02 Canon Inc テレビ放送受信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テレビ放送受信システム
EP1998446A1 (en) * 2007-05-31 2008-12-03 Alcatel Lucent Remote control for devices with connectivity to a service delivery platform
JP4442681B2 (ja) * 2007-11-22 2010-03-31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制御機器、再生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20090165051A1 (en) * 2007-12-19 2009-06-2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FR2924890A1 (fr) * 2008-04-04 2009-06-12 Emmanuel Rouyer Procede de selection automatique de peripherique par critere de proximite
US10512802B2 (en) 2017-10-20 2019-12-24 Werner Co. Energy absorber cover and horizontal life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1206A (ja) * 2002-06-24 2005-10-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個人向けプログラマブル汎用遠隔制御装置
US20070124772A1 (en) * 2005-11-30 2007-05-31 Bennett James D Universal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3342A (zh) 2012-05-23
EP3657458B1 (en) 2022-02-23
DK2824645T3 (en) 2018-04-16
EP3343527A1 (en) 2018-07-04
AU2010273888B2 (en) 2014-06-19
CN105338383A (zh) 2016-02-17
ES2520992T5 (es) 2018-05-29
KR20180091956A (ko) 2018-08-16
JP2013219812A (ja) 2013-10-24
KR101778205B1 (ko) 2017-09-15
WO2011008387A3 (en) 2011-03-10
CN105338383B (zh) 2019-06-07
BRPI1016250A2 (pt) 2020-08-18
CA2765175A1 (en) 2011-01-20
EP3825975A1 (en) 2021-05-26
EP3343528A1 (en) 2018-07-04
EP3343528B1 (en) 2019-12-25
PT3742416T (pt) 2022-09-28
CA3021739C (en) 2022-06-21
MX2012000188A (es) 2012-06-25
CN109215312A (zh) 2019-01-15
PT3657458T (pt) 2022-03-25
CA3021739A1 (en) 2011-01-20
CN104539991A (zh) 2015-04-22
KR20180133563A (ko) 2018-12-14
CN104539991B (zh) 2019-02-22
KR101906487B1 (ko) 2018-10-11
EP3343527B1 (en) 2019-12-18
EP2824645B1 (en) 2018-02-14
EP3657458A1 (en) 2020-05-27
EP3742416A1 (en) 2020-11-25
CA3157108A1 (en) 2011-01-20
ES2666672T3 (es) 2018-05-07
KR20170106497A (ko) 2017-09-20
EP2449538B1 (en) 2014-09-24
KR20120112362A (ko) 2012-10-11
WO2011008387A2 (en) 2011-01-20
KR20190076075A (ko) 2019-07-01
JP2012532492A (ja) 2012-12-13
EP2824645A2 (en) 2015-01-14
KR20150074208A (ko) 2015-07-01
EP2449538B2 (en) 2018-04-04
PT2824645T (pt) 2018-04-20
AU2010273888A1 (en) 2012-01-19
PL2824645T3 (pl) 2018-06-29
KR101995550B1 (ko) 2019-07-03
ES2520992T3 (es) 2014-11-12
HUE038888T2 (hu) 2018-12-28
EP3742416B1 (en) 2022-08-10
EP2449538A2 (en) 2012-05-09
CN102473342B (zh) 2016-01-20
EP2824645A3 (en)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95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2042391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4057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003331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U20182086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U20142335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U20132027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